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634Y1 -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634Y1
KR940000634Y1 KR2019910013946U KR910013946U KR940000634Y1 KR 940000634 Y1 KR940000634 Y1 KR 940000634Y1 KR 2019910013946 U KR2019910013946 U KR 2019910013946U KR 910013946 U KR910013946 U KR 910013946U KR 940000634 Y1 KR940000634 Y1 KR 940000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lever
reel
senso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471U (ko
Inventor
허유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정기
안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정기, 안응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정기
Priority to KR2019910013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634Y1/ko
Publication of KR930005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6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11B15/106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mechanically opera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프로그랜 전환장치가 설치된 테이프레코더의 전체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프로그램 동작부의 작동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리와인드 레버를 누른 상태도, (b)는 F/F레버를 누른 상태도, (c)는 F/F레버와 리와인드 레버를 동시에 누른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릴구동부의 작동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전환 구동부의 작동도로써 테이프 엔드시의 프로그램 전환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프로그램 전환 구동부의 프로그램 캠기어와 프로그램 레버와의 상호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프로그램 전환전의 상태도, (b)는 프로그램 전환후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플레이기어
3 : 피봇축 4 : 플레이기어암
5 : 플레이 아이들러 레버 6 : 스프링
7,7' : 레버축공 8 : F/F레버
9 : 리와인드레버 10,10' : 스프링
11 : 프로그램 레버 A 13 : 안내축
14 : 프로그램 캠 15 : 프로그램암
16 : 프로그램캠 스톰레버 17 : 프로그램 캠센서
18 : 프로그램 레버 B 19 : 프로그램 전환부재
20 : 릴센서 A 23 : 릴센서 B
24 : 프로그램 센서레버
본 고안은 오토리버스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에 관한것으로,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 제53387호의 개량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90-7310(공고번호)호에서 보는 바와같이 프로그램 전환용 전달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F/F레버의 선단부에 테이프방향 절환부재를 유설하여 리와인드레버와 F/F레버를 동시에 눌렀을때, 각 레버상에 돌설된 압압부에 이래 상기 테이프 방향 절환부재가 전진 이동하여 프로그램전환용 전달부재를 회동시켜 프로그램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리와인드 레버의 선단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리와인드레버의 조작시 이 돌기부가 상기 프로그램전환용 전달부재를 동작시켜 프로그램 전환이 실행되도록 하는 수동조작 방식과, 릴부재의 저면에 두개의 돌기가 양쪽으로 형성된 회전링을 개재하여 릴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링의 회전으로 회전검출 부재를 이동시켜 프로그램의 전환의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바, 이와같은 구조는 원릴방식에서는 별다른 하자가 없다 하겠으나, 양릴 방식에서는 정확한 프로그램의 전환동작을 기대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T릴의 저면에 접촉 기재되는 회전링에 두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T릴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 회전링이 같이 따라돌도록 하고 있으나, 만일 T릴과 S릴에 권취되어 있는 테이프가 풀어져 이완되어 있을때에는 S릴의 회전에 따른 즉각적인 프로그램의 전환이 실행되지 않아 프로그램 에라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게 되며, 또한 수동(메뉴얼)조작방식에 의한 프로그램 전환에 있어서도 리와인드 레버에 프로그램 전환용 전달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때문에 조립후 그 간격을 정확히 제조정 해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나의 부재로써 수동조작에 의한 프로그램의 정확한 전화동작이 수행되도록하고, 동시에 자동모우드에 있어서도 양릴의 움직임에 따라 프로그램캠센서의 정확한 감지동작에 의해 프로그램의 자동전환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동 및 오토리버스 기능을 갖는 테이프 레코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위쪽으로 F/F레버(8)가 겹장 설치된 리와인드 레버(9)의 선단 저면에 안내축(13)을 정검으로 좌우 회동하는 프로그램전환부재(19)를 설치하고, 그의 일측에 상향 돌설된 안내돌기 (19a)를 상기 리와인드레버(9)의 스트록홈(9a)에 위치시켜 수동조작에 의한 프로그램레B(18)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2중기어(14a)(14b)로 구성된 프로그램캠 (14)의 사이에 상기 프로그램레버 B(18)와 연결되는 프로그램캠 스톱레버 (16)를 유동자재토록 설치하되, 그의 하면에 이 프로그램캠 스톱레버(16)와 연동하는 프로그램캠센서(17)를 연결 설치하며, 그의 일측에 형성된 암(17a)을 T릴(21)저면에 회전 자재토록 설치되는 릴센서 B(23)와 연결 설치되는 프로그램 센서레버(24)의 타단을 상기 프로그램 캠센서(17)와 근접시켜 테이프의 엔드시 프로그램의 자동전환이 실행되도록 한것으로, 상기 F/F레버(8)의 상면에는 일단이 각 레버(8)(9)의 레버축공 (7)(7')에 삽설되고 그 타단은 안내축(13)에 축설되는 프로그램레버 A(11)가 유설되어 두 레버(8)(9)를 동시에 누를때에 한하여 전진 이동하여 그의 선단에 위치한 프로그램레버 B(18)의 상향돌기(18a)를 밀어 프로그램의 수동전화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레버 B(18)는 중심축(a)을 정점으로 회동하는 프로그램캠 스톱레버(16)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캠 스톱레버(16)에는 V자형의 스토퍼 (16a)(16b)가 형성되어 프로그램캠(14)을 구성하는 상부기어(14a)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록크돌기(ㄱ)(ㄴ)에 대응 설치되어 상부기어(14a)의 회전동작(180°회전)을 제어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이프로그램캠 스톱레버(16)에는 프로그램캠센서(17)가 설치되어 수동조작시에는 상기 프로그램캠 스톱레버(16)의 움직임에 따라 같은 동작을 하게 되고, 오토 동작시에는 릴센서 A(20)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을 하게 되며, 이 프로그램캠센서레버 (24)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캠(14)은 상부기어(14a)와 하부기어(14b)로 구성되어 동축(b)상에 축설되어 있으며, 하부기어(14b)의 저면 중심부에는 달팽이형의 돌기부(ㄷ)가 형성되어 있으며, 릴의 정지시 프로그램캠센서(17)를 밀어올려 프로그램캠 스톱레버 (16)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활을 한다.
또한, 상부기어(14a)에는 180°간격을 두고 2개소에 일정크기의 무기어부(ㄹ) (ㅁ)가 형성되어 프로그램 전환후(180°회전후)감속기어(25)의 소기어(25a)로 부터 동력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저면에는 180°간격으로 대향 형성된 록크돌기(ㄱ)(ㄴ)가 돌설되어 두기어(14a)(14b)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프로그램캠 스톱레버 (16)의 Ⅴ자형 스토퍼(16a)(16b)에 의해 그 회전이 제어를 받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27은 안내축, 28은F/R 록크레버, 29는 아이들 기어, 6은 플레이기어암(4)과 플레이 아이들러 레버(5)를 연결해 주는 스프링으로써, U자형으로 벤딩된 양끝단이 상기 플레이 기어암(4)에 삽설 고정 되어 강한 텐숀을 부여받고 있다.
d는 프로그램암(15)과 플레이 아이들러레버(5)를 연결시키는 연결핀, e는 축, 30은 피드기어, f는 축, 32는 풀리기어, g는 프로그램센서레버(24)의 축, h는 릴센서 B(23)의 하향돌기, 33은 릴센서 A(20)의 우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 34는 프로그램센서레버(24)의 우회전 제어용 스토퍼 35는 프로그램센서레버(24)의 좌회전 제어용 스토퍼, i는 프로그램켐센서(17)에 형성된 상향돌기로써 프로그램캠 스톱레버(16)와 프로그램캠센서(17)를 연셜시키는 중심축으로써의 역활을 한다.
j는 프로그램캠센서(17)의 상향돌기(i)가 축삽되는 구멍, k는 F/R록크레버 축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외형도를 평면상으로 도시한 것이며, 제2도는 수동조작에 의한 프로그램 전환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제1도의 상태에서 제2도의(a)와 같이 리와인드레버(9)를 누르면 리와인드레버 (9)의 프로그램레버 축공(7')에 삽설된 프로그램레버 A(11)의 일단에 하향 돌설된 프로그램 레버축(11a)이 프로그램레버 축공(7')에 형성된 만곡부를 따라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프로그램레버 A(11)는 앞으로 밀리지 않고, 리와인드 레버(9)만 밀리어 테이프가 되감기게 되는바, 이때 리와인드레버(9)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그의 선단 저부에 회동자재토록 설치된 프로그램 전환부재(19)의 상향 안내돌기(19a)를 밀게 되므로 프로그램 전환부재(19)의 상향 안내돌기(19a)를 밀게 되므로 프로그램전환부재(19)가 좌측으로 회동하면서 이 프로그램전환부재(19)의 선단에 위치한 프로그램레버 B(18)의 상향돌기(18a)를 밀게되게 되는 관계로 프로그램레버B(18 : 이 프로그램레버 B는 스프링(2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고 있다)는 축(c)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기 프로그램레버 B(18)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그램캡 스톱레버(16)가 중심축(a)을 정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관계로 프로그램캠(14)의 상부기어(14a)저면에 돌설된 록크돌기(ㄱ)를 저지하고 있던Ⅴ자형의 일측 스토퍼(16a)가 해제됨과 동시에 타측 스토퍼(16a)가 상기 록크돌기(ㄱ)와 180″대향되게 형성된 록크돌기(ㄴ)의 경사면을 치게(압압)되므로 프로그램캠(14)의 상부기어(14a)가 약 회동(시계방향)하여 무기어부(ㄷ)에 위치해 있던 감속기어 (25)의 소기어(25ㅁ)와 상부기어(14a)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상부기어 (14a)의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부기어(14a)의 회전에 따라 그위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그램암 (15)이 제3도와 같이 이동하여 플레이기어(2)를 S를(22)과 피드기어(31)에 치합시킴으로써 테이프의 고속되감기(리와인드)가 실행되는 것이다.
한편, 테이프를 플레이방향으로 빨리 감기 위해 제2도의 (b)와 같이 F/F레버 (8)를 누르면, 상기 리와인드 레버(9)에 천공된 프로그램레버축공(7')과 반대방향으로 대응되게 천공된 프로그램레버 축공(7)의 만곡부를 따라 프로그램레버 A(11)의 프로그램레버축(11a)이 슬라이드되면서 프로그램레버 A(11) F/F레버(8)만 눌리어져 전진하게 되고, 안내축(13)에 축설되어 있는 프로그램전환부재(19)또한 아무런 건섭을 받지 않게 되어 프로그램전환은 이루어지지 않고 그대로 테이프의 고속감기만이 실행되는 것이다. (투스피드 기능을 갖는 모터(M)의 스피드가 배가되어 구동모터(M)가 고속회전을 하게 되므로 테이프이 플레이방향 고속감기가 실행됨)
또한, 제2도의 (d)와 같이 플레이중 프로그램을 전환시키고자 할경우에는 두 레버(8)(9)를 동시에 누르면 되는데, 두 레버(8)(9)를 동시에 누르게 되면 양 프로그램레버 축공(7)(7')에 형성된 만곡부사이에 프로그램레버축(11a)이 걸리게 되므로 프로그램레버 A(11)가 두 레버(8)(9)돐 함께 앞방향으로 밀리면서 그 선단에 설치된 프로그램레버 B(18)를 밀어 회전시키게 프로그램캡톱레버(16)의 록크상태가 해제되어 프로그램캠(14)이 회전(180″회전;스토피(16a)의 록크상태가 해제되어 프로그램캠(14)의 상부기어(14a)가 회전을 하게 되나, 180″회전을 하게 되면 타스토퍼(16b)에 상기 상부기어(14a)의 회전된 록크돌기(ㄱ)가 걸리게 되므로 상부기어(14a)는 회전은 정지되고, 동시에 무기어부(ㅁ)에 감속기어(25)의 소기어(25a)가 위치하게 되므로 동력이 완전 차단된 상태가 된다)하게 되고, 그와 연결된 프로그램암(15)이 이동하여 정방향 플레이 동작에서 리버스플레이 동작으로의 전환이 실행되는 것이다.
이때, 프로그램캠 스톱레버(16)는 원위치하여 처음상태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16a)에 의하여 180″회전한 록크돌기(ㄴ)가 록크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캠(14)은 회전이 저지되는 것이다.
한편, 오토 프로그램 전환동작(정방향 플레이, 리버스 플레이, 정방향 고속감기, 리와인드 엔드(END)시)에 대해서 설명하면, 예를들어 정방향 플레이중 테이프가 엔드 (종단)되면 도시되지 않은 광센서(릴밑에 설치되어 있음)의 감지동작에 의한F/R회로기판(12)의 기동으로 제3도에 도시된 프로그램암(15)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서 플레이기어(2)가 S릴(22)에 치합되어 리버스 플레이 동작이 실행되는 것인바, 여기서 테이프가 종단되면 T릴(21)의 기어는 회전을 하게 되나, T릴 자체는 회전이 정지된 상태이므로(릴기어와 릴본체는 슬립 되도록 조립되어 있음)T릴(21)저면에 접촉 설치된 릴센서 A(20)에 시계 반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달해주지못하게 되므로 프로그램캠 (14)의 하부기어(14b)가 감속기어(25)의 소기어(25a)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의 저면에 일체로 하향 돌출 형성된 달팽이형 돌기부(ㄷ)가 회전하면서 이를 감싸는 형태로 하부기어(14b)저면에 설치된 프로그램캠센서(17)를 T릴(21)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는 관계로(릴센서 A(20)가 저지되어 있는 관계로 프로그램캠센서(17)를 하방향으로 밀어주지 못함)달패이형 돌기부(ㄷ)다 회전하면서프로그램캠센서(17)에 걸려 이를 밀어올리게 되므로 이와 연결된 프로그램캠 스톱레버 (16)가 중심축(a)을 정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제5도의 (가)의 상태와 같이 프로그램캠(14)의 상부기어(14a)를 록크하고 있는 상태가 (나)와 같이 해제되므로써 감속기어(25)의 회전력이 이 상부기어(14a)에 전달되어 180°회전하게 되므로 프로그램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정방향 플레이 엔드 상태에서 리버스 플레이로 전환되어 테이프는 반대방향으로 감기면서 음의 재생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수동조작에 의한 프로그램 전환을 실시함에 있어서 리와인드 레버의 선단저면에 안내축(13)에 회동자재토록 설치되는 프로그램전환부재(19)를 축설하여 리와인드 레버의 조작에 의한 프로그램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작의 정확성을 기하고, 조립후의 시험공정을 생략할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릴센서를 분리 동작시킴으러써 오토 프로그램의 전환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실행 되도록 하는등 그 실사용 가치가 일층 고양된 신규의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수동 및 오토리버스 기능을 갖는 데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위쪽으로 F/F레버(8)가 겹장 설치된 리와인드 레버(9)의 선단 저면에 안내축(13)을 정점으로 좌우 회동하는 프로그램전환부재(10)를 설치하고, 그의 일측에 상향 돌성된 안내돌기(19a)를 상기 리와인드레버(9)의 스토록크홈(9a)에 위치시켜 수동조작에 의한 프로그램레버 B(18)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2중기어(14a)(14b)로 구성된 프로그램캠(14)의 사이에 상기 프로그램레버 B(18)와 연결되는 프로그램캠 스톱레버(16)를 유동자재토록 설치하되, 그의 하면에 이 프로그램캠 스톱레버(16)와 연동하는 프로그램캠센서(1 7)를 설치하며, 그의 일측에 형성된 호형암(17a)을 T릴(21)저면에 회전자재토록 설치되는 릴센서 A(20)에 근접 위치시키는 한편, S릴(22)의 저면에 슬립 설치된 릴센서 B(23)와 연결 설치되는 프로그램센서레버(24)의 타단을 상기 프로그램캠센저(17)와 근접시켜 테이프의 엔드시 프로그램의 자동전환이 실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
KR2019910013946U 1991-08-29 1991-08-29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 KR940000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946U KR940000634Y1 (ko) 1991-08-29 1991-08-29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946U KR940000634Y1 (ko) 1991-08-29 1991-08-29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71U KR930005471U (ko) 1993-03-22
KR940000634Y1 true KR940000634Y1 (ko) 1994-02-07

Family

ID=1931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946U KR940000634Y1 (ko) 1991-08-29 1991-08-29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6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71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4536A (en) Brake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970011132B1 (ko) 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의 모드전환기구
KR94000063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로그램 전환장치
JPH0150983B2 (ko)
USRE36570E (en) Automatic mode changeover mechanism for a tape recorder
US5031471A (en) Sequence control mechanism employing gear mechanism
CA1275501C (en) Auto-reverse type tape recorder
US4656552A (en) Cam driven actuating mechanism for a tape player
US4178809A (en) Mode change-over device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691858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single master gear and slide member
US4269373A (en) Automatic stop mechanism for tape recorder
KR930009651B1 (ko) 오토리버스식 기록재생장치
EP0179643B1 (en) Magnetic tape players
JPH0150984B2 (ko)
JPH0614299Y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回転伝達経路切換機構
US5068501A (en) Tape end switch detecting device for tape player
CN2057021U (zh) 磁带驱动装置走带方向切换操作机构
KR920007472Y1 (ko) 테이프레코더의 자동정지장치
US5570253A (en) Selection lever sliding means for disengaging the selection gear from the main gear of a cassette tape recorder when selecting a mode
US4348756A (en) Record player control mechanism
KR940001429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전달 전환장치
KR100195427B1 (ko) 테이프 레코더
JP261278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スラントベース駆動装置
JPH0110780Y2 (ko)
JPS5919963Y2 (ja) テ−プレコ−ダの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