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594B1 - 분산형 터미널 드라이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타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형 터미널 드라이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타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594B1
KR940001594B1 KR1019890017912A KR890017912A KR940001594B1 KR 940001594 B1 KR940001594 B1 KR 940001594B1 KR 1019890017912 A KR1019890017912 A KR 1019890017912A KR 890017912 A KR890017912 A KR 890017912A KR 940001594 B1 KR940001594 B1 KR 940001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input
charact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578A (ko
Inventor
알·엠·베일리 크리스토퍼
엠·캐플 제임스
피·스태포드 존
엔지 랜디
이·캘리 조오지
리이프 게랄드
지·스토페라 피터
Original Assignee
뷸 에이치 엔 인포오메이숀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루이스 피·엔빈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뷸 에이치 엔 인포오메이숀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루이스 피·엔빈저 filed Critical 뷸 에이치 엔 인포오메이숀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1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산형 터미널 드라이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타 처리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종래 예의 입력문자 스트림의 유효화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문자 스트림의 유효화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네트워크 터미널 드라이버의 고레벨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PROFILE 프로토콜 데이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화표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OK TO SEND 프로토콜 데이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CUP 4 : 시스템 버스
6 : 메모리 8 : LAN 제어기
10 : MLX-16 프로세서 14, 16 : 터미널
18 : 워크스테이션 20 : 주변제어기
본 발명은 키보드 입력기능 및 디스플레이이 출력기능을 가진 복수의 문자지향 터미널을 갖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스템의 소자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분산" 데이타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스템의 소자들로부터 분리되는 터미널로부터의 입력을 허용 및 유효화하는데, 상기 입력은 시스템의 소자들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는 오버헤드 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타 처리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터미널이 장치되어 있으며, 오퍼레이트는 터미널에 위치하여 타이프라이터 키보드와 같은 장치에 의해 시스템 데이타 명령을 입력시키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스템으로부터의 결과 및 상태 정보를 볼 수 있게 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이에 프린트된 하드 카피의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근래에 볼 수 있듯이 음극선과의 형태를 취할수 있다.
근래,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에어에서 단일 중앙처리장치(CPU)가 다수의 터미널과 동시에 교신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다시말하면 CPU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한 시스템을 "분산"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테면 사용자에 의해 직접 활용될 장비를 사용자가 통상 있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중앙 "컴퓨터실"로 가야하는 종래의 "일괄(batch)" 시스템과는 대조적인 시스템이다. 분산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는 금전등록기와 기능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된 터미널이 점포에서의 출납장소에 배치되는 "POS(point of sale)" 시스템이나, 또는 터미널이 공장에서의 다수의 위치에 배치된 공장 자동화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분산 시스템은 "일괄" 시스템보다 훨씬 더 긴 거리를 통해 정보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 설계가 "일괄" 시스템에서보다 복잡해지게 된다. 통상의 분산 시스템 구성은 멀리 떨어져 있는 터미널로/로부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지역네크워크(LAN)"를 활용한다. 통상적으로 CPU는 "버스"에 의해 LAN 제어기와 교신하고, LAN 제어기는 데이타를 LAN에 전송하며, 이들은 기술상 공지되어 있다. 이어서, LAN은 그에 접속된 터미널에 직접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터미널의 클리스터를 갖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LAN은 하나이상의 "터미널 제어기"로/로부터 정보를 전송하는데, 각 터미널 제어기는 그에 접속된 복수의 터미널을 가지며, 터미널은 분리된 물리적 영역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CPU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터미널에서 오퍼레이터가 유효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스트림의 형태 및 시퀀스에 관한 지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분산 터미널로부터의 각 문자입력은 유효하게 되기 위해 터미널 제어기, LAN, LAN 제어기 및 버스를 통하여 CPU로 전송되어야 한다. 문자의 에코우(echd)(유효화가 성공적이었을 경우) 또는 에러, 즉 상태 메시지(유효화가 실패했을 경우)가 CPU로부터 버스를 통하여 LAN 제어기로 전송되고, LAN을 통하여 터미널 제어기로 전송되며, 이어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터미널로 전송된다. 따라서, 특히 버스, LAN 제어기, LAN 및 터미널 제어기에 관한 시스템 자원부분은 입력스트림 유효화에 필요한 데이타 전송을 처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문자 스트림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이 그 스트림의 유효화를 행하는 터미널 제어기에 전송되게 하는 프로토콜(protocol)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의 데이타 전송 소자에 대한 로드를 현저히 줄이는 것이다. 입력 스트림의 입력 및 유효화에는 단지 2가지의 시스템 전송만이 요구되는데, 제1전송은 CPU로부터 터미널 제어기로 디스크립션을 전송하는 것이고, 제2전송은 터미널 제어기로부터 CPU로 문자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이다(이것은 유효화가 성공적이었을 경우이며, 유효화가 실패했을 경우 제2전송은 실패했다는 것을 CPU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터미널 제어기로부터 CPU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개선된 데이타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분산데이타 처리시스템에서 입력문자 스트림의 유효화에 필요한 오버헤드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는 데이타 처리시스템(1)에서 행해진다. CPU(2)는 주메모리(6)에 기억된 데이타에 따라서 동작하며, 또한 주메모리(6)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시스템에 전체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6-2)이 제공된다. 그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오퍼레이팅(operating) 시스템(6-1)을 포함하여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컴퓨터 제조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능 및 구성은 기술상 공지되어 있다.
데이타 처리시스템(1)의 오퍼레이터 및 사용자는 터미널(14), 프린터(16) 또는 워크스테이션(18)에 배치된다. 그러한 장치들과 CPU(2)간의 통신은 시스템 버스(4) 및 2개의 경로중 하나를 통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제1경로는 MLX-16 프로세서(10)를 포함하고, 제2경로는 LAN 제어기(8), LAN(지역네트워크)(22) 및 TC-6 터미널 제어기(12)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제2경로에 행해진다.
제2도는 상기 경로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터미널(14)에서 오퍼레이터는 응용 프로그램(6-2)(제2도에서는 도시생략)의 제어하에 CPU(2)에 의해 처리될 데이타를 입력시킨다. 응용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터가 제공하는 입력문자 스트림의 형태 및 시퀀스를 결정한다. 종래 기술에서, 터미널(14)에서 입력된 각 문자는 CPU(2)로 전송되어,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될 때 유효한지의 여부가 결정되며, 문자의 에코우(유효할 경우) 또는 무효지시가 터미널로 역전송되어야 한다. 이러한 다수의 전송은 프로토콜에 수반되는 오버헤드와 함께 데이타 경로에 대한 실질상의 로드를 나타낸다.
제3도는 상기 경로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CPU(2)는 터미널 제어기(12)에 "필드 디스크립터(field descritptor)"를 전송한다. 이때 터미널(14)에서 입력된 각 문자는 검증을 위해 터미널 제어기(12)까지만 전송되어야 하며, 검증은 필드 디스크립터의 제어하에 터미널 제어기(12)내에서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문자 에코우 또는 무효지시는 터미널 제어기(12)로부터만 전송되어야 한다. 전체 경로(버스(4), LAN 제어기(8), LAN(22))를 통한 전송은 문자의 전체열 또는 블록에 대해 두번 수행되는데, 한번은 필드 디스크립터를 터미널 제어기(12)로 전송하는 것이며, 또 한번은 유효화된 문자열을 터미널 제어기(12)로부터 CPU(2)로 전송하는 것이다.
제1도를 재차 참조하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또 다른 부분으로는 네트워크 터미널 구동기(NTD)(6-4)가 있는데, 이 NTD(6-4)의 기능중에는 특정 터미널에서의 특정 트랜잭션에 대한 적절한 필드 디스크립터를 얻는 기능과, 필드 디스크립터를 터미널 제어기(12)로 전송하는 기능이 있다.
제4도에는 NTD(6-4)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NTD는 커널(kernel) 소자(6-400), 응용 모듈(6-420), 프로바이더(provider) 모듈(6-440) 및 장치 프로필(profile)(6-460)을 구비한다. NTD(6-4)의 동작에 대한 세부 사항은 1988년 5월 20일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96,597호에서 볼 수 있다.
커널소자(6-400)는 NTD(6-4)를 통한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모듈을 구비한다.
응용 모듈(6-420)(제1도의 응용 프로그램(6-2)과는 상이함)은 여러가지 모드로 응용 프로그램(6-2)을 네크워크와 인터페이스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모드로는 메시지모드, 필드모드, 블록모드, 관리모드, 프린터모드 및 폴드(polled) VIP모드가 있다. 본 발명은 필드모드에서만 실행된다. 필드모드는 디스플레이상에서 하나이상의 "필드"를 나타내는 "템플릿(template)"이 오퍼레이터에게 주어지는 터미널(14)의 동작모드이며, 오퍼레이터가 문자를 입력할 장소에 대한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예를들면 스크린의 일부분이 다음과 같은 레전드(legend)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City, State, ZIP CODE :
Figure kpo00001
"
여기서, 밑줄친 부분은 오퍼레이터가 문자를 입력할 위치를 나타낸다(통상의 비디오 디스플레이에서는 밑줄을 긋는 것보다 역비디오 강조로 보통 행해진다).
프로바이더 모듈(6-440)은 네트워크에 대한 실제의 데이타 전송을 처리한다.
장치 프로필(6-460)은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는 여러가지 터미널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네트워크상의 NTD(6-4)와 터미널간의 통신은 "프로토콜 데이타 유니트(PDU)"로서 알려진 정보의 불연속 블록들의 전송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한 불연속 블록들의 전송, 루팅, 수신 및 해독 방법들은 기술상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방법들에 의해 응용 프로그램(6-2)과 터미널(14)간에 경고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은 상기 주어진 예시적인 필드를 사용하여 이제 설명될 수 있겠다.
"City, State, ZIP code :
Figure kpo00002
"
이 입력 필드는 3개의 "서브필드"를 구비한다 : 제1서브필드는 영문자와 어느 구분문자(전부는 아님)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So. O'Grady"라 불리우는 도시가 있을 수 있지만, 퍼센트부호 또는 감탄부호등과 같은 것을 내포하는 도시명칭은 어디에도 없다. 제2서브필드는 영문자만을 포함하며, 제3서브필드는 디지트만을 포함한다("디지트" 데이타와 "뉴머릭" 데이타는 상이하다 : 디지트 데이타는 단지 디지트 0-9만을 포함하는 반면, 뉴머릭 데이타는 이들 디지틀뿐만아니라 플러스부호, 마이너스부호, 콤마 또는 피리오드(10진 소숫전)를 포함한다. 따라서, "-3.141593"은 뉴머릭 데이타로서 유효하게 되지만 디지트 데이타로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서 그러한 필드를 요구 및 유효화하기 위해 NTD(6-4)로 하여금 터미널(14)과 관련된 터미널 제어기(12)에 2가지 PDU를 전송하도록 요구한다. 2가지 PDU는 "PROFILE" PDU와 "OK TO SEND" PDU이다. PROFILE PDUS는 "유효화 테이블"을 포함하는데 이 테이블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현재의 터미널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어느 문자에 대응하는 속성(attribute)을 명세하며, 한편 OK TO SEND PDU는 현재의 필드에 대해 유효하다고 생각되는 특정 속성을 명세한다. PROFILE PDU는 전체 새션에 대해 한번만 전송되지만, OK TO SEND PDU는 응용 프로그램(6-2)에 의해 기대되는 입력의 각 피드에 대해 전송되어야 한다.
제5도에는 PROFILE PDU가 도시되어 있으며, 7의 값을 갖는 타입 필드에 의해 식별된다. 사용자 프로필 필드(500-1)는 여러가지중에서 유효화 테이블 타입을 명세하고 있는데, 본 실시예는 표준 ASCII 키보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당한 "표준"유효화 테이블을 고려하고 있다. 다른 유효화 테이블들은 어느 터미널 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유효화 테이블 자체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유효화 테이블 1, 즉 필드(500-2)와 유효화 테이블 2, 즉 필드(500-3)이다. 이들은 상술한 바와같이 "표준" 유효화 테이블을 구비한다.
유효화 테이블 1 및 2가 제6도 및 제7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유효화 테이블 2는 제어문자 또는 타국문자와 특수문자가 유효입력으로서 허용될 경우에만 사용된다. 본 실시예는 그러한 문자가 입력 스트림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유효화 테이블 1만을 사용한다.
주 : 다음 설명에서 문자 "X"는 "16진수" 워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를들어, 레전드 "X20"은 "16진수 20"으로 읽어야 한다.
주 : 다음 설명에서 바이트에서의 비트위치는 위치 0-7로 언급되며, 0이 최상의 비트위치이다. 16비트워드에서의 비트위치는 위치 O-F로 언급되며, 0이 최상의 비트위치이다.
ASCII 코드를 유효화 테이블 1에서의 바이트 엔트리들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루울에 따라 바이트 엔트리들이 셋업되는 것을 제6도로부터 알 수 있다.
제어문자 및 특수문자에 대응하는 엔트리들은 세트된 비트가 없다; 디지트에 대응하는 엔트리들은 비트3이 세트된다; 영문자에 대응하는 엔트리들은 비트1이 세트된다; 영문자와 결합하여 허용가능하게 간주되는 문자(즉, 스페이스(X20), 어포스트로피(X27), 콤마(X2C), 마이너스부호(X2D), 피리오드(X2E) 및 어포스트로피(X60)에 대응하는 엔트리들은 비트 1이 세트된다; 뉴머릭 입력에서 허용 가능하게 간주되는 디지트 이외의 문자(즉, 플러스부호(X2B), 콤마(X2C), 마이너스부호(X2D) 및 피리오드(10진 소숫점)(X2E)에 대응하는 엔트리들은 비트 2가 세트된다; 따라서, 2개의 비트가 세트된 엔트리들만이 두종류의 입력에서 허용 가능한 문자(즉, 콤마(X2C), 마이너스부호(또는 하이폰)(X2D) 및 피리오드(또는 10진 소숫점)(X2E)에 대응하는 엔트리들이며, 이들 모두 영문자 입력 및 뉴머릭 입력 모두에 허용 가능하다.
예로서 사용되고 있는 입력 스트림을 오퍼레이터로 하여금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NTD(6-4)는 터미널(14)과 관련된 터미널 제어기(12)에 OK TO SEND PDU를 전송한다. OK TO SEND PDU는 제8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8의 값을 갖는 타입 필드에 의해 식별된다.
이벤트(event) 필드는 (800-1)는 데이타 이벤트(터미널에 그 상태를 보고 하도록 요구하는 신호 이벤트와는 반대되는 이벤트)를 나타낸다.
필드(800-2)는 필드사이즈, 즉 오퍼레이터가 입력할 문자의 수를 명세한다.
모드필드(800-3)는 현재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모드를 명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필드모드에서 실행되므로 필드모드를 명세한다.
프리오더 커서 위치(800-4)는 현재 입력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템플릿"의 처음에 터미널 스크린상에 커서를 배치하며, 템플릿의 구성은 데이타 필드(800-7)와 함께 이후 설명된다.
필드제어워드(88-5)는, 제로가 아닐 경우, 제어문자 또는 특수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고 유효화가 유효화테이블 2에 따라서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서브필드가 0이며, 따라서 유효화는 유효화 테이블 1에 따른다.
데이타 필드(800-7)는 다음의 레전드를 포함한다 :
"City, State, ZIP Code :
Figure kpo00003
"
오퍼레이터가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스크린상에 "템플릿"이 나타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필드(800-4)는 첫번째 밑줄친 위치, 즉 오퍼레이터의 입력이 시작될 위치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었다. 볼 수 있듯이 입력 필드는 3개의 서브필드로 구성되는데, 즉 영문자 데이타가 기대되는 CITY 서브필드, 영문자 데이타가 기대되는 STATE 서브필드, 디지트 데이타가 기대되는 ZIP 서브필드로 구성된다.
이들 서브필드의 명세는 11워드의 사이즈를 갖는 범위 및 속성(RA) 명세필드(800-6)에서 구성된다. 2개의 연속 제로 워드들은 입력 필드의 종료를 나타내며, 따라서 각 서브필드를 명세하는데 1워드가 요구되므로 입력 필드는 최대 9개의 서브필드를 갖는 것으로 제한된다. 서브필드를 명세하기 위한 각 워드는 좌측 바이트에서 서브필드의 범위(사이즈)를 포함하고, 우측 바이트에서 서브필드의 속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그러한 각 워드는 "범위-속성쌍" 또는 "RA쌍"으로 알려져 있다.
속성 바이트는 다음에 기술하는 데이타에 따라서 서브필드상에서 수행될 유효화를 규정한다.
X00 : 유효화 없음.
X10 : 디지트 입력 예상.
X30 : 뉴머릭 입력 예상(디지트, + - , .).
X40 : 영문자 입력 예상(이미 설정된 특정 구두점 포함).
X50 : 알파-디지트 입력 예상(영문자 입력 또는 디지트, 이들의 혼합).
X70 : 알파 뉴머릭 입력 예상(영문자와 숫자 입력, 이들의 혼합).
따라서, 본 예에 대하여 범위 및 속성 스페시파이어 필드 800-6은 다음의 워드를 포함한다.
워드 1 : 좌측 바이트에서 10진수 23(CITY 서브필드의 크기) 및 우측 바이트에서 X40(영문자 유효화를 규정) ;
워드 2 : 좌측 바이트에서 2(STATE 서브필드의 크기) 및 우측 바이트에서 X40(영문자 유효화를 규정) ;
워드3 : 좌측 바이트에서 5(ZIP 서브필드의 크기) 및 우측 바이트에서 X10(디지트 유효화를 규정) ;
워드 4와 5 : 제로, 입력 필드의 끝을 규정 ;
워드 6-11 : 이 경우에는 상관없음.
본 발명의 예를 위하여 오퍼레이트가 도시명을 "So. O'grady"로 타이프하고, 다음에 도시 서브필드를 채우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띄우고 다음에 상태 생략어 "MA", 다음에 ZIP 코드 "1773"을 타이프 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So. O" 대신 "So. )"를 타이프 하는 보통의 인쇄상의 에러를 범했다고 가정한다. 즉 오퍼레이터가 시프트 키이를 누른후 문자 O키이를 누르는 대신 제로키이를 눌러서 영문자 입력으로는 무효한 우측 괄호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한다. 유효화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오퍼레이터가 16진값 53을 갖는 첫번째 문자, 즉 ASCII"S"를 타이프 한다. 이것은 터미널 제어기(12)로 보내지고 터미널 제어기는 유효화 표 1에서 첫번째 디지트가 5가 표의 5행을 선택하고 두번째 디지트 3이 표의 3열을 선택하도록 하는데에 이 문자를 사용한다. 따라서, 규정된 X40의 표엔트리가 검색되고, 역시 X40인 상기 규정된 값(필드 800-6의 워드 1의 우측 바이트)에 대한 속성 바이트와 앤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올바른 유효화를 위한 표준은 상기 앤딩의 결과가 제로가 아니라는 것이다. 즉 X40과 X40을 앤딩하면 X40이 되어 제로가 아니며, 따라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타이프된 "S"는 현재의 서브필드에 대하여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오퍼레이트가 "o"(X6F)를 타이프하면, 유효화표는 6행 F열에서 액세스되어 X40을 만들고, 이는 X40의 속성 바이트와 앤딩될때 X40을 만든다. 이것은 제로가 아니므로 "o"는 현재의 서브필드에 대하여 유효하다.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피리어드(X2E)를 입력한다. 유효화표는 2행 E열에서 액세스되어 X60을 만든다. X60은 속성 바이트 X40과 앤딩되어 X40의 출력을 발생하는데 이 값은 제로가 아니므로 피리어드는 현재의 서브필드에서 유효한 것으로 판명된다.
오퍼레이터는 다음에 스페이스(X20)를 타이프한다. 이것은 X40이 유효화표로부터 검색되게 하며, "S" 및 "o"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유효하다.
가정된 예에서, 오퍼레이터는 그 다음 실수로 우측 괄호(X29)를 타이프한다. 유효화표 1의 2행 9열에서 액세스 하면 X00이 된다. 이것은 X40의 속성 바이트와 앤딩하면 제로가 되어 무효화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터미널에 BELL문자를 출력함으로서 오퍼레이터에게 신호를 보내고 커서를 무효문자의 위치에 정체(back up)시키는 등의 적당한 동작을 취할 수 있다.
기술에 숙련된 사람은 그 종결을 위하여 이 예를 따를 필요가 없이 본 발명의 방법에 관한 다음 사항을 추론할 수 있다.
1. 어떤 제어문자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하면 X00가 유효화표로부터 검색되고 이것은 재인용된 어떤 속성 바이트와 앤딩될때 제로를 만드므로 무효화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제어문자 및 특수문자는 디지트, 숫자, 영문자, 알파 디지트 또는 알파 뉴머릭 서브필드에 대하여 유효하지않다.
2. 어떤 디지트(0-9)를 입력하면 유효화표로부터 X10을 산출한다. 이것은 X40(영문자)을 제외한 어떤 다른 재인용된 속성 바이트와 앤딩될때 제로를 만들지 않는다. 이것, 즉 디지트는 영문자 서브필드를 제외한 어떤 서브필드에 대하여 유효하다.
3. 어떤 문자(A-Z, a-z) 또는 스페이스 또는 어포스트러피를 입력하면 유효화표로부터 X40을 검색한다. X40을 속성 바이트 X40(영문자), X50(알파-디지트) 또는 X70(알파 뉴머릭)과 앤딩하면 제로를 만들지 않고, X10(디지트) 또는 X30(숫자)과 앤딩하면 제로를 만든다. 따라서 상기 문자와 스페이스 또는 어포스트러피는 디지트와 숫자 서브필드를 제외한 다른 서브필드에 대하여 유효하다.
4. 플러스부호(X2B)를 입력하면 유효화표로부터 X20이 검색된다. 전술한 것과 유사한 이유 때문에 플러스부호는 숫자와 알파 뉴머릭 서브필드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5. 콤마, 마이너스부호(하이폰), 또는 피어리드(소숫점)을 입력하면 유효표로부터 X60이 검색된다. 이것은 X10을 제외한 어떤 재인용된 속성 바이트, 즉 디지트를 제외한 어떤 서브필드 타이프에 대하여 유효함을 나타낸다.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유효화표(PROFILE PDU에서) 및 범위-속성쌍(OK TO SEND DPU에서)의 터미널 제어기(12), 즉 단말기에서 가장 근접한 정보위치(the seat of intelligence)에 보내는 것은 가능한한 터미널에서 가까운 입력 필드의 검증을 인에이블 시키는 전송 유효 수단을 구성하며, 이는 단지 2개의 시스템 와이드 데이타를 갖는 유효 필드의 입력이 CPU(2)로부터의 OK TO SEND PDU 및 유효 필드를 포함하는 DATA PDU(설명하지 않았음)를 CPU(2)에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그 취지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 보다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하고자 한다.

Claims (3)

  1.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갖는 CPU(2)와, 디스플레이 수단 및 문자 입력용 키이보드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터미널(14)과 CPU의 포트에 상기 터미널을 동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데이타 전송망을 포함하며, 그 데이타 전송망은 특정 터미널과 통신함과 아울러 보내려하는 또는 상기 특정 터미널로부터 발생한 전송 내용을 다중화 하는 터미널 제어장치(12)를 구비하도록 한 디지탈 데이타 시스템(1)에 있어서, CPU내에서 각각의 특정 터미널로부터의 입력으로서 예상되는 문자의 디스크립션을 터미널 제어장치에 보내는 수단과; 터미널 제어장치내에서 디스크립션을 수신 및 기억하고, 각각의 특정 터미널의 키이보드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수신하며, 터미널의 키이보드로부터 수신된 각 문자를 그 터미널의 표시부에 반향시키고, 대응 디스크립션에 따라 각각의 수신 문자의 유효성을 체크하여 발송 터미널에 무효의 표시를 행하며, 각각의 터미널에서 수신된 유효 문자의 스트링을 조립하고, 대응 디스크립터에 따라 문자의 스트링이 완성되는 때를 결정하며, 완성된 문자 스트링을 CPU에 보내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타 시스템.
  2. 데이타 처리시스템의 입력장치(14, 18)에 입력되는 데이타를 유효화하는 방법으로서 그 데이타는 처리된 데이타 처리 서브시스템(2, 6)에 통신매체(4, LAN매체)를 통하여 전송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매체를 거쳐 서브시스템으로 데이타를 보내도록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매체와 입력장치 사이에 결합된 장치 제어기(10, 12)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 데이타 유효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시스템은 내부에 기억을 위해 상기 제어기에서 수신된 데이타를 유효화하도록 유효화 정보를 상기 매체를 거쳐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며; 상기 유효화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된 데이타를 분석하며; 유효한 것으로 판명된 수신한 데이타를 상기 매체를 거쳐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유효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화 정보는 상기 수신된 데이타의 각 문자를 유효화 하는 테이블과 상기 데이타의 필드를 유효화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90017912A 1988-12-01 1989-12-01 분산형 터미널 드라이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타 처리시스템 KR940001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886288A 1988-12-01 1988-12-01
US278862 1988-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578A KR900010578A (ko) 1990-07-09
KR940001594B1 true KR940001594B1 (ko) 1994-02-25

Family

ID=2306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912A KR940001594B1 (ko) 1988-12-01 1989-12-01 분산형 터미널 드라이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타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71377A3 (ko)
JP (1) JPH02211512A (ko)
KR (1) KR940001594B1 (ko)
AU (1) AU615123B2 (ko)
CA (1) CA2004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7614A (en) * 1990-08-30 1993-09-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processing of display panel information
EP0472829A3 (en) * 1990-08-31 1993-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computer complex and distributed shared data memory
US5295241A (en) * 1990-08-31 1994-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 function key control of scrolling on certain computer workstations
JPH0670781B2 (ja) * 1991-02-14 1994-09-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ワークステーションへの選択フィールド表示装置及び選択フィールド処理装置ならびに処理方法
US5311577A (en) * 1992-03-06 1994-05-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nstructing host access tables for integration of telephony data with data processing systems
US5682169A (en) * 1992-11-13 1997-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ation of single and double digit selection fields in a non-programmable terminal
US5361344A (en) * 1993-01-29 1994-11-01 Unisys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via a block mode terminal, UNIX programs for a character mod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5228A (en) * 1979-10-31 1981-06-02 Hitachi Ltd Data input device
GB8304950D0 (en) * 1983-02-22 1983-03-23 Int Computers Ltd Data communication systems
US4787028A (en) * 1985-09-03 1988-11-22 Ncr Corporation Multicommunication protocol controller
JPS62113224A (ja) * 1985-11-12 1987-05-25 Nec Corp キ−ボ−ドデ−タ入力装置
US4941089A (en) * 1986-12-12 1990-07-10 Datapoint Corporation Input/output network for compu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558989A (en) 1990-06-07
JPH02211512A (ja) 1990-08-22
CA2004254A1 (en) 1990-06-01
AU615123B2 (en) 1991-09-19
KR900010578A (ko) 1990-07-09
EP0371377A3 (en) 1992-04-29
EP0371377A2 (en) 199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5907B2 (ja) コマンド言語判定方法及びシステム
US57872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nodes
US5550957A (en) Multiple virtual printer network interface
US6112264A (en) Computer interconnection system having analog overlay for remote control of the interconnection switch
CA2409057C (en) Network based kvm switching system
US5835791A (en) Versatile connection of a first keyboard/mouse interface and a second keyboard/mouse interface to a host computer
US4604710A (en) System for converting data processing information to text processing format and vice versa
US4896289A (en) Expansion interface board system for connecting several personal computers to an electronic typesetter connected to a host personal computer
US5694541A (en) System console terminal for fault tolerant computer system
US3980994A (en) Text editing and display system having text insert capability
JPS6029421B2 (ja) デ−タ処理端末装置
KR940001594B1 (ko) 분산형 터미널 드라이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타 처리시스템
US65124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figuring device using device code
US4951245A (en) Network terminal driver communications subsystem
KR0142163B1 (ko) 문자 코드 변환 장치
US7180504B2 (en) Keyboard matrix data transfer
JP3554600B2 (ja) プリンタ仕様取得システム
EP0076902B1 (en) System for converting data processing information to text processing format and vice versa
JPS6386638A (ja) 異機種コンピユ−タ対応型端末システム
US75621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mpletion of building a presentation space in a TN3270 environment
US114552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physical-keyboard signal
SE439867B (sv) Forfarande for anvendning i ett radiofrekvenstransmissionssystem for digitala data med en basstation och ett flertal mobilstationer samt radiofrekvenstransmissionssystem for digitala data
US3612844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KR920004770B1 (ko) 컴퓨터용 프로토콜(protocol)컨버터의 시스템
JPH0224184A (ja) プリン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