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381Y1 -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 Google Patents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381Y1
KR940004381Y1 KR2019910021512U KR910021512U KR940004381Y1 KR 940004381 Y1 KR940004381 Y1 KR 940004381Y1 KR 2019910021512 U KR2019910021512 U KR 2019910021512U KR 910021512 U KR910021512 U KR 910021512U KR 940004381 Y1 KR940004381 Y1 KR 940004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ircuit
signal
input termi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1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222U (ko
Inventor
전태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1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381Y1/ko
Publication of KR930017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5Gene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ser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 colour picture signals or sepa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from colour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의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 : 증폭기 20 : 동조증폭기
40 : 클리핑회로 50,70 : 스위칭회로
60 : 지연회로 R1~R15 : 저항
D1,D2 : 다이오드 Q1,Q2,Q4,Q5 : NPN 트랜지스터
C1~C4 : 콘덴서 Q3,Q6 : PNP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젼 방식을 판별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재생장치의 칼라 방식을 판별하는 기능을 이용한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텔레비젼 방식에는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이하 ‘NOSC 방식’이라고 함)과, Phase Alternation by Line 방식(이하 ‘PAL 방식’이라고 함), 그리고 Sequentielle A Me′moire 방식(이하 ‘SECAM 방식’이라고 함)이 채택되고 있다.
그리고 각 NTSC 방식, PAL 방식, SECAM 방식에는 약간의 기능을 달리한 PAL-M 방식, PAL-B 방식, PAL-H 방식, SECAM-D 방식, SECAM-B 방식 등 이외에도 몇가지 방송방식이 더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국가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 NTSC 방식과 PAL-M 방식 또는 기타 PAL 방식을 병행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각 방송방식을 판별하여 재생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 예로 NTSC 방식과 PAL-M 방식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두가지 방식을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회로구성을 갖추고 있는 제품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더블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는 수신되는 텔레비젼 신호방식이 PAL-M 방식(또는 NTSC 방식)인지 검출하는 회로가 필요하고, 이러한 검출 결과에 따라 수신장치가 PAL-M 방식(또는 NTSC 방식)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더블방송이 재생가능한 영상재생장치에서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가 다른 경우에는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해서 간단히 칼라방식을 판별하며 방송방식이 NTSC 방식(또는 PAL 방식)인지 판별할 수 있었으나 영상신호의 수직동기 신호가 같은 경우는 방송방식을 판별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가 같은 방송방식에서 칼라의 종류를 판별하여 방송방식을 판별하는 방송방식 판별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칼라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자동위상제어회로(Automatic Phase Control ; 이하, ‘APC 회로’라고 함)를 구비하여 더블방송이 재생가능한 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 자동위상제어회로로 인가된 영상재생신호에 포함된 칼라 버스트 신호와 자동위상제어회로의 기준수정 발진회로의 출력을 위상 비교회로에서 두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두 신호의 위상과 에러신호를 유입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위상차 에러신호중 특성주판수만을 선국하여 필터링시키는 필터링 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자동위상제어회로의 에러발생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방송방식을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로 구성을 살펴보면 APC 회로에서 발생된 에러신호를 유입하는 입력단자(5)는 제1증폭기(10)의 입력단자와 접속하고 제1증폭기(10)의 출력단자는 동조증폭기(20)의 입력단자와 접속하며, 동조증폭기(20)의 출력단자는 제2증폭기(30)의 입력단자와 접속한다. 제2증폭기(30)의 출력단자는 클리핑회로(40)의 입력단자와 접속하고, 클리핑회로(40)의 출력단자는 제1스위칭회로(50)의 입력단자와 접속한다. 제1스위칭회로(50)의 출력단자는 지연회로(60)의 입력단자와 접속하고, 지연회로(60)의 출력단자는 제2스위칭회로(70)의 입력단자와 접속한다. 제2스위칭회로(70)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25)와 접속한다.
이하 제1도의 작동을 설명하면 칼라재생신호가 영상재생장치내의 APC 회로로 인가되며 APC 회로에서는 인가된 재생신호로부터 빼낸 버스트 신호와 APC 회로의 기준수정 발진회로의 출력을 위상비교회로에서 두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칼라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이때 인가된 재생신호로부터 빼낸 버스트 신호와 기준수정 발진회로의 출력신호가 서로 다른 경우 에러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에러전압이 입력단자(5)로 유입되어 제1증폭기(10)로 전송되면, 제1증폭기(10)에서는 인가된 에러신호를 1차 증폭하여 동조증폭기(20)로 전송한다.
동조증폭기(20)에서는 제1입력단자로 유입된 에러신호를 자체내에 구비된 동조코일에 의해 특정 주파수(여기서는 7.8khz)에 동조시키고 특정주파수에 동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2증폭기(30)로 전송한다. 제2증폭기(30)에서는 동조증폭기(20)의 출력신호를 2차 증폭하여 클리핑회로(40)로 전송되는 사이에서 속도, 시간 등을 조정하는 완충작용을 한다. 클리핑회로(40)는 제2증폭기(30)의 출력신호를 어느 레벨이하 아주 작은 잡음성 신호를 제거하여 제1스위칭회로(50)로 전송한다.
제1스위칭회로(50)는 클리핑회로(40)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작용을 하게 되는데 즉 클리핑회로(40)에서 출력된 신호가 제1스위칭회로(50)를 개폐할 수 있는 어떤 동작점을 제공한다. 지연회로(60)는 제1스위칭회로(50)가 온ㆍ오프 동작을 할때 순간적으로 오류를 발생할때, 일 예로 제1스위칭 회로(50)가 오프(OFF)동작을 하는 도중 순간적으로 온(ON)이 되면서 다음 단으로 인가되는 신호를 불규칙하게 인가되는 것을 막기위해서 인가되는 신호를 일정시간만큼 지연시킨다. 제2스위칭회로(70)는 지연회로(60)에서 인가된 신호에 따라 스위칭동작을 하여 하이(High) 또는 로우(Low) 논리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단자(25)를 통해 출력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상세회로도는 접속관계를 먼저 설명하면 APC 회로에서 발생된 에러신호를 유입하는 입력단자(5)와, 입력단자(5)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와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단자는 저항(R2, R3)의 일측과 각각 접속한다. 저항(R2)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인 제2전원과 접속되며, 저항(R3)의 일측은 콘덴서(C1)의 일측과 접속하고, 콘덴서(C1)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인 제2전원과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는 저항(R1)의 일측과 콘덴서(C2)의 일측과 접속하고, 저항(R1)의 다른 일측은 공급전원인 제1전원을 유입하기 위한 제2입력단자(15)와 접속한다. 콘덴서(C2)의 다른 일측은 동조증폭기(20)의 입력단자와 접속하고 동조증폭기(20)의 출력단자는 저항(R4)의 일측과 접속한다.
저항(R4)의 다른 일측은 저항(R5)의 일측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와 접속한다. 저항(R5)의 또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인 제2전원과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자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와 저항(R6)의 일측과 접속한다. 저항(R6)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인 제2전원과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단자는 공급전원인 제1전원을 유입하기 위한 제2입력단자(15)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단자는 저항(R7)의 일측과 접속하고, 저항(R7)의 다른 일측은 제2입력단자(15)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자는 저항(R8)의 일측과 콘덴서(C3)의 일측과 접속하고, 저항(R8)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인 제2전원과 접속한다. 콘덴서(C3)의 다른 일측은 다이오드(D1)의 음극단과 저항(R9)의 일측과 접속하며, 다이오드(D1)의 양극단은 기저전원인 제2전원과 접속된다. 저항(R9)의 다른 일측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와,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단자는 기저전원인 제2전원과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4)는 콜렉터단자는 저항(R10)의 일측과, 저항(R11)의 일측과 각각 접속하며, 저항(R10)의 다른 일측은 공급전원인 제1전원을 유입하는 제2입력단자(15)와 접속한다. 저항(R11)의 다른 일측은 콘덴서(C4)의 일측과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자와 각각 접속하고 콘덴서(C4)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인 제2전원과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단자는 저항(R12)의 일측과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자와 각각 접속하며, 저항(R12)의 다른 일측은 공급전원인 제1전원을 유입하는 제2입력단자(15)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단자는 저항(R13)의 일측과 저항(R14)의 일측과 각각 접속하고, 저항(R14)의 다른 일측은 제2입력단자(15)와 접속하며, 저항(R13)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인 제2전원과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단자는 다이오드(D2)의 음극단과 접속하고, 다이오드(D2)의 양극단자는 제2입력단자(15)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단자는 다이오드(D2)의 음극단과 접속하고, 다이오드(D2)의 양극단자는 제2입력단자(15)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단자는 저항(R15)와 접속한다.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단자는 저항(R15)의 일측과 출력단자(25)와 접속하고, 저항(R15)의 다른 일측은 기저전원과 접속된다.
이하 제2도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단자(5)로 APC 회로에서 발생된 에러신호가 유입되어 제1증폭기(10)로 전송된다.
제1증폭기(10)에서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로 유입된 신호를 저항(R2, R3)과 콘덴서(C1)에 의해 일정레벨만큼 증폭시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를 통해 동조증폭기(20)로 전송한다. 이때 저항(R1)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의 전압을 조절시키는 부하 저항이다.
동조증폭기(20)는 제1증폭기(10)의 출력신호를 자체내에 포함된 동조코일에 의해 특정 주파수 7.8KHZ에 동조시킨다. 7.8KHZ 주파수를 선택하여 증폭하는 이유는 APC 회로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위상이 영상신호의 매 수평주기마다 하이 또는 로우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제2증폭기(30)는 동조증폭기(20)의 출력신호를 트랜지스터(Q2, Q3)에서 재차 증폭하여 클리핑회로(40)로 전송한다.
클리핑회로(40)는 제2증폭기(30)의 출력신호중 콘덴서(C3)에 의해 교류신호만 바이패스시키고 콘덴서(C1)을 통과한 신호중 일정 레벨 이하의 신호는 다이오드(D1)에 의해 제거시키고 출력한다.
제1스위칭회로(50)는 클리핑회로(40)를 통과한 신호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인가된 신호가 트랜지스터(Q4)를 턴 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 시키는데 턴 온(Turn On)인 경우 즉 APC 회로에서 발생한 에러신호가 있는 경우 제2입력단자(15)로 유입되어 저항(R10)을 통과한 전원은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단자를 통해 기저전원으로 흐른다. 턴 오프(Turn Off)의 경우 즉 APC 회로에서 발생한 에러신호가 없으면 제2입력단자(15)로 유입되어 저항(R10)을 통과한 전원을 저항(R11)을 통과하여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된다.
지연회로(60)는 제1스위칭회로(50)는 통과한 신호를 저항(R11)과 콘덴서(C4)에 의해 결정된 시정수(RC)만큼 일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한다.
제2스위칭회로(70)는 지연회로(60)의 저항(R11)을 통과한 신호의 양에 의해 온, 오프 동작을 하게 되는데 저항(R11)은 통과한 신호가 있는 경우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5)를 턴 온(Turn On) 시키면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Q6)도 턴 온(Turn On) 동작을 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5)가 턴 오프(Turn Off)되면 트랜지스터(Q6)도 턴오프(Turn Off)동작을 하게 된다.
즉, 최종출력단자(25)는 APC 회로에서 발생되어 입력단자(5)로 유입한 신호를 하이(High) 또는 로우(Low)의 논리값으로서 결정하여 영상재생 장치로 인가된 신호가 현재 시스템이 선택한 방식과 같은지를 판별하여 검출결과에 따라 수신장치가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자동적으로 절환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자동위상제어회로를 구비하여 복수의 방송방식이 재생가능한 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 자동위상제어회로로 인가된 영상재생신호에 포함된 칼라 버스트 신호와 자동위상제어회로의 기준수정발진회로의 출력을 위상비교회로에서 두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두 신호의 위상차 에러신호를 유입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위상차 에러신호중 특성주파수만을 선국하여 필터링시키는 필터링 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자동위상제어회로의 에러발생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방송방식을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방식자동판별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필터링 수단의 출력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의 출력에서 일정레벨 이하의 잡음성 신호를 제거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송하는 클리핑 수단과, 상기 필터링 수단의 출력을 상기 클리핑수단으로 전송되는 사이에서 속도시간 등을 조정하는 완충작용을 하는 버퍼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스위칭수단의 출력을 DC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적분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적분회로의 출력과 기준값을 비교하고 이 비교결과에 따라 방송방식을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필터링 수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단자로 유입된 에러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방식자동판별회로.
KR2019910021512U 1991-12-05 1991-12-05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KR940004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1512U KR940004381Y1 (ko) 1991-12-05 1991-12-05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1512U KR940004381Y1 (ko) 1991-12-05 1991-12-05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222U KR930017222U (ko) 1993-07-29
KR940004381Y1 true KR940004381Y1 (ko) 1994-06-25

Family

ID=1932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1512U KR940004381Y1 (ko) 1991-12-05 1991-12-05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3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222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0456A (en)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circuit
US5119177A (en) Automatic 3-mode switching circuit of a color television set
US4263610A (en) Controlled output composite keying signal generator for a television receiver
US4209805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lock-out prevention means for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thereof
US3898380A (en) AGC Detector circuit having noise and overload correction capability
US3795762A (en) Plural operating mode television receivers
KR940004381Y1 (ko)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US4051526A (en) Television system comprising a video storage device and a television receiver
US4072983A (en) SECAM identification circuit
US4860099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VTR system
US3449513A (en) Dual complementary gate keyed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4527196A (en) Television receiver comprising a video signal detector of a type which detects with the aid of a reference signal
US3515801A (en) Chrominance circuitry for television receivers
KR200165528Y1 (ko) 텔레비젼 수신기의 오디오 라인출력회로
US5790203A (en) Detector of color television standard with low reception threshold
KR100205335B1 (ko) 외부 동기 신호 자동 판별 회로
JP2919936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方式判別回路
KR910004622Y1 (ko) 비데오 시스템 자동 선택회로
KR940000157B1 (ko) 칼라 tv의 3시스템 자동 전환장치 및 방법
KR930001433Y1 (ko) Tv/vcr 모드의 자동 전환장치
KR930008228Y1 (ko) Tv 시청시 비디오신호 뮤트회로
KR910005243Y1 (ko) 칼라 방송신호에 따른 비데오 시스템 자동 선택회로
KR920000359B1 (ko) D2-mac디코더 전원 온/오프 회로
KR870000835B1 (ko) 잡음신호에 대한 무방송채널 잡음제거회로
KR0137429Y1 (ko) 입력영상 자동판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