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783A -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783A
KR930010783A KR1019910020441A KR910020441A KR930010783A KR 930010783 A KR930010783 A KR 930010783A KR 1019910020441 A KR1019910020441 A KR 1019910020441A KR 910020441 A KR910020441 A KR 910020441A KR 930010783 A KR930010783 A KR 930010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image
extracting
character
stro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139B1 (ko
Inventor
정찬의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1002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2139B1/ko
Publication of KR930010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선화를 하지않고 경사획에 의한 문자의 자획을 추출하는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에 관한것으로, 세선화를 행하지 않고 자획을 추출하는 종래의 기술은 문자의 자획이 많아 지면 길이가 짧은 자획의 추출에 실패할 확률이 놓고 자획결정의 정확도도 떨어질 뿐만아니라 한글의 경우 한자에 없는 자소 “ㅇ”이 있는데 “ㅇ”과 “ㅁ”의 구별에 실패하는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특정방향으로의 영상의 밝기 변화를 검출하여 원하는 방향의 자획을 추출 즉, 경사획을 추출할 수 있는 특정한 3방향 밝기변화가 검출된 영상들을 논리적으로 조합하여 빗침과 내림의 두 경사획을 추출하여 문자를 인식하도록 하여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가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문자인식 처리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 인접화소간의 그레이 레벨 차이 설명도.

Claims (5)

  1. 입력된 개별문자의 크기에 따른 문자의 정규화를 수행하는 정규화단계와, 상기 정류화된 문자영상으로부터 각기 다른 3방향별로 방향성 획 성분을 추출하는 방향별 획 성분 검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3개의 방향성 획 성분을 논리적으로 조합하여 빗침과 내림의 경사 획을 추출하는 경사 획 추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별 획 성분 검출단계는 특정방향으로의 밝기 변화를 검출하여 그 방향에 대응하는 획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입력문자영상에 대해 3방향 S, SW, SE에 대한 근사식을 이용하여 각 방향별 획 성분이 검출된 영상을 얻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획 추출단계는 방향 S와 SW의 영상에 대해 논리적으로 조합하여 동일좌표(x, y)의 화소에 대해 S(x, y)의 화소값이 0이면, S(x, y)의 화소값을 논리합(OR)하여 그 결과를 빗침 획 영상의 대응화소 B(x, y)에 지정해 주고 S(x, y)의 화소값이 1이면 S(x, y)의 화소값을 반전한 값과 SW(x, y)의 화소값을 논리곱(AND)한 결과를 내림 획 영상의 대응화소 B(x, y)에 지정해 줌으로서 내림획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림 획 추출시에 방향 SE와 SW의 영상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논리조합하여 내림획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별 획 성분 검출단계는 방향 N, W, NE로의 영상의 밝기 변화를 검출하거나 방향 E, NE, SE 및 방향 W, NW, SW로의 영상의 밝기 변화를 검출하여 각 방향별 획 성분이 검출된 영상을 얻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20441A 1991-11-16 1991-11-16 문자인식을 위한 자획추출방법 KR93001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441A KR930012139B1 (ko) 1991-11-16 1991-11-16 문자인식을 위한 자획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441A KR930012139B1 (ko) 1991-11-16 1991-11-16 문자인식을 위한 자획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783A true KR930010783A (ko) 1993-06-23
KR930012139B1 KR930012139B1 (ko) 1993-12-24

Family

ID=1932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441A KR930012139B1 (ko) 1991-11-16 1991-11-16 문자인식을 위한 자획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21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139B1 (ko) 199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9157B2 (en) Interpreting sign language gestures
US9965695B1 (en) Document image binarization method based on content type separation
WO2005048191A3 (en) Object detection in images
KR0167616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5361309A (en)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low-resolution storage for character extraction
KR930010783A (ko) 문자인식을 통한 자획추출방법
JPH02210586A (ja) 表領域分離装置および表領域分離方法
KR100196358B1 (ko) 영상 인식 시스템의 영상 인식을 위한 정규화 방법
JPH0760462B2 (ja) 画像領域分割装置
KR950011065B1 (ko) 문자 인식방법
CN101853375B (zh) 图像比较容错处理系统及方法
KR100194210B1 (ko) 영상분할장치 및 방법
JP3585143B2 (ja) 文字列抽出方法および装置
JPH0877355A (ja) 重み付きパターンマッチング方法
KR940007935B1 (ko) 문자 인식을 위한 후보 분류 방법
JPH07160810A (ja) 文字認識装置
JPH0564396B2 (ko)
JPH02250193A (ja) 図形・文字分離方式
KR930005568B1 (ko) 오 추출 라인 검출 방법
JPH04339471A (ja) 画像領域識別装置
KR20220168787A (ko) 만주어의 글자 추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JPS62194587A (ja) 果実認識装置
JPH02166583A (ja) 文字認識装置
JPH02187883A (ja) 文書読取装置
JPS6365347A (ja) 画像処理による特異点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