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936Y1 - 휴대용 취사 키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취사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1936Y1 KR940001936Y1 KR2019910016001U KR910016001U KR940001936Y1 KR 940001936 Y1 KR940001936 Y1 KR 940001936Y1 KR 2019910016001 U KR2019910016001 U KR 2019910016001U KR 910016001 U KR910016001 U KR 910016001U KR 940001936 Y1 KR940001936 Y1 KR 9400019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container
- lid
- kit
- fu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6—Devices for warming vessels containing drinks or food, especially by means of burners Warming devices with a burner, e.g. using gasoline; Travelling cookers, e.g. using petroleum or gasoline with one burn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사 키트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제2도는 상기 키트의 취사 용기의 본체와 뚜껑의 부분 단면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취사용 키트의 취사 용기 본체와 뚜껑이 결합되었을 때의 선 A-A에 절취한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각각 상기 키트의 풍로의 사시도 및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취사 용기 2 : 용기 본체
3 : 용기 뚜껑 4 : 턱
5 : 풍로 6 : 뚜껑 고정구
8 : 통기구 9 : 통기공
10 : 절첩선 11 : 연료통 받침판
12 : 연료통
본 고안은 휴대용 취사 키트(炊事 ki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금속박(金屬箔)으로 된 취사 용기와 풍로 및 소형 가열 수단으로 이루어진 휴대하기에 용이한 경량의 취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야외에서 취사를 하기 위해서는 코펠 등의 취사 용기와 버너, 연료 등의 가열 수단으로 이루어진 취사 도구를 따로 준비하여야 했기 때문에, 그 준비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 중량과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하였다. 한편, 비닐 용기로 진공 포장된 식품을 끓는 물에 포장된 채로 넣어서 그 내부의 식품을 가열하여 취사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물을 끓이기 위한 용기와 가열 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금속제 용기 등으로 포장된 일회용 고체 연료 등이 사용되고 있기도 하지만, 취사 용기로서는 종래의 코펠이나 냄비 등을 사용하여야 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롭고 간편한 휴대용 취사 키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금속박으로 된 취사 용기 및 풍로와 소형의 연료통이 한벌로 구성된 본 고안의 취사 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금속박으로서는 가볍고 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사 용기는 용기 본체와 뚜껑을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는 윗지름보다 바닥 지름이 작은 완만한 원추대 형인데 측벽과 바닥벽을 갖추고 있으며 윗부분은 열려 있어서 일반적인 취사 용기와 비슷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상단에 인접한 원주면에는 뚜껑의 원주면을 받치게 될 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부분에 뚜껑이 얹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기의 턱 윗쪽에는 여러 개의 원호상의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 힘을 가하여 용기 내측을 향하여 누르면 용기에 덮힌 뚜껑이 용기 본체에 마련된 턱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취사 용기는 금속박,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박으로 된 풍로 위에 얹히게 되는데, 이 풍로는 상하면이 개방된 원주형, 바람직하게는 4각주형, 6각주형 또는 8각주형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 풍로 제작은 장방향 금속 박판(알루미늄 박판)을 세로 방향으로 일정 등분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절첩선을 내고 양단에서 리벳 등으로 이어 붙힘함으로써 완성할 수 있다. 풍로의 안지름 또는 최대 대각선의 길이는 상기 용기의 턱의 윗부분의 지름보다는 작고 그 아랫부분의 지름보다는 크게 하여 용기의 그 턱이 풍로의 상연부에 맞닿아 걸쳐지도록 되어 있다. 풍로의 밑 모서리에는 적당한 크기의 통기구가 형성되어 취사 중에 풍로 내부로 외부 공기가 자유로이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풍로 상단부를 따라 적당한 크기 및 갯수의 구멍을 일정 간격으로 뚫어 두어 공기의 유출을 원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로는 6각주형 또는 8각주형으로 되도록 하고, 그 각 면의 절첩면에서 서로 접히도록 절곡시킴으로써 사용 전후에는 납작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취사 키트의 열원으로서는 액체 도는 고체 연료 등 어떠한 연료라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취사 용량 및 내용물을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로 제조한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료통의 형상·구조에는 제한이 없으며 연료를 넣어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본 고안의 키트에는 조리시 연료통 밑에 받칠 불연성 받침판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 받침판을 사용하면 실내나 텐트 내부 등에서 취사하는 경우에도 그 바닥재가 상할 염려가 없고 열효율도 높힐 수 잇다.
취사 용기 본체 내부에 취사할 재료, 예컨대 쌀과 물을 넣고 뚜껑을 덮은 다음 용기 상부의 원호상 고정구를 안으로 눌러서 용기 뚜껑을 본체에 밀착시킨 후 용기를 풍로 위에 얹으면 용기의 중량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용기가 풍로 위에 안정되게 설치된다. 열원을 착화시키면 그 열에 의해 용기 및 그 내용물이 가열되는데, 알루미늄박으로 된 용기 내벽은 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반사하여 열효율을 높히는 작용도 한다. 용기 뚜껑은 상기 고정구의 고정력에 의하여 용기 본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취사 중에 용기 내부의 기체 압력에 의해 용기 뚜껑이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알루미늄박으로 된 취사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뚜껑(3)의 2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의 상부 모서리 아랫부분에는 원주 방향으로 턱(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턱(4)에 의해 용기(1)의 풍로(5)의 상연부에 얹히게 되고 뚜껑(3)은 용기 본체(2)에 얹혀지게 된다. 취사중에 용기내부의 기체 압력에 의하여 용기 뚜껑(3)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2)의 턱(4)의 상부에는 용기 본체(2)로부터 예컨대 원호상으로 절취되고 절곡 가능한 고정구(6)을 마련한다. 이 고정구(6)을 안으로 내리누르면 제3도와 같이 뚜껑(3)이 본체(2)와 밀착된다. 뚜껑(3)의 중앙에는 윗방향으로 돌출부(7)이 형성되어 있어서 뚜껑의 손잡이 역할을 한다.
풍로(5)는 제4a도 및 제4b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장방향 알루미늄박을 8주형으로 접어서 만든 것으로서, 그 하단 모서리에는 원호상 통기구(8)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면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통기공(9)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0"은 각 면간의 절첩선이다. 풍로(5)는 방풍막의 역할도 하며 사용하기 전이나 후에는 8각면의 절첩선을 따라 병풍처럼 각면이 서로 중첩하도록 절첩시킴으로써 납작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취사 키트를 사용하여 취사를 함에 있어서는, 불연성 재료로 된 연료통 받침판(11) 위에 연료통(12)를 올려 놓고 그 안에 고체 연료(13)을 넣어 착화시킨 후 그 주위로 풍로(5)를 설치하고, 그 위에 조리할 재료가 들어 있는 취사 용기(1)을 올려 놓으면 조리할 준비가 된다. 고체 연료(13)는 용기(1)의 용량에 따라 한번의 취사에 적당한 크기로 미리 만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취사 키트는 적당한 종이(마분지 등) 또는 플라스틱 상자 안에 각 구성단위체, 즉 취사 용기(1), 풍로(5), 연료통 받침대(11), 연료통(12) 및 고체 연료(13)을 집어 넣어 휴대용 간이 취사 도구로서 상품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상자 안에 가공 처리된 쌀, 물, 일회용 수저 등 취사에 필요한 물건을 함께 포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취사 키트는 중량 및 부피가 작고 취급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즉, 경량의 알루미늄박으로 된 취사 용기 및 풍로를 사용하고 고체 연료도 용기의 용량에 맞추어 그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중량 및 부피가 작다. 또한 풍로를 납작하게 접어소 보관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주위에 따라서는 일회용에 그치지 않고 수회 반복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본 고안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모습으로 구성할 수가 있는데, 예컨대 취사 용기나 풍로의 단면 형상을 정사각형 또는 정육각형 등으로 할 수가 있고, 풍로의 외벽에 얇은 단열재층을 형성할 수도 있고, 용기 뚜껑과 본체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클립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도의 변형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극히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서 당연히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
- 상단에 근접하는 원주면 상에 턱(4)가 형성된 취사 용기 본체(2)와 뚜껑(3)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박판제 취사 용기(1)과, 절첩선 하단과 각 벽면의 상단 인접부에 통기구(8) 및 통기공(9)가 형성되어 있는 풍로(5)와, 연료통(12)를 한 벌로 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취사 키트에 있어서, 상기 턱(4)의 주위면에 따라 취사 용기 본체(2)로부터 절취하여 이루어지는 뚜껑 고정구(6)이 형성되어 잇으며, 상기 풍로(5)는 장방형 금속 박판에 종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일정 간격으로 등분된 절첩선(10)을 형성함으로써 그 절첩선에 따라 절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취사 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6001U KR940001936Y1 (ko) | 1991-09-30 | 1991-09-30 | 휴대용 취사 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6001U KR940001936Y1 (ko) | 1991-09-30 | 1991-09-30 | 휴대용 취사 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6186U KR930006186U (ko) | 1993-04-23 |
KR940001936Y1 true KR940001936Y1 (ko) | 1994-03-30 |
Family
ID=1931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16001U KR940001936Y1 (ko) | 1991-09-30 | 1991-09-30 | 휴대용 취사 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1936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51945A (zh) * | 2018-07-24 | 2018-11-23 | 吴翔 | 户外防风节能折叠锅 |
-
1991
- 1991-09-30 KR KR2019910016001U patent/KR94000193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6186U (ko) | 1993-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04864A (en) | Outdoor cooking system | |
US3385282A (en) | Unitary grill package | |
JP4295724B2 (ja) | 加熱容器 | |
EP1094740B1 (en) | Portable gas grill | |
US3581731A (en) | Portable cooking unit | |
JP2005530564A5 (ko) | ||
KR940001936Y1 (ko) | 휴대용 취사 키트 | |
US3812836A (en) | Portable knockdown oven | |
US3323443A (en) | Portable grill | |
JP3004424U (ja) | 携帯用コンロ | |
JP3017911U (ja) | 携帯用炊飯キット | |
US3391687A (en) | Culinary utensil | |
JPH0443167Y2 (ko) | ||
JPS6217459Y2 (ko) | ||
JP3184300U (ja) | 携帯調理器 | |
CN214690724U (zh) | 一种铝箔容器 | |
JPH027822Y2 (ko) | ||
JP7572728B2 (ja) | 太陽光調理器兼収納容器 | |
TWI740771B (zh) | 攜帶式炊具結構 | |
JP3007085U (ja) | 鍋用保温容器 | |
SU1752339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 |
KR101609344B1 (ko) | 종이냄비용 틀 | |
JPH0448402Y2 (ko) | ||
JPS645696Y2 (ko) | ||
CN2165680Y (zh) | 一次性自加热可蒸煮食物的饭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