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069B1 - 콘센트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 - Google Patents

콘센트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069B1
KR930012069B1 KR1019910022956A KR910022956A KR930012069B1 KR 930012069 B1 KR930012069 B1 KR 930012069B1 KR 1019910022956 A KR1019910022956 A KR 1019910022956A KR 910022956 A KR910022956 A KR 910022956A KR 930012069 B1 KR930012069 B1 KR 930012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lage
sections
fuselage section
concret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396A (ko
Inventor
이필웅
Original Assignee
이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웅 filed Critical 이필웅
Priority to KR101991002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2069B1/ko
Publication of KR93001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센트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건축된 콘센트형 구조물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축된 기초골격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초골격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축된 콘센트형 구조물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부 확대도.
제6도는 제4도의 VI부 확대도.
제7도는 제4도의 VII-VII선 확대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후벽체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동체섹션의 사시도로서,
제9a도는 길이가 긴 A섹션을 나타내는 것이고, 제9b도는 길이가 짧은 B섹션을 나타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14 : 베이스플레이트
20 : 기초골격 30 : 전후벽체
31 : 저면 32 : 직선변부
33, 34 : 연결홈 40 : 동체섹션군
41, 42 : 동체섹션 43 : 길이방향 단면
44 : 폭방향 단면 45, 45 : 연결홈
51, 52 : 내외 콘크리트 코팅층 60 : 쐐기
본 발명은 다수개의 색센들로 구성되는 콘센트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건축물의 구조와 이를 건축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문제점인 공기(工期)의 장기화, 중장비등의 설비의 필요성 및 건축중 도로의 점령등에 따른 보행 및 차량통행에 지장을 주는등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다수개의 합성수지재 삼각형 섹션을 쐐기형 연결편으로 결합하여 돔형의 기초골격을 구축한 다음 그 내외벽면에 콘크리트를 코팅하는 식의 돔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돔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에서는 각 섹션들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돔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각 섹션들의 형상과 각 모서리의 각도 및 각 변(邊)의 길이등을 정확하게 설계하여야 하며, 이러한 섹션들을 결합함에 있어서도 공통적으로 한 방향을 향하도록 각 섹션들을 엇갈리게 짜맞춰야 하므로 숙련을 요하며 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돔형 구조물에서는 각 섹션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관계로 전,후 또는 좌,우측벽에 출입문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고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섹션들이 필요하게 되어 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된 구조물이 돔형으로 되는 관계로 대형 사무실이나 교실 또는 기숙사를 건축하는데는 적합하지 못했다.
그외에도 각 섹션들이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건축현장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운반차량에 적재하는 경우는 물론 건축현장에 적재하여 둘 경우에도 적재장소의 바닥면적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체를 이루는 동체섹션의 제작이 용이하며, 건축현장에서 섹션을 조립함에 있어 편리하고, 대형 사무실이나 교실 또는 기숙사등의 건축에도 적합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입문이나 창문의 설치가 용이하고 섹션간의 결합이 용이하여 구조물의 시공이 간편하게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섹션들을 건축현장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운반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와 건축현장에 적재하여 둘 경우 적재장소의 바닥면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와, 이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가장자리에 최하단의 것이 고정결합되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된 다수개의 기다란 장방형 동체섹션군과 상기 장방형 동체섹션군들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 발포체의 전,후벽체를 가지는 콘센트형 기초골격 및 이 기초골격의 내,외벽면에 코팅되는 콘크리트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콘센트형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콘센트형 구조물은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바닥면적에 상당하는 부분에 콘크리트 슬라브(10)를 타설하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이 슬라브(10)의 양단부위에 전후벽체(30)를 결합하여 세운 다음, 양측 최하단에 위치하는 동체섹션군(40)의 하단을 슬라브(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양단부를 전후벽체(30)에 결합하며, 다음 점차 중단부로부터 상단부에 이르는 동체섹션군(40)을 전후벽체(30)와 인접하는 동체섹션군(40)에 결합시켜 하나의 콘센트형 기초골격(20)을 구축하는 기초골격 조립단계 및; 이 기초골격(20)의 내외면에 콘크리트 코팅층(51)(52)을 코팅하는 콘크리트 코팅층 코팅단계로 건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건축된 콘센트형 구조물의 외관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축된 기초골격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초골격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축된 기초골격의 종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V부 확대도이고, 제6도는 제4도의 VI 부확대도이며, 제7도는 제4도의 VII-VII선 확대단면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후벽체의 사시도이며, 제9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동체섹션의 사시도로서, 제9a도는 길이가 긴 A섹션을 나타내는 것이고, 제9b도는 갈이가 짧은 B섹션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의 바닥면적에 상당하는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이슬라브(10)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합성수지재 전후벽체(30)와 구조물의 전장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동첵섹션군(40)을 결합한 기초골격(20)과, 이 기초골격(20)의 내외면에 코팅되는 콘크리트 코팅층 (51)(52)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는 4인치 두께로 다져진 석반(石盤)위에 4인치 두께로 타설되며, 그 내부에 매설되는 철근과 철망에 의하여 보강되고, 표면에는 1인치 두께의 절연층(11)이 코팅된다(제6도 참조).
상기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가장자리에는 콘센트형 구조물이 환성되었을 때 구조물의 내외부 간의 절연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초절연부(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및 절연층(11)을 타설하는데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세믹스 콘크리트(미국 지오디식스사, Geodesics Inc.)의 제품인 세믹스(Cemix)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그 성분은 포크랜드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으로 제조되는 수성 아크릴 라첵스 제조물로서 통상 유리섬유로 보강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골격(20)을 접착시킬 수 있는 수성 라텍스나 이와 유사한 코팅재료를 사용하여 코팅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절연부(12)의 상면에는 앵커볼트(13)를 매설하고 이에 목재로 된 베이스플레이트(14)를 고정하고 이에 스플라인(15)을 고정하여 후술하는 기초골격(20)의 전후벽체(30)의 하단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동체섹션군(40)의 하단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베이스플레이트(14)는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략 1 내지 1.5M의 간격을 두고 앵커볼트(13)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골격(20)을 구성하는 전후벽체(30)는 발포 스틸렌 판재와 같은 합성수지 판재로써 건축하고자 하는 콘센트형 구조물의 반구직경(R)과 중심높이(H)를 가지는 대략 반원형으로 절단된 것이다(제8도 참조).
또한 전후벽체(30)의 저면(31)은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직선으로 되, 가장자리부는 전후벽체(30)와 함께 기초골격(20)을 구성하는 동체섹션군(40)의 개수와 일치하는 개수(도시예에서는 10개)의 직선변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31)에는 슬라브(10)에 고정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 및 스플라인(15)이 끼워져 연결되는 연결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직선변부(32)에는 후술하는 동체섹션군(40)의 양단과 연결하기 위한 합성수지재 쐐기(60)가 끼워지는 연결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벽체(30)에는 출입문(70)을 설치하기 위한 출입문설치홈(36)이 형성되어 그 내측 가장자리에는 출입문(70)의 문틀(71)의 외측 가장자리가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문틀(71)의 외측면은 통상적인 벽돌쌓기식 건축에 있어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평면인 것을 사용하여 단순히 출입문설치홈(36)의 내측 가장자리에 끼워맞춰도 무방하나, 전후벽체(30)와 문틀(71)간의 결합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출입문설치홈(36)의 내측 가장자리와 문틀(71)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홈(37),(72)을 형성하여 이들 연결홈(37)(72)에 쐐기(60)를 끼워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체섹션군(40)은, 발포 스틸렌 판재와 같은 합성수지 판재로 되는 것으로, 각각 길이가 긴 A형 동체섹션(41)과 길이가 짧은 B형 동체섹션(42)을 길이방향으로 교호로 결합하여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전장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B형 동체섹션(42)의 길이는 A형 동체섹션(41)의 절반 길이로 하며,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동체섹션군(40)중, 하나는 A형 동체섹션(41)이 선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한 것으로 하며, 다른 하나는 B형 동체섹션(42)가 선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한 것으로 하여 각 동체섹션군(40)을 폭방향으로 결합하였을 때 마치 벽돌을 쌓았을 때와 같이 길이방향 결합부가 엇갈리게 되도록 한다.
상기 A형 동체섹션(41)과 B형 동체섹션(42)을 결합하기 위하여 각 동체섹션(41)(42)의 길이방향 양단면(43)과 폭방향 양단면(44)에는 쐐기(60)가 끼워지는 연결홈(45)(46)이 형성되어 있다(제9도 참조).
여기서 상기 동체섹션(41)(42)의 길이방향 양단면(43)은 측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단면(端面)으로 하여 각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동체섹션(41)(42)을 결합하였을 때 직선을 이루도록 하고, 폭방향 양단면(44)은 측면에 대하여 경사각도(α)를 주어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동체섹션군(40)을 결합하였을 때 소정반구직경(R)과 중심높이(H)를 이룰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일예로서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반구직경(R)이 7,670mm이고, 중심높이(H)가 3,835mm이며, 각동체섹션(41)(42)의 폭(W)이 1,200mm인 경우, 상기 폭방향 양단면(44)의 경사각도(α)는 대략 9°로 형성하면 된다.
또 상기 동체섹션군(40)의 양단에 위치하는 동체섹션(41)(42)의 외측단부 내면에는 상기 전후벽체(30)의 직선변부(32)와 결합하기 위한 쐐기(60)가 끼워지는 연결홈(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벽제(30)와 동체섹션(41)(42)는 공히 밀도가 1내지 31b/ft2인 발포 스틸렌 판재로 하며, 그 두께는 20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형 동체섹션(41)은 폭 1,200mm, 길이 2,400 내지 3,600mm로 하는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반구직경(R)과 중심높이(H)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연결홈(34,47),(37,72),(45,46)에 끼워지는 쐐기(60)는 합성수지로 된 것으로서 가로 및 세로 각 3인치, 길이 6인치의 것을 사용하며, 각 연결홈 (34,47)(37,72),(45,46)의 크기는 가로, 세로 각 3인치, 깊이 3인치로 형성한다.
이들 연결홈 (34,47),(37,72),(45,46)과 쐐기(60)의 크기는 전후벽체(30)와 동체섹션(41)(42)의 두께에 따라서 산정되는 것으로 두께의 0,4 내지 0.5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 연결홈(34,47),(37,72),(45,46)에 쐐기(60)를 끼워연결함에 있어서는 이들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끼우고 나무 망치등으로 두둘기는 것에 의하여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발포 스틸렌 판재를 접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그 일예로서는 미국 댑사(Dap Inc.)의 접착성 아크릴 라텍스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후벽체(30)의 저면(21)에 형성된 연결홈(33)과, 동체섹션군(40)중 양측 최하단에 위치하는 동체섹션군(40)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연결홈(46)에는 슬라브(10)에 고정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4)가 끼워져 결합됨과 아울러 이 베이스플레이트(14)에 고정된 스플라인(15)이 몰입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조물의 중단부에 창문(8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는 동체섹션(41) 또는 (42)을 결합하지 않고 그 빈공간에 창문틀(81)을 끼워서 결합하면 된다.
이때 창문틀(81)의 외측면을 평면형으로 형성하고 단순히 상기 빈공간에 끼워맞춰도 무방하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창문틀(81)의 외측면에 연결홈(82)을 형성하고, 상기 빈공간을 한정하는 동체섹션(41) 또는 (42)의 길이방향 단면(43)과 폭방향 단면(44)에 형성된 연결홈(45)(46)과의 사이에 쐐기(60)를 끼워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연결홈(82)와 연결홈(45)(46) 및 쐐기(60)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구조물의 상단부(즉, 천장부)에 환기통 또는 굴뚝(90)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출입문(70)이나 창문(80)을 설치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길이가 3M를 넘는 경우에는 중간에 H빔을 절곡한 보강프레임(100)을 설치하여 그 양측에 형성되는 홈부(101)에 동체섹션군(40)의 일단을 끼워결합한다.
상기 기초골격(20)의 내외면에 코팅되는 콘크리트 코팅층(51)(52)은, 1/4인치 두께로 되며, 특히 내부 코팅층(52)은 1차로 1/8인치 두께의 콘크리트를 코팅한 다음 밀도 3,970sy로 성기게 짠 유리섬유망판(fider glass mesh)을 표면에 대고 2차로 1/8인치 두께의 콘트리트로 코팅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미국 지오디식스사의 제품인 세믹스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그 성분은 포크랜드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으로 제조되는 수성 아크릴 라텍스 제조물로서 유리섬유로 보강한다.
이 콘크리트 코팅층(51)(52)을 구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에는 꺽쇠형 보강재를 혼입하여 쇼트크리트(Shotcrete)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함으로써 이 꺽쇠형 보강재가 기초골격(20)의 표면에 박히게 하여 기초 골격(20)과 콘크리트 코팅층(51)(52)이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외부면에 코팅되는 코팅층(51)에는 방풍과 방우, 마감, 조직 및 채색을 위하여 추가적인 합성고무층을 코팅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에너지 절약형이며 건설하기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내부면에 코팅되는 코팅층(52)에는 적어도 한층 이상의 내화코팅층을 할 수 있으며, 내장용 도료코팅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콘센트형 구조물의 건축방법을 반구직경 7,670mm, 중심높이 3,835mm인 콘센트형 구조물을 건축하는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타설단계]
먼저,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바닥면적에 상당하는 부위에 4인치 두께의 석반을 다지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를 4인치 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슬라브(10)의 내부에는 철근과 철망을 매설하여 보강하며, 표면에는 1인치 두께의 절연층(11)을 코팅한다.
이와 아울러 슬라브(10)의 가장자리에 기초절연부(12)를 형성하여 이에 앵커볼트(13)을 매설하고 이에 베이스플레이트(14)를 고정설치하며, 그 위에 스플라인 (15)을 고정설치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는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1 내지 1.5M 간격을 두고 앵커볼트(13)로 고정하는 것이 좋다.
[기초골격 조립단계]
상기와 같이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양단부위에 전후벽체(30)를 결합하여 세운 다음, 양측 최하단에 위치하는 동체섹션군(40)의 하단을 슬라브(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양단부를 전후벽체(30)에 결합하며, 다음 점차 중단부로부터 상단부에 이르는 동체섹션군(40)을 전후벽체(30)와 인접하는 동체섹션군(40)에 결합시켜 하나의 콘센트형 기초골격(20)을 구축한다.
이때 상기 전후벽체(30)는, 그 저면(31)에 형성된 연결홈(33)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와 이에 고정된 스플라인(15)을 끼움과 아울러 스플라인(15)이 연결홈 (33)의 바닥면에 박혀들어가도록 하며 이들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각 동체섹션군(40)은, A형 및 B형 동체섹션(41)(42)을 길이방향 양단면(43)에 형성된 연결홈(45)에 쐐기(60)를 끼워넣어 길이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전장에 상당하는 다수개의 동체섹션군(40)을 형성한다.
상기 최하단에 위치하는 동체섹션군(40)은, 그 폭방향 양단면(44)중 하부측을 슬라브(10)의 폭방향 양단 부위에 일치시키고, 단면(44)에 형성된 연결홈(46)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와 이에 고정된 스플라인(15)을 끼워넣되 스플라인(15)이 연결홈(46)이 바닥면에 파고들어가게 하여 결합함과 아울러 그 양단의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홈(47)을 전후벽체(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직선변부(32)에 일치시키면서 연결홈(34)와 연결홈(47)사이에 쐐기(60)를 끼워서 결합한다.
다음, 최하단의 동체섹션군(40)의 위쪽으로 다른 하나의 동체섹션군(40)을 일치시키면서 인접하는 폭방향 단면(44)에 형성된 연결홈(46)사이에 쐐기(60)를 끼워결합함과 아울러 양단부 내측면에 형성된 연결홈(47)을 전후벽체(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직선변부(32)에 일치시키면서 연결홈(34)와 연결홈(47)사이에 쐐기(60)를 끼워서 결합한다.
계속하여 그 상부에 위치되는 동체섹션군(40)을 점차적으로 결합하여 최상단의 동체섹션군(40)까지 결합하여 하나의 기초골격(20)을 구성한다.
상기 연결홈(34,47),(45,45)과 (46,46)과 쐐기(60) 및, 연결홈(33)과 연결홈(46) 및 베이스플레이트(14)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전후벽체(30)에 형성된 출입문설치홈(36)에는 출입문(70)의 문틀(71)을 끼워넣어 결합한다.
이때 상기 문틀(71)의 외측면은 통상적인 벽돌쌓기식 건축에 있어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평면인 것을 사용하여 단순히 출입문설치홈(36)의 내측 가장자리에 끼워맞춰도 무방하나, 전후벽체(30)와 문틀(71)간의 결합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출입문설치홈(36)의 내측 가장자리와 문틀(71)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홈(37),(72)을 형성하여 이들 연결홈(37)(72)에 쐐기(60)를 끼워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단부에 창문(80)을 설치하기 위하여 창문(80)이 설치될 부분에는 동체섹션(41) 또는 (42)을 결합하지 않고 그 빈공간에 창문틀(81)을 끼워서 결합한다.
이때 창문틀(81)의 외측면을 평면형으로 형성하고 단순히 상기 빈공간에 끼워맞춰도 무방하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창문틀(81)의 외측면에 연결홈(82)을 형성하고, 상기 빈공간을 한정하는 동체섹션(41) 또는 (42)의 길이방향 단면 (43)과 폭방향 단면(44)에 형성된 연결홈(45)(46)과의 사이에 쐐기(60)를 끼워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연결홈(82)와 연결홈(45)(46) 및 쐐기(60)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구조물의 상단부(즉, 천장부)에 환기통 또는 굴뚝(90)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출입문(70)이나 창문(80)을 설치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길이가 3M를 넘는 경우에는 중간에 H빔에 절곡한 보강프레임(100)을 설치하여 그 양측에 형성되는 홈부(101)에 동체섹션군(40)의 일단을 끼워결합한다.
[내외부 콘크리트 코팅층 코팅단계]
상기 기초골격(20)의 내외면에 콘크리트 코팅층(51)(52)을 코팅한다.
여기서 콘크리트 코팅층(51)(52)은, 1/4인치 두께로 되며, 특히 내부 코팅층(52)은 1차로 1/8인치 두께의 콘크리트를 코팅한 다음 밀도 3,970sy로 성기게 짠 유리섬유망판(fiber glass mesh)을 표면에 대고 2차로 1/8인치 두께의 콘크리트로 코팅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미국 지오디식스사의 제품인 세믹스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그 성분은 포크랜드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으로 제조되는 수성 아크릴 라텍스 제조물로서 유리섬유로 보강한다.
이 콘크리트 코팅층(51)(52)을 구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에는 꺽쇠형 보강재를 혼입하여 쇼트크리트(Shotcrete)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함으로써 이 꺽쇠형 보강재가 기초골격(20)의 표면에 박히게 하여 기초 골격(20)과 콘크리트 코팅층(51)(52)이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외부면에 코팅되는 코팅층(51)에는 방풍과 방우, 마감, 조직 및 채색을 위하여 추가적인 합성고무층을 코팅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에너지 절약형이며 건설하기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내부면에 코팅되는 코팅층(52)에는 적어도 한층 이상의 내화코팅층을 할 수 있으며, 내장용 도료코팅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후벽체(30)와 장방형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동체섹션군(40)에 의하여 하나의 콘센트형 기초골격(20)을 구축한 다음 그 내외면에 콘크리트 코팅층(51)(52)을 코팅함으로써 콘센트형 구조물을 건축하는 것이므로 동체섹션의 제작이 용이하며, 건축현장에서 섹션을 조립함에 있어 편리하고, 대형사무실이나 교실 또는 기숙사등의 건축에 적합하게 되는 것이다.
출입문이나 창문의 설치가 용이하고 섹션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구조물의 시공이 간편하게 된다.
섹션들을 건축현장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운반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와 건축현장에 적재하여 둘 경우 적재 장소의 바닥면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6)

  1.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반구직경과 중심높이와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된 전후벽체(30)의 저면(31)을 슬라브(10)의 양단상면에 밀착고정하고 이 전후벽체(30)의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직선변부(32)에 다수개의 동체섹션군(40)의 양단을 연결함과 아울러 최하단에 위치하는 동체섹션군 (40)의 폭방향 단면(44)을 슬라브(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연결한 기초골격(20) 및; 이 기초골격(20)의 내외면에 코팅되는 콘크리트 코팅층(51)(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벽체(30)에는 출입문(70)의 문틀(71)이 끼워맞춰지는 출입문설치홈(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섹션군(40)은 다수개의 A형 동체섹션(41)과 이 A형 동체섹션(41) 보다 길이가 절반인 B형 동체섹션(42)을 길이방향으로 교호로 연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섹션(41)(42)의 길이방향 양단면(43)은 측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며, 폭방향 양단면(44)은 측면에 대하여 경사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구조물.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의 가장자리에는 베이스플레이트(14)를 고정설치하며, 상기 전후벽체(30)의 저면(31)과 직선변부(32)에는 연결홈(33)(34)을 형성하고, 동체섹션(41)(42)의 길이방향 양단면 (43)과 폭방향 양단면(44)에는 연결홈(45)(46)을 형성하며, 동체섹션군(40)의 양단부 내면에는 연결홈(47)을 형성하여 상기 전후벽체(30)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홈 (33)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동체섹션군(40)의 동체섹션(41)(42)의 폭방향 단면(44)에 형성된 하부측 연결홈(46)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를 끼워 연결하고, 상기 전후벽체(30)의 직선변부(32)에 형성된 연결홈(33)과 동체섹션군(40)의 양단부 저면에 형성된 연결홈(47) 사이에 쐐기(60)를 끼워 연결하며, 상기 동체섹션(41)(42)의 길이 방향 양단면(43)에 형성된 연결홈(45) 사이에 쐐기(60)를 끼워 길이방향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폭 방향 양단면(44)에 형성된 연결홈(46) 사이에 쐐기(60)를 끼워 폭 방향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구조물.
  6. 건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바닥면적에 상당하는 부분에 콘크리트 슬라브(10)를 타설하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이 슬라브(10)의 양단부위에 전후벽체(30)를 결합하여 세운 다음, 양측 최하단에 위치되는 동체섹션군(40)의 하단을 슬라브 (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양단부를 전후벽체(30)에 결합하며, 다음 점차 중단부로부터 상단부에 이르는 동체섹션군(40)을 전후벽체(30)와 인접하는 동체섹션군(40)에 결합시켜 하나의 콘센트형 기초골격(20)을 구축하는 기초골격 조립단계 및; 이 기초골격(20)의 내외면에 콘크리트 코팅층(51)(52)을 코팅하는 콘크리트 코팅층 코팅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형 구조물의 건축방법.
KR1019910022956A 1991-12-13 1991-12-13 콘센트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 KR930012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956A KR930012069B1 (ko) 1991-12-13 1991-12-13 콘센트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956A KR930012069B1 (ko) 1991-12-13 1991-12-13 콘센트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396A KR930013396A (ko) 1993-07-21
KR930012069B1 true KR930012069B1 (ko) 1993-12-23

Family

ID=1932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956A KR930012069B1 (ko) 1991-12-13 1991-12-13 콘센트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20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396A (ko) 199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1276B1 (en) Modular panel of expanded synthetic material provided with staggered longitudinal "t"-shaped channels, receiving "t"-shaped wooden posts useful for erecting walls
US4942707A (en) Load-bearing roof or ceiling assembly made up of insulated concrete panels
US5381635A (en) Construction wall panel and panel structure
US4841702A (en) Insulated concrete building pane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934934A (en) Construction panel
US5787665A (en) Composite wall panel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US6131365A (en) Wall unit structural system and method
US5611183A (en) Wall form structure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CA1229237A (en) Building construction using hollow core wall
US7254925B2 (en) Insulated wall assembly
US5617686A (en) Insulating polymer wall panels
US6041562A (en) Composite wall construction and dwelling therefrom
US20040020147A1 (en) Sandwich wall construction and dwelling
US4019293A (en) Building modules and structure embodying such modules
US2091061A (en) Building construction
US4197687A (en) Insulated closure panel
US6338231B1 (en) Prefabricated concrete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US5560167A (en) Laminated masonry block system
WO1999005370A1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system and methods of constructing walls, including with a thermal insulation
WO1988001325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US5421558A (en) Building wall construction
US20010045071A1 (en) Concrete composite non-meshed wall finishing system over key lock grid substrated
US3881291A (en) Panel mold for forming composite concrete-reinforced walls
KR930012069B1 (ko) 콘센트형 구조물 및 그 건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