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98B1 - 냉음극 방전관 - Google Patents

냉음극 방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98B1
KR940001498B1 KR1019910016820A KR910016820A KR940001498B1 KR 940001498 B1 KR940001498 B1 KR 940001498B1 KR 1019910016820 A KR1019910016820 A KR 1019910016820A KR 910016820 A KR910016820 A KR 910016820A KR 940001498 B1 KR940001498 B1 KR 94000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charge tube
cold cathode
cathode discharg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789A (ko
Inventor
박종호
이계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6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498B1/ko
Publication of KR93000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Landscapes

  • Discharge Lamp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음극 방전관
제1도는 종래 냉음극 방전관을 개략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음극 방전관을 개략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발광관 12 : 전극
12a : 제1전극 12b : 제2전극
13 : 리드선
본 발명은 냉음극방전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극의 저온발광특성을 개량함으로써 최대의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된 냉음극방전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음극방전관은 열발생은 적으나 조도가 낮아 조명용으로는 부적합하여 네온등과 같은 광고용이나 자동차의 실내조명, 투과형 액정패널의 조명용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냉음극방전관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재로 된 발광관(1)의 내부 양단에 각각 전극(2)이 설치되고, 상기 각 전극(2)에서는 이들에 전압을 인가하는 리드선(3)이 발광관(1)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음극방전관은 상기 각 리드선(3)을 통해 각 전극(2)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양전극 사이에서 글로우방전이 발생되어 발광관(1)이 발광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방전의 밝기는 전극(2)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따라서 발광휘도를 높이기 위해 전극(2)에 비교적 큰 전류를 통전시킬 경우에는 냉음극의 대형화가 불가피하게 되며, 큰 전류를 수용함에 따라 전극(2)의 수명이 저하될 뿐아니라 최악의 경우 전극(2)의 온도가 상승되어 방전 필라멘트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냉음극 방전관은 주위온도에 의해 발광휘도 및 소비전력에 큰 차이를 갖게 되는데, 이는 전극 주위의 온도가 낮을수록 전자방출이 원활치 못하고, 전극의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히 영하의 기온을 갖는 곳에서는 발광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극의 저온발광특성을 개량하여 주위온도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최대의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된 냉음극방전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은 전류를 사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전극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된 냉음극방전관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재로 된 발광관과, 상기 발광관의 내부 양단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전극과, 상기 각 전극으로부터 발광관의 외부로 인출되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리드선을 구비하여 된 냉음극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상대적으로 저항이 작은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저항이 큰 제2전극을 구비하여 상기 발광관 내부의 전극주위 온도를 소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먼저 상대적으로 저항이 작은 각 제1전극에 통전되며 이에 의해 전극주위의 온도가 소정온도로 상승함에 따라 이의 저항이 증가하여 제2전극보다 그 저항이 커지게 되면 전류는 제2전극쪽으로 통전되게 된다. 따라서 전극주위의 온도가 소정온도로 유지됨으로써 전자방출이 원활해져 주위의 온도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최대의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음극방전관을 개략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음극방전관은, 유리재로 형성된 발광관(11)의 내부 양단에 각각 전극(12)이 설치되는데 이는 전압을 공급하는 리드선(13)과 용접되는 제1전극(12a)과, 상기 리드선(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1전극(12a)의 둘레에 코팅(Coating)되어 형성되는 제2전극(12b)으로 이루어지되, 각 전극(12)이 상호 대향되는 면은 각각의 제1,2전극(12a)(12b) 모두 상기 발광관(11)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12a)의 저항은 제2전극(12b)의 저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음극방전관은, 상기 각 리드선(13)을 통하여 전압이 인가되면, 먼저 상대적으로 저항이 작은 제1전극(12a)에 전류가 통전되어 이의 온도가 상승하여 전극(12)주위의 온도가 소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제1전극(12a)의 저항이 온도상승에 따라 증가하여 제2전극(12b)의 저항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전류는 제2전극(12b)쪽으로 통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전극(12a)(12b)의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에 의해 전류의 통전방향이 바뀌어짐에 따라 전극(12)주위의 온도를 소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극(12)주위의 온도가 소정온도로 유지됨에 따라 전자방출이 원활해져 주위의 온도에 구애받지 않고 최대의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극(12)에 인가되는 전압을 고정하게 되면 전극(12)의 온도상승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므로 오옴의 법칙에 의해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냉음극방전관의 주위 온도가 25℃에서 측정한 발광휘도가 9,000cd/㎡이었던 것이 전극주위의 온도를 40℃∼70℃로 상승시킨 후 측정하였더니 12,500cd/㎡으로 상승되었고, 전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저항값에 의해 변하겠지만, 대략 초기에 12V 0.22A였던 것이 일정시간 경과 후 0.17A∼0.18A로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음극방전관의 주위온도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최대의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고, 적은 소비전력으로 작동됨에 따라 전극의 수명이 연장되며 이를 통해 냉음극방전관을 조명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케 될 뿐 아니라 에너지 절약 및 신뢰성이 한층 향상된 제품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유리재로 된 발광관과, 상기 발광관의 내부 양단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전극과, 상기 각 전극으로부터 발광관의 외부로 인출되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리드선을 구비하여 된 냉음극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전극(12)이, 상대적으로 저항이 작은 제1전극(12a)과, 상기 제1전극(12a)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저항이 큰 제2전극(12b)을 구비하여, 상기 발광관(11)내부의 전극(12)주위 온도를 소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방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전극(12a) 및 제2전극(12b)이, 상호 대향되는 부위는 상기 발광관(11)내부 공간에 각각 노출되고 이들이 동시에 리드선(13)에 접속되어 제1전극(12a) 및 제2전극(12b)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변화에 의해 통전방향이 바뀌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방전관.
KR1019910016820A 1991-09-26 1991-09-26 냉음극 방전관 KR94000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820A KR940001498B1 (ko) 1991-09-26 1991-09-26 냉음극 방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820A KR940001498B1 (ko) 1991-09-26 1991-09-26 냉음극 방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789A KR930006789A (ko) 1993-04-21
KR940001498B1 true KR940001498B1 (ko) 1994-02-23

Family

ID=1932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820A KR940001498B1 (ko) 1991-09-26 1991-09-26 냉음극 방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4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789A (ko)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3217C1 (ru) Газоразрядный прибор излучения
KR20010110337A (ko) 형광 램프, 방전 램프 및 이를 조립한 액정용 배면광 장치
US5309061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having incandescent lamp starting aid
US5066892A (en) Glow discharge lamp with incandescent filament
KR940001498B1 (ko) 냉음극 방전관
KR100705631B1 (ko) 외부 전극 형광램프
US4983888A (en) Fluorescent lamp device
US6097152A (en) Composite discharge lamp having center, arc electrodes coated for electron emission
US7129625B2 (en) Protected lamp device
EP0378338B1 (en) Discharge tube
KR100228644B1 (ko) 형광등 및 그 점등회로
US6552497B2 (en) Light bulb type fluorescent lamp lighting apparatus
US3961222A (en) Sodium vapor lamp configuration
EP0713608B1 (en) A gas discharge lamp
KR900006149B1 (ko) 저압 방전등
KR200293820Y1 (ko) 냉음극방전관
JPH024097B2 (ko)
EP0577275A1 (en) Fluorescent lamp
JPH04501485A (ja) カソード上に2つの過熱点を発生するサーマルスイッチを備えたグロー放電ランプ
JPH07272674A (ja) 熱陰極放電管並びに熱陰極蛍光ランプ及びそれらの点灯装置
JPH04501484A (ja) 3状態サーマルスイッチとそれを含む予熱型ランプ
JPH08298096A (ja) 低圧放電灯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WO1989002160A1 (en) Hot cathode type low pressure rare gas discharge lamp
KR200216978Y1 (ko) 예열 구조를 지니는 수은램프
JPH0896746A (ja) ネオングロー放電灯、ネオングロー放電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