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100B1 -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100B1
KR940002100B1 KR1019910012086A KR910012086A KR940002100B1 KR 940002100 B1 KR940002100 B1 KR 940002100B1 KR 1019910012086 A KR1019910012086 A KR 1019910012086A KR 910012086 A KR910012086 A KR 910012086A KR 940002100 B1 KR940002100 B1 KR 94000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rum
guard
sli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679A (ko
Inventor
서재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100B1/ko
Publication of KR93000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드럼보호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드럼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드럼보호장치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드럼보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서브데크
3 : 드럼 4 : 제1레버
10 : 레버 11 : 돌출부
12 : 힌지부 13, 21 : 장공
20 : 슬라이더 22 : 홈
30 : 보호대 31 : 회전축
32 : 돌기
이 발명은 캠코더 및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드럼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장착된 테이프가 기기본체내의 데크상에 안착될 때, 테이프의 커버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커버가 직접적으로 드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드럼보호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드럼보호장치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일측에 접촉부(1)를 구비하면서 하우징 일측 소정위치에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레버(2)와, 하우징(3) 정면 중앙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보호대(4)와, 상기 레버(2) 일측과 보호대(4) 편심 위치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레버(5)로 구성되어서, 하우징(3)의 누름 하강동작에 따라 접촉부(1)가 덱크 일측에 접촉되면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레버(2)가 회동함에 따라 레버(2)와 보호대(4)의 편심위치 사이에 연결설치된 스프링레버(5)에 의해 보호대(4)가 회동하여 이렇게 회동된 보호대(4)는 테이프의 커버와 드럼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테이프가 기기본체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테이프커버가 드럼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보호대(4)와 접촉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드럼을 보호하는 보호대를 회동시키기 위한 스프링레버가 가늘고 긴 철사로 제작 설치하여서 이 스프링레버에 휨이 발생하면 올바른 보호대의 동작을 기대할 수가 없으며, 보호대와 레버 사이의 연결부의 상에서 이탈이 쉬운 폐단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비교적 소형인 하우징 정면에 크기가 큰 레버가 회동되게 설치되어 그만큼 넓은 작동공간이 요구되어 제품소형화에 저해요인이 되었고, 부품수가 많아 넓은 설치공간이 소요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드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도록 부품수를 축소시켜서, 원활하고 안정된 작동이 이뤄지게 하면서 제품의 소형화에 기여할수 있는 캠코더의 드럼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및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 전면 일측에 힌지 결합하되, 하단부는 하우징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되는 제1레버의 누름돌기에 눌려질 외향돌출부를 형성한 레버와, 상기 레버에 의해 수평이동되게 일측단은 레버 선단부에 핀 결합되고, 타측단은 추후 설명할 보호대의 회전축과 연결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수평이동에 따라 회전동작되게 하우징 정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보호대(30)로 구성된 캠코더의 드럼보호 장치에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이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와 평면도로서, 하우징(1)의 전면일측에는 레버(10)가 힌지 결합되는데, 이 레버(10)는 말단부가 하우징(1)과 서브데크(2) 사이에 교차되게 설치된 제1레버(4)의 선단 누름돌기(5)에 눌려질수 있게 돌출부(11)를 외향 돌출되었으며, 선단부에는 추후설명할 슬라이더(2) 일측단과 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의 전면 중앙부에는 소정길이의 드럼(3) 보호용 보호대(30)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데, 이 보호대(30)의 회전축(31) 일측 편심위치에는 슬라이더(20)의 홈(22)에 끼워질 돌기(3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보호대(30)와 레버(10) 사이에는 레버에 의해 수평이송되는 슬라이더(20)가 설치되는데, 이 슬라이더(20)는 일측에 보호대(30)의 회전축(31)에 안내될 장공(21)과 상기 돌기(32)에 끼워지는 홈(22)을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단은 상기 레버(10)의 선단부와 핀 결합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20)의 소정위치와 하우징(1) 일측 소정위치 사이에는 스프링체(23)가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하우징(1)에 테이프(6)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하우징(1)을 내려누르게 되면, 하우징(1)과 서브데크(2)사이에 교차되게 설치된 제1, 제2레버(4), (4a)에 의해 하우징(1)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보호대(30)는 제2도에서와 같이 드럼(3)과 테이프(6)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테이프커버(6a)가 개방될때 테이프커버(6a)가 직접 드럼(3)에 접촉되지 못하게 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하우징(1)과 동시에 하강된 제1레버(4)가 하강 완료됨과 동시에, 제1레버(4)의 선단누름돌기(5)가 제1도에서 보인 레버(10)의 돌출부(11)를 누름에 따라 레버(10)는 힌지부(12)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선단부가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회동하는 레버(10)의 선단부 장공(13)에 일측단이 핀 결합된 슬라이더(20)가 수평이동하게 되며, 슬라이더(20)의 수평이동에 따라 슬라이더(20)의 타측단 홈(22)에 끼워진 보호대(30)의 돌기(32)가 슬라이더(20)의 이동방향으로 장공(21)에 안내되며 이동하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소정길이의 보호대(30)가 회전하여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호대(30)가 위로 올라간 뒤에는 테이프를 로딩시켜 드럼(3)과 접촉되어 테이프의 신호를 녹화 또는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뒤, 테이프의 신호를 녹화, 재생 완료한후 하우징의 상승시키게 되는데, 하우징(1)의 상승동작이 시작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올라있던 보호대(30)는, 하우징(1)과 슬라이더(20)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스프링체(23)의 탄력에 의해 상기 테이프 로딩시의 반대작용으로 슬라이더(20)와 레버(1)가 동작되면서, 원위치하여 드럼(3)과 테이프(6)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폐쇄되는 테이프커버(7)가 드럼(3)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드럼(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보호대(30)는 박판의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형성되어서 보호대(30)와 드럼(3)이 접촉하여도 드럼(3)에는 손상을 전혀 입히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이 발명은 드럼을 보호하는 드럼보호장치가 간단한 구조와 협소한 설치공간에서도 설치와 동작이 가능하여 기기소형화를 이룩할수 있고, 부품수가 축소되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및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1) 전면 일측에 힌지 결합하되, 하단부는 하우징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되는 제1레버(4)의 누름돌기(5)에 눌려질 외향돌출부(11)를 형성한 레버(10)와, 상기 레버(10)에 의해 수평이동되게 일측단은 레버(10) 선단부에 핀 결합되고, 타측단은 추후 설명할 보호대(30)의 회전축(31)과 연결된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20)의 수평이동에 따라 회전동작되게 하우징(1) 정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보호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30)의 회전 동작수단은, 상기 슬라이더(20) 타측단에 회전축(31)에 안내되는 장공(21)과 홈(22)을 형성하고, 보호대(30)의 회전축(31)의 편심위치에는 상기 홈(22)에 끼워지는 돌기(3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0) 선단부의 핀 결합부에는 장공(13)을 형성하여 레버(20)의 회전동작을 슬라이더(20)의 직선동작으로 변환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30)는, 드럼(3)과 접촉시 드럼(3)의 손상을 방지토록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된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KR1019910012086A 1991-07-16 1991-07-16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KR94000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086A KR940002100B1 (ko) 1991-07-16 1991-07-16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086A KR940002100B1 (ko) 1991-07-16 1991-07-16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679A KR930003679A (ko) 1993-02-24
KR940002100B1 true KR940002100B1 (ko) 1994-03-17

Family

ID=1931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086A KR940002100B1 (ko) 1991-07-16 1991-07-16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1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679A (ko) 199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361B1 (ko) 테이프 카셋트
KR950000317B1 (ko) 카세트 장착장치
CA1206611A (en) Magnetic-tape cassette
KR940002100B1 (ko) 캠코더의 드럼보호장치
US5216565A (en) Tape cassette having pivotally mounted tape reels and associated reel retainers
KR94000086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샤프트 회전을 이용한 테이프 안착장치
KR940002125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구겨짐 방지 장치
US5406430A (en) Cassette tape mount for use in a cassette tape recorder
JPH0345348Y2 (ko)
JP3477977B2 (ja) 電子機器の切換機構及びテープ記録再生装置
KR200147771Y1 (ko) 테이프레코더의카세트하우징록킹장치
JP2584128B2 (ja) テープカセット
KR200208884Y1 (ko) 오조작 방지형 스위치 장치
KR10022461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카세트 리드 오픈장치
JP2900694B2 (ja) テープカセット
KR0122335Y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카세트 오소거 방지 탭 유무 감지 장치
KR0126804B1 (ko) 테이프 카세트의 오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KR0117859Y1 (ko) 테이프 카세트의 리드장치
JPH082825Y2 (ja) テープカセットコンパートメント
KR011866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핀치암 및 이젝트 레버 연동장치
KR200143004Y1 (ko) 테이프 카세트
KR10024800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조립체
JPH0233358Y2 (ko)
KR960000416Y1 (ko) 아나로그/디지탈 콤팩트 카세트 테이프 겸용 로딩 장치
KR960010571B1 (ko) 데이프 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