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37B1 -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37B1
KR940001437B1 KR1019910015476A KR910015476A KR940001437B1 KR 940001437 B1 KR940001437 B1 KR 940001437B1 KR 1019910015476 A KR1019910015476 A KR 1019910015476A KR 910015476 A KR910015476 A KR 910015476A KR 940001437 B1 KR940001437 B1 KR 94000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composite
unit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288A (ko
Inventor
박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1001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437B1/ko
Publication of KR93000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제1도는 종래의 아날로그 TV에서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더블필드 디지탈 TV에서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 : 클램핑부 105,117 : 매트릭스부
106,111 : 혼합기 108 : 평행변조기
112 : 선택부 119 : 2배 동기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더블필드 디지탈 TV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색신호를 2배로 주사가능하도록 변환처리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을수 있게하는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TV나 디지탈 TV에는 안테나에 잡힌 방송전파를 화면상에 화상으로 재현기능은 물론, 퍼스널 킴퓨터나 게임팩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부신호를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제1도는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아날로그 TV에서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는 튜너부(1)와, 중간주파신호로부터 복합영상신호를 분리해내는 영상검파부(2)와, 외부기기로부터 색신호(R,G,B) 복합동기신호, 귀선소거신호들이 입력되게하는 커넥터(3)와, 커넥터(3)로부터의 귀선소저신호에 따라 영상검파부(2)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나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복합동기신호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선택부(4)와, 선택부(4)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해내는 휘도/색신호 분리부(5)와, 분리되어진 색신호에서 색차신호(R-Y)(B-Y)를 추출해내는 색복조부(6)와, 휘도/색신호 분리부(5)에서 출력된 휘도신호와 색복조부(6)에서 출력된 색차신호를 매트릭스로 혼합하여 원색신호(R1,G1,B1)를 만들어내는 매트릭스부(7)와, 커넥터(3)로부터의 귀선소거신호에 따라 매트릭스부(7)에서 출력된 원색신호(R1,G1,B1)나 커넥터(3)로부터 인가되는 외부색신호(R,G, B)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색신호선택부(8)와, 선택부(4)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나 복합동기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믈 분리해내는 동기분리부(9)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한 톱니파형의 수평편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편향부(10)와, 수직동기신호에 동기한 톱니파형의 수직편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직편향부(11)와, 색신호 선택부(8)에서 출력된 색신호(R2,G2,B2)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평향신호에 따라 화면에 주사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컬러수상관(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는 수신안테나에서 잡힌 전파를 튜너부(1)에서 중간주파신호를 변환하고, 영상검파부(2)에서는 상기 중간주파신호를 증폭한 후 복합영상신호를 분리하여 선택부(4)로 인가하게 된다.
이때, 커넥터(3)를 통해 입력되는 귀선소거신호가 저전위상태이며, 커넥터(3)를 통해서는 외부색신호(R,G,B) 및 복합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상기 선택부(4)에서는 영상검파부(2)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를 그대로 휘도/색신호 분리부(5)와 동기분리부(9)로 출력하게 된다.
동기분리부(9)에서는 입력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진폭 분리한 후 이 동기신호의 파형을 정형및 증폭하고, 다시 주파수 분리를 통해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해내게되며, 수평편향부(10)와 수직편향부(11)에서는 상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이에 동기한 수평편향신호와 수직편향신호를 발생시킨 후 컬러수상관(12)의 편향코일로 인가하여 전자빔이 편향되도록 한다.
선택부(4)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는 휘도/색신호 분리부(5)에서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되고, 색신호는 색복조기(6)에서 원래의 색차신호(R-Y)(B-Y)로 변환되며, 분리된 휘도신호와 상기 색차신호(R-Y)(B-Y)는 매트릭스부(7)에서 혼합되어 컬러수상관(12)에서 필요로 하는 원색신호(R1,G1,B1)로 변환되어진다.
색신호 선택부(8)에서는 귀선소거신호가 저전위상태이므로 매트릭스부(7)에서 출력된 색신호(R1,G1,B1)를 그대로 컬러수상관(12)으로 출력하게되고, 수평 및 수직편향신호에 의해 컬러수상관(12)의 화면상에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화상이 나타나게 된다.
한편, 커넥터(3)를 통해 입력되는 귀선소거신호가 고전위상태일 경우에는 커넥터(3)를 통해 외부색신호(R,G,B)와 복합동기신호가 입력되므로 선택부(4)에서는 복합동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복합동기신호는 동기분리부(9)에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로 분리되고. 각각 수평편향부(10)와 수직편향부(11)로 인가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 및 수직편향신호로 만들어지며, 귀선소거신호가 고전위상태이므로 색신호선택부(8)에서는 커넥터(3)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색신호(R,G,B)를 컬러수상관(12)으로 출력시키게되고,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복합동기신호에 발생되어진 편향신호에 의해 화면상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어진 화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색신호와 복합동기신호는 통상적인 TV에 적합한 50Hz(60Hz)의 수직주파수와 15.734KHz(15.625KHz)의 수평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2배의 주파수를 요구하는 더블필드 디지탈 TV에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더블필드 디지탈 TV에서는 100Hz(120Hz)의 수직주파수와 31.5KHz(31.25KHz)의 수평주파수로 전자빔을 편향하므로 컬러수상관에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1/2배의 주파수를 가지는 색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편향주파수가 맞지않아 화면에 화상이 나타나지 않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색신호가 입력될때 2배의 주파수로 입력되지 않더라도 2배 주사가 가능하게 하여 외부화상이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은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색신호를 매트릭스로 합성하여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를 만들어내고, 휘도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된 복합동기신호와 혼합하며 복합휘도신호 만들며, 색차신호는 부반송파 발생부에서 만들어진 색부반송파로 평형변조한 후 합성하여 색신호로 만들고, 고조파성분이 제거된 이 색신호와 상기 색신호와 위상을 맞추기 위해 지연시킨 복합휘도신호를 서로 합성하여 복합영상신호로 만들어 귀선소거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색신호에 의한 복합영상신호와 방송채널을 통한 복합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처리되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더블필드 디지탈 TV에서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튜너부(101)와, 중간주파신호로부터 복합영상신호를 분리해내는 영상검파부(102)와, 외부기기로부터 색신호(R',G',B'), 복합동기신호, 귀선소거신호들이 입력되게 하는 커낵터(103)와, 커넥터(103)를 통해 입력된 외부색신호(R',G',B')를 각각 클램핑(Clamping)하는 클램핑부(104)와, 클램핑되어진 색신호(R',G',B')로부터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R-Y)'(B-Y)'를 만들어내는 매트릭스부(105)와, 매트릭스부(105)에서 출력된 휘도신호(Y')와 커넥터 (103)를 통해 입력된 복합동기신호를 합성하여 복합휘도신호(Y″)를 만들어내는 혼합기(106)와, 커넥터 (103)를 통해 입력된 복합동기신호를 합성하여 복합휘도신호(Y″)를 만들어내는 혼합기(106)와, 커넥터(103)로부터의 귀선소거신호에 따라 색부반송파를 발생시키는 부반송파 발생부(107)와, 매트릭스부(105)에서 출력된 색차신호(R-Y)'(B-Y)'를 상기 색부반송파로 평형변조(Balanced Modulation)한후 합성하여 색신호(C')를 만들어내는 평형변조기(108)와, 평형변조된 색신호(C')로부터 고조파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109)와, 혼합기(106)에서 출력된 복합휘도신호(Y″)를 저역통과필터 (109)에서 출력된 색신호(C″)의 위상에 맞출수 있도록 지연시키는 지연부(110)와, 지연되어진 휘도신호(Y″')와 저역통과필터(109)에서 출력된 색신호(C″)를 합성하여 복합영상신호를 만들어내는 혼합기(111)와, 커넥터(103)로부터의 귀선소거신호에 따라 영상검파부(102)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나 혼합기(111)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선택부(112)와, 선택부(112)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3)와, 디지탈 변환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DY)와 색차신호(DU,DV)를 분리해내는 디지탈 처리부(114)와, 디지탈 처리부(114)의 출력신호(DY,DU,DV)를 저장하였다가 2배의 주파수를 갖는 휘도신호(DY″)와 색차신호(DU',DV')로 출력하는 메모리부(115)와, 메모리부(115)의 출력신호(DY',DU',DV')를 2배의 대역폭을 갖는 아날로그신호(Y,U,V)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16)와,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U,V)를 매트릭스로 혼합하여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2배의 대역폭을 갖는 원색신호(R,G,B)를 만들어내는 매트릭스부(117)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3)에서 디지탈 변환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해내는 동기분리부(118)와, 상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를 2배로 만들어주는 2배 동기신호 발생부(119)와, 2배 동기신호 발생부(119)의 출력신호(HS2)(VS2)에 동기한 수평편향신호와 수직편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편향부(120) 및 수직편향부(121)와, 매트릭스부(117)에서 출력된 색신호(R,G,B)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편향신호에 따라 화면에 주사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컬러수상관(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는 안테나에 수신된 고주파를 튜너부(101)에서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고, 영상검파부(102)에서 증폭한 후 복합영상신호를 분리하여 선택부(112)로 인가하게 된다.
이때 커넥터(103)를 통해 입력되는 귀선소거신호가 저전위상태이면, 커넥터(103)를 통해서는 외부색신호(R',G',B') 및 복합동기신호와 입력되지 않으므로 상기 선택부(112)에서는 영상검파부(102)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를 그대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3)로 출력하게 되고, 부반송파 발생부(107)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3)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진 복합영상신호는 디지탈 처리부(114)에서 휘도신호(DY)와 색차신호(DU,DV)로 분리되어 메모리부(115)에 저장되어진다.
메모리부(115)에서 출력된 휘도신호(DY')와 색차신호(DU',DV')는 입력신호의 2배 주파수를 갖게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16)에서 통상적인 아날로그 TV의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보다 2배의 대역폭을 갖는 아날로그 신호(Y,U,V)로 변환된 후, 매트릭스부(117)에서 혼합되어 2배의 주파수로 변환된 원색신호(R,G,B)로 출력되어진다.
동기분리부(118)에서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3)에서 디지탈 변환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15.625KHz 또는 15.734KHz)와 수직동기신호(50Hz 또는 60Hz)를 각각 분리해내게되고, 이 신호들은 2배 동기신호 발생부(119)에서 31.25KHz 또는 31 5KHz의 수평동기신호와 100Hz 또는 120Hz의 수직동기 신호로 변환되어진다.
수평편향부(120)와 수직편향부(121)에서는 상기 2배 주파수를 갖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이에 동기한 수평편향신호와 수직편향신호를 발생시킨 후 컬러수상관(122)의 편향코일로 인가하여 전자빔이 편향되도록하고, 이때 컬러수상관(122)에는 매트릭스부(117)에서 출력된 색신호(R,G,B)가 인가되므로 화면상에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화상이 2배의 해상도로 나타나게 된다.
한편, 커넥터(103)를 통해 입력되는 귀선소거신호가 고전위상태이면, 커넥터(103)를 통해 외부색신호(R',G',B')와 복합동기신호가 함께 입력된다.
외부색신호(R',G',B')는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기 전에 기준레벨을 맞출수 있도록 클램핑부(104)에서 각기 클램핑되어지고, R클램핑부(CR), G클램핑부(CG), B클램핑부(CB)에서 각각 출력되어진 색신호는 매트릭스부(105)에서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R-Y)'(B-Y)'로 변환되며, 상기 휘도신호(Y')는 혼합기(106)에서 커넥터(103)를 통애 입력된 복합동기신호와 합성되어 복합휘도신호(Y″)로 만들어진다.
매트릭스부(105)에서 출력된 색차신호(R-Y)'(B-Y)'에는 색부반송파 성분이 포함되어있지 않으므로 이를 만들어주어야 하는데, 커넥터(103)를 통해 입력된 귀선소거신호가 고전위상태이므로 발진회로인 부반송파 발생부(107)가 동작하여 소정주파수(fsc)의 색부반송파를 발생시키게되고, 평형변조기(108)에서는 매트릭스부(105)에서 출력된 색차신호(R-Y)'(B-Y)'를 상기 색부반송파로 각각 평형변조한 후 합성하여 색신호(C')를 만들어내며, 저역통과필터(109)에서는 상기 평형변조시 생기는 고조파성분을 제거하여 베이스밴드(Base Band)의 색신호(C″)를 혼합기(111)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혼합기(106)에서 출력된 복합휘도신호(Y″)는 저역통과필터(109)를 거친색신호(C″)와 위상을 맞추기 위해 지연부(110)에서 소정시간동안 지연된 후 혼합기(111)로 인가되고, 저역통과필터(109)로부터 인가되어진 색신호(C″)와 합성하여 복합영상신호가 된다.
이 복합영상신호는 선택부(112)로 인가되는데, 귀선소거신호가 고전위상태이므로 선택부(112)에서는 상기혼합기(111)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게되고, 이신호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3)에서 디지탈 변환된 후 디지탈 처리부(114)에서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변환되고, 메모리부(115),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116), 매트릭스부(117)를 차례로 거침으로써 2배의 대역폭을 갖는 아날로그 색신호가 되어 컬러수상관(122)으로 출력되어진다.
그리고, 동기분리부(118)에서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3)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게되고, 이신호들은 2배 동기신호 발생부(119)와 수평 및 수직편향부(120)(121)를 거침으로써 2배 주파수의 수평편향신호와 수직편향신호가 되어 컬러수상관(122)으로 인가되어진다.
그러므로, 컬러수상관(122)의 화면상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어진 화상이 2배의 해상도로 나타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더블필드 디지탈 TV로 입력되는 외부색신호를 2배로 주사가능하도록 변환처리함으로써 외부색신호가 2배의 주파수로 입력되지 않더라도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기존의 외부색신호 입력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택부(112)에서 출력되어진 외부색신호에 의한 복합동기신호나 방송채널을 통한 복합영상신호를 2배의 대역폭을 갖는 색신호로 디지탈 처리하고, 2배 주파수의 수평 및 수직편향신호에 따라 컬러구상관(12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된 더블필드 디지탈 TV에 있어서, 커넥터(103)를 통해 입력된 외부색신호를 각기 클랭핑하는 클램핑부(104)와, 클램핑되어진 색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를 만들어내는 매트릭스부(105)와, 매트릭스부(105)에서 출력된 휘도신호와, 커넥터(103)를 통해 입력된 복합동기신호를 합성하여 복합휘도신호를 만들어내는 혼합기(106)와, 커넥터(103)로부터의 귀선소거신호에 따라 색부반송파를 발생시키는 부반송파 발생부(107)와, 매트릭스부(105)에서 출력된 색차신호를 상기 색부반송파로 평형변조한후 합성하여 색신호를 만드는 평형변조기(108)와, 평형변조된 색신호로부터 고조파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109)와, 저역통과필터(109)에서 출력된 색신호의 위상에 맞출수 있도록 혼합기(106)에서 출력된 복합휘도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부(110)와, 지연된 휘도신호와 저역통과필터(109)를 거친 색신호를 합성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선택부(112)로 출력하는 혼합기(1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KR1019910015476A 1991-09-05 1991-09-05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KR94000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476A KR940001437B1 (ko) 1991-09-05 1991-09-05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476A KR940001437B1 (ko) 1991-09-05 1991-09-05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288A KR930007288A (ko) 1993-04-22
KR940001437B1 true KR940001437B1 (ko) 1994-02-23

Family

ID=1931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476A KR940001437B1 (ko) 1991-09-05 1991-09-05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4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288A (ko) 199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8711A (en) Technique for generating semi-compatible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s for transmission over two cable tv channels
JP2950503B2 (ja) Pcモニタ兼用のマルチ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2237280A (ja) 標準/高品位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H05244603A (ja) 高精細度カラーテレビジョンと従来方式のカラーテレビジョンとの間に両立性を与える技術
US5729300A (en) Double-screen simultaneous viewing circuit of a wide-television
US4630099A (en) Time multiplexing chrominance information for compatible high-definition television
US4608594A (en) Television receiver using non-interlaced scanning format with motion compensation
KR19990081322A (ko) 퍼스널 컴퓨터와 텔레비전의 인터페이스 장치
KR940001437B1 (ko)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JPS5830790B2 (ja) カラ−テレビジヨンシステム
US5268756A (en) Generation of synchronization samples for a digital PAL signal
EP0510973A1 (en)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166780A (en) Apparatus for showing a digitized NTSC-encoded video
US3294898A (en) Compatible color television
WO1990009080A1 (en) Enhanced televis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3603724A (en) Color television conversion apparatus
KR940004556B1 (ko) Rgb신호 처리회로
KR910007204B1 (ko) 텔레비젼신호 처리장치
KR940007547B1 (ko) 티브이 2화면 장치
JP2525431B2 (ja) Rgbマルチ端子入力対応型順次走査変換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60016593A (ko) 티브이의 자화면 화질 보상 회로
KR100343671B1 (ko) 팔프러스(pal+)티브이의헬퍼잡음보상회로
KR960010676Y1 (ko) 티브이의 알지비신호 출력장치
RU2094953C1 (ru) Мониторный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Mäusl Refresher Topics− Television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