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630Y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630Y1
KR940004630Y1 KR92009301U KR920009301U KR940004630Y1 KR 940004630 Y1 KR940004630 Y1 KR 940004630Y1 KR 92009301 U KR92009301 U KR 92009301U KR 920009301 U KR920009301 U KR 920009301U KR 940004630 Y1 KR940004630 Y1 KR 940004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mall
diameter pipe
diameter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9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6008U (ko
Inventor
장명수
Original Assignee
장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수 filed Critical 장명수
Priority to KR92009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630Y1/ko
Publication of KR930026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6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
제1도는 본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결합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의 설치 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상태 단면도.
본고안은 본인이 선출원한 파이프 연결구(출원번호 : 1989년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16920호)를 개량한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단된 파이프와 파이프사이에 연결구 본체를 개재시켜 파이프를 연결시키도록 하되, 길이 조정 가능한 소구경 파이프가 수압등에 의하여 대구경 파이프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므로써 기 설치된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종래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는 본인의 선출원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의 절단 길이에 따라 연결구 본체를 끼워 연결시켜 주고 있으나, 대구경 파이프내에 일측이 삽입된 소구경 파이프가 체결마개에 의한 고무링의 압박에 의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경우 어느축으로 물이 흘러도 대구경 및 소구경 파이프내에는 수압이 발생되게 되고, 이 수압이 상당히 높을 경우에는 대구경 파이프내의 소구경 파이프가 고무링의 압박을 벗어나 대구경 파이프로부터 미끄러져 일측의 파이프와 나사 조립된 상태가 파손될 염려가 있고, 더구나, 나사 조립된 축의 파이프가 이로 인하여 파손되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왔다. 그리고, 기 공개된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신축식 죠인트(공개번호 소 52-19717호)가 소개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접속기 본체가 신축 자재토록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고정길이를 가지고 있어 파이프를 접속기내에 슬라이딩시켜 접속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보면 아주 짧고 유통적인 파이프단관 또는 파이프의 타단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 대해서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을뿐 아니라, 연결코저 하는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일 경우에는 파이프와 파이프사이의 간격에 알맞는 별도의 접속에 본체가 필요하는등의 결함이 지적되며, 또한, 이와같이 슬라이딩시켜 파이프를 접속시킨다 하더라도 수압이 높을 경우에는 접속된 파이프가 접속기 본체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어 파손을 가져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구경 파이프에 걸림 환턱을 형성하고, 이 걸림환턱에 걸림링이 걸려져 소구경파이프가 대구경파이프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대구경 파이프(1) 일단의 나사부(2)에 체결마개(3)가 나사조립되고, 상기 대구경 파이프(1)내에 소구경 파이프(4)의 일단을 삽입하되, 소구경파이프(4) 외주면에 고무링(5)을 끼워 조립케 하는 연결구본체에 있어서, 소구경 파이프(4)에 걸림환턱(4')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환턱(4')에 걸림링(6)이 걸려지도록 하여서된 것으로, 도면중 1'는 대구경 파이프(1)타단의 나사부로서, 기 설치된 파이프(7)와 나사 조립되도록 되어 있으며, 3'는 체결마개(3)의 일측 폐쇄부, 4"는 소구경 파이프(4)의 나사부로서 기 설치된 파이프(8)와 나사 조립되도록 되어 있고, 9, 10을 각각의 파이프(7)(8)에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시킨 대구경 및 소구경 파이프 각각의 각 형부이다.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 걸림환턱(4')에 걸려지는 걸림링(6)은 소구경파이프(4)에 잘 끼워질 수 있도록 한쪽이 절결되어 있으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지는 본고안은 대구경 파이프(1)내의 소구경파이프(4)를 기 설치된 파이프(7)와 파이프(8)사이의 길이에 맞추어 슬라이딩 시키게 되는데, 대구경 파이프(1) 일단의 나사부(2)에 체결마개(3)가 어느정도 나사 조립된 상태에서 소구경 파이프(4)를 대구경 파이프(1)로 부터 잡아당기게 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구경 파이프(4)가 이동되면서 체결마개(3)내에 위치하고 있던 걸림링(6)에 소구경 파이프(4)의 걸림환턱(4')이 걸려지게 되며, 이 걸림링(6)은 체결마개(3)의 일측 폐쇄부(3')내에 의해 더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체결마개(3)를 더욱 나사 조립하게 되면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결구 본체의 조립이 완성되어진다. (제3도 참조)
이와같은 상태에서 연결구 본체의 일측은 파이프(7)에 타측은 파이프(8)에 나사 조립케 하므로써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킬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구경 파이프(4)가 고무링(8)의 압박에 의해 압압되어 있음과 동시에, 소구경 파이프(4)의 걸림환턱(4')이 걸림링(6)에 걸려져 있되, 상기 걸림링(6)은 꽉 조여진 체결마개(3)의 일측 폐쇄부(3')내측에 위치 고정되게 되므로써 연결구 본체의 길이가 항시 일정 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수압이 상당히 높더라도 소구경 파이프(4)가 대구경 파이프(1)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소구경 파이프(4)와 나사조립된 파이프(8)는 물론 결합된 나사부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인이 선출원한 파이프 연결구나,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에 개재된 신축식 죠인트인 경우에는 수압이 연결구 본체내에 걸리게 되면, 소구경 파이프 또는 죠인트에 접속된 파이프가 연결구 본체 또는 죠인트 본체내로부터 미끄러져 일측 또는 타단에 접속되는 파이프의 접속부위를 파손시키는 결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 일정길이를 가질수 있는 연결구 본체를 형성하되, 수압이 상당히 높더라도, 그 일정길이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접속된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대구경 파이프(1) 일단의 나사부(2)의 체결마개(3)가 나사 조립되고, 상기 대구경 파이프(1)내에 소구경 파이프(4)의 일단을 삽입하되, 소구경 파이프(4) 외주면에 고무링(5)을 끼워 조립케 하는 연결구 본체에 있어서, 소구경 파이프(4)에 걸림환턱(4')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환턱(4')에 일측이 개구된 걸림링(6)이 걸려지도록 하여서 된 파이프 연결구.
KR92009301U 1992-05-28 1992-05-28 파이프 연결구 KR940004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301U KR940004630Y1 (ko) 1992-05-28 1992-05-28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301U KR940004630Y1 (ko) 1992-05-28 1992-05-28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008U KR930026008U (ko) 1993-12-24
KR940004630Y1 true KR940004630Y1 (ko) 1994-07-14

Family

ID=1933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9301U KR940004630Y1 (ko) 1992-05-28 1992-05-28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6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42B1 (ko) * 2008-01-22 2010-04-09 주식회사 엠스코 원터치형 튜브 피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42B1 (ko) * 2008-01-22 2010-04-09 주식회사 엠스코 원터치형 튜브 피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008U (ko) 199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6215A (en) Clamp
US4252346A (en) Connection for transition from a cutting ring joint or similar to a flange joint
US3936892A (en) Multi purpose clean-out attachment
ATE274166T1 (de) Schauchverbindung und schraubmuffe dafür
JPH0742889A (ja) 管継手及び付属ナット
CA2189596A1 (en) Valve Connector System for Plastic Pipe
BR0104592A (pt) Ponteira de estanqueidade para conduto de instalação de forma tubular, e, processo de obturação de, um conduto de instalação tubular feito de material plástico
US2447947A (en) Variable union
GB2318626A (en) Flow line segment with non-metallic pipe collar
KR940004630Y1 (ko) 파이프 연결구
DE69904768T2 (de) Verbindungsvorrichtung
TW348084B (en) Stopper rod and means for attaching the same to a lifting and lower mechanism
GB2201177A (en) Clamp
GB2313890A (en) Connector
US4108480A (en) Branch piece for providing branch connections in a pipe
NO920912L (no) Koplingsroerstykke
DE59402726D1 (de) Kombinierte Schlauch- und Kabelverschraubung
SE9801087D0 (sv) Klämringskoppling
AU2002100038A4 (en) Cable fastener
EP0909914A3 (de) Anschlussgarnitur mit kraftschlüssigem Längenausgleich
US2561757A (en) Swivel pipe coupling
KR960018318A (ko) 호스끼워맞춤용 유동량 제한기
US1837888A (en) Coupling
KR970016256A (ko) 유체 삽입 접속부에 대한 잠금 장치
EP1028281A3 (en) High tensile strenght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