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32Y1 - 광량자동가변장치 - Google Patents

광량자동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32Y1
KR940001632Y1 KR2019910013213U KR910013213U KR940001632Y1 KR 940001632 Y1 KR940001632 Y1 KR 940001632Y1 KR 2019910013213 U KR2019910013213 U KR 2019910013213U KR 910013213 U KR910013213 U KR 910013213U KR 940001632 Y1 KR940001632 Y1 KR 940001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level
light
inte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846U (ko
Inventor
송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3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632Y1/ko
Publication of KR930005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량자동가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광량자동가변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광량자동가변장치의 일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분수단 20 : 증폭수단
30 : 비교수단 40 : 전압분할수단
50 : 전압선택수단 60 : 라이트구동수단
본 고안은 광량자동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레코더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기록하는데 있어서 휘도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조도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조명의 밝기를 자동으로 가변시키는 광량자동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방송용 카메라 레코더는 실내 또는 야외에서 레코딩(recording)할때 조도가 기준이하로 떨어지면 부착되어 있는 라이트(light)를 사용하는 바, 이 라이트는 ″턴온″되었을때의 밝기가 일정하여 필요이상의 전력을 손실하게 된다. 또한 통상의 카메라 레코더의 경우에는 야외에서 피사체를 촬영시 배터리(battery)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피사체의 주위 밝기가 아주 어둡지 않을때 필요이상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예를들어 카메라 레코더의 최저 조도가 5룩스(lux)이고 피사체의 조도가 3룩스 혹은 1룩스일때 라이트가 일정한 밝기로 ″턴온″되면 상대적으로 3룩스일때 불필요한 라이트 전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카메라 레코더를 이용하여 레코딩할때 피사체의 조도변화에 따라 라이트밝기를 가변하여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사용시 배터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광량자동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피사체의 영상신호중 휘도신호를 받아 직류레벨로 적분시키는 적분수단과, 상기 적분수단에서 적분된 휘도신호의 직류레벨을 일정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값을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일정한 입력전압을 받아 다양한 레벨의 전압으로 분할시키는 전압분할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전압분할수단에서 분할된 다양한 레벨 전압중 하나를 선택하는 전압선택수단과, 상기 전압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일정전압을 입력시켜 라이트를 구동시키는 라이트구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광량자동가변장치의 구성도이다.
제1도에 의하면, 적분수단(10)은 피사체의 영상신호에 실려있는 휘도(Y)신호를 적분하여 직류레벨로 출력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증폭수단(20)은 적분수단(10)에서 적분된 휘도신호가 일정레벨로 증폭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비교수단(30)은 증폭수단(20)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값이 출력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전압분할수단(40)은 일정한 입력전압(Vf)을 받아 다양한 레벨의 전압으로 분할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전압선택수단(50)은 비교수단(30)의 출력간에 따라 전압분할수단(40)에서 분할된 다양한 레벨전압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라이트 구동수단(60)은 전압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일정전압을 입력시켜 라이트(light)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본 고안의 광량자동가변장치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 스위치가 선택되어 카메라 레코더가 작동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분수단(10)의 콘덴서(C1)를 통하여 휘도(Y)신호가 입력되며, 이 휘도(Y)신호는 적분수단(10)의 콘덴서(C1)와 저항(R1)으로 인하여 적분되어 직류(D·C)레벨로 변한다. 증폭수단(20)의 PnP트랜지스터(Q1)는 적분수단(10)에서 직류(D·C)레벨로 변환된 휘도(Y)신호를 통과시켜 증폭수단(20)에 채용되어 있는 중폭기(IC1)의 반전단자(-)에 입력시킨다. 이때 증폭기(IC1)의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3,R4)에서 분압된 기준전압(VA)이 입력된다.
증폭수단(20)의 증폭기(IC1)는 직류(D·C)레벨로 적분된 휘도(Y)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비교수단(30)을 구성하는 비교기(IC2∼IC5)의 비반전단자(+)에 입력시킨다. 비교기(IC2-IC5)의 반전단자(-)에는 각각의 기준전압(refV0∼refV3)이 입력되어 증폭수단(20)의 증폭기(IC1)에서 출력되는 증폭신호와 비교하게 된다. 여기에서 기준전압(refV0∼refV3)은 라이트를 이용하는 기기(예를들어 카메라 레코더)의 조도에 따른 실제 측정기준전압이다. 비교수단(30)의 PnP트랜지스터(Q2~Q4)는 비교기 (IC2∼IC5)중 어느 하나가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할때 그외 나머지는 동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브레이킹(breaking) 트랜지스터이다.
비교수단(30)의 비교기(IC2-IC5)중 하나가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면 전압선택수단(50)의 nPn트랜지스터(Q5∼Q8)중 ″하이″레벨신호가 인가된 트랜지스터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 레코더가 작동함에 따라 스위치(SW)가 도통됨으로써 입력기준전압(Vf)을 받아들인 전압분할수단(40)은 각 분할전압(V0-V3)을 출력하게 되는바, 라이트구동수단(50)의 PnP트랜지스터(Q9∼Q12)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응되는 전압이 라이트에 인가된다.
이와같이 휘도(Y)신호의 첨두(Peak)레벨이 작아지면, 즉 화면이 어두어지면 증폭수단(20)의 증폭기 (IC1)를 통한 신호의 레벨을 커지고 그에 따라 전압선택수단 (40)에서 분할된 전압(V0∼V3)중 가장 높은 전압이 선택되어 라이트는 밖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카메라 레코더에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중 비교함으로써 조도의 변화를 인식하여 입력전압을 선택함으로써 라이트와 같은 조명의 밝기를 자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피사체의 영상신호중 휘도신호를 받아 직류레벨로 적분시키는 적분수단(10)과, 상기 적분수단(10)에서 적분된 휘도신호의 직류레벨을 일정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수단(20)과, 상기 증폭수단(20)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간을 출력하는 비교수단(30)과, 일정한 입력전압을 받아 다양한 레벨의 전압으로 분할시키는 전압분할수단(40)과, 상기 비교수단(30)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전압분할수단(40)에서 분할된 다양한 레벨전압중 하나를 선택하는 전압선택수단(50)과, 상기 전압선택수단(50)에서 선택된 일정전압을 입력시켜 라이트를 구동시키는 라이트구동수단(6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자동가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30)은 다양한 기준전압(refV0∼refV3)을 비교신호로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자동가변장치.
KR2019910013213U 1991-08-20 1991-08-20 광량자동가변장치 KR940001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213U KR940001632Y1 (ko) 1991-08-20 1991-08-20 광량자동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213U KR940001632Y1 (ko) 1991-08-20 1991-08-20 광량자동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46U KR930005846U (ko) 1993-03-22
KR940001632Y1 true KR940001632Y1 (ko) 1994-03-21

Family

ID=1931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213U KR940001632Y1 (ko) 1991-08-20 1991-08-20 광량자동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6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79A (ko) * 2018-10-25 2020-05-07 (주)파이버피아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79A (ko) * 2018-10-25 2020-05-07 (주)파이버피아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46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632Y1 (ko) 광량자동가변장치
US4533227A (en) Distance measuring circuit
JPH0586706B2 (ko)
US5351080A (en) Color temperature control by comparing chrominance signals with reference levels
JP2668144B2 (ja) 撮像装置
JPH0634510B2 (ja) 自動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回路
JP2547212B2 (ja) オ−トホワイトバランス装置
KR920008048Y1 (ko) 평판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자동 보정 회로
KR950000413Y1 (ko) Ccd 자동조리개 구동회로
KR890007506Y1 (ko) 임의 설정 조도의 녹화 일시 정지회로
KR930006989Y1 (ko) 비디오 카메라의 라이트 자동 제어장치
KR200166997Y1 (ko) 칼라 비디오 도어폰 카메라
KR900004346Y1 (ko) 최대값 신호의 비교 검출 합성회로
USRE41144E1 (en) Auxiliary amplifier selection circuit for a CCD camera
KR200146240Y1 (ko) 전자 뷰 파인더의 밝기 자동 조절회로
KR200162792Y1 (ko) 감시용 카메라의 윤곽보정회로
KR100235456B1 (ko) 자동 색온도 조절 장치
KR850000566B1 (ko) 텔레비젼의 화상 조정 회로
KR0112822Y1 (ko)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감도조절 장치
KR940006823Y1 (ko) 카메라 레코더의 자동램프 제어장치
JP2547213B2 (ja) オ−トホワイトバランス装置
KR900010354Y1 (ko) 비데오 카메라의 흑레벨 설정회로
KR950009557Y1 (ko) 캠코더의 자동 백 라이트(BACK-Light) 조절회로
KR910000672Y1 (ko) 램프 자동 제어회로
KR920008987Y1 (ko) 3분할 수광소자를 사용한 카메라 구동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