KR940004852Y1 -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 Google Patents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852Y1
KR940004852Y1 KR92009429U KR920009429U KR940004852Y1 KR 940004852 Y1 KR940004852 Y1 KR 940004852Y1 KR 92009429 U KR92009429 U KR 92009429U KR 920009429 U KR920009429 U KR 920009429U KR 940004852 Y1 KR940004852 Y1 KR 940004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rolling
vacuum cleaner
support shaf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9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020U (ko
Inventor
민영군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09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852Y1/ko
Publication of KR930025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8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6Nozzles with cleaning cloths, e.g. using disposal fabrics for covering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separate drive for the cleaning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일반적인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에 구름형 걸레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제 1 도는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전체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X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제 3 도는 진공 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 4 도 내지 제 6 도는 일반적인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제 4 도는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전체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Y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제 6 도는 구름형 걸레구의 분리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7(a)도 및 (b)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를 보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일실시예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제 9 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제10(a)도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결합상태 단면도, (b)는 구름형 걸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 구름형 걸레구 71 : 구름형 걸레
72 : 결합공 73 : 결합홈
74 : 지지축 75 : 결합돌기
본 고안은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에 있어서, 구름형 걸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름형 걸레와 지지축의 사이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청소작업시 구름형 걸레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구름형 걸레의 분리 및 결합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걸레청소가 가능한 청소기의 흡입구의 전형적인 실시형태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 출원 제92-3749호(출원일 ; 1992. 3. 6, 명칭 ;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에 선출원되어 있는 바,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A)는 구름형 걸레구(20)를 착탈가능하게 하는 걸레 착탈수단을 구비하고 흡입구(A)의 내부에서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와, 흡입구(A)의 상부 덮개(23)에 설치되어 상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를 록킹 및 해제시키는 록킹 및 해제수단과, 상기 구름형 걸레구(20)를 회전 방향에 따라 제동시키는 제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름형 걸레구(20)는 지지축(21)에 걸레 청소가 가능한 구름형 걸레(22)가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A)는 상부 덮개(23)(23')의 하부에 하부 덮개(24)(24')가 결합고정되어, 그 사이에 상부에서 서로 연통되는 전, 후방 흡입통로(25)(26)(제 3 도 및 제 6 도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의 상부 덮개(23')및 하부 덮개(24')의 내측에는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장착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덮개(23)의 하면 양측에는 일정길이의 고정나세체결기둥(2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상면 양측에는 상면에 관통공(41)이 각각 형성된 일정높이의 돌출부(4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하측에서 고정나사체결기둥(28)에 고정나사(29)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나사체결기둥(28)을 따라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가 승강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는 하부 덮개(24)의 양 내벽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30)을 따라 승강동작이 안내된다.
또한, 상기 상부 덮개(23)의 고정나사체결기둥(28)에는 압축 스프링(31)이 삽입되어,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를 하향으로 탄력지지하고 있다.
상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는 측벽(43) 중간부에 구름형 걸레구(20)의 지지축(21)이 지지되는 반구형상의 안착홈(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레 착탈수단은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측벽(43)양측에 축돌기(45)(45')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름형 걸레구(20)의 지지축(21)을 잡아주는 록킹 회동판(46)(46')과, 상기 내측 하부 덮개(24)의 양 내벽에 각각 세워져 고정되어, 상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승강동작시 록킹 회동판(46)(46')을 회동시키는 판스프링(47)(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 회동판(46)(46')은 내측에 만곡면(48)(48')이 각각 형성되어, 측벽(43)의 안착홈(44)과 함께 지지축(21)을 지지하도록 원형공(49)(제 3 도에 도시)을 이루게 되며,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측으로 회동개방되면, 그 사이의 입출구(50)를 통하여 구름형 걸레구(20)가 이탈되도록 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걸림홈(51)(5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47)(47')은 내측면에 돌출부(52)(52')가 각각 형성되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름형 걸레구(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록킹 회동판(46)(46')의 걸림홈(51)(51')에 판스프링(47)(47')의 돌출부(52)(52')가 맞물리게 되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하강시에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록킹 회동판(46)(46')을 밀어 외측으로 각각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록킹 및 해제수단은 상부 덮개(23)의 안내장공(32) 및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절곡부(53)에 형성된 안내장공(54)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를 록크 및 해제시키는 잠금부재(50)와, 상기 잠금부재(6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6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재(60)는 상부에 하측으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걸림턱(6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와의 결합동작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부(62)가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여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에 걸리는 걸림턱(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지지돌기(64)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재(60)는 지지돌기에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61)에 의하여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를 항시 록크하는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동수단은 구름형 걸레구(20)의 지지축(21)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정지턱(65)과, 상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측벽(43) 일정부위에 각각 고정되어, 구름형 걸레(20)의 역회전 동작을 규제하도록 정지턱(65)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역회전 방지 걸림턱(6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7은 흡입 유로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A)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A)에 구름형 걸레구(20)가 결합되어 청소작업이 가능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같은 경우에는 상부 덮개(2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잠금부재(60)에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가 걸려 있으므로 그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흡입구(A)의 장착홈(27)에 수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를 하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 스프링(3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하부 덮개(24)의 내벽에 각각 고정된 판스프링(47)(47')의 돌출부(52)(52')에는 록킹 회동판(46)(46')의 걸림홈(51)(51')이 각각 맞물리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측벽(43)에 형성된 안착홈(44)과 록킹 회동판(46)(46')의 만곡면(48)(48')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원형공(49)에 의하여 구름형 걸레구(20)는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름형 걸레구(20)가 지지된 흡입구(A)를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측으로 밀게 되면, 제동수단이 작동하여 지지축(21)의 정지턱(65)에 역회전 방지 걸림편(66)이 걸리게 되므로 구름형 걸레구(20)는 정지된 상태로 밀려 나게 되고, 따라서 바닥면과 구름형 걸레구(20)의 구름형 걸레(22)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정지된 구름형 걸레구(20)의 구름형 걸레(22)가 바닥면을 닦게 되며, 이와 반대로 흡입구(A)를 후방측으로 당기게 되면 지지축(21)은 더 이상 역회전 방지 걸림편(66)에 의하여 구속을 받지 않게 되므로 구름형 걸레구(20)가 회전되면서 구름형 걸레(22)의 바닥면과의 접촉부위를 변경시키게 된다.
상기 흡입구(A)를 전, 후방으로 밀고 당기는 반복적인 동작에 의하여 구름형 걸레구(20)의 회전 동작을 구속 및 해제시킴으로써 바닥면을 걸레로 보다 깨끗하게 청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먼지등의 이물질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 후방 흡입통로(25)(26)를 거쳐 진공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로 흡입되는 것이다.
한편, 구름형 걸레구(20)를 흡입구(A)로 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상부 덮개(23)의 양 잠금부재(60)를 제 1 도에 도시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게 되면, 그 잠금부재(60)는 압축 스프링(61)의 탄성을 이기며 각각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잠금부재(60)에 의한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따라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는 압축 스프링(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하부 덮개(24)의 내벽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30)의 안내를 받으며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하강 동작에 의하여 양 록킹 회동판(46)(46')의 걸림홈(51)(51')에서 돌출부(52)(52')가 벗어난 판스프링(47)(47')의 탄성력이 양 록킹 회동판(46)(46')의 양 측벽(43)에 작용하게 되므로,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하강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판스프링(47)(47')의 돌출부(52)(52')가 양 록킹 회동판(46)(46')의 축돌기 부위 모서리를 밀어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 록킹 회동판(46)(46')을 축돌기(45)(45')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회동시키게 되며, 따라서 양 록킹 회동판(46)(46')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입출구(50)가 형성됨으로써 구름형 걸레구(20)의 분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다시 구름형 걸레구(20)를 흡입구(A)에 장착시킬 경우에는 양 록킹 회동판(46)(46') 사이의 입출구(50)로 구름형 걸레구(20)의 지지축(21)을 밀어 넣어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의 안착홈(44)에 안착한 상태에서 구름형 걸레구(20)를 내측으로 가볍게 밀어 넣게 되면,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는 압축 스프링(31)의 탄성을 이기며 흡입구(A)의 장착홈(27)으로 수납되며,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잠금부재(60)의 걸림턱(63)에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가 걸리게 됨으로써 흡입구(A)에 구름형 걸레구(20)가 장착된다.
이와같이 흡입구(A)에 구름형 걸레 고정부재(40)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양 록킹 회동판(46)(46')의 걸림홈(51)(51')에 판스프링(47(47')의 돌출부(52)(52')가 맞물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를 구성하는 구름형 걸레구(20)에 있어서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매끈한 표면의 지지축(21)에 탄성을 갖는 구름형 걸레(22)가 결합됨으로써 지지축(21)과 구름형 걸레 구름형 걸레(22) 사이의 마찰력이 저하되어, 구름형 걸레구(20)의 회전시 지지축(21)과 구름형 걸레(22)의 사이에서 미끄럼(silp)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와같은 지지축(21)과 구름형 걸레(22) 사이의 미끄럼 현상에 의하여 구름형 걸레(22)에 의한 청소 작업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복되는 걸레청소 작업으로 오염된 구름형 걸레(22)를 세척을 위하여지지축(21)으로 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분리된 구름형 걸레(22)를 지지축(21)에 결합시킬 경우에도 지지축(21)과 구름형 걸레(2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구름형 걸레(22)의 분리 및 결합 동작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4-177168호와 같이 심체의 외주면에 솔을 매설하기 위한 요홈을 형성한 회전연마솔이 안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솔을 심체에 고정함에 있어서 솔의 기부(基部)를 요홈에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솔이 심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원주면을 따라 균일하게 배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상술한 진공청소기용 구름형 걸레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구름형 걸레와 지지축의 사이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청소작업시 구름형 걸레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름형 걸레의 분리 및 결합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에 사용되는 구름형 걸레에 있어서, 구름형 걸레와 지지축을 요철(凹凸)결합구조로 결합하여, 구름형 걸레와 지지축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10(a)도 및 (b)는 본 고안에 의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70)는 구름형 걸레(71)의 결합공(72) 내주면과, 상기 구름형 걸레(71)의 결합공(72)에 결합되는 지지축(74)의 외주면중, 한부분에는 수개의 결합홈(73)을 형성하고, 다른 한 부분에는 수개의 결합돌기(75)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75)와 결합홈(73)이 맞물리게 함으로써 지지축(74)과 구름형 걸레(71)를 결합고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결합구조의 일실시예는 구름형 걸레(71)의 결합공(72)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수개의 결합홈(73)를 형성하고, 지지축(74)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수개의 결합돌기(75)을 형성하여, 구름형 걸레(71)와 지지축(74)을 요철결합구조로 결합고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구름형 걸레(71)의 결합공(72)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73)의 단면 형상과, 상기 지지축(7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75)의 단면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서는 대략 사각단면 형상으로 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이며, 구름형 걸레(71)와 지지축(74)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요철구조라도 무방하다.
상기 구름형 걸레(71)의 결합홈(73) 길이(D)는 지지축(74)의 결합돌기(75)의 길이(L)보다 약간 깊게 형성하여, 지지축(74)의 결합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도는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구름형 걸레구(70)가 구비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B)의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한 본 고안의 구름형 걸레구(70)는 제 8도에 도시한 흡입구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구름형 걸레구(70)가 사용될 수 있는 흡입구(B)라면 그 흡입구(B)의 형태가 어떠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중 81은 상부 덮개, 82은 하부 덮개, 83은 장착홈, 84, 85는 전, 후방 흡입통로, 86은 흡입유로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구름형 걸레구(70)가 구비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B)를 사용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흡입구(B)의 전, 후 이동동작에 의하여 구름형 걸레구(70)가 선택적으로 회전 및 정지되면서 구름형 걸레(71)의 마찰에 의한 걸레 청소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8 도 및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구름형 걸레구(70)는 구름형 걸레(71)와 지지축(74)이 요철(凹凸)결합구조로 결합고정되어 있으므로 흡입구(B)의 통상적인 전, 후 이동동작시 지지축(74)과 구름형 걸레(71)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구름형 걸레(71)는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바닥면(E)과의 접촉으로 탄성적으로 눌려지게 됨으로써 구름형 걸레(71)와 지지축(74)의 결합상태는 더욱 긴밀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반복되는 흡입구(B)의 사용으로 오염된 구름형 걸레(71)를 세척하기 위하여 지지축(73)으로부터 구름형 걸레(71)를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된 구름형 걸레(71)를 지지축(74)에 결합시킬 경우에는 상기 구름형 걸레(71)의 결합홈(73) 깊이(D)가 지지축(74)의 결합돌기(75)의 길이(L) 보다 약간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축(74)의 결합 및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는, 구름형 걸레와 지지축을 요철결합구조로 결합고정하여 그 구름형 걸레와 지지축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청소작업시 구름형 걸레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고, 또한 구름형 걸레와 지지축의 분리 및 결합동작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에 사용되는 구름형 걸레구에 있어서, 구름형 걸레(71)와 지지축(74)중, 한부분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요철(凹凸)결합구조로 결합함으로써 구름형 걸레(71)와 지지축(74)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형 걸레(71)의 결합공(72)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수개의 결합홈(73)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74)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수개의 결합돌기(7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KR92009429U 1992-05-29 1992-05-29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KR940004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429U KR940004852Y1 (ko) 1992-05-29 1992-05-29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429U KR940004852Y1 (ko) 1992-05-29 1992-05-29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020U KR930025020U (ko) 1993-12-16
KR940004852Y1 true KR940004852Y1 (ko) 1994-07-21

Family

ID=1933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9429U KR940004852Y1 (ko) 1992-05-29 1992-05-29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8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020U (ko) 199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4588A (en) Nozzle head for vacuum cleaner with duster function
US20030005547A1 (en) Locking mechanism for dust collection module of vacuum cleaner
US4765012A (en) Manually operated cleaner
KR930008471Y1 (ko)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940004852Y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CN101242769A (zh) 真空吸尘器
KR940004850Y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흡입구의 로울러형 걸레구
US5361442A (en) Pool tile scrubber
KR940006558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KR940006560B1 (ko)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950000365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940006559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청소기용 흡입구
KR20210015128A (ko) 청소기
KR930011611B1 (ko)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KR950000268Y1 (ko) 진공청소기용 걸레 장착 흡입구
CN214048668U (zh) 真空吸尘器
CN218474544U (zh) 一种用于清洁机的刷头模块及清洁机
KR940004851Y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 흡입구의 구름형 걸레구
JPS6332688Y2 (ko)
US3072942A (en) Air float buffer head
JPS6349248Y2 (ko)
JPS6016364Y2 (ja) 靴底磨き器
JPS596746Y2 (ja) 掃除機の吸込口装置
KR940000572Y1 (ko) 걸레부착형 진공청소기 흡입구
KR890000006Y1 (ko) 전기소제기의 브러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