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314Y1 -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 - Google Patents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314Y1
KR940001314Y1 KR9208892U KR920008892U KR940001314Y1 KR 940001314 Y1 KR940001314 Y1 KR 940001314Y1 KR 9208892 U KR9208892 U KR 9208892U KR 920008892 U KR920008892 U KR 920008892U KR 940001314 Y1 KR940001314 Y1 KR 940001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re
lantern
low pass
ampl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8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6024U (ko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용 filed Critical 박성용
Priority to KR9208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314Y1/ko
Publication of KR930026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6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3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랜턴의 송신기에서 송출된 화재경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수신기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의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화재경보용 무선 송신기의 상세회로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한 화재경보용 무선 수신기의 상세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랜턴 5 : 라이트
8 : 열감지센서 10 : 송신안테나
20 : 무선수신기 21 : 수신안테나
100 : 무선 송신기
본 고안은 비상라이트용의 단일목적으로 밖에 이용할 수 없는 기존의 랜턴에다 화재감지 및 경보벨로 이루어진 화재 경보장치를 설치함으로서 화재경보장치가 되어 있지 않는 기존 건물 밀집된 재래상가 또는 일반가정집등에서 화재가 발생시 갑자기 상승되는 열을 감지하여 경보벨을 울리게하여 불의의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경보장치를 한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송신기를 랜턴에 장착하여 화재 발생시 무선으로 송신하고, 수신기에서는 이를 원격으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초기단계에서 감지 할 수 있도록한 무선화재 무선화재 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신축되는 건물이나 고층건물에는 건물의 천장이나 벽등에 화재경보기를 설치하게 되므로 화재발생기 화재경보기의 작동에 의하여 화재발생을 곧 알 수 있게 되므로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겠으나 시공된지 오래된 기존의 건물이나 밀집된 재래 상가 또는 일반가정집에는 화재경보기가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화재발생시 불이 상당히 번진 후에야 대피하거나 전화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막대한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입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를 어느정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56922호에는 기존의 랜턴에다 화재경보기를 설치하여 비상라이트의 목적외에 화재감시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화재경보기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가 정등의 화제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화재경보장치를 갖는 랜턴이 기술되어 있는바, 렌턴자체에만 경보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지하실등과 같은 곳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준의 랜턴에다 무선 화재경보기를 설치하여 비상라이트의 목적외에 무선방식으로 감지하도록 한 무선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와,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라이트 회로 및 회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온도감지회로를 구비한 랜턴으로서, 이는 화재발생시 온도감지회로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와, 이렇게 발생된 펄스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부와, 증폭된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필터와, 저역통과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랜턴 내부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와, 이 송신기에서 출력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는 제2 증폭부와, 증폭된 신호중에서 송신기의 저역필터에서 발생된 주파수와 동일한 신호만을 저역필터와, 저역필터링된 주파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전압변화부와, 상기의 전압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출력증폭부, 및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시각적, 청각적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경보발생부로된 무선 수신기로 구성시켜서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1)의 사시도인바, 이 랜턴(1)은 그의 내부에 충전가능한 축전지(도시하지 않았음)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랜턴(1)의 일측은 전원플러그(2)을 꽃을 수 있는 단자(3)가 설치되어 있고, 그의 상측에는 랜턴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원스위치(4)가 장착되고, 그의 전방에는 물체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램프(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램프(5)는 축(6)을 중심으로 화살표방향(A)으로 상·하 이동자재한다.
그리고, 랜턴(1)에는 랜턴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7)가 설치되며, 또한 이후 상술하는 바와같이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센서(8)가 설치되어 있다.
화재발생시 열감지센서(8)가 동작하면 이후 상술하는 바와같이 화재경보신호는 스피커(9)가 작동시킴과 동시에 안테나(10)를 통해 무선 주파수신호로서 제2도에 도시한 무선수신기(20)에 제공될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랜턴(1) 내부에 장착된 송신기(제3도 참조) 안테나(10)에서 발생된 무선화재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무선수신기(20)를 표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수신안테나(21)는 제1도의 송신안테나(10)에서 전송된 주파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22는 스피커(23)의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고, 24는 시각적인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이며, 25는 온/오프스위치를 표시한다. 이 수신기(20)는 사용자가 편리한곳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가정집의 경우 랜턴(1)은 지하실등에 위치되고, 수신기(20)는 안방등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랜턴(1)은 주방의 조리기구 근처에 위치되어 주부가 요리를 하다가 자리를 비웠을 때 화재가 발생될 경우 이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다른 랜턴(1)내부의 회로 구성도인바, 우선, 축전지(30)를 충전시킬 경우 플러그(2)를 통과한 교류전원은 트랜스포머(31)를 통해 정류회로(3)에 제공된다.
이 정류회로(32)에서 정류된 직류전원은 콘덴서(33)에 의해 평활된 뒤 릴레이코일(34A)에 흐르게되는데, 이 경우 릴레이스위치(34B)는 ⓐ-집점에 위치된다. 그리고, 정류회로(32)에서 발생된 직류전압신호는 트랜지스터(35)를 통해 릴레이스위치(34B)의 ⓐ-접점을 경유하여 축전지(30)에 충전된다.
제3도에서 제너다이오드(36), 가변저항(37), 트랜지스터(38), 및 트랜지스터(35)는 정전압회로를 형성하고, 저항(39,40,41)과 트랜지스터(42,43)는 충전회로를 구성한다.
예컨대 축전지(30)의 충전시 저항(41)을 경유한 전압이 트랜지스터(43)을 턴온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7A)가 작동하여 충전상태를 표시하지만, 축전지(30)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경우에는 저항(39)에 의한 바이어스전압이 증가되어 트랜지스터(42)가 턴온됨으로써 트랜지스터(43)는 오프되고, 이에따라 발광다이오드(7A)의 동작은 정지된다.
한편, 교류전원이 오프될 경우 릴레이(34A)에는 전류가 흐르진 않게되므로 이때 릴레이스위치(34B)는 ⓑ-접점에 위치되므로 축전지(30)에서 발생된 전원은 랜던전원스위치(4)에 인가된다.
만약에 랜턴스위치(4)가 온되면 램프(5)와 발광다이오드(7B)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이들은 모두 작동된다.
그런데, 제3도에 도시한 열감지센서(8)는 온도가 소정온도 보다 낮을경우에는 그의 저항값이 증가하고, 온도가 높을경우에는 그의 저항값이 작아지는 부성저항 특성을 갖는바, 랜턴(1)이 위치된 곳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트랜지스터(44)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은 낮아지고, 화재발생에는 감지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트랜지스터(44)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44)의 베이스단자의 전압(Vb)은
··········· (I)
가 된다. 여기에서 R8은 열감지센서(8)의 저항값을 표시한다.
상기의 식(I)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 열감지센서(8)의 저항 값(R8)은 커지게되므로 전압(Vb)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되어 트랜지스터(44)는 턴온되지 못한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열감지센서(8)의 저항 값(R8)이 낮아지게되므로 전압(Vb)은 상승되어 트랜지스터(44)를 턴온시킨다.
트랜지스터(44)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47)역시 턴온되는바, 이때 송신기(100)와 벨회로(9)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이후 상술하는 바와같이 무선 주파수신호를 제1도에 도시한 안테나(10)를 통해 송출함과 동시에 벨회로(9)가 작동하여 청각적인 경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하 무선 송신기(100)는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무선송신기(100)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인바, 제3도에 도시한 트랜지스터(47)가 동작하여 A-점에 전압신호가 인가되면, 수정발진자(101), 트리머콘덴서(102), 콘덴서(103) 및 저항(104)으로된 발진회로에서는 소정의 주파수신호를 발생시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05)의 입력단자(IN)에 제공하는바, 이 경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05)의 출력단자(OUT)에서는 주기적인 펄스신호가 출력되어 저항(106)을 경유하여 연산 증폭기(107)에 제공된다. 그러면 연산증폭기(107)는 저항(108)에 의한 증폭도를 결정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05)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콘덴서(109)와 저항(110)으로된 고역필터를 경유하여 연산증폭기(11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콘덴서(112), 저항(113,114)을 포함하는 저역필터와 콘덴서(109), 저항(110)으로되 고역필터는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여파된 주파수 신호는 연산증폭기(111)에 의해 증폭된 다음, 증폭기(115)에 의해 2차 증폭되어 출력부(116)를 경우하여 안테나(10)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이렇게 안테나(10)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 주파수 신호를 신호는 제5도의 수신기 회로에 입력되는바, 여기에서 수신기 회로는 사용자가 보관하기에 용이한 장소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신기의 안테나(10) 송출된 고주파 신호는 수신기(20)의 안테나(21)를 통해 전치 증폭기(201)에 입력되어 증폭된 뒤 저항(202,203)과 트랜지스터(204,205)로된 증폭기에서 다시한번 증폭된 뒤 고역필터를 구성하는 콘덴서(206)와 저항(207)를 통해 연산증폭기(208)의 비반전입력 단자에 제공되는바, 여기에서 콘덴서(209)와 저항(210,211)은 저역필터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저역필터는 제4도에서 방출된 주파수만을 검출하는 역활을 하게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할 수가 있다.
어렇게 검출된 신호는 증폭기(208)에 의해 증폭된 뒤 주파수 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화시키기 위한 주파수/전압 변화기(212)에 입력되는바, 주파수/전압 변환기(212)는 저항(213)과 콘덴서(214)와의 작용에 의해 주파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데,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레벨이 낮을 경우에는 낮은 전압 출력을 발생시키고,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레벨이 높을 경우에는 높은 전압 출력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전압신호는 저항(215,216)과 연산증폭기(217)로된 증폭회로에서 증폭된 뒤 발광다이오드(24)와 스피커(23)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존의 랜턴에다 비상라이트의 목적외에 화재발생시 초기에 이를 감지하는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화재 경보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일반가정집등의 화재를 조기에 발견하여 막대한 재산손실과 인명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와,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라이트 회로 및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온도감지회로를 랜턴에 있어서, 상기의 화재발생시 온도감지회로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펄스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부와, 상기의 증폭된신호중에거 저역 성분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필터와, 상기의 저역통과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상기의 랜턴 내부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와, 상기의 송신기에서 출력된 주파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는 제2 증폭부와, 상기의 증폭된 신호중에서 송신기의 저역필터에서 발생된 주파수와 동일한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필터, 상기의 저역필터링된 주파수/전압신호와, 상기의 전압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출력증폭부, 및 상기의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시각적, 청각적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경보 발생부로된 무선 수신기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
KR9208892U 1992-05-22 1992-05-22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 KR940001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8892U KR940001314Y1 (ko) 1992-05-22 1992-05-22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8892U KR940001314Y1 (ko) 1992-05-22 1992-05-22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024U KR930026024U (ko) 1993-12-24
KR940001314Y1 true KR940001314Y1 (ko) 1994-03-11

Family

ID=1933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8892U KR940001314Y1 (ko) 1992-05-22 1992-05-22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3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024U (ko) 199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4808B2 (ja) 警報器
US5019805A (en) Smoke detector with strobed visual alarm and remote alarm coupling
US9772671B1 (en) Low-power alarm detector
US20130207807A1 (en) Fire detector
US20070125364A1 (en) Range Hood With Integrated CO Monitor
US3633199A (en) Appliance theft prevention alarm system
CN207946907U (zh) 一种烟感探测报警系统
US20050195088A1 (en) RF smoke sensing system with integrated smoke/heat sensing christmas ornament transmitter
KR940001314Y1 (ko) 무선 화재경보장치를 구비한 랜턴
JP2011076199A (ja) 警報器連動装置
CN208061386U (zh) 一种烟感探测报警系统
KR20030085872A (ko) 가정용 안전경보기
CN208061387U (zh) 一种烟感探测报警系统
KR101827250B1 (ko) 자립형 화재경보기를 이용한 가정용 소화시스템
CN212302713U (zh) 一种智能家居在线监测装置
KR0121448Y1 (ko) 원거리의 비상사태 감지수단을 구비한 랜턴
JP3182652B2 (ja) 火災感知器
KR200375161Y1 (ko) 가스렌지의 경보제어장치
JP2014013462A (ja) 告知放送受信機
JPH09312890A (ja) 所在応答リモコン装置
GB2275556A (en) Fire alarm system in appliances
KR200196129Y1 (ko) 가스 누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가스중간밸브 자동 안전잠금 장치
EP0119163A2 (fr)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par le réseau basse tension de distribution d'énergie électrique et son utilisation
KR100204816B1 (ko) 가스 경보장치
CN112422374A (zh) 远程烹饪提醒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