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66B1 -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 Google Patents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66B1
KR940001866B1 KR1019910012587A KR910012587A KR940001866B1 KR 940001866 B1 KR940001866 B1 KR 940001866B1 KR 1019910012587 A KR1019910012587 A KR 1019910012587A KR 910012587 A KR910012587 A KR 910012587A KR 940001866 B1 KR940001866 B1 KR 94000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fixed
shaft
moto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885A (ko
Inventor
쇼지 이가꾸
도루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마텍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마또바 히데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텍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마또바 히데아끼 filed Critical 마텍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10012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866B1/ko
Publication of KR93000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구동로울러의 종단면도.
제2도는 동 구동로울러의 우측면도.
제3도는 동 구동로울러의 좌측면도.
제4도는 제1유성기어 장치의 배면도.
제5도는 제1유성기어 장치의 정면도.
제6도는 제1유성기어 장치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2의 유성기어장치의 배면도
제8도는 제2유성기어장치의 정면도.
제9도는 제2유성기어장치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연결축만의 정면도.
제11도는 제1의 XI-XI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통 2, 3 : 단원판
4, 5, 12 : 비스 6 : 케이싱
7, 44 : 관통구멍 8, 9 : 베어링
10, 11 : 고정축 13 : 모터
14 : 모터축 15 : 유성기어감속기구
17 : 제1유성기어장치 18 : 제2유성기어장치
19 : 원판부 20 : 태양기어
21, 31 : 유성기어 22, 35 : 원판부
26 : 캐리어축구멍 27 : 연결축
28 : 치형부 29 : 중간부
30 : 태양기어부 37 : 유성축
38 : 돌부 40 : 캐리어축구멍
41 : 단부 42, 43, 44, 45 : 링
47 : 급전원판 49 : 리드
50, 51 : 리드패턴 52, 53 : 브러시
본 발명은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기안마기라는 것은 회전하는 주로울러 주위에 유성운동하는 많은 소로울러를 배치하고, 소로울러를 천으로 싼 것이다. 주로울러가 회전하면 주위의 소로울러가 자전과 공전을 한다. 이것을 싸고있는 환상의 천은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면, 소로울러는 외주에 있는 천의 내면을 회동하므로서 회전한다. 로울러의 회전과 함께 천의 표면은 돌출하거나 후퇴한다. 이러한 천위에 발바닥과 장단지를 눌러붙이면 로울러에 의해 이러한 신체의 일부가 단속적으로 눌려지게 된다. 천자체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천과 발바닥등의 사이에 미끄럼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기안마기는 주로울러를 천천히 일정속도로 회전시켜야만 된다. 또한, 회전구동부를 외부에 가질수는 없다. 전기안마기는 경량, 소형이라야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로울러의 원통속에 모터를 넣어서 이들의 회전을 감속하여 외부로 추출하여 외부로의 추출축을 고정하므로서 로울러를 회전하도록 한다. 감속기로서는 평기어를 조합시킨 것이 사용된다.
그러나, 기어를 조합시킨 것은 대칭성이 없으므로 부착시에 위상관계에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무게 중심의 축의 중심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므로 회전이 원활하지 않으며 직경방향에 진동이 발생할 때가 있다.
그래서, 대칭성이 뛰어나 유성기어장치를 감속기로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라면 무게중심은 중심과 일치하므로 직경방향의 진동의 원인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유성기어장치는 그다시 큰 감속비를 얻을 수는 없다. 유성기어수가 네 개인 경우에는 감속비의 최대는 고작 1/5 정도이며, 3개인 경우에도 1/7 정도이다.
그래서, 가령 1/10∼1/30의 감속비를 얻고자하는 경우조차 2단으로 연결해야한다. 다단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전후의 유성기어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축이 필요하다. 연결축은 전단의 캐리어 출력을 후단의 태양기어 입력에 연결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기안마기의 로울러이므로, 직경이 50∼70㎜ 정도이다. 이 내부에 넣을 수 있는 유성기어장치이어야 하므로 치수가 작아진다. 특히, 감속비를 크게 취하고자 하는 경우, 태양기어가 매우 작아져 버린다.
이러한 이유로 태양기어의 한가운데에 D형의 구멍, 스플라인, 세레이션등의 구멍을 뚫고 여기에 연결축을 삽입하는 것인데, 그렇게 하면 연결축의 선단직경이 2∼3㎜ø 정도가 되어버린다. 모터에서의 출력이라면 토오크가 아직 작으므로 그다지 문제는 없다.
그러나, 적어도 유성기어 장치를 통하여 감속된 큰 토오크인 것을 전달하는 것이므로, 이렇게 가는 연결축은 나사가 잘려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마기의 로울러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 들어가는 감속기로서 유성기어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고, 유성기어장치로 모터회전력을 감속하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는 원통형인 외부통과 외부통단부에 고정된 축통과 구멍을 가진 단원판과, 축방향으로 관통구멍을 가지며, 한쪽의 단원판을 외부에서 고정시켜야할 제1의 고정축과, 단원판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고정되어야 할 제2의 고정축과, 외부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통에 대하여 고정되는 모터와, 모터의 출력축의 직선상에 외부통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고 제2고정축에 출력하는 2단이상의 유성기어장치와, 상기 제1고정축의 내부를 관통하여 도입되는 리드선과, 상기 제1고정축의 선단에 여기에서 직각으로 설치되는 급전원판과 그 급전원판상에 동심원형으로 설치한 리드패턴과, 모터쪽에 고정되어 상기 리드패턴에 접촉하여 전력을 모터에 부여해야 할 브러시로 구성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유성기어장치에 의해 감속하고 이 출력을 또한쪽의 고정축에 부여하므로서 양쪽의 고정축에 대하여 외부통, 모터, 유성기어장치를 감속회전 하도록한 구동로울러로서, 상기 유성기어장치는 전단의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 축구멍과 다음단의 유성기어장치의 유성기어가, 캐리어 축구멍에 끼워넣는 치형부와 유성기어에 대하여 맞물리는 태양기어부를 양단에 구비한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유성기어는 중앙의 유성기어부와 양쪽의 원판부로 되고 원판부는 유성기어부의 치선원보다 크고, 유성원판부가 상기 연결축의 태양기어부의 양쪽을 누르므로서 연결축이 빠지지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이상의 유성기어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축이 통상의 것과 다르다. 전단의 캐리어 축구멍에 끼워넣는 기어부와 다음단의 태양기어 축구멍에 끼워넣는 D자형 단면 혹은 스플라인을 가진 가는 축부를 갖는 것은 아니다.
다음단의 유성기어장치의 태양기어까지를 포함하여 일체화한 연결축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결축 한쪽의 단은 다음단의 태양기어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것은 축이 가늘어지지 않는다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거둔다. 태양기어가 있고, 여기에 축구멍이 있다는 것은, 축선단의 직경이 태양기어의 치저원보다 훨씬 작게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본 발명의 연결축은 선단이 끝이 가늘어지지 않고 태양기어가 되므로, 선단이 토오크에 의해 나사가 잘리지 않는다. 중간부가 가늘어지지만 이것은 태양기어의 치선원보다도 조금가늘어질 뿐이다.
따라서 토오크에 잘견디며 파단되는 일은 없다.
또한, 다음단의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축구멍에 들어가는 부분은 중간부와 같은 치수형상으로 할 수 있다. 반대로 얘기하면 캐리어 축구멍의 크기까지 중간부를 굵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간부의 형상을 캐리어 축구멍에 넣는 부분과 동일하게 하면 연결축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하나의 특징은, 연결축과 유성기어장치의 일체성이다. 유성기어장치에도 특징이 있다. 유성기어는 중앙의 유성기어부와 그 양쪽의 원판으로 이루어지고, 원판의 직경은 유성기어부의 치선원 보다 크다.
따라서, 태양기어가 원판의 선단에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빠지지 않게된다. 따라서, 연결축과 유성기어장치가 일체성을 얻는 것이다. 일체성이 있으므로 부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혹시 전단의 캐리어 축구멍을 인볼류트셀레션으로서 피치원을 다음단의 태양기어의 피치원에 동등하게 되면 연결축은 좌우대칭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다. 그렇지않고 캐리어 축구멍과 중간부의 형상을 같도록하면 연결축의 가공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외부통과 함께 모터와 감속기도 회전하므로 회전모멘트가 커져서 관성이 우월하여 정속회전할 때 회전수의 동요가 적고 안정된 회전을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의 종단면이다. 외부통(1)은 긴원통으로서 이속에 모터와 감속기가 수용된다. 이것이 전기안마기의 중심로울러가 되어 회전하는 것이다.
이 로울러의 외부둘레에 복수의 축으로 지지되는 다수의 작은 로울러를 지지하는 축은 양단에서 회전링으로 지지되어있다. 로울러 외부쪽에 천이 감겨지게된다. 이러한 전기안마기는 공지이다. 외부통(1)의 직경은 50∼70㎜㎜정도, 길이는 200∼50㎜정도이다. 철, 알루미늄 또는 수지로 만들 수 있다. 외부통(1)의 양쪽에 단원판(2), (3)이 부착된다. 단원판(2), (3)은 축방향의 비스(4), (5)에 의해 케이싱(6)에 굳게 붙여진다.
케이싱(6)은 통형상으로 외부통(1)으로 바로 내부에 끼워넣어져 있다. 이것은 모터와 감속기를 고정하는 작용이 있다. 단원판(2), (3)의 중앙의 팽출된 보스부에는 관통구멍(7)이 있으며, 관통구멍(7)을 에워싼 부분은 축방향으로 확장되어있다. 단원판(2), (3)의 통과구멍(7)의 안쪽에는 이것이 연속하여 베어링(8), (9)이 설치된다.
이것은, 원통상의 부재라면 좋지만 여기서는 기름이 함유된 플라스틱제의 베어링으로 하고 있다.
단원판(2), (3)의 통과구멍(7)과 베어링(8), (9)의 구멍을 각각 같은 지름의 고정축(10), (11)이 관통되어 있다. 양쪽모두 외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축(10)이며, 따라서 이러한 축(10) (11)에 대하여 외부통(1)의 내부부품은 상대회전한다.
이것을 받기 위해 내부의 가늘고 긴 베어링(10), (1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베어링(10), (11)은 케이싱(6)에 대하여 고정되는데 여기에는 비스등의 고정구를 사용하고 있지않다. 단, 케이싱(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여야만 하므로 케이싱(6)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단부가 있다.
케이싱(6)은 외부통(1)에 대하여 비스(12)에 의해 고정된다. 외부통(1)의 내부중앙에는 케이싱(6)을 끼워서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 모터(13)가 수용된다. 모터(13)는 외부통(1), 케이싱(6)과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3부재의 중심은 합치하고 있다. 모터(13)의 한쪽단부에는 모터축(14)이 있다. 이 외부통(1)과 동심에 있어서 역시 외부통(1)속에 동심으로 설치된 유성기어 감속기구(15)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는 유성기어감속기(15)는 2단의 유성기어장치(17), (18)를 직결한 것을 케이싱(6)으로 에워싼 것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6)은 양단가까이에서는 베어링(10), (11)을 지지하는데, 중앙부에 원통형의 공간을 가지며 여기에 모터(13), 제1유성기어장치(17), 제2유성기어장치(18)를 수납하고 있다. 케이싱(6)은 축방향의 비스(4), (5)에 의해 단원판(2), (3)에 고정된다.
제2도는 고정축(11)쪽에서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제3도는 고정축(10)쪽의 좌측면도이다.
케이싱(6)은 베어링(10), (11)을 지지하는 축경부에서 보강용원판부(19)를 가지며 여기에서 비스(12)에 의해 외부통(1)에 고정된다. 전단의 제1유성기어장치(17), 후단의 제2유성기어장치(18)는 태양기어의 구조가 조금다른데 기타구조는 동일하다.
제1유성기어장치의 배면도, 정면도, 종단면도를 제4도, 제5도, 제6도에 나타낸다.
제2유성기어장치의 배면도, 정면도 종단면도를 제7도, 제8도, 제9도에 나타낸다.
제1유성기어장치(17)는, 모터축(14)이 삽통되는 D형구멍을 가진 태양기어(21), 이들을 둘러싸고 이러한 것에 맞물리는 세 개의 유성기어(21), 이들을 둘러싸고 이러한 것에 맞물리는 외각내치기어(22), 유성기어(21)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캐리어(23)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유성기어장치는 재차특징이 있으며 유성기어(21)가 세 개의 부재로 되어 있다. 그것은 중앙의 유성기어부(24)와 그 양쪽에 있는 원판부(25)이다. 원판부(25)의 직경은 유성기어부(24)의 치선원 직경보다도 크다. 그래서 원판부(25)의 선단의 태양기어(20)와 외각내치기어(22)의 양단을 끼워넣는다.
따라서 태양기어(20), 외각내치기어(22)는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성질 때문에 유성기어장치(17)는 일체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캐리어(23)에는 캐리어축구멍(26)이 뚫려있다. 여기에는 토오크전달을 위해 스플라인 세레이션등의 회전고정치형이 파여져 있다.
여기에서는 기어와 같은 인볼류트세레이션이 파여져 있다. 캐리어축구멍(26)에는 연결축(27)의 일단의 치형부(28)가 끼워 넣어진다. 연결축(27)은 일체의 부재로서 치형부(28), 중간부(29), 태양기어부(30)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제1유성기어장치(17)의 출력을 제2유성기어장치(18)의 입력에 전달하는 것이다.
제10도에 연결축만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이예에서는 치형부(28)나 중간부(29)도 동형으로 인볼류트세레이션이 파여져 있다. 이렇게하면 중간부를 한도한계까지 굵게할 수 있으며 가공도 간단하다. 이렇게 되는 것은 캐리어 축구멍과 태양기어 축지름이 다른 경우이기 때문이다. 혹시 전단의 캐리어 축구멍과 다음단의 태양기어의 축지름이 동일하며 치형부(28)와 태양기어부(30)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2유성기어장치(18)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단독의 태양기어 주변에 연결축(27)의 일부인 태양기어부(30)를 갖는다. 이것을 싸서 세 개의 유성기어(31), 이것을 싸서 원환형의 외각내치기어(32)등을 갖춘다.
또한, 유성기어(31)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원반상의 캐리어(33)가 있다. 유성기어(31)는 중앙의 유성기어부(34)와 그 양쪽의 원판부(35)로 구성되어있다. 원판부(35)의 보스가 축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여기에 축구멍(36)에 뚫려있다. 축구멍(36)을 유성축(37)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다. 양쪽의 캐리어(33)가 유성축(37)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다. 유성기어(31)의 원판부(35)의 직경이 유성기어부(34)의 치선원의 직경보다도 크다.
따라서, 태양기어부(30), 외각내치기어(32)의 양단이 유성원판부(35)에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점은 제1유성기어장치(17)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태양기어부(30)는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태양기어부(30)는 연결축(27)의 일부이므로 연결축(27)도 포함하여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결축(27)이 유성기어장치(18)속에 사전에 조립되어 있으므로, 케이싱(16)의 내부에 유성기어장치(17), (18)를 조립하는 것이 매우 간단해지는 것이다.
모두 외각내치기어의 외주에는 직경방향 두군데에 돌부(38)가 있다. 이 돌부(38)가 케이싱(6)의 축방향홈(39)에 들어가도록 유성기어장치(17), (18)를 케이싱(16)에 넣는다.
이후 고정축(10)을 베어링(8)과 함께 케이싱(6)에 삽입하고, 고정축의 선단부(41)가 제2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축구멍(40)에 끼워넣도록 한다. 고정축의 선단부(41)에는 축방향의 홈이 파여 있어서 캐리어축구멍(40)에 끼워넣도록 되어 있다.
이예에서는 제1, 제2의 유성기어장치가 같은 캐리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것은 인볼류트셀레이션으로 되어 있다.
고정축(10), (11)은 단원판(2), (3)과 베어링(8), (9)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는 것인데 축방향으로 움직여서는 안된다. 고정축(10)은 베어링(8)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베어링의 양쪽에 링(42), (43)을 갖는다. 고정축(11)은 베어링(9)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베어링(9)의 양쪽에 링(44), (45)을 갖는다. 고정축(11)에는 축방향으로 관통구멍(48)이 있으며, 외부에서 두 개의 리드(40)가 내부로 관통구멍(48)을 통하여 도입되어 있다. 급전원판(47)의 안쪽면에는 금속제로 동심원상의 리드패턴(50), (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리드(49)단이 리트패턴(50), (51)에 패턴형성되어 있다. 모터(13)의 후단면에서 돌출한 브러시(52), (53)가 리트패턴(50), (51)에 미끄럼 접촉되어 있다. 이것은 정지된 급전원판(47)에서 회전하는 모터(1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리드패턴(50), (51)이 정지되어 있지만 브러시는 회전한다.
그러나, 양자는 항시 접촉하고 있으므로 모터는 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감속계는 특이한 것인데, 모터나 감속기도 외부통 리드 패턴(50), (51)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므로 관성이 크고 회전이 안정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회전수를 계산한다. 모터의 회전각도를 m로 한다.
제1유성기어장치의 태양기어, 외각내치기어, 캐리어의 회전 각 속도를 각각 S1, i1, C1으로 한다. 태양기어, 외각내치기어의 칫수를 S1, i1으로 한다.
제2유성기어장치의 태양기어, 외각내치기어의 각 속도를 S2, I2,로 한다. 구해야할 것은 모터의 각 속도를 m에 대한 외각내치기어의 각 속도 i2=i1이다.
이것을 단지 i로 한다.
(2)는 외부통과 함께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제1유성기어장치의 태양기어가 회전하므로 그 회전속도가 양자의 합이 되는데 따른다. (3), (4)는 유성기어장치의 감속기본식이다. (5)는 제1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가 제2유성기어장치의 태양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식이다. (6)은 제2유성기어장치의 출력이 고정축(10)에 결합되고 캐리어가 정지되어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이것들을 풀어서
이 된다. 이것은 결국 유성기어장치로 2단감속한것과 같은 속도이다.
재차 기술하지만 정지하고 있는 부재는 고정축(10), (11), 리드(49), 급전원판(47)이다. 회전하는 부재는 단원판(2), 외부통(1), 단원판(3), 모터(13), 케이싱(6), 제1,제2의 유성기어장치의 외각내치기어이다. 특이한 접속구조이지만 회전수는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기로 감속한 회전수와 동등하다. 전력을 부여하면 외부통(1)에 고착된 모터가 회전한다.
이것이 감속되어 고정축(10)에 전달된다. 유성기어장치의 외각내치기어가 외부통(1)에 고정되고 정지되어있지 않으므로 이것이 외부통(1)을 돌린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감속기구에 다단연결유성기어를 사용한 것과, 이러한 것을 연결하는데 태양기어를 겸비한 연결축을 사용한 것 및 연결축이 유성기어장치와 일체화되어 있다는 것 그리고 모터와 감속기가 외부통(1)과 함께 회전하므로 관성 모멘트가 커서 안정된 회전이 보증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로터의 내부에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한 로울러를 부여하므로 로터의 내부를 유효하게 이용할수 있다. 모터나 감속기를 위해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감속기로서 유성기어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축주위의 대칭성이 뛰어나서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유성기어 장치끼리를 연결하는데 태양기어를 겸한 연결축을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연결축이 가늘어지지 않고 충분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강한 토오크가 가해져도 연결축의 선단이 절손되는 일은 없다. 연결축이 후단의 유성기어장치와 일체가 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진다. 이것은 유성기어가 원판과 유성기어부의 조합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좁은 공간에 작은 유성기어장치를 연결축을 끼워서 복수개 수용한다는 것은 용이하지 않지만,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해진다. 연결축의 캐리어 축구멍에 삽입하는 만큼과 중간부를 동일지름, 동일형상으로 하면 연결축의 가공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강도적으로도 유효하다.
그렇지않고 연결축 좌우의 치형부(28)와 태양기어부(30)가 동일직경, 동일치형, 동일칫수라고 하면 긴 기어를 만들어 나중에 중간부를 깎아 버리면 되므로 연결축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모터, 감속기등 중량이 있는 부재가 외부통(1)과 함께 회전하는 관성이 커서 회전이 안정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원통형인 외부통과, 외부통 단부에 고정된 축통과 구멍을 가진 단원판과, 축방향으로 관통구멍을 가지며, 한쪽의 단원판을 외부에서 고정시켜야 할 제1의 고정축과, 다른쪽의 단원판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고정되어야 할 제2의 고정축과, 외부통의 내붕에 설치되어 외부통에 대하여 고정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의 직선상에 외부통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고 제2고정축에 출력하는 2단이상의 유성기어장치와, 상기 제1고정축의 내부를 관통하여 도입되는 리드선과, 상기 제1고정축의 선단에 여기에서 직각으로 설치되는 급전원판과, 그 급전원판상에 동심원형으로 설치한 리드패턴과, 모터쪽에 고정되어 상기 리드패턴에 접촉하여 전력을 모터에 부여해야 할 브러시로 구성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유성기어장치에 의해 감속하고 이 출력을 또 한쪽의 고정축에 부여하므로 양쪽의 고정축에 대하여 외부통, 모터, 유성기어 장치를 감속회전하도록 한 구동로울러로서, 상기 유성기어장치는 전단의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 축구멍과 다음단의 유성기어장치의 유성기어가 캐리어 축구멍에 끼워넣는 치형부와 유성기어에 대하여 맞물리는 태양기어부를 양단에 구비한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유성기어는 중앙의 유성기어부와 그 양쪽의 원판부로 되고 원판부는 유성기어부의 치선원보다 크고, 유성원판부가 상기 연결축의 태양기어부의 양쪽을 누르므로서 연결축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KR1019910012587A 1991-07-22 1991-07-22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KR940001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587A KR940001866B1 (ko) 1991-07-22 1991-07-22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587A KR940001866B1 (ko) 1991-07-22 1991-07-22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885A KR930001885A (ko) 1993-02-22
KR940001866B1 true KR940001866B1 (ko) 1994-03-10

Family

ID=1931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587A KR940001866B1 (ko) 1991-07-22 1991-07-22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8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885A (ko) 199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263B1 (ko) 감속기 및 이를 갖춘 모터 브레이크
US4228698A (en) Speed reducer
KR101263161B1 (ko) 감속기 및 이를 갖춘 모터 브레이크
JPH06129499A (ja) 往復回動用歯車減速機
KR20080094535A (ko) 편심기어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력전달방법
JPH11508675A (ja) 大きい歯数比を有するコンパクトな歯車伝動装置
JP2000065162A (ja) 減速機
JPH09506323A (ja) 昇降機器用駆動装置
US5470283A (en) Speed reduction device
EP0233303B1 (en) Planetary gear apparatus
JPH0627532B2 (ja) 遊星歯車増減速機
JP2888691B2 (ja) 内接噛合遊星歯車構造
KR940001866B1 (ko)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JPH0150778B2 (ko)
JPH10227339A (ja) 副キャリヤ盤のない遊星歯車装置
KR940001865B1 (ko) 전기안마기의 구동로울러
KR100579705B1 (ko) 유성 치차 감속기
JP2574367B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100235595B1 (ko) 베어링을 이용한 변속장치
JP2000027954A (ja) 遊星歯車用支持部材および遊星歯車の支持方法
JPH01150044A (ja) 歯車機構
KR200333593Y1 (ko) 캐리어를 갖춘 유성기어 장치
CN218408354U (zh) 一种摆线减速装置
KR950009574Y1 (ko) 착즙기용 감속장치
KR200145455Y1 (ko) 사이클로이드 감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