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197Y1 -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 가두리 - Google Patents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 가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197Y1
KR940002197Y1 KR9206863U KR920006863U KR940002197Y1 KR 940002197 Y1 KR940002197 Y1 KR 940002197Y1 KR 9206863 U KR9206863 U KR 9206863U KR 920006863 U KR920006863 U KR 920006863U KR 940002197 Y1 KR940002197 Y1 KR 940002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flotation
coastal
shellfish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6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744U (ko
Inventor
송경진
송영식
송정식
송종식
Original Assignee
송경진
송영식
송정식
송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진, 송영식, 송정식, 송종식 filed Critical 송경진
Priority to KR9206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197Y1/ko
Publication of KR930023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7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 가두리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양축 가두리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양축가두리의 저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중 부양장치의 사시도.
제 5a 도는 본 발명중 부양장치의 평면도, b 도는 본 발명중 부양장치의 저면도.
제 6b 도는 본 발명중 부양장치의 요부분해 단면도, b 도는 본 발명중 부양장치의 작동상태도.
제 7a 도는 본 발명중 사료공급장치의 사시도, b 도는 본 발명중 사료공급장치의 단면도, c 도는 본 발명중 사료공급장치의 연결상태도.
제 8 도는 본 발명중 부양장치의 설치상태단면도.
제 9a 도는 본 발명중 로우프 결속대의 평면도, b 도는 본 발명중 로우프 결속대의 작동전 상태도, c 도는 본 발명중 로우프 결속대의 작동후 상태도, d 도는 본 발명중 제 9a 도는 A-A선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두리 2 : 부양장치
3 : 가두리 어망 4 : 공기공급장치
5 : 사료공급장치 6, 6a : 로우프
7, 7a : 콘크리이트 앙카 8, 8a : 결구
9, 9a : 고정용 고리 10, 10a, 38, 39, 40 : 부양구
11, 11a : 공기공급관 12, 12a : 사료공급관
13 : 연결로우프 14 : 중량함
15 : 중량물 16 : 배수 및 취수장치
17 : 로우프 결속대 18, 18a, 26 : 송기구
19, 23 : 밸브판 20, 20a : 부양함
20', 25 : 스프링 21 : 고정너트
22 : 봉 29 : T형 연결축
30 : 사료공급구 31 : 배수 및 취수구
32 : 뚜껑 33 : 고정구
34 : 돌출구
본 발명은 여러개의 양축용 가두리를 연결시켜 천해저에 가라인쳐 어류나 어패류 및 해조류를 양축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양축용 가두리를 육지에서 기계적 조작에 의해 해면상으로 부양시키거나 가라안칠 수 있도록 하고 해저의 양축용 가두리에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한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 가두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어지던 양축 가두리는 물위에 뜨도록 스치로폴로 제작된 부양물체에 어망을 연결시켜 물속에 가라안쳐 놓거나 또는 연안육지에 수조를 만들어 놓은후 활선어나 어패류를 양축하였으나, 이는 대량생산이 어렵고 시설투자비가 많이 투입되어야 하며 관리비가 고가로 소모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연해면에 가두리망을 시설해 놓고 활선어를 생산하지만 자연의 기상조건에 제약을 많이 받게 되며, 특히 가두리망을 부양시키는 부양물체가 해면에 떠 있게 되므로 태풍의 피해가 크고 이를 관리하기 의한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모되며 대량생산이 어려우며 관리하기가 불편함등의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미역, 다시마, 김과 같은 해조류는 양식은 가능하나 그량이 한정적으로 소량 양식되므로 대량생산에는 그 한계가 있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첫째, 여러개의 양축 가두리용망을 연결시켜 육지에서 기계적 조작에 의해 가두리를 가라안치거나 해면상으로 밀시에 부양시키며 가두리내부의 어류나 어패류에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양축용 가두리가 해저 양축이므로 폭풍우가 해일, 태풍 및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선박의 왕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셋째, 어느 천해저나 양축이 가능하지만, 특히 수온이 비교적 온화한 제주도나 남해안의 해안선 해저에는 계절과 관계없이 사계절 양축이 가능하며, 넷째, 양축용 가두리에 어류나 어패류를 양축시키던 도중에도 이를 부양시켜 예인선으로 예인해서 타지점이나 해안으로 손쉽게 이동시킬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본 출원인 선출원한 공고번호 92-484(1992년 발명특허출원제 90-3508)에 대한 가두리 양축보다 시설물 제작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고, 시설물 취급조작이 용이하며 대량양축이 가능하도록 하며, 여섯째, 미역, 다시마, 김등의 해조류를 깊은 해저에 대량양식 할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양축가두리의 사시도써, 양측으로 통과되는 로우트(6)(6a)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공기공급관(11)(11a)이 지나가면서 하나의 부양함(20)에 3개씩 공기공급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동시에 저면으로 중량물(15)을 수장시키는 중량함(14)을 갖는 부양장치(2)와, 상기 로우트(6)(6a)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로우프(13)로 연결하며 독립적으로 양축되는 가두리어망(3)을 로우프(6)(6a)에 연속적으로 고정시켜 상측 양선단에 스치로폴재인 부양구(39)를 다수개 연결시키면서 중앙사단으로 사료공급관(12)(12a)을 통과시켜 육지에서 사료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료공급장치(5)와, 상기 사료공급관(12)(12a)이 양측에서 가두리어망(3)에 부양구(40)를 연결시켜 양축시 해저에 않도록 가두리(1)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로우프(6)(6a)의 일부분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구(8)(8a)를 고정시킨후 상기 결구(8)(8a)사이에 콘크리트재로된 콘크리트 앙카(7)(7a)를 설치하여 로우프(6)(6a)가 관통되도록 하며 결구(8)(8a)의 일측으로 각각의 로우프(6)(6a)에 고정용고리(9)(9a)를 연결시켜 빠지지 않도록 한후 로우프(6)(6a)선단에는 수면에 떠있는 부양구(10)(10a)를 각각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결구(8)(8a)에 길이가 긴 보조용 철선고리(37)와 길이가 짧은 철선고리(36)를 연결시키고서 선단에 부양구(38)(40)를 고정시킨다.
이때 가두리어망(3)은 가로가 약 30㎜, 넓이 10m, 높이 10m로 하여 양측으로 부양함(20)(20a)을 3개씩 연결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측면도로서써 가두리어망(3)하측에 로우프(6)(6a)를 연결로우프(13)로 연결시켜 양측에 부양장치(2)를 갖고 부양함(20)(20a) 외부의 로우프(6)(6a)에 가두리어망(3)이 고정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양축가두리 저면도로써, 부양장치(2)의 로우프(6)(6a)에 연결로우프(13)를 일정간격으로 연결시키고 연결로우프(13)의 사이에 각각의 가두리어망(3)이 고정되어 각각 별개로 분리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독립착탈수단으로 구성된다.
제 4 도와 제 5a, b 도 및 제 6a, b 도는 공기공급장치의 설치상태도와 평면, 저면 및 분리단면도와 작동상태도로써, 공기공급관(11)이 부양함(20)과 여러곳에서 연결되는 공기 공급장치(2)와, 로우프(6)(6a)를 로우프 결속대(17)로 고정시키며 부양함(20)의 저면으로 다수의 배수 및 취수구(31)를 구성한다.
이때 공기 공급장치(4)는 공기공급관(11)하측으로 송기구(18)(18a)를 갖고 하측의 밸브판(19)과 송기구(18)사이에 스프링(20')이 삽입되며 외측으로 고정너트(21)가 삽입되는 동시에 부양함(20)상단으로 송기구(26)를 갖으며 외측에 나사(24)와 내부에 봉(22)이 돌출된 밸브판(23)과 송기구(26)사이에 스프링(25)이 삽입되어 공기공급관(11)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될때 부양함(20)내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제 7a, b, c 도는 사료공급장치의 사시도와 단면도 및 연결상태로써 사료가 강제로 공급되는 사료공급관(12)(12a)의 일부분에 가두리어망(7)내에 들어가서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구(30)를 갖고 양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T형 연결축(29)을 구성하며, 상기 사료공급관(12)의 일측으로 고장시 보조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한 사료공급관(12)으로 이루어진 사료공급장치(5)를 구성한다.
제 8 도와 제 9a-d 도는 본 발명중 부양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와 로우프 결속대의 평면도, 작동전후 및 확대도로써 공기공급관(11)과 연결되는 공기공급장치(4)가 상측으로 연결되며 양측에 로우프 결속대(17)가 고정되어 로우프(6)(6a)를 결속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하측으로 자갈이나 시멘트등의 중량물(15)이 삽입되는 중량함(14)과 중앙으로 상측에 중력으로 개폐되는 뚜껑(32)을 갖고 배수 및 취수구(31)를 갖는 배수 및 취수장치(16)를 설치한 부양함(20)을 구성한다.
그리고 로우프 결속대(17)는 일측에 고정구(33)가 형성되며 반대쪽에는 고정구(17)보다 적은 돌출구(34)가 원형추(35)선단에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로우프(6)(6a)사이를 연결로우프(13)로 연결시켜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사각형상의 가두리망(3)을 독립적으로 로우프(6)(6a)에 연결시켜 착탁할 수 있도록 하여 가두리(1)를 하나의 군으로 형성시켜 로우프(6)(6a)를 콘크리이트 앙카(7)(7a)를 통과시켜 놓으면 상기 콘크리이트 앙카(7)(7a)에 의해 해저면에서 이동되지 않게 되고 선단의 부양구(10)(10a)가 해수면에 떠있어 가두리(1)의 위치를 인식할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각각의 가두리어망(3)상에 부양구(39)(40)를 연결시켜 놓아 상기 가두리어망(3)이 사각형 형태를 유지하며 그 내부에 어류나 어패류를 가두리 양축하게 된다.
또한 가두리(1)는 다수개의 가두리어망(3)으로 연결되어 있어 육지에서의 기계적 조작에 의해 일률적으로 해수면에 부양시키거나 가라안치는 것으로 부양함(20)내부에 해수가 가득차 있으며 중량함(14) 내부에 있는 중량물(15)과 부양함(20)의 무게 그리고 가두리 전체의 무게 때문에 해저에 가라앉게 되며 콘크리이트 앙카(7)(7a)에 로우프(6)(6a)가 연결되어 있어 결구(8)(8a)의 거리 만큼만 조류에 의해 이동이 가능할 뿐 중량물(15)에 의해 표류를 방지하여 해저에서 해류에 의해 가두리(1)가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가두리(1)는 해저 20m-30m에 있게되고 육지에 설치된 공기압축기에서 압축공기를 공기공급관(11)(11a)을 통하여공급하면 제 6b 도에서와 같이 공기공급관(11)을 통과하는 압축공기는 송기구(18)에서 밸브판(19)을 밀어낼때 밸브판(19)이 하향이동되면서 봉(22)을 밀어 밸브판(23)이 하향이동되도록 하면 송기구(18)가 개방되면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장공(27)을 통과된 후 부양함(20)의 장공(28)과 송기구(26)를 통하여 부양함(20내부로 공급된다.
그러면 부양함(20)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면서 내부압의 상승으로 부양함(20)에 차있던 해수는 배수 및 취수장치(16)의 배수 및 취수구(31)로 배출되며, 가두리(1)의 부력이 전체의 중량을 합한것보다 크게 되면 해면상으로 서서히 떠오르게 되고 가두리(1)가 해면상으로 완전히 떠오르면 가두리(1)바닥에서 약 20-30cm정도가 해수면에 잠기도록 하여 가두리어망(3) 내부의 어류나 어패가 죽지 않게 된다.
이때 부양함(20)에는 압축공기가 가득차 있게 되며 뚜껑(32)이 배수 및 취수구(31)를 막아준다.
또한, 육지에서 압축공기의 공급을 중단하고 배출시키면 압축공기의 공급과 역순으로 부양함(20)내부의 압축공기가 공기공급관(11)에 의해 배출되면서 배수 및 취수장치(16)의 뚜껑(32)이 열리며 배수 및 취수구(31)를 통하여 해수가 부양함(20)으로 들어와 차게 되므로 부력이 저하되면서 가두리(1)가 서서히 가라앉아 해저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부양함(20)과 공기공급관(11)를 고정너트(21)에 의해 착탈할 수 있으므로 부양함(20)이 깨지거나 고장이 발생되면 로우프 결속대(17)를 로우프(16)로 부터 분리시킨후 고정너트(21)를 동려 나사(24)와 해체시켜 새로운 부양함으로 간단히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면에 있어 가두리(1)에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제 7 도에서와 같이 사료공급관(12)에서 하나의 가두리어망(3)에 3개정도의 T형 연결축(29)을 연결시켜 육지에서 일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며, 이때 사료공급관(12)으로 공급되는 사료는 T형 연결축(29)을 통과되면서 일부는 하측으로 떨어져 가두리어망(3)에 공급되고 사료공급관(12)을 완전히 채울수 있을만큼의 사료량 이상을 수송한뒤 바로 해수를 공급하면 각 가두리어망(3)에 공급되는 사료량은 동일하게 되며 일측으로 사료공급관(12a)을 여분으로 두어 한쪽의 사료공급관(12)이 고장날때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두리어망(3)을 별도로 고정시켜 가두리어망(3)에 필요한 어류 및 어패를 양축하면서 하나의 가두리어망(3)을 육지로 꺼낼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잠수원이 들어가 로우프(6)(6a)로부터 분리시키면 가두리(1)에서 분리되므로 필요한 가두리어망(3)을 꺼내거나 다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날개의 가두리어망(3)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9 도에서와 같이 부양함(20)을 로우프(6)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로우프 결속대(17)의 돌출구(34) 쪽을 잡고 한쪽으로 틀어 돌출구(34)거 고정구(33)와 일치되도록 하여 삽입시킨후 원상태로 회전시키면 돌출구(34)가 고정구(33)에서 돌출되어 이탈이 방지되며 로우프(6)에 부양함(20)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부양함(20)의 고정 및 분해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두리(1)의 가두리어망(3)을 이용하여 해저에서 미역, 다시마, 김등의 해조류를 양식할수 있게 되며 가두리(1)가 대향이므로 해조류의 대량생산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로우프(6)(6a)가 섬유재이므로 해저에서 장기간 사용될 경우 끊어지게 될 경우에는 여분의 철선고리(36)(37)를 이용하여 새로운 로우프를 콘크리트 앙카(7)(7a)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의 가두리어망을 연결시켜 하나의 군으로 만들어 가두리를 해면상으로 부양시키거나 해저에 가라안칠 수 있으므로 인력의 낭비를 방지하여 가두리내로 육지에서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고 해면에서 20m-30m의 해리에서 양측이 이루어지므로 폭풍우나 태풍, 해일등의 피해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가두리 상측으로 선박의 왕래가 가능하며 가두리를 해수면으로 부양시켜 예인선으로 타지점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해저에서 가두리가 어초의 역활을 하므로 어류나 어패류의 성장을 촉진하며 가두리의 크기나 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모든 기능을 육지에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양축이 편리하며 유지비가 적게 소모되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가두리의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가두리어망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으며, 어류나 어패뿐 아니라 미역, 다시마, 김등 해조류의 대량양식이 가능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5)

  1. 가두리(1)의 양축에서 로우프(6)(6a)에 로우프 결속대(17)에 의해 부양함(20)을 착탈시키는 착탈수단과, 상기 부양함(20)에 압축공기를 공급 및 배기시키는 공기공급(4)와, 상기 공기공급장치(4)에 의해 가두리(1)를 부양시키거나 가라앉게 하는 중량함(14)이 하측에 설치된 부양함(20)을 갖는 부양장치(2)와, 가두리어망(3)상에 설치되며 사료공급관(12)(12a)을 갖는 사료공급장치(5)에 의해 사료를 육지에서 자동공급하는 사료공급수단과, 상기 부양함(20)이 고정되는 로우프(8)(8a)에서 가두리어망(3)을 독립적으로 착탈시키는 독립착탈수단으로 구성시킨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가두리.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공급장치(4)는 공기공급관(11)에 송기구(18)(18a)가 형성되어 밸브판(19)상에 스프링(20)이 삽입되며 외측으로 고정너트(29)를 갖고 하측으로 부양함(20)상에 봉(22)을 갖는 밸브판(23)이 스프링(25)에 지지되어 부양함(20)에 압축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킴에 따라 가두리(1)를 부양시키거나 가라앉게 구성시킨 연해안 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가두리.
  3. 제 1 항에 있어서, 부양장치(2)는 중량물(15)이 삽입되는 중량함(14)이 하측으로 설치되며 저면에 배수 및 취수구(31)와 뚜껑(32)이 형성된 배수 및 취수장치(16)를 갖고 양측으로 로우프(6)(6a)를 고정시키는 로우프 결속대(17)를 갖는 부양함(20)으로 구성시킨 연해안 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가두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사료공급수단은 가두리(1)상에 있는 T형 연결축(29)에 사료공급관(12)(12a)이 연결되어 다수의 가두리어망(3)내부에 동일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연해안 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가두리
  5. 제 1 항에 있어서, 독립착탈수단은 로우프(6)(6a)에 각각의 가두리어망(3)을 독립적으로 고정시켜 가두리(1)중 어느위치의 가두리어망(3)이든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시킨 연해안 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가두리.
KR9206863U 1992-04-21 1992-04-21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 가두리 KR940002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6863U KR940002197Y1 (ko) 1992-04-21 1992-04-21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 가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6863U KR940002197Y1 (ko) 1992-04-21 1992-04-21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 가두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44U KR930023744U (ko) 1993-11-26
KR940002197Y1 true KR940002197Y1 (ko) 1994-04-11

Family

ID=1933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6863U KR940002197Y1 (ko) 1992-04-21 1992-04-21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 가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1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44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1241B (zh) 一种安全生态的多层养殖网箱
CN210143579U (zh) 一种深远海养殖用抗风浪浮台式超大型围网
KR101023299B1 (ko) 강제 인공어초
CN112602641B (zh) 一种岛礁外海中小型智能养殖网箱
KR101724819B1 (ko) 홍해삼 해중 양식틀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KR101489428B1 (ko) 전복 가두리 양식장
CN203136791U (zh) 一种陆基透水式养殖装置
KR940002197Y1 (ko) 연해안천해저용 어류, 어패, 해조 양축 가두리
KR940004881B1 (ko) 연해안천해저용 어류,어패,해조 양축 가두리
JP2004305042A (ja) ヒラメ・カレイ等の底層魚類の海底養殖方法とその給餌方法
RU81622U1 (ru) Ферма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водных организмов
CN114747522A (zh) 六边形沉底式海参养殖装置
KR101613850B1 (ko)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KR101947320B1 (ko)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CN103782927A (zh) 一种新型的人工鱼礁
KR20100012020A (ko)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조력과 중력을 이용하여 인양한 심해수로 어패류를 양식하는 방식과 시설
KR100281365B1 (ko)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KR20130034122A (ko) 외해 중층식 전복 양식 설비
CN106069946A (zh) 一种深水网箱系统及其架构建造方法
SU13879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ведени моллюсков
KR200356575Y1 (ko) 해중어류 가두리 양식장
KR100494224B1 (ko) 전복양식을 위한 부표의 연결구조
CN211020577U (zh) 沉箱养殖装置
JPH033589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