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125Y1 -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125Y1
KR940001125Y1 KR2019910012404U KR910012404U KR940001125Y1 KR 940001125 Y1 KR940001125 Y1 KR 940001125Y1 KR 2019910012404 U KR2019910012404 U KR 2019910012404U KR 910012404 U KR910012404 U KR 910012404U KR 940001125 Y1 KR940001125 Y1 KR 940001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and
post
holder
reel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479U (ko
Inventor
백영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12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125Y1/ko
Publication of KR930005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3Control or regulation of mechanical tension of record carrier, e.g.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를 갖는 텐션암 주변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를 갖는 텐션암 주변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조정용 드라이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텐션포스트 52 : 텐션암
54 : 공급릴테이블 56 : 메인베이스
62 : 텐션밴드 68 : 텐션홀더
72 : 조정슬로트 74 : 원반체
76 : 연장편
본 고안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급릴 테이블에 감기는 텐션밴드의 래핑각이 변경됨이 없이 이 텐션밴드를 통하여 텐션암상의 텐션포스트가 설계된 적정위치에 놓일수 있도록 한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릴에 인접하여 착설된 텐션암에는 주행하는 테이프에 접하는 텐션포스트가 입설되어 있으며 텐션포스트를 통하여 텐션암에 전달되는 테이프의 장력변화에 따라 텐션암에 연결된 텐션밴드가 공급릴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들어 테이프의 장력이 크면 텐션밴드가 공급릴 테이블에 약한 제동력을 전달하여 테이프가 풀리는 양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테이프의 장력이 작으면 텐션밴드가 공급릴 테이블에 강한 제동력을 가하여 테이프가 풀리는 양을 감소시켜 전반적으로 테이프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테이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는 텐션포스트의 위치선정이 중요하다. 이러한 텐션포스트의 위치는 텐션암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며, 텐션암의 위치는 공급릴 테이블에 감기는 텐션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의 한가지 형태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을 보인 제1도와 제2도에서, 선단에 텐션포스트(1)를 갖는 텐션암(2)이 공급릴 테이블(3)에 인접하여 메인베이스(4)에 축(5)으로 축설되어 있고 스프링(6)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지되어 있다.
이 텐션암(2)에는 텐션밴드(7)의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이 텐션밴드(7)가 공급릴테이블(3)을 감아돌아 연장되며 그 타측단부가 밴드홀더(8)에 고정되어 메인베이스(4)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밴드홀더(8)가 텐션포스트(1)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즉 이 밴드홀더(8)는 사각동체(9)로 구성되고 이 사각동체(9)의 일측면에 탠션밴드(7)의 타측단부가 고정되며 타측면에는 짧은 길이의 래크(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각동체(9)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보스(1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밴드홀더(8)가 고정되는 위치의 메인베이스(4)에는 보스(12)가 삽입되는 슬로트(13)가 형성되어 있고 장공(11)을 통하여 스크류(14)로 밴드홀더(8)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공(15)에 스크류(14)로 고정되는 밴드홀더(8)의 래크(1)에 대하여 그 전방위치에 조정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정공(16)에는 손잡이(17)에 봉체(18)가 연장되고 이 봉체(18)의 단부부근에 피니언기어(19)가 일체로 형성된 조정봉(20)의 봉체 단부가 삽입된다.
조정공(16)에 조정봉(20)을 삽입하였을 때에 피니언기어(19)가 밴드홀더(8)의 래크(10)에 결합된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텐션포스트(1)의 위치를 설계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절하는 경우에 조정봉(20)의 선단 봉체부분을 메이베이스(4)에 형성된 조정공(16)에 삽입하고 텐션밴드(7)의 타측단부가 고정된 밴드홀더(8)의 래크(10)에 피니언기어(19)가 결합되게 한 다음 조정봉(20)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한다.
이러한 조정봉(20)의 회전으로 텐션밴드(7)의 타측단부에 고정된 밴드홀더(8)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때에 밴드홀더(8)에 형성된 장공(11)을 통하여 삽입되고 메인베이스(4)의 고정공(15)에 나선결합되는 스크류(14)는 이를 느슨하게 풀어놓은 상태에서 조절하다. 텐션밴드(7)를 밀거나 당기어 텐션암(2)의 텐션포스트(1)위치를 설정한 다음 스크류(14)를 위치조절장치는 조정봉(2)으로 밴드홀더(8)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밴드홀더(8)와 공급릴테이블(3)의 접점상에 연장되어 실제로는 접선의 연장선을 이루는 텐션밴드(7)의 연장성방향으로 정확히 이동되어 조절되는 것이 요구되나 실제로는 밴드홀더(8)가 텐션밴드(7)의 연장선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어 조절시 텐션밴드(7)의 공급릴테이블(3)에 대한 래핑각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비록 텐션포스트(1)의 위치가 설계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 놓인다하더라도 공급릴테이블(3)에 감긴 텐션밴드(7)의 래핑각도가 달라져 결국은 공급릴테이블(3)과 텐션밴드(7)사이의 마찰력이 달라질 수밖에 없어 텐션포스트(1)의 위치가 진정한 설계에 따른 위치에 놓였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그 조정봉이 특수 제작되어야 하는 결점이 있고 이 조정봉(20)이 사용되어 텐션포스트(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전용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급릴테이블에 감기는 텐션밴드의 래핑각이 변경됨이 없이 이 텐션밴드를 통하여 텐션포스트가 설계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단에 텐션포스트(50)를 갖는 텐션암(52)이 공급릴테이블(54)에 인접하여 메인베이스(56)에 축(58)으로 축설되고 스프링(60)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지되며, 텐션암(52)에 텐션밴드(62)의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이 텐션밴드(62)가 공급릴테이블(54)를 감아돌아 연장되어 메인베이스(56)의 고정공(64)에 스크류(66)로 고정되는 밴드홀더(68)에 그 타측단부가 연결된 것에 있어서, 밴드홀더(68)가 그 중앙의 스크류공(70)을 가지며 직경방향으로 조정슬로트(72)가 형성된 원반체(74)로 구성되고 이 원반체(74)의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연장편(76)이 연장되어 이에 텐션밴드(62)의 타측단부가 고정되어서 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8은 조정봉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설계에 따라 정하여진 위치에 텐션포스트(50)가 놓일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경우에, 스크류(66)를 느슨히 풀고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크류(66)부분을 피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밴드홀더(68)의 조정슬로트(72)에 삽입되는 드라이브 부분을 갖는 포크형 조정봉(78)을 사용하여 밴드홀더(68), 즉 원반체(74)를 회전한다. 이 원반체(74)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76)에는 텐션밴드(62)의 타측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원반체(74)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텐션밴드(62)를 통하여 텐션암(52)의 텐션포스트(50)가 도면에서 우측으로 회전이동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으로 회전 이동한다. 설계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 놓이면 원반체(74), 즉 밴드홀더(68)를 그 스크류(66)로 고정시킨다. 원반체(74), 즉 밴드홀더(68)를 회전시켜 텐션포스트(50)의 위치를 조절시에 원반체(74)의 연장편(76)에 텐션밴드(62)가 고정되어 있고 텐션밴드(62)가 원반체(74)의 외주면에 접하여 있으며 원반체(74)를 시계반대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하여도 텐션밴드(62)가 원반체(74)의 외주면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상에 놓이고 원반체(74)의 반경이 일정한 외주면에 접하므로 텐션밴드(62)는 공급릴테이블(54)의 접선방향 연장선상에서 정확히 이동하므로 공급릴테이블(54)에 대한 텐션밴드(62)의 래핑각도는 변환하지 않아 텐션밴드(62)와 공급릴테이블(54)사이의 마찰력 변화도 없다. 따라서 텐션포스트(50)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설정된 진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조정하는 조정봉(78)의 구조가 간단하며 종래기술과 같이 특수제작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테이프주행을 안내하는 텐션포스트(50)가 선단에 착설된 텐션암(52), 이에 인접하여 배치된 공급릴테이블(54), 텐션암(52)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공급릴테이블(54)에 접촉하여 감아 돌아 연장된 텐션밴드(62)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이 텐션밴드(62)의 타측단부가 고정되는 텐션홀더(68)를 메인베이스(56)에 착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카세트 레크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홀더(68)가 직경방향으로 조정슬로트(72)가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연장편(76)이 연장되어 이에 텐션밴드(62)의 타측단부가 고정되는 원반체(7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범위 제1 항또는 제2항에 있어서, 텐션홀더(68)의 회전으로 텐션포스트(50)의 위치를 조절할때에 공급릴테이블(54)에 대한 텐션밴드(62)의 래핑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19910012404U 1991-08-03 1991-08-03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 KR940001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404U KR940001125Y1 (ko) 1991-08-03 1991-08-03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404U KR940001125Y1 (ko) 1991-08-03 1991-08-03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79U KR930005479U (ko) 1993-03-22
KR940001125Y1 true KR940001125Y1 (ko) 1994-02-25

Family

ID=1931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404U KR940001125Y1 (ko) 1991-08-03 1991-08-03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1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79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7897A (en) Magnetic tape guide having a tapered roller and an adjustable contoured edge
CA2049755A1 (en) Low tension wire transfer system
US3065922A (en) Reversible magnetic tape cartridge
KR940001125Y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텐션포스트위치 조절장치
KR910017362A (ko)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JPH04209351A (ja) テープ・テンション調節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US4410920A (en) Unitary mounting means for the tape handling components of a VTR
JPH0676159B2 (ja) 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ストリツプ分配装置
US4837650A (en) Head positioning device
JPH0445142Y2 (ko)
US5620150A (en) Tension servo apparatus for magnetic tape
KR870003694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US6863232B2 (en) Tape tension controlling mechanism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5720956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325315Y2 (ko)
JPS55135351A (en) Stabilizer unit for magnetic recording tape
KR930020416A (ko) 오토 체인져의 카세트 자동 투입 장치
KR017028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아암 텐션조절장치
JP2575525Y2 (ja) テ−プテンション装置
JPH04283450A (ja) リール制動装置
KR940004324Y1 (ko) Vcr 테이프 구동 메카니즘의 테이프 텐숀 조절장치
KR900001500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텐션 밴드 장력 조정장치
KR900003172Y1 (ko) 브이 씨 알의 텐션암 위치 조정장치
KR960003302B1 (ko) 브이씨알 텐션 제어장치
KR870000600Y1 (ko) Vtr의 텐션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