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37Y1 - Remote controller for manufacturing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r for manufacturing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37Y1
KR940000037Y1 KR2019930021398U KR930021398U KR940000037Y1 KR 940000037 Y1 KR940000037 Y1 KR 940000037Y1 KR 2019930021398 U KR2019930021398 U KR 2019930021398U KR 930021398 U KR930021398 U KR 930021398U KR 940000037 Y1 KR940000037 Y1 KR 940000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work
machine
displa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3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상술
Original Assignee
안상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술 filed Critical 안상술
Priority to KR2019930021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03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37Y1/en

Links

Landscapes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산업기계의 종합관리 제어가 가능한 원거리 종합 제어 콘트롤러Remote control controller for comprehensive management of industrial machinery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 종합 제어 콘트롤러의 일실시예 참고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achine tool overall control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와 관련된 공작기 종합 제어 콘트롤 회로의 블럭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achine tool overall control control circuit related to FIG.

제3도는 제1도와 관련된 공작기 자동 제어 콘트롤러의 조작표시부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참고도.3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display unit and the like of the automatic machine control controller related to FIG.

제4도는 제1도에서 조작표시부의 일실시예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display unit in FIG.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 종합제어 콘트롤러에 의한 종합 관리제어 시스템의 참고도.5 is a reference diagram of a comprehensive management control system by a machine tool control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종합제어 콘트롤러 1a : 전면부1: General control controller 1a: Front part

10 : 종합제어 콘트롤회로 11 : 마이크로 컴퓨터부10: integrated control circuit 11: microcomputer

11a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b : 입출력 인터페이스11a: microprocessor 11b: input and output interface

12 : 간이조작표시부 12A : 간이조작키12: simple operation display unit 12A: simple operation key

12B : 간이표시기 12a : 작업수량사양 표시기12B: simplified indicator 12a: quantity of work indicator

12b : 기계동작 상태표시기 12c : 작업불량 표시기12b: Machine operation status indicator 12c: Work defect indicator

12d : 기계동작 상태표시기 12e : 중앙제어 조작키12d: Machine operation status indicator 12e: Central control operation key

12f : 표시제어키 12g : 오차표시기12f: Display control key 12g: Error indicator

12h : 오차 조작키 21-2n : 제1-제n 공작기12h: Error operation key 2 1 -2n: 1st-nth machine tool

15 : 프린터 인터페이스 16 : 통신 인터페이스 로직15: printer interface 16: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16a : 통신제어 로직 16b : 통신 아답터16a: communication control logic 16b: communication adapter

본 고안은 비교적 원격소재지에 다수의 생산설비 기계를 요소, 요소에 설치하고 중앙에서 상기 다수기계의 작업상황, 상태, 자동 조작등을 종합적으로 무인통제가 가능토록한 생산 설비기계의 자동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산업 기계 제어시스템의 운전 방법이 단순화, 가격 저렴화, 간이 이용의 용이성 신뢰성등이 보장 가능케된 다수 산업 기계류, 압조식 가공기계, 섬유기계등의 종합 제어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number of production equipment machines in a relatively remote location in the element, the element, and to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of the production equipment machine to enable the comprehensive control of the work situation, state, automatic operation, etc. of the multiple machines in the cente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hensive control controller for a number of industrial machinery, pressure type processing machines, textile machines, etc., in which the operation method of such an industrial machine control system can be simplified, reduced in price, easy to use, and reliable.

산업기계는 선반, 밀링, 연삭기등의 머신툴(Machine Tools)과 절삭공구등의 구분외에 다양한 종류가 알려져 있다.Various types of industrial machines are known in addition to machine tools such as lathes, milling machines, grinding machines, and cutting tools.

그리고, 근자와 같이 인건비 상승등을 고려한 공장자동화가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상기와 같은 기계 장치를 공장내에 다수개 구비하고 각 기계의 운전, 작업상황, 작업 상태등을 무인원격의 중앙제어 장치에서 일괄 통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진전되어져 가고 있다.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that factory automation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rise in labor costs, such as the near-term, a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machinery is provided in the factory, and the operation, work situation, and work status of each machine are collectively performed by an unmanned remote control unit. It is moving forward with a system of control and management.

또, 상기와 같이 다수의 공작기를 중앙제어 장치에서 통제관리할때는 소정 기계류의 피가공물 공작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겠지만 공정 상태등을 검출하는 센서와 작업량등을 계수하는 카운터등의 기능 및 소정의 자 제어기에서 모제어기인 중앙제어 장치측으로의 정보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를 포함한 국부단말 컴퓨터와, 이 국부단말 컴퓨터에서 송출된 정보를 누적하거나 환산하고 상기 국부컴퓨터로 소정제어 정보를 내보내는등의 종합제어 처리 작업을 위한 중앙제어 장치측의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machine tools are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various functions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work conditions of the workpieces of a predetermined machine, but functions such as a sensor for detecting a process state, a counter for counting the amount of work, etc. Comprehensive control processing such as a local terminal computer including communication equipment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from the controller to the central control unit, which is a mother controller, and accumulating or conver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l terminal computer, and exporting pre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local computer. A host computer system on the central control unit side for work is indispensable.

또, 상기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 단말 컴퓨터등으로 종합 설치되어진 종래 기술에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등과 국부 컴퓨터등에 공정 진행 상황등을 필요시마다 확인하거나 새로운 작업등을 지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로서 CRT모니터와 더불어 공작기의 제어 조건과 호스트측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각종 문자등의 입력용 키보드를 구비하여 이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nstalled as a host computer or a terminal computer as described above, the CRT monitor is used as a display device for checking the process progress or the like and instructing new work lights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and the local computer whenever necessary.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a keyboard for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control conditions of the host and the host is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수제어기의 종합통제관리는 호스트측의 컴퓨터 시스템과 공정중인 기계 개개에 콘트롤러를 포함한 단말 컴퓨터 시스템등의 복합적 소용으로 말미암아 그 설비가격등이 상당히 고가이므로 상기와 같은 공장 자동화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에겐 이용 가격면에서 상당한 부담이 되므로서 소규모 공장등에서는 감히 공장 자동화의 실현을 보류하게 되는 커다란 원인의 하나로 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이용지식이 터득된 전문적이 고급 숙련 요원 및 관리취급의 인적자원이 필요하게 되므로서 인적수급 조건을 고려한 면에서 기피하게 되는 현상을 야기하였다.However, the comprehensiv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multiple controllers made by the above computer system is very expensive due to the complex use of the computer system on the host side and the terminal computer system including the controller on each of the in-process machines. As a significant burden in terms of the use price for consumers who require the same factory automation, it is one of the big reasons that small factories dare to hold the realization of factory automation. The need for advanced skilled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for management and handling has led to the phenomenon of avoiding them in consideration of human resource conditions.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공장 자동화등을 예상한 다수제어기의 자동제어 종합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호스트 및 국부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조작과 호스트 컴퓨터에 의한 운전 및 운용방법이 복잡하고 가격 및 취급, 보수, 관리등의 운용면에서 간이이용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이로인한 공장자동화를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As a result, in the automatic control total management system of the multiple controllers which expected the factory auto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keyboard operation of the host and local computer systems and the operation and operation by the host computer are complicated, and the price, handling, maintenance, management, etc. Since it is difficult to expect simple use in terms of operation, it was impossible to realize factory automa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 제어기자동제어 종합관리 시스템을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가격의 공작기 종합 제어 콘트롤러로 실현가능케 되고, 이 자동화 종합제어 콘트롤러의 그 운전작업은 별도의 컴퓨터에 관련된 전문적 지식 없이도 간이 조작가능케되는 공작기 종합제어 콘트롤러를 제공코자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ulti-controller automatic control system can be realized as a simple and inexpensive machine tool total control controller, the operation of this automated total control controller The task is to provide a machine tool control controller that can be easily operated without the need for specialized computer knowledg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 종합제어 콘트롤러는 다수기계에서 작업할 개별 및 총량 생산량등을 관리하거나 또는 기계구동제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표시처리하는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와, 이의 입력 및 출력포트에는 간이조작을 위한 간이키조작 및 단순한 계수표시등이 가능한 디지탈 간이표시기가 하나의 제어보드로 제어돈 간이조작 표시부 및 상기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 내용이나 작업 프로그램에 의해 연속운전중인 기계의 정지 또는 구동하는 정보와, 상기 자동제어 콘트롤러측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처리된 정보를 상호 통신처리하는 통신인터페이스 로직회로를 일체로 포함하는 종합 제어 콘트롤회로를 케이스내에 탑재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machine tool control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microcomputer for managing individual and total outputs to be operated in multiple machines or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nd displaying the machine drive control, and its input and output. In the port, the digital simple indicator which enables simple key operation and simple counting display for simple operation is controlled by a single control board. Or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mprehensive control control circuit is integrated into a case, which includes a driving interface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circuit which mutually processe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icrocomputer on the automatic control controller side.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다수기계의 종합제어 콘트롤러(1)의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1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control controller 1 of multiple machi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여기서는 소형 장방 본체내에 제2도에 도시된 종합제어 콘트롤회로(10)가 탑재되어져 있고, 그 전면판(1a)에는 종합제어 콘트롤러(1)의 동작 점검, 생산량 점검 및 생산량 세팅등을 다수제어기중 그 어느하나를 선택적으로 호출하는등의 간이조작키(12A)와 간이표시기(12B)가 배치되어져 있다.In other words, the integrated control control circuit 10 shown in FIG. 2 is mounted in the small rectangular main body, and the front panel 1a includes a number of operation checks, production checks, and output setting of the integrated control controller 1. A simple operation key 12A and a simple display 12B for selectively calling any one of the controllers are arranged.

또, 상기 제어기 종합제어 콘트롤러(1)의 종합제어 콘트롤 회로(10)는 그 실시예를 제2도와 같이 나타내었다.Incidentally, the integrated control control circuit 10 of the controller integrated control controller 1 shows an embodiment thereof as shown in FIG.

여기서는 소정 피제어기에 관련된 작업조건, 피가공물 불량조건, 작업상황등을 종합적으로 관리제어 가능한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부(11)와, 이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부(11)의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어 간이작업 지시등을 위한 간이조작키(12A) 및 작업진행등의 간이표시기(12B)가 하나의 조작표시판에 배치된 간이조작키(12)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부(11)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다수기계측과 상호 정보교환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직(16)과 상기 다수기계의 작업 결과를 프린트하여 확인하기 위한 프린터 인터페이스(15)등과의 관련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system microcomputer unit 11 capable of comprehensively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work conditions, the workpiece defect conditions, and the work conditions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control unit and the input / output port of the system microcomputer unit 11 are connected to the simple work instruction lamp. The simple operation key 12A for the operation and the simple indicator 12B such as the work progress are connected to the simple operation key 12 disposed on one operation display panel and the output port of the microcomputer unit 11, and are mutually connected to the multiple machine sid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16 for exchanging information and the printer interface 15 for printing and confirming the work results of the multiple machines are configured.

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로직(16)은 통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부(11)에서 외부와의 통신처리용 아답터인 RS-442의 통신아답터(10b)와, 마이크로 컴퓨터부(11)와 통신아답터(16b)사이에서 외부와의 통신 프로토콜등을 제어처리하는 비동기 통신 방식의 통신제어 로직(16a ; 일예로 UART)과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부(11)는 중앙제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a)와 출력 인터페이스(11b)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출력 인터페이스(11b)의 또 다른 출력포트에는 프린터 인터페이스(15)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16 is a communication adapter 10b of RS-442, which is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processing from the normal microcomputer unit 11 to the outside, and the microcomputer unit 11 and the communication adapter 16b. And a communication control logic 16a (e.g., a UART) of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with the outside, and the microcomputer unit 11 includes a microprocessor 11a of a central control. And an output interface 11b, and a printer interface 15 is connected to another output port of the output interface 11b.

또, 상기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부(11)에 연결된 조작표시부(12)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operation display part 12 connected to the said system microcomputer part 11 is shown as FIG. 3 and FIG.

여기서는, 일예로 다수제어기의 개별 및 총량의 작업계획 수량 또는 제품 사양등의 표시를 선택적으로 표시가능한 작업 수량 사양표시기(12a)와, 작업일시 및 기계번호 또는 작업시간표시를 선택적으로 표시가능한 일시 표시기(12b) 및 현재 작업수량 또는 불량품수를 선택표시하는 작업 불량 표시기(12c)와, 기계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기계동작 상태 표시기(12d)를 포함하여 간이표시기(12B)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1)가 수행하여야할 작업 내용등을 입력처리하는 중앙제어 조작키(12e)와 표시장치 제어키(12f)를 포함하여 간이조작키(12A)를 형성하고 있다.Here, for example, a work quantity specification indicator 12a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an individual and total amount of work plan quantities or product specifications of a plurality of controllers, and a temporary indicator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work date and time, machine number, or work time display. 12b and a work failure indicator 12c for selectively displaying the current work quantity or the number of defective parts, and a machine operation status indicator 12d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achine, and forming a simple indicator 12B. A simple operation key 12A is formed including a central control operation key 12e and a display device control key 12f for input processing of work contents to be performed by the microcomputer 11 and the like.

또, 상기 제1도 및 제2도예의 제어기 종합제어 콘트롤러(1)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로직(16)을 통해 작업실내의 다수개 피제어기에 각기 병렬로 연결된 또 다른 비동기 통신 설비를 가진 피제어기 자동 제어콘트롤러(1B1-1Bn)와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 그 작업실내의 다수개 피제어기를 종합관리하는 형태로 구축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는 제5도와 같이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integrated control controller 1 of FIGS. 1 and 2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nother controlled asynchronous communication facility connected in parallel to a plurality of controlled controllers in the work room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16. control controller (1B 1 -1B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can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comprehensive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blood controller of the operation room, and this type are shown as the fifth help.

여기서는 상기 다수개의 1-제n피제어기(21-2n)에 대해 상기 제1-제n피제어기 자동제어 콘트롤러(1B1-1Bn)가 1 : 1병렬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제어기의 종합 제어 콘트롤러(1)는 이것이 다수피제어기 자동 제어 콘트롤러(1B1-1Bn)중 그 어느하나를 호출하여 1 : 1비동기 통신제어 처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Here, the first- th n-th controller automatic control controllers 1B 1-1Bn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a one-to- one relationship to the plurality of first-n-th control units 2 1-2n, and the overall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is performed. controller (1) that this number of blood controller automatically controls the controller (1B -1Bn 1) at any one of a first call: has a structure that one asynchronous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ing.

한편, 제4도는 제1도예의 종합제어 콘트롤러(1)의 간이 조작표시부(12)를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참고도이다.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simple operation display unit 12 of the integrated control controller 1 of FIG.

여기서는 디지탈 세그먼트 표시기에 의한 작업수량 사양표시기(12a)와 작업 붕량표시기(12c), 오차정정의 오차표시기(12d), 일시 및 기계번호 표시기(12b)등이 차례로 배열되어 있고, 일-십만까지의 작업량 세팅 제어조작키(12e) 및 표시제어키(12f), 오차 조작키(12h)등이 배치되어져 있다.Here, the work quantity specification indicator 12a by the digital segment indicator, the work load indicator 12c, the error correction error indicator 12d, the date and time, and the serial number indicator 12b are arranged in this order. The workload setting control operation keys 12e, the display control keys 12f, the error operation keys 12h, and the like are arranged.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작용 및 효과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and effects.

즉, 본 고안에 의한 메인제어 종합 제어콘트롤러(1)는 제5도와 같이 공장등의 작업실내에 비치된 다수의 피제어기(21-2n)에 각각 병렬로 설치된 피제어기 자동제어 콘트롤러(1B1-1Bn)중 어느하나의 직렬로 연결한다.That is, the main control integrated control control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trolled automatic control controller 1B 1 installed in paralle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2 1-2 n provided in a work room such as a factory as shown in FIG. 5. -1Bn) is connected in series.

또, 다른 자동제어 콘트롤러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other automatic control controller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제어 종합제어 콘트롤러(1)는 각 피제어기 자동제어 콘트롤러(1B1-1Bn)를 1 : 1로 호출하여 소정기계의 가동유무 확인과, 각 공작기에 설치된 동작조건 검출수단등을 구동하도록 명령하거나, 상기 소정기계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작업량의 체크 및, 소정 기계가 소정시간에 생산하여야할 생산량을 명령하고 수정처리하거나 또는 기계에 이상이 있을시 자동 정지시키는 등의 작업제어 및 생산관리를 행한다.Main control comprehensive control controller 1 in this state, each controller automatically controls blood controller (1B -1Bn 1) a 1: driving or the like by calling a first predetermined machine operations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is installed to each of the condition detection means of the peacock Work control and production management such as checking the amount of work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given machine and ordering and correcting the amount of production that the given machine should produce at a given time, or automatically stopping when there is a problem. Is done.

이때는 메인제어 종합 제어콘트롤러(1)내에 탑재된 제2도에 도시된 종합제어 콘트롤 회로(10)와 제3도 및 제4도예의 간이조작 표시부(12)측 간이조작키(12A)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지시 및 제어가 생산관리를 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egrated control control circuit 10 shown in FIG. 2 mounted in the main control integrated control controller 1 and the simple operation keys 12A on the side of the simplified operation display section 12 of FIGS. 3 and 4 are used. Work orders and control as described above can perform production management.

일예로, 상기 피제어기(21-2n)가 n대 있어 이들에 작업지시를 행하기 위해서는 표시제어키(12f)의 a-d중 어느하나로 상기 피제어기(21-2n)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작업량 지시키를 누른 후 일-백만까지의 목표작업량 세팅 제어 조작키(12e)로 그 소정 공작기의 작업량을 지시세팅한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n control units 2 1-2 n, in order to give a work instruction to them, one of the control units 2 1-2 n is selected as one of ad of the display control key 12f. After pressing the work load base, the target work quantity setting control operation key 12e up to one-million is indicated and set the work quantity of the predetermined machine tool.

이때는 그 작업지시량을 간이표시기(12B)측 작업수량 사용표시기(12a)를 보면서 그 소망하는 세팅작업을 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sired se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looking at the work quantity use indicator 12a on the side of the simple display 12B.

그리고, 일시 기계번호 표시기(12b)에는 상기 지정된 기계의 고유 번호가 표시되고 있는 표시제어키(12f)의 4개키중 그 입력조합으로 소정기계를 변경할 수 있다.Then, the temporary machine number indicator 12b can change the predetermined machine by its input combination among four keys of the display control key 12f in which the unique number of the designated machine is display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면판(1a)측 간이조작키(12A)와 간이표시기(12B)의 입출력 동작은 제2도와 같이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부(11)에서 간이 조작키(12A)의 키스캔방식에 의한 입력조건에 따라 소정기계의 목표작업량과 현재까지 진행중인 작업량등을 작업수량 사용표시기(12a)와 현재 작업량 및 불량표시기(12c)로서 수시로 확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간이 조작키(12A)에서 소정피제어기를 호출할때는 마이크로 컴퓨터부(1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a)는 소정 메인 제어가 호출입력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1b)와 통신 인터페이스로직(16)을 통해 소정피제어기측에 구비된 공작기 프로그램에 동기시킨 다음 동피제어기 자동제어 콘트롤러에 구비된 통신 인터페이스로직(16)을 통해 상호 정보를 교환한다.The input / output operation of the simple operation key 12A and the simple display 12B on the front panel 1a side as described above is similar to the kisscan method of the simple operation key 12A in the system microcomputer unit 11 as shown in FIG.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condition by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target work of the predetermined machine and the amount of work currently in progress such as the work quantity use indicator (12a) and the current amount of work and the failure indicator (12c) is controlled from time to time, the predetermined operation key (12A) When calling the controller, the microprocessor 11a of the microcomputer unit 11 transmits a predetermined main control to the machine tool program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redetermined controlled device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11b a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16 according to the call input. After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s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16 provided in the automatic control controller.

또, 상기 피제어기 자동제어 콘트롤러(1B1-1Bn)는 각기 기계의 작업 유형과 형태에 따라 체크되어야할 행정 조건등을 라인상의 피가공물 작업 진입여부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기계에 직접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간이조작 표시부(12)와 상기 기계의 각종 제어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등의 프로그램만 다를뿐 그밖에는 상기 메인 종합제어 콘트롤러(1)의 콘트롤러(10)와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동일한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상호 비동기 통신이 가능케 된다.Further, the to-be-controller automatically controls the controller (1B 1 -1Bn)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respective conditions such as stroke or the like on the machine to be checked in accordance with the job type and the line type the work operation if the entry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machine In addition, only the programs such as the simple operation display unit 12 and the various control processing processes of the machine are different, but the hardware configuration is identical to that of the controller 10 of the main comprehensive control controller 1. The same mutual asynchronous communication is possible.

따라서, 상기 공작기종합 제어 콘트롤러(1)는 그 콘트롤러(10)에서 비동기 통신의 통신 인터페이스 로직(16)을 통해 소정공작기(21-2n)의 작업 상황을 수시로 점검하고 다수기계의 고유번호순으로 작업된 내용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기억장치에 차례로 메모리시키고, 그것이 소정기계가 작업목표로 설정한 작업량까지 반복해서 체크한 후 설정작업량에 이르게 되면 소정 공작기가 정지되도록 제어한다.Therefore, the machine tool control controller 1 check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redetermined machine 2 1-2 n from time to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16 of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in the controller 10, and the unique number order of the multiple machines. The stored work is memoriz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microprocessor 11 in turn, and it repeatedly checks up to the amount of work set by the predetermined machine as the work target, and then controls to stop the predetermined machine when the set amount of work is reached.

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로직(16)은 통신제어로직(16a)과 통신 아답터(16b)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신 아답터(16b)와 다수공작기(21-2n)측 콘트롤러(1B1-1Bn)의 통신 아답터를 상호직렬 연결하므로서 이들과의 1 : 1통신 작업을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16, the communication adapter (16b) and a plurality machine tool (2 1 -2n) side controller (1B -1Bn 1) because it is a communication control logic (16a) and a communication adapter (16b) By connecting serial communication adapters in series, 1: 1 communication with them can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부(11)에선 릴레이 구동부(14)를 통해 소정 공작기의 작업 공정에 허용 오차기준치를 넘은 편차가 있을 경우 이를 어느 방향으로 치우쳤는가등을 외부에서 판단하기 위한 오차표시기(12g)를 구동하고, 상기 소정공작기의 작업 공정중 일예로 작업행정거리가 +측으로 치우쳤을 경우 그 오차 범위를 기계동작 상태표시기(12d)측의 세그먼트 표시기와 오차조작키(12h)를 이용하여 재세팅을 행한다.In addition, in the microcomputer 11, an error indicator 12g is externally used to determine in which direction a bias is exceeded in the working process of a predetermined machine tool through a relay driver 14 in which direction it is biased. ), And when the working stroke distance is biased to the + side during the working process of the predetermined machine, the error range is re-adjusted using the segment indicator and the error operation key 12h on the machine operation status indicator 12d side. Make the settings.

이러한 오차정정을 위한 재세팅 정보는 역시 마이크로 컴퓨터부(11)에서 프로그램 처리하여 지정된 공작기 자동 제어콘트롤러를 통해 공작기의 작업 행정을 자동으로 수정제어할 수 있다.The reset information for error correction may also be program-processed in the microcomputer unit 11 to automatically correct and control the work stroke of the machine tool through a designated machine tool automatic control controller.

그리고, 상기 다수공작기(21-2n)의 개별 목표 작업량의 총량과 현재 진행된 작업량의 내용도 역시 작업 불량표시기(12c)로 수시로 점검할 수 있으며, 또 상기와 같이 다수 공작기(21-2n)에서 처리된 내용을 프린터 인터페이스(15)을 통해 인자매체를 처리확인할 수도 있다.Then, the content of the total amount of work and are conducted for individual target amount of work of the multiple machine tool (21 -2n) also may be checked from time to time by operation failure indicator (12c), also numerous machine tool (21 as described above - The print media may be processed and checked through the printer interface 15 with the content processed in 2n).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피제어기의 종합적제어 및 관리가 간단한 메인제어 종합제어 콘트롤러로 이뤄지면서 그 조작 수단도 간이 조작표시부에 의해 용이하게 각종작업의 진행과 확인 표시등을 이룰 수 있어 이로인한 간이용 무인자동화 작업을 가능케하고 그 이용의 용이성도 보장케하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control general control controller which is simple for comprehensive control and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controlled controllers, and its operation means can easily make progress and confirmation indicators of various operations by a simple operation display unit. It is a practical design that enables the unmanned automation work and ensures the ease of use.

Claims (1)

다수의 피제어기에는 각기 개개의 작업 공정을 자동 제어하는 자동 제어 콘트롤러를 둔 것에 있어서, 상기 다수 공작기의 개별 및 전체목표 작업량과 제품 사양등을 교대로 표시하는 디지탈 세그먼트의 작업수량 사양표시기(12a)와, 일시 및 지정된 기계 고유 번호 표시의 일시표시기(12b), 현재 작업 진행량과 불량 객수를 표시하는 작업 불량 표시기(12c), 기계가동 및 오차상태를 표시하는 기계동작 상태 표시기(12d) 및 오차표시기(12g)등을 포함한 간이표시기(12B)와, 다수 공작기 개개의 작업량 세팅 및 수시점검과 기계번호 지정등의 중앙제어 조작키(12e) 및 표시기 동작의 표시제어키(12f), 오차조작키(12h)등을 포함한 간이조작키(12A)로 구성되어 다수의 피제어기측 자동제어 콘트롤러와 상호 1 : 1비동기 통신 처리가 가능하며 피제어기의 작업 제어입력과 작업 상황등을 체크하는 입력처리의 간이 조작키 및 간이 표시 점검의 간이 표시기로된 간이조작 표시부(12)와, 이 전면판(1a)에 가진 메인 종합 제어 콘트롤러(1)로 되고, 이 메인 종합 제어 콘트롤러(1)내에는 종합제어 콘트롤러(10)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 종합 제어 콘트롤 회로(10)는 상기 간이조작 표시부(12)측의 간이 조작키(12A)에 의해 지시된 내용을 간이 표시기(12B)로 디지탈 표시 제어 하거나 또는 비동기 통신 처리제어를 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부(11)와, 이 마이크로 컴퓨터부(11)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이어져서 상기 공작기측 자동제어 콘트롤러와 1 : 1비동기 통신 처리를 매개하는 통신 인터 페이스로직(16)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부(11)에 의해 작업된 내용을 프린터로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 인터페이스(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 기계류의 종합 관리 제어가 가능한 원거리 종합 제어 콘트롤러.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has an automatic control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ndividual work processes, and the work quantity specification indicator 12a of the digital segment which displays the individual and total target work loads and product specifications of the plurality of machine tools alternately. ), A date and time indicator 12b for displaying the date and time of the designated machine unique number, a job failure indicator 12c for displaying the current work progress and the number of defects, a machine operation status indicator 12d for displaying the machine operation and error status, and A simple display 12B including an error display 12g, a central control operation key 12e for setting work loads of individual machine tools, occasional inspection and machine number designation, and a display control key 12f for display operation. It consists of a simple operation key 12A including an operation key 12h and the like, which enables 1: 1 asynchronous communication processing with a large number of control-side automatic control controllers. It consists of the simple operation display part 12 which consists of a simple operation key of the input process which checks up state etc., and the simple display of the simple display check, and the main comprehensive control controller 1 which this front panel 1a has, The integrated control controller 10 is mounted in the control controller 1, and this integrated control control circuit 10 displays the contents indicated by the simple operation keys 12A on the simple operation display unit 12 side. A microcomputer unit 11 performing digital display control or asynchronous communication processing control at 12B and an input / output interface of the microcomputer unit 11, and performing 1: 1 1: 1 asynchronous communication processing with the machine-side automatic control controller. Industrial machin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interface logic 16 for interfacing and a printer interface 15 for outputting the work performed by the microcomputer unit 11 to the printer. Comprehensive remote control controller is a comprehensive management control as possible.
KR2019930021398U 1993-10-18 1993-10-18 Remote controller for manufacturing control system KR94000003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398U KR940000037Y1 (en) 1993-10-18 1993-10-18 Remote controller for manufacturing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398U KR940000037Y1 (en) 1993-10-18 1993-10-18 Remote controller for manufacturing control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695A Division KR920010484A (en) 1990-11-01 1990-11-01 Remote control controller for comprehensive management of industrial machin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37Y1 true KR940000037Y1 (en) 1994-01-05

Family

ID=1936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398U KR940000037Y1 (en) 1993-10-18 1993-10-18 Remote controller for manufacturing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03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8045A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KR100346144B1 (en) Production facility control system
EP1643326A1 (en) Machine tool control apparatus
WO1996008753A1 (en) Process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 activating sensors and/or actuators that are linked by a bus system
KR940000037Y1 (en) Remote controller for manufacturing control system
JPH07116945A (en) Tool management device
KR101902878B1 (en) A machining center monitoring system for implementing smart factory and a machining center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JP2574726B2 (en) Equipment machine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JP3318923B2 (en) Production management device
JP2754266B2 (en) Numerical controller with centralized tool data management function
KR930001664B1 (en) Auto-control unit for press
JPH0657377B2 (en) Processing tool processing equipment in FMS
JPH01183344A (en)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JP3493441B2 (en) CPU device and I / O expansion device in programmable controller
JPH0210404A (en) Cnc device
US20240012385A1 (en) Control device
Aized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hardware components
JPH10328980A (en) Process managing device and method
JPH0430799B2 (en)
JPH084998B2 (en) Work quality control device
KR20150067829A (e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of multi machinery and equipment
JPH04104309U (en)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with time signal
JP3023251B2 (en) Transfer machine
JPH07182421A (en) Production managing device
JP3612720B2 (en) Processing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