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050B1 - 위치좌표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좌표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050B1
KR940001050B1 KR1019920001656A KR920001656A KR940001050B1 KR 940001050 B1 KR940001050 B1 KR 940001050B1 KR 1019920001656 A KR1019920001656 A KR 1019920001656A KR 920001656 A KR920001656 A KR 920001656A KR 940001050 B1 KR940001050 B1 KR 94000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layer
electrode group
position coordinate
pe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414A (ko
Inventor
김희환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050B1/ko
Publication of KR93001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치좌표 인식장치
제1도는 종래 위치좌표 인식장치의 사용상태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위치좌표계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좌표 인식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위치좌표계에서의 각 부분에 대한 신호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위치좌표계의 부분단면도와 그 등가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장펜 2 : 상부유전층
3 : 메인보드 4 : 글래스기판
5 : 하부전극 6 : 하부유전층
7 : 상부전극 8 : 상부유전층
L1: 상측도선 L2:중간도선
L3: 하측도선 C1,C2: 커패시터
21 : 자기펜 22 : 메인보드
23 : 자기력선 24 : 자기원
온라인 수서문자 인식이나 XY플로터 또는 그래픽 표시에 대한 도형정보의 입력등에 이용되는 위치좌표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장펜이 유전층위에 접촉되었을 경우에만 전기신호가 존재하도록 되어 외부 환경에 따른 노이즈가 적도록된 위치좌표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위치좌표 인식장치는 컴퓨터본체에 데이타에 입력시키기 위한 XY플로터나, 혹은 수서문자인식 혹은 그래픽 표시에 대한 도형정보의 입력등에 이용되었었다. 즉, 특정의 평면 혹은 곡면위에 특정의 펜이나 특정매체를 접촉시킴에 따라 그 접촉된 곳의 위치좌표값을 인지하는 것이며, 이렇게 인지된 위치좌표값은 데이타로서 컴퓨터 본체에 입력된다.
종래 위치좌표인식 장치는 모두 자기장(magnetic field)을 이용하고 있었다. 종래 위치좌표인식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기펜(magnetic pen, 21)과 메인보드(main board, 22)와의 상호작용으로 위치좌표가 판독되며, 즉 자기펜(21)과 메인보드(22)와의 상호작용으로 위치좌표가 판독되며, 즉 자기펜(21)과 메인보드(22)와의 자기장신호(Magnetic Signal)에 의해 위치좌표가 판독된다.
제1도에 있어서, (24)는 자기원(magnetic source)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위치좌표 인식장치는 자기펜(21)이 메인보드(22)에 접촉되지 않아도 자기장이 존재하게 되며, 따라서 자기원(magnetic source)을 가진 매체가 외부에 있을 경우 이러한 외부 매체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부정확한 위치좌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자기력선(23)에 의해 위치좌표가 판독됨으로써 상기 자기력선(23)을 자주 접하는 사용자가 인체에 해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좌표계를 유전층으로 형성시키고 이 유전층위치에서 전기장에 의한 펜을 사용하여 위치좌표를 추적하도록 되며, 외부환경에 대해 민감하지 않고, 인체에 해가 적은 위치좌표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좌표 인식장치는 베이스기판위에 특정방향으로 전극군을 설치하고, 이 전극군위에는 유전층이 설치되며 이 유전층 상부에 상기 전극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다른 전극군이 설치되고, 이 전극군위에는 유전층이 설치되며, 이 유전층 위에서 전장펜이 움직이게 되면 상기 전극군의 전극들에 유기되는 전압, 전류가 감지되어 위치좌표가 결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위치좌표계의 평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좌표인식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위치좌표계에서의 각 부분에 대해 신호파형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위치좌표계의 등가회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보드(3)의 평면도로서 글래스기판(4)위에 상부전극(X1, X2,… Xn)과 하부전극(Y1, Y2, … Ym)들이 상호 직교하면서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상부전극(X1, X2,… Xn)은 제2도에서 보았을 경우, 종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하부전극(Y1, Y2, … Ym)은 제2도에 보았을 경우, 횡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인보드(3)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가장 하부에 글래스기판(4)이 설치되고, 이 글래스기판(4)상측에 하부전극(5)이 설치되며, 이 하부전극(5) 상측 사이에 하부유전층(6)이 설치되며, 이 하부유전층(6) 상측에 상부전극(7)이 설치되고, 이 상부전극(7) 상측에는 상부유전층(8)이 설치된다.
제4도는 상기 메인보드(3)에 전장펜(1)이 접촉되었을 경우의 신호전송 형태를 나타낸 신호파형도로서, 제2도에 도시된 메인보드(3)에서 점(X1, Ym-2)에서의 신호전송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부전극(X1)과 하부전극(Ym-2)의 교차점 위에 전장펜(1)이 위치되고, 이 전장펜(1)에 전압파형 (VT)이 흐르게 되면 상부전극(X1)과 하부전극(Ym-2)에는 전장펜(1)과 동일한 위상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전압파형 (VTX, VTY)이 흐르게 되며, 다른 상부전극(X2, X3,… Xn)과 다른 하부전극(Y1, Y2, … Ym-3,, Ym-1, Ym-1, Ym)에는 어떠한 전압파형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제5도에는 상기 상부전극(X1)과 하부전극(Ym-2)이 교차하는 교차점 (X1,Ym-2)에서의 상부유전층(C)과 하부유전층(6) 및 상기 상부전극(X1)과 하부전극(Ym-2)상호간의 전기적인 등가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상측도선(L1)은 전장펜(1)에 해당되고 중간도선(L2)은 상부전극(X1)에 해당되며 하측도선(L3)은 하부전극(Ym-2)에 해당되고, 상기 상측도선(L1)과, 중간도선(L2) 사이의 커패시터(C1)는 상부유전층(2)에 해당되고 중간도선(L2)과 하측도선(L3) 사이의 커패시터(C2)는 하부유전층(6)에 해당되게 된다. 상측도선(L1)에 전압이 인가되게 되면, 커패시터 (C1,C2)를 통해 상기 중간도선(L2)과 하측도선(L3)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전류파형이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장펜(1)을 상부유전층(2)위에 접촉시켰을 경우 전장으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점(X1,Ym2)의 유전층(8,6)을 통과하여 상부전극(K1)과 하부전극(Ym2)에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를 출력시키며 마이크로프로세서(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는 이 신호를 전달받아 데이타를 해석하여 위치좌표를 인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전장펜이 메인보드에 접촉되는 순간에만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정확하고 확실하게 위치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외부환경에 영향이 적으며, 인체에 해가 되는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써 사용자의 건강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위치좌표 인식장치에 있어서, 베이스기판위에 특정방향으로 전극군이 설치되고, 이 전극군 위에 유전층이 설치되며, 이 유전층 상부에 상기 전극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 다른 전극군이 설치되고, 이 전극군위에는 유전층이 설치되어, 이 유전층 위에서 전장펜이 움직임으로써 상기 전극군의 전극들에 유기되는 전압, 전류가 감지되어 위치좌표가 결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좌표 인식장치.
KR1019920001656A 1992-02-01 1992-02-01 위치좌표 인식장치 KR94000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1656A KR940001050B1 (ko) 1992-02-01 1992-02-01 위치좌표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1656A KR940001050B1 (ko) 1992-02-01 1992-02-01 위치좌표 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414A KR930018414A (ko) 1993-09-21
KR940001050B1 true KR940001050B1 (ko) 1994-02-08

Family

ID=1932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656A KR940001050B1 (ko) 1992-02-01 1992-02-01 위치좌표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539B1 (ko) * 1994-12-26 2002-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위치좌표인식장치및위치좌표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414A (ko) 199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7378A (en) Two-layer touch tablet
US6054979A (en) Current sensing touchpad for computers and the like
JP3877484B2 (ja) 入力装置
USRE40867E1 (en) Multiple input proximity detector and touchpad system
US5113041A (en) Information processing
CA1248195A (en) System for sensing spatial coordinates
EP0288692B1 (en) Graphics input tablet
JP3016455B2 (ja) 電磁式デジタイザ・タブレット
KR100659048B1 (ko) 외부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는 더미전극을 구비한 터치패널
US20090283342A1 (en) Finger/stylus touch pad
US20070195068A1 (en) Pen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US20070195069A1 (en) P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JPH0944289A (ja) 入力パッド装置
JP2003173238A (ja) タッチセンサおよびタッチセンサ付き表示装置
US6326564B1 (en) Sensitive coordinate input device
KR19980018764A (ko) 디지타이징 패널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 digitizing panel with a display device)
KR940001050B1 (ko) 위치좌표 인식장치
JPS63136130A (ja) タッチパネル
US4694279A (en) Vector electronic control device
US7277817B2 (en) Position sensing device
JPS62147613A (ja) 入力装置
US6917358B2 (en) Resistance inducting wire layout on a touch panel
JPS6266524A (ja) 機器の入力装置
US4363023A (en) Electromagnetic device for measuring the speed of handwriting
JPS6057171B2 (ja) タツチボ−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