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295Y1 -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295Y1
KR940002295Y1 KR2019880017962U KR880017962U KR940002295Y1 KR 940002295 Y1 KR940002295 Y1 KR 940002295Y1 KR 2019880017962 U KR2019880017962 U KR 2019880017962U KR 880017962 U KR880017962 U KR 880017962U KR 940002295 Y1 KR940002295 Y1 KR 940002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camcorder
bracket
flexib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7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297U (ko
Inventor
서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7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295Y1/ko
Publication of KR900009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캠코더에 마이크를 설치한 상태 사시도.
제 2 도는 종래의 마이크 설치상태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마이크의 반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플렉시블 마이크를 설치한 캠코더의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마이크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폰지 3 : 엘리먼트
4 : 홀더마스크 5 : 제 1 브라켓트
6 : 완충용 고무카버 7 : 제 2 브라켓트
17 : 플렉시블 마이크 10 : 뷰파인더
본 고안은, 캠코더 기기에 부착하는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 홀더에 완충 작용을 하는 고무 카버를 마이크에 설치하여 촬영시 및 이동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타물체와 마이크가 부딪혀 생기는 충격으로부터 마이크 파손의 방지와 서어비스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캠코더에서는 제 1 도와 같이 마이크(가)를 캠코더 본체에 부착시켰는데, 그 설치 상태를 살피면 제 2 도의 단면구조도와 같이 마이크(가)는 홀더 마이크(8')의 내측 돌기에 바디 러버(6')를 삽입하였고 엘리멘트(3')는 바디 러버(6')에 부착시켜 브라켓트(5')를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브라켓트(5')와 스폰지(1'), 홀더 마이크(8')를 접착제로 접착하였으며, 홀더 마이크(8')의 언더컷을 이용하여 캠코더 본체에 외부에서는 착탈시킬 수 없도록 설치하였다.
그리고, 마이크의 서어비스나, 파손으로 인한 교환시에는 본체를 분해하여 홀더 마이크(8')의 언더컷 부위를 눌러 착탈시킨 후 교환하였는데 이 작업을 서어비스맨이 아니면 할 수 없기 때문에 마이크 부위 파손시에는 서어비스맨에 의한 수리작업을 받을때까지 촬영이나 녹화에 음성을 녹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마이크 중간에 신축가능하여 완충작용을 이루는 고무 카버를 설치하면서 그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구성하여 외부의 타물체와 마이크가 접촉될 때 접촉정도에 따라, 마이크의 완충부분이 휘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마이크의 반단면도이고, 제 4 도는 본 고안의 플렉시블 마이크를 설치한 캠코더의 사시도인 것으로 외부 마이크잭(13)을 인쇄회로기판(12)에 조립한 후 납땜으로 고정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을 홀더 마이크(8)내의 하단위치에 형성시킨 요홈에 끼워 조립한 다음 홀더마이크(8) 상단에는 신축 가능한 자바라 형상의 주름(6a)을 가진 고무 커버(6)를 안착시켜, 고무 커바(6)내로 제 2 브라켓트(7)를 넣어 브라켓트에 스크류(9)를 조여서 제 2 브라켓트(7)가 홀더 마이크(8)에 고정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2)의 와이어(10)와 그라운드 와이어(11)가 홀더 마이크(8)와 고무커버(6), 제 2 브라켓트(7)에 뚫린 통공으로 삽입하여 인출시킨다.
그리고, 고무 카버(6) 선단의 요홈으로 제 1 브라켓트(6)를 조립하되, 엘리멘트(3)가 조립된 그릴 마이크(2)를 제 1 브라켓트(5)에 끼워 조립한 후 와이어(10)는 엘리멘트(3)에 납땜으로 고정하고 그라운더 와이어(11)는 그릴 마이크(2)에 납땜으로 고정하며 그릴 마이크(2) 외부에 스폰지(1)를 씌워서 마이크(가)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이 마이크(가)를 카버바디 버텀(14)에 안착시킨 후 카버 바디 톱(15)를 씌워 스크류(16)를 체결하면 마이크가 설치된다.
따라서 캠코더 취급시에 마이크가 외부 물체와 부딪쳤을때 생기는 충격을 고무 카버(6)의 주름(6a)과 공간(A)에서 흡수하여 마이크의 파손이 방지되고, 바디의 톱(15)과 버텀(14) 사이에 협지되는 상태로 고정하기 때문에 서비스 교환시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 본 고안은 엘리멘트(3)와 인쇄회로기판(12)와의 간격을 최대로 띄워 공명주파수 현상(음향신호가 장애물에 부딪혔을때 반사되는 주파수 특성)이 방지되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켜주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캠코더에 플렉시블 마이크를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플렉시블 마이크(17)의 엘리멘트(3)를 카버하고 있는 스폰지(1)의 제 1 브라켓트(5)와 홀더 마이크(4)의 제 2 브라켓트(7) 사이에 공간(A)을 형성하고, 제 1 브라켓트(5)와 제 2 브라켓트(7) 사이에 완충용 고무카버(6)가 설치되는 플렉시블 마이크(17)를 뷰파인더(10) 일측으로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
KR2019880017962U 1988-10-31 1988-10-31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 KR940002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7962U KR940002295Y1 (ko) 1988-10-31 1988-10-31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7962U KR940002295Y1 (ko) 1988-10-31 1988-10-31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297U KR900009297U (ko) 1990-05-04
KR940002295Y1 true KR940002295Y1 (ko) 1994-04-13

Family

ID=1928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7962U KR940002295Y1 (ko) 1988-10-31 1988-10-31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2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297U (ko) 199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5422A (ko) 방한용 귓집 타입의 쌍방향 통화용 헤드셋
US6041120A (en) Installation and assembly holding mat for a telephone
KR970003013A (ko) 고성능, 고데이터 밀도의 테이프 드라이브
EP0796034A3 (en) Piezoelectric acoustic transducer
KR940002295Y1 (ko) 캠코더용 플렉시블 마이크 장치
JP2006352342A (ja) マイク付き電子機器
JP2007048845A (ja) 電子回路ユニットの取付構造
US4037179A (en) Mechanical filter device
JP2517078B2 (ja) 液晶表示器保持装置
US6222121B1 (en) Data storage apparatus with a buffer frame
EP1684298A2 (en)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shock sensitive memory device
GB2264583A (en) Data display radio pager
JP3423749B2 (ja) 圧電音響変換装置
US20040052395A1 (en) Microphone protection cover
CN215644921U (zh) 一种具有防护散热功能的滤波器
KR19990004960U (ko) 모니터의 인쇄회로기판 완충구조
JP3126496B2 (ja) 外部記憶装置用振動吸収ケース
JP2830094B2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
KR940006811Y1 (ko) 냉장고용 차음판 고정장치
JP2848029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装置
JPH1020863A (ja) 音響部品の実装構造
JPS5852700Y2 (ja) 電気部品の保護装置
JP2574600B2 (ja) 電話機のレシーバ取付装置
KR920003184Y1 (ko) 냉장고용 압축기 고정구조
KR200209499Y1 (ko) 펌프의 진동 완충용 베이스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