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498Y1 - 비상시 전화 국선의 자동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비상시 전화 국선의 자동 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498Y1
KR940004498Y1 KR2019880013441U KR880013441U KR940004498Y1 KR 940004498 Y1 KR940004498 Y1 KR 940004498Y1 KR 2019880013441 U KR2019880013441 U KR 2019880013441U KR 880013441 U KR880013441 U KR 880013441U KR 940004498 Y1 KR940004498 Y1 KR 940004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emergency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857U (ko
Inventor
허근철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3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498Y1/ko
Publication of KR900005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상시 전화 국선의 자동 절환회로
제1도는 종래의 비상시 전화국선의 절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비상시 전화국선의 자동 절환회로도.
제3도는 제2도 각부의 파형도로서, 제3(a)도는 중앙처리장치의 출력파형도, 제3(b)도는 단안정다중 발진기의 충방전 파형도, 제3(c)도는 단안정다중 발진기의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중앙처리장치 12 : 구동제어신호 발생부
12A : 단안정 다중발진기 13 : 라인절체부
14 : 일반전화기 서비스유니트 15 : 국선라인부
TR1, TR2: 트랜지스터 RY1: 국선절체용 릴레이
R1-R5: 저항 D1: 다이오드
TE1: 전화기
본 고안은 국선의 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이교환기의 고장이나 장시간 정전시 자동적으로 국선이 일반전화기에 연결될 수 있게한 비상시 전화국선의 자동 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국선 절환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환기(3)가 정상동작시 사용자는 그에 연결된 일반전화기를 사용하고, 상기 간이교환기(3)가 정전이나 고장시에는 비상일반전화기(TF1)를 국선라인부(4)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국선절환회로는 비상시에 사용자가 국선라인부에 비상일반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이교환기의 정전 또는 고장시 국선라인부가 자동적으로 비상일반전화기에 연결되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비상시 국선의 자동절환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이교환기의 각부를 총괄제어함과 아울러 정상동작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 주기의 구형파를 발행하는 중앙처리장치(11)와, 정상동작시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에 의해 일정레벨이하의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가 오동작 및 고장이나 장시간 정전에 의해 정상적인 주기의 구형파를 발생하지 않을때 일정레벨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는 구동제어신호 발생부(12)와, 상기 구동제어신호 발생부(12)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시스템이 정상동작시에는 전화기(TE1)를 간이교환기의 일반전화기 서비스유니트(14)에 연결시키고, 비상용작시에는 라인국선부(15)에 직접 연결시켜주는 라인절체부(13)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상태에서는 중앙처리장치(11)에서 제3(a)도와 같이 일정 주기의 구형파를 발생하고, 단안정다중 발진기(12A)는 이 구형펄스의 고전위 구간에서 제3(b)도와 같이 충전하고, 저전위구간에서 방전하게 되는데, 이 충전시간(tc)을 결정하는 상기 구형펄스의 구간이 정상상태에서는 일정시간 이하로 제한되어 있어 그 정상상태에서 그 단안정다중 발진기(12A)의 충전전압은 드레쉬홀드전압(H)에 도달하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 정상상태에서는 그의 출력단자에는 제3(c)도의 T1주기 이후에서와 같이 저전위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저전위가 공급되어 그가 온되고, 이로 인하여 전원단자전압(Vcc)이 그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측에 공급되어 그 트랜지스터(TR2)가 온되므로, 이때, 국선절체용 릴레이(RY1)가 온되고, 이에 의해 그 릴레이(RY1)가 메이크접점(M)에 단락되므로 전화기(TE1)는 간이교환기의 일반전화기 서비스유니트(14)를 통해 국선라인부(15)에 접속되어 간이교환기를 통해 내선통화 및 국선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중앙처리장치(11)의 오동작 및 고장이나 장시간 고장이 발생될때에는 그 중앙처리장치(11)에서 상기와 같이 일정주기의 구형파가 출력되지 않고, 제3(a)도의 (T1)주기에서와 같이 정상시에는 보다 긴고전위의 구형파가 출력되어 상기 단안정다중 발진기(12A)의 충전전압이 드레쉬홀드전압(H)을 상회하게 되고, 이에 의해 그의 출력단자에 제3(c)도의 T1주기에서와 같이 고전위가 출력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고, 이로인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측에 저전위가 공급되어 그 트랜지스터(TR2)가 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국선절체용 릴레이(RT1)가 오프되고, 이에 의해 그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가 브레이크 접점(B)에 단락되므로 전화기(TE1)가 상기 간이교환기의 일반전환기 서비스유니트(14)를 통하지 않고 직접 국선라인부(15)에 접속되어 사용자는 그 전화기(TE1)를 통해 국선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1)는 간이교환기의 중앙처리장치에 해당되며, 일반전화기 서비스유니트(14)는 간이교환기의 내장된 전화기 접속단자대에 해당되고, 이 중앙처리장치(11) 및 일반전화기 서비스유니트(14)를 비롯하여 구동제어신호 발생부(12), 라인절체부(13)는 간이교환기에 내장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이교환기 중앙처리부가 정상동작시에는 간이교환기에서 일반전화기를 서비스하고, 그의 고장 및 장시간 정전시에는 국선라인부가 자동적으로 비상일반전화기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간이교환기 중앙처리부의 고장 및 장시간 정전시에 별도로 국선라인부에 비상일반전화기를 연결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간이교환기의 각부를 총괄제어함과 아울러 정상동작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 주기의 구형파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11)와, 정상동작시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에 의해 일정레벨 이하의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가 오동작 및 고장이나 장시간 정전에 의해 정상적인 주기의 구형파를 발생하지 않을때 일정레벨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는 구동제어신호 발생부(12)와, 상기 구동제어신호 발생부(12)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시스템이 정상동작시에는 전화기(TE1)를 간이교환기의 일반전화기 서비스유니트(14)에 연결시키고, 비상동작시에는 라인국선부(15)에 직접 연결시켜주는 라인절체부(1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전화국선의 자동 절환회로.
KR2019880013441U 1988-08-17 1988-08-17 비상시 전화 국선의 자동 절환회로 KR940004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441U KR940004498Y1 (ko) 1988-08-17 1988-08-17 비상시 전화 국선의 자동 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441U KR940004498Y1 (ko) 1988-08-17 1988-08-17 비상시 전화 국선의 자동 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857U KR900005857U (ko) 1990-03-09
KR940004498Y1 true KR940004498Y1 (ko) 1994-07-04

Family

ID=1927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441U KR940004498Y1 (ko) 1988-08-17 1988-08-17 비상시 전화 국선의 자동 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4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857U (ko) 199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88870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回路
MY134234A (en) Zero voltage switching power supply with burst mode
US4414623A (en) Dual deadman timer circuit
TW366626B (en) Raised voltage type switching power source revice
KR940004498Y1 (ko) 비상시 전화 국선의 자동 절환회로
US3922588A (en) Drive arrangement for switching clocks
US3978392A (en) Energy transfer circuit
CN218383715U (zh) 一种低功耗自锁控制电路
KR950002930B1 (ko) 축전지 제어회로
SU1153393A2 (ru) Триггер с сохранением информации при перерывах питани
CN210245418U (zh) 具有电压监控功能的工业继电器
CN214280933U (zh) 一种大功率时序数字功放电源装置
KR940005522B1 (ko) 리세트 회로
US6061226A (en) Relay circuit with cyclical controlled capacitor
JPS5934220Y2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H0241983Y2 (ko)
SU112569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источника питани
JPH07295666A (ja) 安定化電源装置
JP3476412B2 (ja) 液晶表示装置の電源回路
SU1686605A1 (ru) Разр дно-зар 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0141730B1 (ko) 착탈 가능한 캠코더의 전원쇼트방지 방법 및 회로
SU1244776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CN113206522A (zh) 一种低待机功耗供电电路及电子设备
RU20129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потребителей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от напряжения обратной полярности
KR890006035Y1 (ko) 원격제어기기의 전원제어 일원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