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45Y1 -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45Y1
KR940000045Y1 KR2019910010746U KR910010746U KR940000045Y1 KR 940000045 Y1 KR940000045 Y1 KR 940000045Y1 KR 2019910010746 U KR2019910010746 U KR 2019910010746U KR 910010746 U KR910010746 U KR 910010746U KR 940000045 Y1 KR940000045 Y1 KR 940000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voltage
output
line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0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517U (ko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0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045Y1/ko
Publication of KR930003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5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표시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선로차단표시 장치의 회로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차단 표시 장치의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선용 차단기 11 : 부하
12 : 정류부 13 : 인입전압검출부
14 : 출력전압검출부 15 : 비교부
16 : 표시부 P1-P6: 포토커플러
C1-C2: 비교기 L1-L3: LED
본 고안은 상용전원을 이용하는 설비의 배선용 차단기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동작에 기인하여 설비조작자의 부주의에 따른 감전사고를 예방하고 고장발생 개소의 확인이 용이하게 한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전기 설비에 사용되는 배선용 차단기는 핸들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설비에 공급전압을 투입하거나 차단하게 되는데, 그 내부에는 과전류 검출코일에 의한 릴레이 접점이 마련되어 있어 배선용 차단기 온 상태에서 부하측과 부하 상태 또는 단락이 발생되면 상기 릴레이의 작동으로 배선선도를 차단하게 되어있다.
그런데, 배선용 차단기가 온 상태인지 또는 오프상태인지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배선용 차단기의 중앙 핸들 위치를 정확히 관찰하지 않으면 안되며, 불의의 경우 확인자의 시각적 착오에 따라 전원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오판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제안된 종래의 기술을 제1도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20호, 공개번호 85-761로써 개시된 기술로써, 부하(1)에 직렬로 연결된 퓨즈(2)가 융단되면, 이 퓨즈(2)에 병렬로 연결된 네온램프 또는 LED(3)가 점등하여, 현재 부하(1)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 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배선용 차단기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어 전원 투입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는 있지만 부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배전용 차단기의 인입측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알수가 없어, 결국 설비 조작자가 배전용 차단기의 인입측 전압에 감전될 우려가 상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용 차단기의 인입측 및 출력측 선로상의 전압을 검출 비교하여 LED가 점등 및 소등되게 함으로써 고장발생 선로의 식별이 용이하게 되고 감전사고 가능성을 예고 하게 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도로써, 배선용 차단기(10)의 인입선로(R. S. T)의 3상전압은 정류부(12)의 다이오드(D1-D6) 및 제너다이오드(ZD4)등으로 정류되어 회로 동작전압(V+)으로 발생되게 연결하고, 상기 인입 선로(R. T), (S. T), (R. S)상의 전압은 인입전압 검출부(13)의 각 포토 커플러(P1), (P2), (P3)의 포토다이오드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한 회로 동작전압(V+)이 인가되는 상기 포토커플러(P1-P3)의 출력은 비교부(15)의 각 비교기(C1-C3)의 넌 인비팅 입력단자(+)로 입력되게 연결한다.
또 상기 배선용차단기(10)의 출력 선로(R', S', T'), 즉 부하(11)측 선호의 선로(R. T), (S. T), (R. S)상의 전압은 출력 전압검출부(14)의 각 포토커플러(P4), (P5), (P6)의 포토다이오드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마찬가지로 상기한 회로동작 전압(V+)이 인가되는 상기 포토커플러(P4-P6)의 출력은 상기 비교기(C1-C3)의 인버팅 입력단자(-)로 입력되게 연결한다.
상기 비교부(15)의 각 비교기(C1-C3)출력은 각 제너다이오드(ZD1-ZD3)를 거쳐 표시부(16)의 각 LED(L1-L3)에 인가되게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선용 차단기(10)의 인입측 선로(R. S. T)에 전압이 없으면 본 회로동작은 없으므로 표시부(16)의 LED(L1-L3)는 오프상태, 즉 소등상태이다.
다음, 상기 인입회로(R. S. T)에 3상전압이 나타나 배선용 차단기(10)를 거쳐 부하(11)에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서는 정류부(12)의 3상 정류다이오드(D1-D6)와 제너다이오드(ZD4)로 3상 정압이 정류되어 회로동적전압(V+)이 발생된다.
이 전압(V+)은 인입 및 출력전압검출부(13, 14)와 비교부(15)에 공급된다.
따라서 인입전압 검출부(13)의 각 포토커플러(P1)의 포토다이오드가 점등되므로 그의 포토트랜지스터의 V+ 전압출력, 즉 포토커플러(P1-P3)의 V+전압출력이 비교부(15)의 각 비교기(C1-C3)의 넌 인버팅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또한 출력 전압검출부(14)의 포토커플러(P4-P6)에서도 V+전압이 출력되어 상기 비교기(C1-C3)의 인버팅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이 경우 비교기(C1-C3)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비교기(C1-C3)의 출력은 제너다이오드(ZD1-ZD3)를 통과할 수 없어 표시부(16)의 각 LED(L1-L3)는 소등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배선용 차단기(10)가 과부하 검출등을 통하여 선로를 차단하게 되면 출력전압검출부(14)의 출력이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 비교부(15)의 비교기(C1-C3)출력은 하이레벨로 되어 제너다이오드(ZD1-ZD3)를 통과하게 되며, 이에따라 표시부(16)의 LED(L1-L3)가 점등된다.
이때, 배선용 차단기(10)가 3상 선로중 과부하 상태의 선로만 차단하고 있는 경우, 출력선호(R', S', T') 중 해당선로를 제외한 다른 선로에서는 비교부(15)에 V+ 인버팅 입력을 계속 공급하게 되므로, 표시부(16)의 해당 LED만 점등되게 된다.
즉, 인입선로(R. S. T)에는 전압 공급이 있고 출력 선로(R', S', T')에는 전압공급이 차단된 경우(배선용 차단기(10)가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표시부(16)의 해당 선로 표시용 LED(L1-L3)가 점등되어, 설비 조작자에게 배선차단 상태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이상은 3상 전압 선로의 경우를 특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단상 선로에서도 그대로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며, 여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전기설비에 설비에 설치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온/오프상태의 식별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고정 선로의 추적이 용이하게 되므로 설비유지 보수상의 편리성과 감전사고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배선용 차단기의 온/오프 표시장치에 있어서, 배선용 차단기(10)의 인입선로(R. S. T)상의 전압을 포토커플러를 통하여 검출하는 인입전압 검출부(13)와, 배선용 차단기(10)의 출력선로(R', S', T')상의 전압을 포토커플러를 통하여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14)와, 상기 인입 및 출력 전압 검출부(13, 14)의 출력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15)와 상기 비교부(15)의 출력으로 구동하는 표시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표시장치.
KR2019910010746U 1991-07-12 1991-07-12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표시 장치 KR940000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746U KR940000045Y1 (ko) 1991-07-12 1991-07-12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746U KR940000045Y1 (ko) 1991-07-12 1991-07-12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17U KR930003517U (ko) 1993-02-26
KR940000045Y1 true KR940000045Y1 (ko) 1994-01-05

Family

ID=1931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0746U KR940000045Y1 (ko) 1991-07-12 1991-07-12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0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17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1072C (zh) 监控中性线和地线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电开关装置
KR100228042B1 (ko) 분리된 표시기를 갖춘 고장회로 검지기
US4554607A (en) Fuse loss indicating circuit
JPH0526410B2 (ko)
US20070159738A1 (en) Receptacle providing sustained excessive voltage protection
GB2342455A (en) Anti-static earth connection test system
US3766435A (en) Safety circuit
US7586719B2 (en) GFCI failure indicator
KR100796800B1 (ko) 인공지능 등주 감지기
KR94000004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 표시 장치
KR200193053Y1 (ko) 누전 차단기의 단락과 누전사고 구분 표시장치
KR101414929B1 (ko) 수배전반의 전압감지 표시 제어장치
KR101522955B1 (ko) 결상 보호 차단기
KR101302123B1 (ko)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20080004067U (ko) 부하단락방지 및 감전보호장치
JP3369890B2 (ja) インバータの異常検出回路
JP3718597B2 (ja) 欠相検出回路
KR200465749Y1 (ko) 차단기 제어용 디씨전원 이상여부 감시장치
KR910006948Y1 (ko) 전기자동개페회로
EP3557711B1 (en) Control and pro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loss of ground reference in facilities, machines and electrical equipment
KR200258048Y1 (ko) 에스디디 누전차단기
KR100251598B1 (ko) 낙뢰카운터
JPH0522843A (ja) 地絡方向継電装置
KR101101839B1 (ko) 가정용 전력공급 차단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U1584025A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ки от повреждени в аварийных режимах рабо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