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78Y1 - 점화기 - Google Patents

점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78Y1
KR940000078Y1 KR2019910008985U KR910008985U KR940000078Y1 KR 940000078 Y1 KR940000078 Y1 KR 940000078Y1 KR 2019910008985 U KR2019910008985 U KR 2019910008985U KR 910008985 U KR910008985 U KR 910008985U KR 940000078 Y1 KR940000078 Y1 KR 940000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er
ignition button
ignition
ga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103U (ko
Inventor
최기주
Original Assignee
최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주 filed Critical 최기주
Priority to KR2019910008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078Y1/ko
Publication of KR930001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1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화기
제1도는 종래 점화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a도는 사시도, 제1b도는 일부절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점화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a도는 일부절제 단면도, 제2b도는 요부 발췌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점화기의 부분 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1d : 걸림편
15 : 점화버튼 15a : 돌출편
15b : 돌기
본 고안은 주로 업소에서 가스 또는 석유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각종 연소기의 착화용으로 사용되는 점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체점화장치가 없는 연소기를 착화할 때는 주로 성냥이나 라이터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손은 연소기 가까이에 가져가야 하므로 화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특히 폭발성 연로(가스 또는 휘발유)를 착화하는 경우에 그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휴대용 라이터를 개량한 긴 형태의 점화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점화기는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이 연장부(1a)가 형성된 본체(1)의 내부에 그 후단으로 가스주입구(2a)를 갖는 가스용기(2)가 장착되고 중간에는 압전소자(3)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의 상부에 명성된 결합공(1b)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그 압전소자(3)의 상부에 점화버튼(5)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a) 끝에는 점화노즐(8)이 설치되어 가스호오스(7)를 통해 가스용기(2)의 분사노즐(4)과 연결되어 있고 동시에 압전소자(3)의 점화도선(3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점화버튼(5)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가스용기(2)의 분사노즐(4)에 결합되는 "L"자형 레버(6)가 연동 회동가능하게 피봇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4)에는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공(1c)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가스조절간(9)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d는 가스주입공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점화기는 사용자가 상기 점화버튼(5)을 누르면 그 일단이 점화버튼(5)의 하면에 접촉된 레버(6)가 피봇을 중심으로 소정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레버(6)의 타단과 연결된 상기 분사노즐(4)이 레버(6)에 의해 개방된다. 따라서 가스용기(2)의 내부에 압축저장된 가스가 분사노즐(4)과 가스호오스(7)를 통하여 점화노즐(8)에서 토출됨과 동시에 상기 압전소자(3)로부터 방전스파크가 발생되어 가스가 점화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점화기는 아무렇게나 방치함으로써 다음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착화방지를 위한 안전장치가 없었으므로 방치될 경우에 타인 특히 어린이의 무작위한 조작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항상 뒤따랐다. 또한, 일정장소에 보관하기 위한 걸이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앞의 문제를 쉽게 유발시키거나 분실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인 특히 어린이가 쉽게 조작할 수 없도록 안전장치를 갖는 점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 일정장소에 걸어 놓음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도록 된 점화기를 제동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돌출된 점화버튼을 가지며, 이 점화버튼을 눌러서 버어너 등의 연소기를 점화시키도록 된 점화기에 있어서, 상기 점화버튼이 점화기 본체에 대하여 눌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잠금수단이 구비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점화기를 일정장소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그 점화기 본체에 걸고리가 결합되어 된 점에 그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화기는 연장부(11a)가 형성된 본체(11)의 내부 후단에는 가스주입구(12a)를 가지며 그 내부에 가스가 압축저장된 가스용기(12)가 장착되고 중간에는 방전스파크를 발생하는 압전소자(13)가 설치고정되며 이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1b)를 통하여 본체(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원통형 점화버튼(15)이 그 누름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1a)의 선단부에는 점화노즐(18)이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압전소자(13)의 점화도선(13a)에 접속되며, 상기 가스용기(12)에 설치된 분사노즐(14)과 가스호오스(17)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스용기(12)와 압전소자(13)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점화버튼(15)의 하면에 접촉되고 타단은 가스용기(12)의 분사노즐(14)에 결합되는 "L"자형 레버(16)가 회동 가능하게 피봇지지되는 한편, 상기 분사노즐(14)에는 가스용기(12)로 부터 토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가스조절간(19)이 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공(11c)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후단에는 결합홈(11e)이 형성되고 이에 관통공(20a)을 갖는 걸고리(20)가 그 일끝단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에 대하여 점화버튼(15)을 잠글 수 있는 잠금수단으로서는 상기 본체(11)에 의해 지지되는 점화버튼(15)의 외주연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소정폭을 갖는 한쌍의 돌출편(15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내측면에는 점화버튼(15)의 회전에 따라 점화버튼(15)이 잠금 또는 해체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돌출편(15a)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한쌍의 걸림편(11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돌출편(15a)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본체(11)에 대해 점화버튼(15)의 회전위치가 한정되도록 돌기(15b)가 형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f 및 20b는 가스주입공이다.
이와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점화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점화기를 사용할 때는 상기 점화버튼(15)이 잠금에게 해체된 상태 즉, 점화버튼(15)의 돌출편(15a)과 본체(11)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편(11d)이 상호 엇갈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점화버튼(15)을 누르면 점화버튼(15)이 직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그 일단이 점화버튼(15)의 하면에 접촉된 레버(16)가 피봇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에따라 상기 레버(16)의 타단과 연결된 분사노즐(14)이 레버(16)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상기 가스용기(12)의 내부에 압축저장된 가스가 분사노즐(14)과 가스호오스(17)를 통하여 점화노즐(18)에서 토출된다.
이와동시에 상기 압전소자(13)에서 방전스파크가 발생되어 가스가 점화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점화버튼(15)을 소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돌출편(15a)과 걸림핀(11d)의 방향이 상호 일치되도록 하면 점화버튼(15)을 눌러도 돌출편(15a)이 본체(11)의 걸림편(11d)에 걸려서 눌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점화버튼(15)은 돌출편(15a)에 형성된 돌기(15b)가 점화버튼(15)의 회전에 따라 본체(11)의 양 내측면에 간섭되어 그 회전위치가 한정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후단에 설치된 걸고리(20)를 회전시켜 그 몸체에 형성된 관통공(20a)을 통하여 소정위치에 걸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 타인의 실수에 의한 점화·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의 무작위한 조작으로 인한 화재등의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점화기의 절절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본체(11)에 돌출된 점화버튼(15)을 가지며, 이 점화버튼(15)을 눌러서 버어너 등의 연소기를 점화하도록 된 점화기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버튼(15)이 그 누름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점화버튼(15)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편(15a)을 가지며, 상기 본체(11)에 그 돌출편(15a)이 회전위치에 따라 걸리게 한 걸림편(11d)이 형성되어, 그 점화버튼(15)을 회전시켜 로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의 버튼 잠금장치.
KR2019910008985U 1991-06-17 1991-06-17 점화기 KR940000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985U KR940000078Y1 (ko) 1991-06-17 1991-06-17 점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985U KR940000078Y1 (ko) 1991-06-17 1991-06-17 점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103U KR930001103U (ko) 1993-01-21
KR940000078Y1 true KR940000078Y1 (ko) 1994-01-10

Family

ID=1931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985U KR940000078Y1 (ko) 1991-06-17 1991-06-17 점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0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103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09047Y2 (ja) ライタ―
US4822276A (en) Child-proof cigarette lighter
US5199865A (en) Structurre of foldable safety lighter
US5628627A (e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JP2784977B2 (ja) 安全装置付ガスライター
US6488493B2 (en) Double-trigger child-resistant utility lighter
US4717335A (en) Child resistant lighter
US5460516A (en) Safety lighter with locking striker wheel
US5085578A (en) Child-resistant lighter with gas and spark control
AU7184791A (en) Bidirectional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US5584682A (e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with anti-defeat latch
JPH05126333A (ja) ライターにおける安全装置
US6126437A (en) Igniter with a safety switch
US5607295A (en) Safety lock cigarette lighter
JP3040822B2 (ja) 選択的に作動可能なライター
US6733277B2 (en) Lighter with a lock-off switch
KR200202998Y1 (ko) 발화저지기능을 갖는 발화석 점화식 가스라이터
US5597299A (en) Ignition safety device of gas lighter
US5472338A (en) Cigarette lighter safety with thumb locking mechanism
JP2540576Y2 (ja) ライター
KR940000078Y1 (ko) 점화기
US5451159A (en) Gas lighter with safety device to prevent release of gas
JP3110920B2 (ja) ライター用安全装置
CA2463984C (en) Igniter
US5332387A (en) Cigarette ligh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