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811B1 -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일출력회로 - Google Patents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일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811B1
KR930011811B1 KR1019900022252A KR900022252A KR930011811B1 KR 930011811 B1 KR930011811 B1 KR 930011811B1 KR 1019900022252 A KR1019900022252 A KR 1019900022252A KR 900022252 A KR900022252 A KR 900022252A KR 930011811 B1 KR930011811 B1 KR 930011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ed
decoder
selection
central comp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355A (ko
Inventor
최중선
Original Assignee
금성계전 주식회사
백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계전 주식회사, 백중영 filed Critical 금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2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811B1/ko
Publication of KR92001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일출력회로
제1도는 종래의 입출력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입출력 회로의 블럭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따른 입출력 회로의 세부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5도는 중앙 연산부에서의 스위치, 선택스위치 감지 및 LED 구동방법 순서도.
제6도는 스위치부와 선택스위치부의 부분회로도.
제7도는 선택스위치부와 스위치부와의 관계 상세회로도.
제8도는 일예로서 하나의 LED를 구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LED 부분회로도.
제9도는 LED 구동과 스위치 스캔을 위한 데코더의 파형도.
본 발명은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스위치, 선택스위치 감지 및 LED를 구동하는 입출력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스위치와 LED를 감지하면 선택스위치의 세팅에 의한 기능제어에 적당하도록 한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입출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의 제어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장치의 입출력 회로로서,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의 제어장치는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 레인지와 전자오븐레인지의 기능을 모두 지니고 있으며 타이머 기능과 온도조절 기능이 포함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마이크로 웨이브와 전기오븐이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감지 및 LED 구동의 별도 운용이 가능 하였으나 최근들어 출현되고 있는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에서와 같이 전기오븐 레인지, 마이크로 웨이브의 선택설정, 각 기능의 기본 스위치, 특수기능을 위한 스위치, LED 구동등 여러기능을 별도로 운용하려면 수십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스캔 라인이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스캔 라인을 최소한도로 줄일 수 있도록 개선한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레인지 제어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스위치, 선택스위치 감지 및 LED를 구동하기 위한 입출력 회로를 실현하고자 한다.
상기 종래 기술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의 A포트와 제1저항군(AR1)과 스위치군(ASW1)과 연결되고, 스위치군(ASW1)과 제2저항군(AR2)이 연결되며, 상기 제1저항군(AR1)은 전압(V)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군(AR2)은 접지에 연결된다. 또한 CPU의 B포트와 제3저항군(AR3) 및 제4저항군( AR4)을 연결하고, 상기 제3저항군(AR3)과 트랜지스터군(ATR1)의 베이스 단자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군(ATR1)의 콜렉터와 LED군(ALED1)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LED군(ALED1)와 트랜지스터군(ATR1)과 제4저항군(AR4)의 각각을 전원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동작을 살펴보면 각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 CPU는 A포트를 스캔하여 임의로 정할 수 있는 기준전압이 스캔 되어지면 그 해당 스위치가 ON 또는 OFF 되었음을 감지한다. 또한 각 LED를 구동하기 위하여 CPU의 B포트에서 로우 레벨 전원을 인가시키면 PNP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트랜지스터군(ATR1)이 ON되면서 LED군(ALED1)의 각 애노드에 하이레벨의 전원을 인가시켜 상기 LED군(ALED1)을 ON시킨다. 한편 CPU의 B포트에서 하이레벨의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군(ATR1)이 OFF되므로 LED군(ALED1) 또한 OFF 상태가 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이상과 같은 과정을 하나하나 거쳐 스위치 감지 및 LED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종래 기술은 전기오븐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 전기레인지가 각각 분리되어 구성된 종래 제품에 있어서, 스위치 및 LED가 많이 필요치 않아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스캔포트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별 문제가 없었으나, 최근들어 출현되는 고기능의 전기전자오븐 제어장치에서는 전기오븐, 전기레인지,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으로의 선택 전환 및 구동을 위한 기본 스위치와 타이머기능, 온도설정기능등을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 등 다수개의 스위치와 LED를 구성하는데, 그에 따른 다수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스캔포트가 필요하게 됨으로서 여러가지 복합 기능을 수행할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스위치 및 LED 구동회로에 적용할때의 문제점을 해소한 고기능 전기전자오븐 제어장치의 입출력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 전기전자오븐 제어장치의 입출력회로의 블럭도이고, 제3도의 제2도의 세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CPU의 A, B, C 포트와 데코더(1) 입력단자를 직렬 접속하고 제1저항(R1)을 전원(+V)과 연결시켜 병렬 접속한다. 상기 레코더(1) 출력단자에 제2저항(R2)과 다이오드(D1, D2, D11~D14)를 병렬 연결하고, 제3저항(R3)과 직렬로 접속하여 트랜지스터군(TR1)의 각 베이스 단자와 연결한다. 상기 트랜지스터군(TR1)의 각 콜렉터는 LED(LD4~LD10)의 애노드와 연결하고, 또한 LED(LD1~LD3)의 애노드를 LED(LD4~LD6)의 애노드와 병렬 연결시킨다. 또한 LED(LD1~LD10)의 캐소우드는 저항(R9)과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TR2), (TR3)의 콜렉터 단자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2, TR3)의 베이스 단자는 저항(R5, R6)을 통해 상기 CPU의 H, I단자에 각각 연결되며, 도면에서 두저항(R7, R8)에 의해 상기 두 트랜지스터(TR2, TR3)를 풀-다운 시킨다. 한편 다이오드(D1, D2, D11~D14)의 애노우드 단자는 스위치군(3)과 선택스위치(Dip1, Dip2)(2)의 한쪽 단에 연결시키고, 상기 Dip1, Dip2의 한쪽단은 다이오드(D3~D10)의 캐소우드를 통해 애노우드를 CPU의 공통 라인인 D, E, F, G단자와 연결시키며, 또한 스위치군(3)과 연결하여 다이오드(D11~D14)의 애노우드에 접속시킨다. 여기에서 제1저항(R1), 제2저항(R2), 제4저항(R4)은 풀업 저항이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연산부(CPU)를 중심으로 스위치를 감지하여 형광표시부(12)에 표시 및 온도감지부(13)에서의 온도감지 표시뿐만 아니라 릴레이 구동을 위한 릴레이 구동부(14) 및 릴레이 구동시 오류 및 기준온도 이상일때 상기 형광표시부에 표시하며, 또한 해당 LED를 ON시켜 오류발생을 알려주고, 선택스위칭에 의해 릴레이 및 스위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그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중앙연산부(CPU)에서 스캔 신호가 가해지고, 상기 중앙연산부의 H, I단자에 로우 레벨 신호를 가하여 트랜지스터(TR2, TR3)를 OFF시키면, 상기 트랜지스터(TR1, TR3)의 콜렉터에 연결된 LED(LD1~LD10)는 OFF 상태가 된다(제5도의 단계 100). 이러한 LED OFF상태에서 중앙연산부(CPU)의 A, B, C 단자로부터 데코더(1) 입력라인에 신호를 전달하면, 이 신호에 의해 선택된 출력라인에서 로우 레벨 신호를 순차적으로 내 보내어 그 출력 라인과 연결된 스위치군(2)내의 스위치(SW) 및 선택스위치(Dip1, Dip2)의 ON/OFF 상태를 확인하여 중앙 연산부의 D, E, F, G단자에 신호를 전달시킴으로서 스위치 및 선택스위치(Dip1, Dip2)의 ON/OFF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데코더의 출력라인에서 신호를 내보낼 수 있는 라인의 수 만큼 반복 루프를 수행한다(제5도의 단계 101, 102).
상기 반복 루프 수행후 ON되어지는 LED를 확인하여 데코더의 해당 출력라인에 로우 레벨 신호를 보내면 트랜지스터군(TR1)내의 해당 트랜지스터가 ON되어 해당LED의 애노우드에 하이레벨 신호가 가해지고 이와 동시에 중앙연산부에 해당 LED에 연결되는 H, I단자에 하이레벨 신호를 전달하여 트랜지스터(TR2, TR3)가 ON되고, 따라서 해당 LED의 캐소우드에 로우레벨 신호가 가해지게 되므로 해당 LED를 ON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도 내의 스위치 및 선택스위치의 감지 회로를 분리시켜 그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제6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중앙연산부에서 데코더(1)의 출력라인을 선택하여 로우레벨 신호를 내보내면 도면중의가 OFF되어 있을때는 하이레벨 신호가 풀-업 저항 R4'에 의해 중앙연산부에 전달되고 또가 ON되면 다이오드(D')가 ON되면서 로우레벨 신호가단자에 인가되므로 상기 데코더(1)의 한개의 출력 라인을 통해 스위치 또는 선택스위치의 상태를 4개 까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스위치와 스위치의 감지는 같은 방법으로 하지만 선택스위치(Dip1)에 연결된 다이오드(D4, D5)와 같이 연결해 주지 않으면 스위치 스캔일때 즉 도면중의 SW" 가 ON되었을때 데코더(1)의 출력라인(6)에서의 로우 레벨이 중앙연산부의 E단자에 인가되기도 하지만, 동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스위치(Dip1)을 통해 즉, "SW' "ON"중앙연산부의 D단자에 로우레벨 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이오드(D4, D5)를 선택스위치(Dip1, Dip2)의 후단에 연결한다.
제8도는 LED한개를 ON/OFF 시키는 상세회로를 보여주는 것으로 데코더(1)에서 로우 레벨 신호가 들어오고 또한 중앙 연산부에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로우레벨 신호를 가하면 트랜지스터(TR', TR2)가 ON되면서 LED(LED1)가 ON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제9도에서 보여주는 파형도에서와 같이 중앙연산부에서 스캔 신호를 주면 동도면의 ②번에서와 같이 모든 LED를 OFF시킨 상태에서 데코더를 이용한 스위치 및 선택스위치의 모든 ON/OFF 상태를 확인하고, 동도면의 ③번 상태가 되었을 때 만약 LED가 ON되는 것이 있다면 한개의 LED만을 데코더의 공통라인을 이용하여 ON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많은 스위치 및 선택스위치와 LED를 구동시키기 위해 데코더를 이용하여 공통 라인을 형성 시키므로서 중앙연산부에서 순차적을 스캔 신호를 내보내어 동시에 선택스위치, 스위치를 감지하고, 공통 라인으로 중앙연산부에 신호를 줌으로서 스위치, 선택스위치의 ON/OFF 상태를 감지할 수가 있으며, 스위치, 선택스위치와의 데코더 공통 라인을 통해 전원을 LED에 인가하여 LED의 ON/OFF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수의 스위치 및 LED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종래의 스위치 감지를 위한 스캔 라인과 LED구동을 위한 라인을 공통라인으로 형성함으로서 중앙연산부와의 연결 라인을 최소한도로 줄일수가 있어 여러가지 복합 기능을 수용하는데 지대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스위치, 선택스위치 감지 및 LED를 구동하기 위한 입출력 회로에 있어서, 중앙연산부(CPU)와; 상기 중앙연산부(CPU)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연산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출력라인에서 신호 레벨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데코더(1)와; 상기 데코더(1)의 출력 라인에 연결되고 스위치 및 선택스위치의 ON/OFF 상태를 상기 중앙연산부로 전달하기 위한 선택수단 및 스위칭 수단과; 상기 데코더(1)의 출력라인에 상기 선택수단 및 스위칭 수단과 병렬 접속되고 기기의 기능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중앙연산부와 상기 표시수단의 일측에 접속되고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입출력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과 스위칭 수단이 상기 데코더(1)의 출력단자에 다이오드(D1, D2, D11~D14)의 캐소우드를 연결하고, 상기 다이오드(D1, D2, D11~D14)의 애노우드는 스위치군(3)과 선택스위치(Dip1, Dip2)(2)의 한쪽단에 연결하며, 상기 선택스위치(Dip1, Dip2)의 다른쪽 단은 다이오드(D3~D10)를 통해 상기 중앙연산부의 공통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11~D14)의 캐소우드는 스위치군(3)을 통해 상기 중앙연산부의 공통라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전기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입출력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데코더 출력단자에 복수개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각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는 LED(LD4~LD10)의 애노우드와 연결하며, 상기 LED(LD4~LD6)의 애노우드와 LED(LD1~LD3)의 애노우드를 병렬 연결하고, 상기 LED(LD1~LD10)의 캐소우드를 상기 LED제어 수단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입출력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상기 중앙연산부에 저항(R5, 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 TR3)의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2, TR3)의 콜렉터 출력은 상기 표시수단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입출력회로.
KR1019900022252A 1990-12-28 1990-12-28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일출력회로 KR93001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252A KR930011811B1 (ko) 1990-12-28 1990-12-28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일출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252A KR930011811B1 (ko) 1990-12-28 1990-12-28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일출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355A KR920014355A (ko) 1992-07-30
KR930011811B1 true KR930011811B1 (ko) 1993-12-21

Family

ID=1930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252A KR930011811B1 (ko) 1990-12-28 1990-12-28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일출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8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355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0276A (en) Buss structures for multiscene manual lighting consoles
US4525634A (en) Alternating current switching device
CN101943742B (zh) 一种按键检测和显示驱动集成电路及其控制方法
KR930011811B1 (ko) 고기능 전기 전자 오븐 제어장치의 일출력회로
KR100702351B1 (ko) 통신 버스 시스템
JP2851730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4484105A (en) Circuit for selectively exciting one of a pair of light emitting diodes
US7141814B2 (en) Input circuit
US3971898A (en) Visual indicating control circuit in key telephone system
CN214481392U (zh) 诱导灯控制器及系统
JPH045585A (ja) 汎用エージング装置
JPS6341480B2 (ko)
JP3431366B2 (ja) モータ制御装置のアナログ設定信号入力回路
CN218183336U (zh) 一种通过单引脚控制两路负载的控制结构
SU1190493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бипол рных импульсов
CN217521505U (zh) 一种两线通信及供电系统
US4315250A (en) Connection arrangement for selection and display system
CN210202146U (zh) 灯具电路
US4639913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electronically transmitting informations
KR950004421B1 (ko) 이중 기능을 갖는 분리형 리모콘 장치 및 리모콘 신호처리 장치
JPS6219062Y2 (ko)
KR820001420B1 (ko) 집중 감시 제어장치
KR100266977B1 (ko) 분산신호 처리시스템의 통신 제어방법 및 통신제어 시스템
KR0167181B1 (ko) 엘리베이터의 직렬 통신장치
SU492969A1 (ru) Система параллельного резервирова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