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300B1 - Memory-queue in a system using pipe-line bus protocol - Google Patents

Memory-queue in a system using pipe-line bus protocol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300B1
KR940003300B1 KR1019910019573A KR910019573A KR940003300B1 KR 940003300 B1 KR940003300 B1 KR 940003300B1 KR 1019910019573 A KR1019910019573 A KR 1019910019573A KR 910019573 A KR910019573 A KR 910019573A KR 940003300 B1 KR940003300 B1 KR 940003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bus
memory controller
queu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10749A (en
Inventor
박병관
기안도
심원세
윤용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1001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300B1/en
Publication of KR93001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The memory queue for pipeline bus protocol system as a buffer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and the bus interface to store bus transmission request temporarily to send to the memory controller in time for efficient memory access. The memory queue comprises a memory array (10) for storing data, a memory controller (20) to control the memory array (10) which is connected to bus interface (40), and a buffer (30) which stores continuous transmission requests from the system bus, when the memory controller (20) can not process those requests, to transmit to the memory controller (20) when the memory controller (20) is ready.

Description

파이프라인 버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메모리큐Memory queues on systems using the pipeline bus protocol

제1도는 기입사이클(write cycle)시의 버스 프로토콜의 타이밍도.1 is a timing diagram of a bus protocol during a write cycle.

제2도는 독추사이클(read cycle)시의 버스 프로토콜의 타이밍도.2 is a timing diagram of a bus protocol during a read cycle.

제3도는 주기억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memory device.

제4도는 메모리 큐(memory queue)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mory queue.

제5도는 메모리 큐 제어부의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of a memory queue controller.

제6도는 메모리 큐 제어부의 상태 천이도.6 is a state transition diagram of a memory queue controller.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 버스 프로토콜(pipeline bus protocol)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큐(memory queue)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mplementation of a memory queue for a system using a pipeline bus protocol.

파이프라인 버스 프로토콜은 높은 데이터 전송능력을 얻기 위하여 전송동작을 여러단계로 나누어서 이를 중첩(pipeline)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이프라인 기법은 버스의 전송능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높은 전송능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버스제어부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런 파이프라인 기법을 채용한 시스템에서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정하거나 꺼내는데 걸리는 메모리 접근시간(memory access time)이 파이프라인 버스의 데이터 전송처리 시간보다 길다는 것 즉, 메모리 접근 능력이 파이프라인 버스의 데이터 처리능력 보다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연속해서 메모리 제어기에 전달되는 버스의 전송요구를 일시 저장하는 완충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The pipeline bus protocol divides the transmission operation into several stages and pipelines them in order to obtain high data transmission capability. This pipeline technique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bus, but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bus controller is complicated to ensure a high transmission capacity. In a system employing this pipeline technique, the memory access time for storing or fetching data into the memory is longer than the data transfer processing time of the pipeline bus. It is common to fall below the processing capacity, and thus a buffer means for temporarily storing the transfer request of the bus which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memory controller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전송 처리속도와 메모리 접근시간의 차이를 완충하는 수단으로서 버스의 연속한 전송요구를 메모리 제어기가 처리하지 못할 경우 버스의 전송요구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메모리 제어기가 처리할 준비가 되면 전송요구 정보를 메모리 제어기로 전달하는 메모리 큐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완충수단인 메모리 큐는 메모리 제어기와 버스 인퍼테이수 사이에 위치하여 버스 인터페이스가 받은 정보를 직접 혹은 일정시간 저장후 메모리 제어기로 보내준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ff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bus transfer processing speed and the memory access time, and when the memory controller fails to process a continuous transfer request of the bus, the memory controller temporarily stores the transfer request information of the bus and then processes it. When it is ready to do so, it provides a memory queue that forwards the transfer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mory controller. Therefore, the memory queue, which is a buff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and the number of bus inputs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bus interface directly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to the memory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와 제2도는 HiPi-Bus 전송 프로토콜의 타이밍도이다.1 and 2 are timing diagrams of the HiPi-Bus transmission protocol.

제1도는 기입사이클(write cycle)을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독출사이클(read cycle)을 나타낸 것이다. 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5단계의 동작이 버스상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간 단계의 동작이 버스상에 파이프라인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전송은 ReQuester (RQ)와 ResPonder(RP)사이에서 이루어진다.FIG. 1 shows a write cycle and FIG. 2 shows a read cycle. Five steps of operation must be performed on the bus for one data transfer, and the other steps can be pipelined on the bus. All data transfer takes place between ReQuester (RQ) and ResPonder (RP).

여기서, RQ는 중앙처리장치(cpu)나 입출력 처리장치(I/O device)에 해당하고 RP는 주기억장치(main memory) 해당된다. 파이프라인 기법을 채용한 시스템에서는 매 주기마다 주기억 장치로 전송요구가 있을 수 있고 주기억장치에서의 처리 주기는 버스의 주기의 1.5배에 2배 정도가 된다. (즉, 주기억장치의 처리속도는 버스의 전송속도보다 느리다) 주기억장치는 어드레스 주기에서 버스정보를 받아 이를 번역하여 자신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주기억장치가 전송요구를 처리할 수 있을 경우에는 “ok”응답신호를 내보내고, 그렇지 못할 경우는 “busy”신호를 내보낸다. 에러가 검출되거나 잠긴 번짓수(locked address)로 접근했을 경우 주기억장치는 “error”신호와 “lock bysy”신호를 보내 각각 응답한다. 캐쉬(cache) 데이터 동질성 유지 프로토콜에 의해 스누프 제어기(snoop controller : 도시되지 않음)가 전송을 취소시키고자 할 경우는 응답주기에 “dirty”신호나 “snack”신호를 띄우게 된다. 데이터 전송은 주기억장치의 응답이 “ok”이고 수누프 제어기의 취소동작이 없는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기입전송의 경우에는 데이터에 대한 에러검출을 확인하는 응답을 보내며, 독출전송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읽어서 데이터 버스의 중재를 거쳐 데이터를 요구한 보드에 보내게 된다.Here, RQ corresponds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n input / output processing unit (I / O device), and RP corresponds to a main memory. In a system employing the pipeline technique, there may be a transfer request to the main memory every cycle, and the processing cycle in the main memory is twice as long as 1.5 times the bus cycle. (I.e., the processing speed of the main memory device is slower than the transfer speed of the bus.) The main memory device receives the bus information in the address period and translates it to determine whether it is selected. At this time, if the main memory can handle the transfer request, it sends out “ok” response signal, otherwise it sends out “busy” signal. When an error is detected or a locked address is approached, the main memory responds with an "error" and a "lock bysy" signal, respectively. When a snoop controller (not shown) attempts to cancel a transmission by a cache data homogeneity maintaining protocol, a "dirty" signal or a "snack" signal is displayed in a response period. Data transfers are only made when the response of the main memory is "ok" and there is no cancellation action by the Sonuf controller. In the case of write transfer, a response is sent to confirm error detection for the data. In the case of read transfer, the data is read from the memory and sent to the board requesting the data through mediation of the data bus.

제3도는 본 발명의 메모리 큐(memory queue)를 사용한 주기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주기억장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어레이(10)와, 메모리 어레이(10)를 제어하여 실질적인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수행하는 메모리 제어기(20)와, 시스템 버스와의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40)와, 상기 메모리 제어기(20)와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부(40) 사이에 연결된 메모리 큐(30)로 구성된다. 주기억장치의 메모리 어레이(10)로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메모리 제어기(20)는 메모리 어레이(10)를 제오하여 데이터를 기입(write)하고 독출(read) 한다.3 illustrates a main memory device using a memory que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memory device controls a memory array 10 for storing data and a memory array 10 to perform writing and reading operations of data. Memory controller 20 to perform, a bus interface unit 40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system bus, and a memory queue 30 connected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20 and the bus interface unit 40 do. It is most common to use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as the memory array 10 of the main memory device, and the memory controller 20 writes and reads data from the memory array 10. .

메모리 제어기(20)는 데이터를 요구한 보드에 최대한 빠르게 돌려주기 위하여 버스의 전송 프로토콜이 진행됨과 동시에 메모리 접근을 시도한다. 스누프 제어기(Snoop controller)의 전송취소 요구가 있을 때까지 모든 데이터 접근을 끝내고 취소가 되지 않을 경우만 최종적으로 기입하거나 혹은 데이터의 전송을 마무리하게 된다. 즉, 메모리 제어기(20)는 파이프라인 버스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서 동작하게 된다. 버스 인터페이스부(40)는 버스와의 모든 정보교환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버스로부터 정보의 접수 및 상위로의 전달과 반대로 상위의 전송요구를 하위의 버스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memory controller 20 attempts to access the memory at the same time as the transfer protocol of the bus proceeds to return the data to the board requesting data as quickly as possible. All data access is terminated until the snoop controller requests to cancel the transfer, and only if the cancellation is not canceled, the data is finally written or the data is transferred. That is, the memory controller 20 operate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peline bus as it is. The bus interface unit 40 is responsible for all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bus and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the upper transmission request to the lower bus as opposed to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bus and transferring the upper information.

메모리 큐(30)는 버스 인터페이스부(40)와 메모리 제어기(4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메모리 제어기(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처리속도가 빠른 버스 인터페이스부(40)의 정보를 메모리 제어기(20)로 보내는데 있어서 완충 수단으로서 작용한다.The memory queue 30 is located between the bus interface unit 40 and the memory controller 40 to display information of the bus interface unit 40 having a relatively faster processing speed than the memory controller 40. It acts as a cushioning means in sending it.

본 발명의 메모리 큐(30)는 파이프라인 된 버스의 전송요구를 메모리 제어기(20)로 보냄에 있어서 지연시간이 없이 또한 메모리 제어기(20)의 입장에서는 메모리 큐가 없는 것과 같은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한다. 즉, 큐로서의 완충기능은 수행하되 큐가 있으므로 해서 메모리 제어기(20)에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요구하거나 새로운 지연시간이 생기지 않는다.The memory queu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delay in sending a pipelined bus transfer request to the memory controller 20 and an interface such as no memory queue for the memory controller 20. to provide. That is, the buffer function as a queue is performed, but the queue does not require a complicated interface or a new delay time for the memory controller 20.

제4도는 메모리 큐(30)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메모리 큐(30)는 버스로부터 오는 어드레스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31)와 메모리 제어기 및 버스의 상태를 관찰하여 상기 저장부(31)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제어부(32)로 구성된다.4 shows the structure of the memory queue 30. The memory queue 30 may include a storage unit 31 for temporarily storing address information and data information coming from a bus, and a controller 32 for mana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1 by observing states of a memory controller and a bus. It consists of.

저장부(31)는 통과형 래치(transparent latch ; 예를들면 74F373)로 구현하여 저장이 필요없는 경우 지연시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he storage unit 31 is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latch (for example, 74F373) so that the delay time does not occur when storage is not required.

제5도는 메모리 큐의 제어부(32)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 버스의 상태신호들을 저장하는 플립플롭(flip-flop)들(33)과 메모리 제어기(20)로 버스의 상태신호들을 시간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보내주기 위한 멀티플렉서(multiplexer)들(34), 그리고 이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상태기계(state machine)(35)로 구성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queue 32 of the memory queue in more detail. The flip-flops 33 storing the state signals of the bus and the memory controller 20 maintain the temporal relationship with the state signals of the bus. And multiplexers 34 for sending, and a state machine 35 for controlling them overall.

제어부(32)는 버스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 어드레스 버스정보, 데이터 버스정보, 상태 버스정도를 받으며, 메모리 제어기(20)로부터는 “접수(accept)”라는 신호를 통하여 메모리 큐(30)의 저장부(31)에 저장된 정보를 메모리 제어기(20)가 가져갔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메모리 큐(30)에서 메모리 제어기(20)로 출력하는 신호는 버스 인터페이스부(40)에서 받은 정보들인데 이들은 저장싯점과 메모리 제어기(20)가 가져간 싯점에 따라 알맞게 변형된 것들이다.The control unit 32 receives address bus information, data bus information, and status bus information from the bus interface unit 40, and stores the memory queue 30 through a signal “accept” from the memory controller 20. It can be seen whether the memory controller 20 has take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nit 31. In additio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memory queue 30 to the memory controller 20 a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us interface unit 40, which are appropriat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torage set point and the position point taken by the memory controller 20.

제6도는 메모리 큐(30)의 제어부(32)내의 순서 논리회로의 상태 천이도이다. “준비”상태에서 메모리 큐(30)는 통과모드(transparent mode)로 동작하며 버스 인터페이스부(40)와 메모리 제어기(20)를 직접 연결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메모리 큐(30)의 동작은 버스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 전송 요구를 받으면서 시작된다. 메모리 제어기(20)가 전송요구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에서 버스 인터페이스부(40)의 요구가 도착할 경우는 계속 “준비”상태에 머물면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경우 버스 인터페이스부(40)와 메모리 제어기(20)를 그대로 연결하여 지연시간이 없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저장 1”의 상태로 천이되는 경우는 메모리 제어기(30)가 새로이 도착한 요구정보를 처리할 수 없을때 이루어지는데 이때부터 메모리 큐(30)는 버스 인터페이스부(40)의 각 단계와 메모리 제어기(20)의 상태를 관찰하기 시작한다.6 is a state transition diagram of the sequential logic circuit in the control unit 32 of the memory queue 30. In the "ready" state, the memory queue 30 operates in a transparent mode and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bus interface unit 40 and the memory controller 20 are directly connected. The operation of the memory queue 30 starts with receiving a transfer request from the bus interface unit 40. When the request of the bus interface unit 40 arrives while the memory controller 20 is able to process a transfer request, the memory controller 20 remains in the "ready" state and does not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In this case, the bus interface unit 40 and the memory controller 20 may be connected as it is to transmit information without a delay time. The transition to the state of “storage 1” occurs when the memory controller 30 cannot process newly arrived request information. From this time, the memory queue 30 is connected to each step of the bus interface unit 40 and the memory controller ( Start to observe the state of 20).

“저장 1”에서는 2가지 천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준비”상태로 가는 경우로서 저장된 요구가 기입동작일 때 기입될 데이터에 패리티 에러(parity error)가 검출되어 저장한 정보를 무시하라는 경우(WR & dpce)와, 메모리 제어기로 요구가 전달된 경우(accept)이다. 두번째로는 “저장 2”상태로 천이하는 경우로서 앞서 기술한 두가지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 (WR & dpce : accept)]이다(여기서, ! 는 NOT, &는 AND, :는 OR를 각각 나타낸다)Two transitions can occur in “storage 1”. The first is to go to the “ready” state. When a stored request is a write operation, a parity error is detected in the data to be written and the stored information is ignored. (WR & dpce) and when a request is sent to the memory controller. The second is a case of transition to the "storage 2" state. If the two events described above do not occur [! (WR & dpce: accept)], where! Represents NOT, & represents AND, and: represents OR, respectively.

“저장 2”상태에서도 두가지 천이가 있는데, “준비”상태로 가는 경우는 스누프 제어기에서 전송을 무시하는 동작을 버스에 표시할 경우(cache)와 메모리 제어기(20)로 요구가 전달된 경우(accept)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 (cache : accept)]는 “저장 3”상태로 천이하게 된는데, 이 상태에서는 메모리 제어기(20)가 저장된 요구정보를 가져갈 때까지 이 상태에 머물게 된다. 메모리 제어기(20)에서는 큐의 존재와 관계없이 파이프라인 버스 프로토콜을 감안하여 정보를 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받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 큐(30)의 제어부(32)에서는 메모리 제어기(20)가 저장된 정보를 접수한 싯점을 기준으로 이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There are two transitions in the “storage 2” state, where the transition to the “ready” state occurs when the snoop controller indicates that the bus ignores the transfer (cache) and the request is sent to the memory controller 20 ( accept). Otherwise [! (cache: accept)] transitions to the “storage 3” state, which stays in this state until the memory controller 20 takes the stored request information. Since the memory controller 20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bus inte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pipeline bus protocol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he queue, the control unit 32 of the memory queue 30 receives the stored information. You should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based on the point of view.

제1도에서와 같이 메모리 제어기(20)는 어드레스 버스 정보 Add후 데이터 버스의 정보 Data를 받으며, 그 다음 주기에서 캐쉬에 관련된 상태 버스의 정보가 도착한다고 메모리 제어기(20)는 알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큐(30)의 제어부(32)는 이 시간 규격을 맞추어 정보를 메모리 제어기(20)에 제공해야 한다.As shown in FIG. 1, the memory controller 20 receives the information data of the data bus after the address bus information Add, and the memory controller 20 knows that the information of the status bus related to the cache arrives in the next period. The control unit 32 of (30) must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memory controller 20 in accordance with this time standard.

제5도의 “dpce”신호와 캐쉬 상태버스의 플립플롭(flip-flop)들(33)과 멀티플렉서(multiplexer)들(34)의 기능은 상태 버스의 정보를 시간 규결에 맞추어 메모리 제어기(20)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function of the " dpce " signal of FIG. 5 and the flip-flops 33 and multiplexers 34 of the cache status bus is passed to the memory controller 20 in accordance with the time rules. It serves to provide information.

즉, 제6도의 “저장 1”상태에서 “준비”상태로 천이할 경우는 캐쉬에 관련된 상태 버스는 직접 전달된 경우 보다 1주기가 지연되어 보내주어야만 메모리 제어기(20)에서 볼 때 올바른 시간 규격이 될 것이며, “데이터 패리티 에러”의 경우는 이미 메모리 큐(30)의 제어부(32)가 확인을 해서 “저장 1”의 상태로 천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에러가 없은 것으로 보여주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ransitioning from the “storage 1” state of FIG. 6 to the “ready” state, the state bus related to the cache has to be sent one cycle later than the case in which the cache is directly transmitted. In the case of the “data parity error”, the controller 32 of the memory queue 30 confirms that the error has not occurred since the control 32 of the memory queue 30 can make a transition to the state of “storage 1”.

같은 방법으로 “저장 2”에서 접수(accept)된 경우는 캐쉬 관련 상태 버스는 2주기를 지연시켜 주면되고, “저장 3”에서 천이한 경우는 메모리 큐의 제어부(32)가 이미 상태 버스의 확인을 거쳐서 천이한 것이기 때문에 전송의 취소가 없는 것으로 상태버스를 제공하게 된다.In the same way, if it is accepted in "storage 2", the cache related status bus should delay 2 cycles. In the case of transition in "storage 3", the control queue 32 of the memory queue has already confirmed the status bus. Because it is transitioned through, there is no cancellation of the transmission, which provides the status bus.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인 메모리 큐는 파이프라인된 버스동작과 메모리 제어기의 상태를 모두 추적하여 큐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메모리 제어기로는 큐의 존재에 따른 부담을 주지 않으며, 지연시간이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queue by tracking both the pipelined bus operation and the state of the memory controller, so that the memory controller is not burdened by the existence of the queue, and there is no delay time.

Claims (4)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어레이(10)와, 상기 메모리 어레이(10)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기(20)와, 시스템 버스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40)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기법을 채용한 시스템의 주기억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20)가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부(4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시스템 버스의 연속적인 전송요구 정보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20)가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전송요구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상기 메모리 제어기(20)가 처리할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 저장된 상기 전송요구 정보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20)로 지연시간없이 전달하는 완충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버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메모리 큐.It employs a pipeline technique including a memory array 10 for storing data, a memory controller 20 for controlling the memory array 10, and a bus interface unit 40 for interfacing with a system bus. In the main memory of the system, the memory controller 20 is connected between the bus interface unit 40, and transmits continuous transmission request information of the system bus transmitted from the bus interface unit 40 to the memory controller ( 20) temporarily stores the transmission request information and then transfers the transmiss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mory controller 20 without delay when the memory controller 20 is ready to process. Memory queue of a system using a pipeline bus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buffer means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30)은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시스템 버스의 어드레스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31)와, 상기 메모리 제어기(20) 및 상기 시스템 버스의 상태를 관찰하고 그에 상응하게 상기 저장부(31)에 저장된 상기 정보들을 관리하는 제어부(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버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메모리 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ffer means 30 is a storage unit 31 for temporarily storing the address information and data information of the system bus transmitted from the bus interface unit 40, the memory controller 20 and And a control unit (32) for observing the state of the system bus and correspondingly manag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31)는 통과형 래치(transparent latch)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버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 메모리 큐.3. The system memory queu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storage section (31) consists of a transparent latc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시스템 버스상태 신호들을 저장하는 플립플롭(33)과, 상기 메모리 제어기(20)로 상기 시스템 버스상태 신호들을 시간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송하는 멀티플렉서들(34) 및, 상기 플립플롭(33) 및 상기 멀티플렉서들(34)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상태기계(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버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메모리 큐.The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32 includes a flip-flop 33 for storing the system bus status signals and multiplexers for transmitting the system bus status signals to the memory controller 20 in a temporal relationship. And a state machine (35) for integrally controlling the flip-flop (33) and the multiplexers (34).
KR1019910019573A 1991-11-05 1991-11-05 Memory-queue in a system using pipe-line bus protocol KR9400033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573A KR940003300B1 (en) 1991-11-05 1991-11-05 Memory-queue in a system using pipe-line bus protoc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573A KR940003300B1 (en) 1991-11-05 1991-11-05 Memory-queue in a system using pipe-line bus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749A KR930010749A (en) 1993-06-23
KR940003300B1 true KR940003300B1 (en) 1994-04-20

Family

ID=1932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573A KR940003300B1 (en) 1991-11-05 1991-11-05 Memory-queue in a system using pipe-line bus protoc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3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879B1 (en) * 2019-04-12 2021-03-26 김진우 Infant stability providing sysem using infant neckl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749A (en)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6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Correct Order Among Bus Memory Transactions in a Physically Distributed SMP System
KR100404608B1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Distrbuted System Structure to Support Bus-Based Cache-Coherence Protocols for Symmetric Multiprocessor
US4991079A (en) Real-time data processing system
US4282572A (en) Multiprocessor memory access system
EP0351955B1 (en) Multiprocessor systems with cross-interrogated store-in-caches
KR100371844B1 (en) Queue-based predictive flow control mechanism
US7783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broadcast of barrier operations
US4385351A (en) Multiprocessor system with apparatus for propagating cache buffer invalidation signals around a circular loop
JPH0421053A (en) A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device
US6658529B2 (en) Broadcast system in disk array controller
KR100378389B1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Providing Global Coherence
CN100587674C (en) Address detection method and multi-processor system
US5930822A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strong ordering in a coherent memory system
US6477607B1 (en) Duplexing structure of switching system processor and method thereof
JPS621057A (en) Transfer controller
KR940003300B1 (en) Memory-queue in a system using pipe-line bus protocol
US5185879A (en) Cach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4539656A (en) Memory access selection circuit
US5943509A (en) Small size inter-processor data transfer system
JP3808525B2 (en) Write and / or read access priority management device
EP1284557A2 (en) Inter-nodal data transfer and data transfer apparatus
EP0437712A2 (en) Tandem cache memory
JPH0324634A (en) Double system device
KR0150068B1 (en) Data que module and its control method
EP1156421A2 (en) CPU system with high-speed peripheral LSI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