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768Y1 - 야구놀이용 완구의 볼타격장치 - Google Patents

야구놀이용 완구의 볼타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768Y1
KR940001768Y1 KR2019910019859U KR910019859U KR940001768Y1 KR 940001768 Y1 KR940001768 Y1 KR 940001768Y1 KR 2019910019859 U KR2019910019859 U KR 2019910019859U KR 910019859 U KR910019859 U KR 910019859U KR 940001768 Y1 KR940001768 Y1 KR 940001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ath
rotated
doll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518U (ko
Inventor
이창기
Original Assignee
이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기 filed Critical 이창기
Priority to KR2019910019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768Y1/ko
Publication of KR930010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7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63H13/04Mechanical figures imitating the movement of players or wor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야구놀이용 완구의 볼타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 a,b는 본 고안의 타자인형과 포수인형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제3도 a,b,c,d는 본 고안의 기판 이면에 설치된 작동구와 타격간의 작동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평면에서 본 상태도.
제5도는 기판에 타자인형과 포수인형이 축설된 상태를 확대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타자인형
3 : 배트 4 : 포수인형
5 : 미트 6 : 회전통
8 : 끈 9 : 볼 투입구
10 : 볼 대기로 12 : 볼 주입로
13 : 타격로 15 : 작동구
15a, 15b : 걸고리부 16 : 타격판
7, 18 : 스프링 21 : 받침편
본 고안은 전면의 투명판 내부의 기판상에 설치된 타자인형과 포수인형이 작동되어 각각 타격동작과 포구동작을 취할때마다 기판의 이면으로 투입되는 공이 타격 발사되게 하여 실제로 타자인형이 공을 타격한 느낌을 주도록 하므로서 어린이들이 보다 더 흥미를 가지고 사실감에 가까운 야구놀이를 할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타격간을 당겨서 공을 날개로 장진한 다음 걸이쇠를 잡아당기면 타격간의 공을 타격하여 발사하도록 한 수동식 볼 타격기가 있었고, 모우터의 구동을 따라 작동되는 타격간이 일렬로 진입되는 공을 연속 타격하여 자동으로 공을 발사하도록 한 본원 출원인의 199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22161호 고안이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단순히 공만을 타격하여 발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동감과 사실감이 없어 어린이들이 쉽게 흥미를 잃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량 고안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1)의 표면에는 배트(3)를 잡은 팔부분(2a)만이 이면의 스프링(7)으로 복귀되는 회전통(6)을 따라 회전되게 축설한 타자인형(2)과 미트(5)를 낀 팔(4a)만이 회전통(6)에 일단이 감겨있는 끈(8)의 당김에 의해 회동되게 한 포수인형(4)을 설치하며, 기판(1)의 이면에는 볼 투입구(9)의 경사진 안내로 (10)를 통해 투입되는 볼(14)들이 연접된 볼 대기로(11) 및 주입로(12)를 거쳐 타격로(13)로 낙하되도록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양측에 걸고리부(15a)(15b)가 돌설된 작동구(15)를 회전되게 축설하여 걸림턱(17)이 형성된 타격간(16)과 볼(14)를 교대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상단이 핀설된 타격간(16)에는 끈(8)중단과 스프링(18)을 연결하고 볼(14)이 지지봉(19)에 의해 장진되는 타격로(13)는 손잡이(20)로 회동되는 받침편(21)에 의해 설치각도가 조절되도록 한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16a)는 타격간(16)의 타격면이고, (22)는 스톱파이며 (23)은 모우터와 변속기어, 밧데리등이 설치된 동력부로서 작동구(15)의 축(24)을 회전시켜주고 (25)는 스위치이며 (26)은 투명커버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볼 투입구(9)를 통해 수개의 볼(14)들을 집어넣으면 볼(14)은 제3도 a와 같이 경사진 안내로(10)를 통해 볼 대기로(11)에 차례로 진입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치(25)를 ON시키면 동력부(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작동구(15)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구(15)의 일측 걸고리부(15a)는 제3도 b와 같이 볼 대기로(11)의 볼(14)을 볼 주입로(12)에 올려주는 것이고, 타측 걸고리부(15b)는 타격간(16)의 걸림턱(17)을 걸고 회전되므로 타격간(16)은 줄(8)과 스프링(18)을 당기면서 제3도a 상태에서 b상태와 같이 점차적으로 회동을 하게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타격간(16)이 회동됨에 따라 줄(8)을 당기면 회전통(6)의 줄(8)이 풀리면서 회전통(6)이 회전하게 되어 타자인형(2)의 머리와 몸체 및 다리는 고정된 상태에서 배트(3)를 잡고있는 팔부분(2a)만이 제2도a의 실선 상태에서 제2도 b 상태와 같이 아래로 회전됨과 동시에 포수인형(4)의 머리와 몸체 및 다리는 고정된 상태에서 팔(4a)에 묶인줄(8)부위가 늘어짐에 따라 미트(5)를 끼고있는 팔(4a)만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쳐지게 된다.
그후 작동구(15)가 계속 회전되어 걸고리부(15b)가 타격간(16)을 제3도c와 같이 회동시켜 주면 회전통(6)이 더욱 회전됨에 따라 배트(3)를 쥐고있는 팔부분(2a)이 제2도a의 쇄선과 같이 뒤로 완전히 휘돌려져서 타자인형(2)을 타격자세를 취하는 상태가 되고 포수인형(4)의 미트(5)를 끼고있는 팔(4a)역시 제2도 a의 쇄선과 같이 무릎과 무릎사이로 내려가 싸인을 보내는 듯한 동작상태를 하게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동작되는 동안 경사진 볼 주입로(12)에 올려진 볼(14)은 타격로(13)로 굴러 떨어져 지지봉(19)에 의해 타격로(13) 하부에 제3도 c와 같이 장진된다.
이와같이 된후 작동구(15)가 더욱 회전되어 걸고리부(15b)가 회전각도에 의해 걸림턱(17)을 벗어나게 되면 타격간(16)은 늘어난 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해 신속하게 전진하게되며 이와같이 타격간(16)이 전진되면 회전통(6)에 고정된 줄(8)부위는 느슨하여지고 포수인형(4)의 팔(4a)에 묶인 줄(8) 부위는 당겨지므로 회전통(6)역시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신속하게 회전 복귀되면서 타자인형(2)의 팔부위(2a)를 회전시켜 주어 제2도 a의 쇄선에서 실선과 같이 타자인형(2)으로 하여금 배트(3)를 휘둘러 타격하는 동작을 취하게하고 포수인형(4)의 팔(4a)은 당겨져 올라가면서 볼을 포구하는 동작을 취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진진된 타격간(16)의 타격면(16a)이 타격로(13)에 장진된 볼(14)을 타격하여 발사되게 하므로 기판(1)의 전면에서 사람들이 볼때 마치 타자인형(2)이 배트(3)로 볼(14)을 정확히 타격하여 볼(14)이 날아가는 것처럼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후 걸림턱(17)을 벗어난 걸고리부(15b)는 작동구(15)가 계속 회전됨에 따라 볼 대기로(11)에 새로 진입된 볼(14)을 또다시 볼 주입로(12)로 올려주는 것이고, 타측의 걸고리부(15a)는 회전되다가 타격간(16)의 걸림턱(17)을 걸고 또다시 뒤로 회동시킨다음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타자인형(2)이 볼(14)을 타격하여 날아가는 것처럼 보이면서 연속하여 볼(14)을 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타격로(13)의 받침편(21)을 손잡이(20)에 의해 회동시킴에 따라 제3도b에서와 같이 타격로(13)의 각도를 쉽게 조절하여 발사되는 볼(14)의 방향 및 사정거리를 조절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전면의 투명커버(26)를 통해 볼(14)의 투입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특히 배트(3)를 쥔 타자인형(2)과 미트(5)를 낀 포수인형(4)이 타격자세와 포구자세를 취하면서 동작에 맞추어 볼(14)이 연속으로 발사되는 것을 눈으로 직접 보는 것이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생동감과 사실감의 느낌을 주는 것으로서 어린이들이 보다 흥미를 가지고 야구놀이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기판(1)의 표면에는 배트(3)를 잡은 팔부분(2a)만이 이면의 스프링(7)으로 복귀되는 회전통(6)을 따라 회전되게 축설한 타자인형(2)와 미트(5)를 낀 팔(4a)만이 회전통(6)에 일단이 감겨있는 끈(8)의 당김에 의해 회동되게 한 포수인형(4)을 설치하며, 기판(1)의 이면에는 볼 투입구(9)의 경사진 안내로(10)를 통해 투입되는 볼(14)들이 연접된 볼 대기로(11) 및 볼 주입로(12)를 거쳐 타격로(13)로 낙하되도록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양측에 걸고리부(15a)(15b)가 돌설된 작동구(15)를 회전되게 축설하여 걸림턱(17)이 형성된 타격간(16)과 볼(14)을 교대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상단이 핀설된 타격간(16)에는 끈(8)중단과 스프링(18)을 연결하고 볼(14)이 지지봉(19)에 의해 장진되는 타격로(13)는 손잡이(20)로 회동되는 받침편(21)에 의해 설치각도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놀이용 완구의 볼 타격장치.
KR2019910019859U 1991-11-19 1991-11-19 야구놀이용 완구의 볼타격장치 KR940001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859U KR940001768Y1 (ko) 1991-11-19 1991-11-19 야구놀이용 완구의 볼타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859U KR940001768Y1 (ko) 1991-11-19 1991-11-19 야구놀이용 완구의 볼타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518U KR930010518U (ko) 1993-06-23
KR940001768Y1 true KR940001768Y1 (ko) 1994-03-24

Family

ID=1932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859U KR940001768Y1 (ko) 1991-11-19 1991-11-19 야구놀이용 완구의 볼타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7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518U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684B1 (en) Device and method of throwing objects
US6280286B1 (en) Toy figure pair simulating combat
US5660386A (en) Ball throwing apparatus and method
US3856300A (en) Ball tossing device
US20110152011A1 (en) Ball Toss Up Apparatus for Batting Practice and Game Play
CN1331549C (zh) 跳动式玩具
US3995859A (en) Competitive board game and mechanical energy-storing catch-and-propel mechanism usable therewith
US3333847A (en) Batting practice device with foot responsive clutch drive
US5374056A (en) Baseball practice device
JP2002126148A (ja) 打撃訓練用装置
US3788297A (en) Ball-pitching device
KR940001768Y1 (ko) 야구놀이용 완구의 볼타격장치
US2967711A (en) Ball toy
US1946373A (en) Bat
CN108379805B (zh) 一种排球快速扣球训练装置
US4363311A (en) Golf ball driving device
KR101029792B1 (ko) 야구놀이용 기구
US3966208A (en) Tethered ball goal scoring game
KR880004192Y1 (ko) 야구볼 투구용 완구
KR930002946Y1 (ko) 야구볼 투구용 완구
JP2005204759A (ja) アンダスロー投球装置
JPH0358748B2 (ko)
JPH0510839Y2 (ko)
JPH02226Y2 (ko)
US1036024A (en) Manikin ball-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