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395B1 - Tune moving method of musical note for electro keyboard musical instrument - Google Patents

Tune moving method of musical note for electro keyboard musical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395B1
KR930010395B1 KR1019880017759A KR880017759A KR930010395B1 KR 930010395 B1 KR930010395 B1 KR 930010395B1 KR 1019880017759 A KR1019880017759 A KR 1019880017759A KR 880017759 A KR880017759 A KR 880017759A KR 930010395 B1 KR930010395 B1 KR 93001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data
signal
informa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10638A (en
Inventor
배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8001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395B1/en
Publication of KR90001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method simply shifts pitches without replaying the changed pitches with the use of the keyboard to ease music composition and arrangement and automatically presents the information of the sounds in shifted pitches.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comparing tempo clock counting with the reference sound length to correct errors upon a keyed signal; converting the correction value to a data of note and rest to count sequentially to generate node pulse; summing the pulse counts to generate the numerical data of nodes; storing the data on key code, note and rest, and numerical data on nodes to compare the data with reference data by nodes to erase repeated nodes and add dotted sings to the storage and display them in data;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tored pitch and the new pitch from pitch shifting; moving mark position of note from the difference; and indicating the data for sharp (#) and flab (b) on a position after a high pitched sound to produce of signal.

Description

전자 키보드 악기용 악보 조(調) 옮김방법How to transfer musical notes for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s

제1도는 본 발명의 악보 조 옮김방법이 적용되는 전자 키보드 악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which the sheet music shif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본 발명의 악보 조 옮김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2 is a signal flow diagram showing a sheet music shif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a-d도는 본 발명의 악보 조 옮김방법에 의한 악보 조 옮김상태를 보인 도면.Figure 3a-d is a view showing a sheet music shifting state by the sheet music shif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키보드부 2 : 음향발생기1: Keyboard part 2: Sound generator

3 : 증폭기 4 : 스피커3: amplifier 4: speaker

5 : 리듬발생기 6 : 템포클럭 발생기5: rhythm generator 6: tempo clock generator

7 : 음길이 검출기 8 : 음길이 보정기7: sound length detector 8 sound length corrector

9 : 음표/쉼표정보 변환기 10 : 악보데이타 메모리9: Note / Comma information converter 10: Music score data memory

11 : 마디계수기 12 : 마디종료 검출기11: measure counter 12: measure end detector

13 : 모드스위치 14 : 모드제어기13: Mode Switch 14: Mode Controller

14A : 기억장치 15 : 도돌이기호 부가기14A: Memory 15: Dodol Adder

16 : 이조기 7 : 프린트기16: sewing machine 7: printer

18 : 표시기 19 : 표시구동 제어기18: indicator 19: display drive controller

20 : 프린트 구동제어부20: print drive control unit

본 발명은 디지탈 피아노등과 같은 전자 키보드 악기를 연주할 경우에 연주된 한곡에 대해 자동으로 임의의 조(調)로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악보 조 옮김방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1988년 특허출원 제17111호를 개량한 전자 키보드 악기용 악보 조 옮김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et music shifting crime prevention that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an arbitrary set for one song played when playing a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digital piano,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ansferring sheet music for a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mproved from patent application No. 17111.

일반적으로 소정의 악곡을 작곡 및 편곡할 경우에 악기를 연주하면서 별도로 오선지상에 작곡 및 편곡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록작업을 할 경우에 중요한 부분을 깜박잊거나 왜곡시켜 수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은 물론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오선지상에 수록한 악곡내용을 다시 연주하면서 수정작업을 반복 수행하고 있으나 그 수정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많은 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when composing and arranging a predetermined piece of music,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contents are separately recorded on a stave while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However, in case of such recording work, the important parts are often forgotten or distorted, and they are often unsatisfactory. But the corrective work is very inconvenient, and had a lot of time.

그러므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1988년 특ㄱ허출원 제17111호에서는 사용자가 전자 키보드 악기를 연주함에 따라 연주한 악곡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표시하고 있으나 악곡의 조옮김을 할 경우에는 오선지상에 조옮김한 악곡을 수록하거나 전자 키보드 악기를 다시 연주해야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1988 Special Application No. 17111, which was filed by the applicant, automatically detects and displays the music played as the user plays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re was a problem such as having to play the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s aga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전자 키보드 악기를 연주할 경우에 바뀌어진 조에 대해 또다시 연주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조 옮김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작곡 및 편곡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이조된 각음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됨으로서 음계 및 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이도 조옮김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용 악보 조옮김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when composing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t is convenient to compose and arrange the jaws even if the jaws are not played again without changing the jaw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anslating musical scores for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which makes it possible to easily transpose information without knowing the scale and chords, since the information on each synthesized note can be recognized at a glance. It explains in detail.

제1도는 본 발명의 악보 조 옮김방법이 적용되는 전자 키보드 악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러진 건반의 키정보를 발생하는 키보드부 (1)와, 상기 키보드부(1)의 출력신호에 따라 소정의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음향발생기(2)와, 템포 클럭발생기(6)가 발생한 템포 클럭신호에 따라 소정의 리듬을 발생하는 리듬발생기(5)와, 상기 음향발생기(2) 및 리듬발생기(5)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4)로 출력하는 증폭기(3)와, 상기 키보드부(2)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템포클럭 발생기(6)의 출력신호를 계수하여 음표 및 쉼표의 길이를 검출하는 음길이 검출기(7)와, 상기 음길이 검출기(7)의 검출값을 표준값으로 보정하는 음길이 보정기(8)와, 상기 음길이 보정기(8)의 보정 출력신호를 음표 및 쉼표의 정보로 변환하는 음표/쉼표정보 변환기(9)와, 상기 음길이 보정기(8)의 출력신호로 마디종료를 검출하여 마디펄스를 발생하는 마디종료 검출기(12)와, 상기 마디종료 검출기(12)의 출력신호를 계수하는 마디계수기(11)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스위치(13)와, 동작 프로그램에 저장된 기억장치(14A)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스위치(13)의 설정모드에 따라 악보표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제어기(14)와, 상기 모드제어기(14)의 제어에 따라 도돌이 기호를 발생하는 도돌이기호부가기(15)와, 상기 보드제어기(14)의 제어에 따라 상기음표/쉼표정보 변환기(9)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which the sheet music shif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therein, a keyboard unit 1 for generating key information of a pressed key, and the keyboard unit 1 A sound generator 2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a rhythm generator 5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rhythm according to the tempo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tempo clock generator 6, and the sound generator 2 And an output signal of the tempo clock generator 6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keyboard unit 2 and an amplifier 3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hythm generator 5 and outputting the same to the speaker 4. A sound length detector 7 for detecting the length of the note and the rest, a sound length corrector 8 for correcting the detected value of the sound length detector 7 to a standard value, and a corrected output signal of the sound length corrector 8 Note / comma information to convert a note to a note and a comma 9, a node end detector 12 for generating node pulses by detecting the end of the node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sound length corrector 8, and a node counter for coun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node end detector 12; (11), a mode switch 13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and a storage device 14A stored in the operation program, and the operation of the score display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mode of the mode switch 13 is performed. A mode controller 14 for controlling, a dodol adder 15 for generating a dodol symbol under the control of the mode controller 14, and the note / comma information converter under the control of the board controller 14 9)

, 마디계수기(11) 및 도돌이기호 부가기(15)의 출력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는 악보 데이타 메모리(10)와, 상기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타를 상기 모드제어기(14)의 제어에 따라 조옮김하는 이조기(16)와, 상기 악보데이타 메모리(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표시기(18)에 악보를 표시하는 표시구동 제어기(19), 상기 악보데이타 메모리(10)의 출력신호를 프린트기(17)로 출력하여 프린트하는 프린트 구동제어부(20)로 구성하였다.And a score data memory 10 for stor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measure counter 11 and the dominator code adder 15, and the data stored in the score data memory 10 to the control of the mode controller 14. A transcribing unit 16 for transposing along the display, a display driving controller 19 for displaying the score on the display 18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heet music data memory 10, and an output signal of the sheet music data memory 10; And a print drive control unit 20 for outputting and printing to (17).

그리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악보 조 옮김방법을 보인 시호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의 누름시 해당되는 키코드, 키온신호를 발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키온신호에 따라 템포클럭을 계수하고 표준음의 길이와 비교하여 오차를 수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오차수정한 계수값을 음표 및 쉼표정보로 변환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오차수정한 계수값을 순차 계산하여 마디를 판단 및 마디펄스를 발생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의 마디펄스를 누계하여 마디 수치정보를 발생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키코드, 제3과정의 음표 및 쉼표정보와 제5과정의 마디 수치정보를 저장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저장한 데이타에서 중복마디를 소거하고 적당한 기호를 추가하여 저장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6 및 제7과정에서 저장된 데이타를 표시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6 및 제7과정에서 저장된 데이타를 프린트하는 제9과정과, 저장된 데이타를 사용자가 선택한 조로 조옮김하여 다시 저장하는 제10과정으로 이루어진다.2 is a time flow diagram showing the sheet music shif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rst step of generating a corresponding keycode and keyon signal when the first half is pressed, and according to the keyon signal of the first step. A second process of correcting an error by counting a tempo clock and comparing the length of the standard sound, a third process of converting the error value corrected in the second process into note and comma information, and an error in the second process A fourth process of judging nodes and generating node pulses by sequentially calculating the modified coefficient values; a fifth process of generating node numerical information by accumulating the node pulses of the fourth process; and the key code of the first process. A sixth step of storing the notes and the comma information of the third step and the numerical value information of the fifth step; and a seventh step of deleting duplicate nodes from the data stored in the sixth step and adding appropriate symbols. , The sixth and 7 consists of a process of claim 8, and the sixth and the ninth process, a tenth process of storing again transpose the stored data twos selected by the user to print the data stored in the 7th step of displaying the data stored in the process.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악보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은 사용자가 건반을 누를 경우에 키보드부(1)는 눌리워진 건반에 대응하는 키정보인 키코드와 해당 키보드에 맞는 건반이 눌리어졌는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키온신호를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scor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resses a key, the keyboard unit 1 displays whether a key code, which is ke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and a key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keyboard are pressed. Generates a key-on signal.

음향발생기(2)는 키보드부(1)에서 발생된 키코드 및 키온시호를 기초로 음악적인 음향을 발생하고, 그 발생한 음향신호는 증폭기(3)를 통해, 리듬발생기(5)에서 발생한 소정의 리듬과 혼합되며, 이 혼합된 신호는 스피커(4)를 통하여 사용자나 청취자에게 음향으로서 전달된다.The sound generator 2 generates a musical sound based on the key code and the key-on signal generated by the keyboard unit 1, and the generated sound signal is generated by the rhythm generator 5 through the amplifier 3. It is mixed with the rhythm, and this mixed signal is transmitted as sound to the user or listener through the speaker 4.

또한, 리듬발생기(5)는 자동리듬 연주에 이용되는 것으로, 자체내의 리듬선택 스위치에서 선택되어진 리듬에 대응하는 각종 리듬패턴을 템포클럭 발생기(6)에서 발생된 템포클럭에 맞추어 출력한다.In addition, the rhythm generator 5 is used for the automatic rhythm performance, and outputs a variety of rhythm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rhythm selected by the rhythm selection switch in its own time in accordance with the tempo clock generated by the tempo clock generator 6.

한편, 키보드부(1)에서 발생한 키온신호는 음길이 검출기(7)에 인가된다. 음길이 검출기(7)의 또다른 입력에는 템포클럭 발생기(6)에서 발생한 템포클럭이 인가되는 것으로 음길이 검출기(7)는 템포클럭을 키온시점으로부터 계수하여 음표에 대한 길이데이타를 발생하고 키오프시에도 템포클럭을 계수하여 쉼표에 대한 길이데이타를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key-on signal generated from the keyboard unit 1 is applied to the sound length detector 7. Another input of the note length detector 7 is applied to the tempo clock generated by the tempo clock generator 6. The note length detector 7 counts the tempo clock from the key-on time to generate length data for the note, and then turns off the key. The tempo clock is also counted when generating the length data for the comma.

이 음표데이타는 음길이 보정기(8)에 가하여져 이곳에서 음의 길이에 대응하는 계수값(오차를 포함하고 있는)을 표준음 길이에 맞도록 조정되어 출력된다.This note data is added to the note length corrector 8, where the coefficient value (including the error) corresponding to the note length is adjusted and output to the standard note length.

예를 들면 4분음표(♩)의 표준음표 계수값이 32라면 오차를 포함한 실제의 계수값 30 혹은 34도 32로 수정되어 4분음표에 해당하는 음길이 데이타값이 32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standard note coefficient value of the quarter note is 32, the actual coefficient value 30 or 34 degrees including the error is corrected to 32, so that the length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quarter note is 32.

음길이 보정기(8)에서 발생된 음길이 데이타는 음표/쉼표정보 변환기(9)에 가하여져 여기에서 음표데이타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표/쉼표를 나타내는 음표 및 쉼표정보(예 : 8분음표♪는 ♪,

Figure kpo00001
으로 구성된다는 기호등에 대한 정보)로 변환되어져 키보드부(1)에서 늘리어진 건반에 대응하여 출력되어진 키코드와 함께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가하여진다.The note length data generated by the note length corrector 8 is added to the note / comma information converter 9, where note and comma information (e.g., eighth note ♪) representing a predetermined note / comma corresponding to the note data is ♪,
Figure kpo00001
Information on the symbol and the like, and is added to the sheet music data memory 10 together with the key code outputted in response to the keyboard extended by the keyboard unit 1.

또 마디종료 검출기(12)는 입력된 음길이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누계하여 미리선정된 마디값에 도달하게 되면 마디펄스를 마디계수기(11)로 출력한다.The measure end detector 12 sequentially accumulates the input sound length data and outputs a measure pulse to the measure counter 11 when the pre-selected measure value is reached.

예를 들어 4분음표 하나의 음길이 계수값을 32라 할때 4/4박자의 악보에서 음길이 계수값을 누계한 값이 128(4×32)에도달하면 마디펄스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 note length coefficient value of 32 per quarter note is 32, a node pulse is generated when the total value of the note length coefficient reaches 128 (4 × 32) in the score of 4/4 time.

마디계수기(11)는 입력된 마디펄스를 계산하여 이 계산값에 대응하는 수치정보를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인가한다.The measure counter 11 calculates an input measure pulse and applies numer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value to the sheet music data memory 10.

악보데이타 메모리(10)는 앞의 음표/쉼표정보 및 키코드를 순차적으로 기억함과 동시에 마디번호에 대응하는 수치정보를 기억한다.The score data memory 10 sequentially stores the previous note / comma information and key code, and also stores numer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 number.

이 악보데이타 메모리(10)의 기억용량은 보통 빠르기로서 20분 정도의 곡에 대한 모든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대략 1M비트 이상).It is assumed that the memory capacity of this score data memory 10 is usually fast, so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all information about a song of about 20 minutes (about 1 M bit or more).

악보데이타 메모리(10), 도돌이기호 부가기(15), 표시기(18), 프린트기(17) 및 이조기(18)는 모드스위치(13)의 조작에 의하여 적당히 선택 제어된다.The music score data memory 10, the dome adder 15, the indicator 18, the printer 17, and the ear controller 18 are appropriately selected and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 13.

즉, 모드스위치(13)로 표시코드, 편집모드등의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모드제어기(14)에 인가한다. 모드제어기(14)는 모드스위치(13)에서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악보데이타 메모리(10), 도돌이기호 부가기(15), 표시구동 제어부(19) 및 프린트 구동제어부(20)에 각각 적당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That is, when a mode such as a display code, an edit mode, etc. is selected by the mode switch 13,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is applied to the mode controller 14. The mode controller 14 controls the music data memory 10, the dome adder 15, the display drive control unit 19, and the print drive control unit 20 based on the signals input from the mode switch 13, respectively. Apply a signal.

모드스위치(13)에서 표시모드가 선택되어진 경우를 성명하면, 모드제어기(14When the displa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witch 13, the mode controller 14

)는 악보데이타 메모리(10)와 표시구동 제어부(19) 및 프린트 구동제어부(20)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Denotes a control signal to the sheet music data memory 10, the display drive control unit 19 and the print drive control unit 20.

악보데이타 메모리(19)는 건반연주에 따라 입력된 음표/쉼표정보, 키코드 및 마디신호에 대응하는 수치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각각의 입력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The musical score data memory 19 memorizes the numer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ote / comma information, the key code, and the node signal input according to the keyboard performance, and selectively outputs each input information.

표시구동 제어부(19)는 악보데이타 메모리(1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기초로 악보를 표시기(18)에 표시하여 보표에 음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새로운 음표의 표시와 함께 각 음표를 왼쪽으로 전이시켜 악곡을 나타내며, 프린트 구동제어부(20)는 프린트기(17)를 구동시켜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기억된 악보를 프린트하게 된다.The display drive control unit 19 displays the score on the display unit 18 based on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core data memory 10 so that the note is displayed on the stair, and shifts each note to the left along with the display of the new note. Representing the music, the print drive controller 20 drives the printer 17 to print the music stored in the music data memory 10.

다음 모드스위치(13)에서 편집모드가 선택되어진 경우를 설명하며, 우선 모드제어기(14)는 도돌이기호 부가기(15)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edit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witch 13 will be described. First, the mode controller 14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dodol symbol adder 15.

도돌이기호 부가기(15)는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기억되어져 있는 1곡에 대한 정보를 편집하는 곳으로 마디단위로 중복된 정보를 소거하고, 동시에 도돌이 기호를 적당히 추가한다.The dodol symbol adder 15 edits information on one piece of music stored in the music data memory 10, deletes duplicated information in units of measure, and simultaneously adds a dodol symbol as appropriate.

즉,도돌이기호 부가기(15)에서는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기억되어져 있는 최후 마디정보를 마디단위로 읽어내어 이 정보를 곡의 최초방향으로 마디단위씩 순차적으로 비교한다.That is, the doubly code adder 15 reads out the last meas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core data memory 10 in measure units, and sequentially compares the information in units of measure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song.

이와 같이 하여 마디단위로 중복하는 정보가 검출되면, 최후마디의 전마디정보와 동일정보가 검출된 마디 바로전의 마디정보와 비교한다.When duplicated information is detected in this manner, the previous section information of the last section is compared with the section information immediately before the section where the same information is detected.

따라서 최후의 2마디가 그전의 2마디가 동일하다는 것이 검출되며나, 동일마디에 해당하는 마디정보가 소거되고, 동시에 이전 마디정보앞과 마디정보의 끝에도돌이 표를 추가하게 된다.Therefore, it is detected that the last two nodes are the same as the previous two nodes, but the n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ame node is erased, and at the same time, a table is added before the previous node information and at the end of the node information.

여기에서 마디단위로 정보를 처리할때는 마디번호에 대응하는 마디값 정보가 이용된다.In this case, when processing information in units of measure, the measure val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 number is used.

이조기(16)는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저장된 악보의 조를 변경하는 것으로 모드제어기(14)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조와 선택된 조의 차이를 구하여 조를 변경하고, 각각의 음표와 선택된 조에 따른 SF신호를 비교하여 변경 및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저장한다.The pairing unit 16 changes the group of the sheet music stored in the sheet music data memory 10 and changes the group by obtaining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group and the selected group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ode controller 14, and changes the group according to each note and the selected group. The SF signals are compared and changed and stored in the score data memory 10.

이와 같이 재편집되어진 정보를 모드스위치(13)의 조작에 따라 새롭게 악보가 표시됨과 동시에 프린트기(17)를 통해 프린트된다.The information re-edited as described above is newly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 13, and is printed by the printer 17 at the same time.

또한 앞의 실시예에서는도돌이표(

Figure kpo00002
)와 같은 단순한 반복기호를 사용한 경우이지만 마디의 중복상태에 따라서 중복마디의 생략소거와 더불어 각종도돌이 기호(D.S,
Figure kpo00003
, coda)를 부가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vious embodiment,
Figure kpo00002
In the case of using a simple repetition symbol such as), depending on the overlapping state of nodes, the elimination of duplicate nodes and various dodol symbols (DS,
Figure kpo00003
, coda) can be added.

한편, 제2도는 본 발명의 악보 조 옮김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건반을 누를 경우에 눌러진 건반에 해당되는 키의 누름을 해독하여 키코드 및 키온신호를 발생한다. 발생한 키온신호에 따라서 템포클럭을 계수하고, 계수한 값과 표준음의 길이를 비교하여 오차를 수정 즉, 계수값과 표준음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차가 있는 것으로 계수값을 표준음의 길이로 변경하여 오차를 수정하고, 수정한 계수값을 음표 및 쉼표의 정보로 변환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signal flow diagram showing a sheet music shif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user presses a key, the key is decoded to generate a key code and a key on signal. The tempo clock is count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key-on signal, and the error is corrected by comparing the counted value with the length of the standard sound. That is, if the count value and the standard sound length are not the same, there is an error. The error is corrected by changing the length, and the corrected coefficient value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of notes and rests.

그리고 오차를 수정한 계수값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면서 마디값과 비교하여 두 값이 동일할 경우에 마디펄스를 발생하고, 발생한 마디펼스를 마디 수치정보를 발생한다.And while calculating the error value corrected by the coefficient value sequentially compared to the node value, if the two values are the same, and generates a node pulse, and the generated node expansion generates node numerical information.

이와 같이 발생한 한 곡에 대한 모든 데이타 즉, 키코드(KC)와, 음표 및 쉼표의 정보와 미디 수치정보를 기억하고, 비교되지 않은 최후의 마디를 곡의 최초방향으로 마디단위씩 비교하여 반복되는 마디를 소거하면서 적당한 반복기호를 추가 즉,도돌이 기호를 추가하여 저장하며, 저장한 곡의 데이타를 표시기(18)에 표시하고, 프린트기(17)로 프린트한다.All data for one song, i.e., keycode (KC), notes and rests, and MIDI numerical information are memorized, and the last uncompared measure is repeated by measure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song. While deleting the node, an appropriate repeat symbol is added, i.e., a dorl symbol is added and stored, and the data of the stored song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18, and printed by the printer 17.

한편, 본 발명의 악보 조 옮김방법인 자동 조옮김 모드를 설명하면 키선택을 해독하여 모드스위치(13)에서 이조모드가 눌러지고 바뀌어질 조(調)가 선택되면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기억되어 있던 최초의 조와 선택된 조와 차(GAP)를 구한다.On the other hand, when explaining the automatic transposition mode of the sheet music transpo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position mode is pressed by the mode switch 13 and the group to be changed is selected by the mode switch 13 is stored in the sheet music data memory 10 Find the first pair and the selected pair and difference (GAP).

차(GAP)가 구해지면, 키코드(KC)에서 차(GAP)를 감산하여 키코드(KC)를 변경하고, 각각의 음표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 즉, 곡의 첫음에서 곡의 끝음까지 순차적으로 원래의 음의 위치에서 차만큼 변경된 키코드(KC)에 따라 이동시켜 선택된 조를 표시할 영역을 만든 후 선택되어진 조를 나타내는 샵(#) 및 플렛(b)기호를 키테이블에서 구하는데 이 키테이블의 조를 나타내는 샵(#) 및 플렛(b)이 보표에 위치하는 줄 및 간(間)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샵(#) 또는 플렛(b)신호인 SF신호를 발생하며, 이 발생한 SF신호를 기초로 하여 곡의 최초마디의 높음음자리 표(

Figure kpo00004
) 다음에 조를 표시한다.Once the difference (GAP) is found, the key code (KC) is subtracted to change the key code (KC) by subtracting the difference (GAP), and each note is moved to the right, that is, from the first note of the song to the end of the song in sequence. After moving according to the key code (KC) changed by the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negative position to make an area to display the selected jaw, the shop (#) and flat (b) symbols representing the selected jaw are obtained from the key table. The shop (#) and the flat (b) representing the set of the table contain position information about the rows and livers located in the staff, and generate SF signals, which are shop (#) or flat (b) signals. , Based on the generated SF signal
Figure kpo00004
) Then the pair is displayed.

예를 들어 D장조일 경우에 제3c도 및 제3d도와 같이 셋째칸과 다섯째줄에 샵(#)을 표시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D major, shops (#) are displayed in the third and fifth lines as shown in FIGS. 3c and 3d.

그리고 샵(#)은 -1로 하고 플렛(b)은 +1로 하여 곡의 첫음표부터 키테이블에서 얻은 SF 신호와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것으로서 비교음표와 SF신호가 동일할 경우에는 음표에 샵(#)을 가산하여 기억한 후 다음의 음표로 이동하는 동작을 마지막 음표까지 반복하며, 이와 같이 이조된 곡에 대한 데이타는 다시 악보데이타 메모리(10)에 기억시켜 프린트기(17)와 표시기(18)를 통해 프린트 및 표시하게 된다.The shop (#) is set to -1 and the flat (b) is set to +1, which is sequentially compared with the SF signal obtained from the first table of the song. If the comparison note and the SF signal are the same, the shop (#) After adding and storing #), the operation of moving to the next note is repeated until the last note, and the data about the synthesized song is stored in the sheet music data memory 10 again, thereby printing the printer 17 and the display 18. To print and display.

또한 제3a-d도는 이조되어가는 과정을 4마디의 악보로서 나타낸 것인데 제3a도는 최초의 곡으로서 C장조이고, 제3b도는 바뀌어질 조(D)와 최초의 조와의 차(GAP=2)만큼 이조한 것이며, 제3c도는 곡의 첫마디에 D장조를 표시한 것이고, 제3d도는 최종 조옮김이 끝난 도표인데 ‘파, ‘도’에 걸리는 음에 ‘#’이 걸리면 반음을 뺀 것이다.In addition, Figs. 3a-d show the process of making the transition as four word scores. Fig. 3a is the first major song, and C. 3b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D) to be changed and the first group (GAP = 2). Figure 3c shows D major in the first section of the song, and figure 3d shows the final transposition cha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보 조 옮김방법은 악보의 조를 자동으로 옮길 수 있는 것으로 전자 키보드 악기를 연주할때 바뀌어진 조에 대해 또다시 연주를 하지 않더라고 간편하게 조옮김을 할 수 있어 작곡, 편곡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이조된 각음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 음계 및 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어도 손쉽고 간편하게 조를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eet music shif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utomatically shifting the music of the sheet music so that when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s played, the music can be easily transposed even if the music is not played again. Not only is it convenient for you, but you can also see the information on the synthesized notes at a glanc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easily and easily move the chord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scale and the chord.

Claims (1)

건반의 누름시 해당되는 키코드 키온신호를 발생하고 이 키온신호에 따라 템포클록을 계수 및 표준음의 길이와 비교하여 오차를 수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오차수정한 계수값을 음표 및 쉼표정보로 변환함과 아울러 오차수정한 계수값을 순차 계산하여 마디를 판단 및 마디펄스를 발생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마디펄스를 누계하여 마디 수치정보를 발생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키코드, 제2과정의 음표 및 쉼표정보와 제3과정의 마디 수치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타를 마디단위로 비교하여 중복마디를 소거하면서도돌이기호를 추가하여 저장하며, 저장한 데이타를 표시하는 제4과정과, 조옮김시 저장된 최초의 조 및 선택된 조의 차(GAP)를 계산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계산한 차(GAP)가 0이 아닐 경우에 키코드(KC)에서 차(GAP)를 감산하여 저장하고 음표의 표시위치를 이동시키는 제6과정과, 선택된 조에 대한 샵(#) 및 플렛(b)의 정보를 키테이블에서 찾아 첫째마디의 높은음자리표 다음에 표시하고 SF신호를 발생하는 제7과정과, 샵(#) 플렛(b)의 소정의 값을 부여하여 곡의 첫번째 음표부터 순차적으로 SF신호와 비교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비교하는 음표와 SF신호가 동일할 경우에 음표에 샵(#)을 가산한 후 기억하는 것을 반복하는 제9과정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용 악보 조(調) 옮김방법.The first step of generating a corresponding key code key-on signal when the key is pressed and correcting the error by comparing the tempo clock with the coefficient and the length of the standard sound according to the key-on signal, and the coefficient value corrected by the error in the first step The second process of converting to note and comma information and calculating the error correction coefficient value sequentially to determine the node and generating the node pulse, and the third process of generating the node numerical information by accumulating the node pulse of the second process. And the key code of the first step, the notes and commas of the second step, and the numerical value information of the third step, and compare the stored data in units of bars to remove duplicate nodes while adding a twisting symbol. A fourth process of storing and displaying the stored data, a fifth process of calculating a gap between the first and selected pairs stored at the time of transposition, and a difference (GAP) calculated in the fifth process is not zero. Keycode (KC) 6) process of subtracting and storing the difference from the GAP, and shif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note, and searching the key table for information on the shop (#) and the flat (b) for the selected pair and displaying it after the treble clef of the first bar. And a seventh process of generating an SF signal, an eighth process of sequentially comparing the SF signal from the first note of the song by giving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shop (#) flat b, and the eighth process A musical note transferring method for a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ninth process of repeating the addition of a shop (#) to a note and then remembering when the note and the SF signal are the same.
KR1019880017759A 1988-12-29 1988-12-29 Tune moving method of musical note for electro keyboard musical instrument KR9300103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759A KR930010395B1 (en) 1988-12-29 1988-12-29 Tune moving method of musical note for electro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759A KR930010395B1 (en) 1988-12-29 1988-12-29 Tune moving method of musical note for electro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38A KR900010638A (en) 1990-07-09
KR930010395B1 true KR930010395B1 (en) 1993-10-23

Family

ID=1928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759A KR930010395B1 (en) 1988-12-29 1988-12-29 Tune moving method of musical note for electro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39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38A (en) 199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94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ribing music
JP2658463B2 (en) Automatic performance device
US5453569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tones of music related to the style of a player
JP2924208B2 (en) Electronic music playback device with practice function
KR930010395B1 (en) Tune moving method of musical note for electro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H01179090A (en) Automatic playing device
JP6597553B2 (en) Harmony information generation apparatus, harmony information generation program, and harmony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US5403967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melody correction capabilities
KR930006613B1 (en) Musical note display apparatus/method for electro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JP3417662B2 (en) Performance analyzer
JP2587737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device
GB2156136A (en) Automatic rhythm generato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920849A (en) Automatic performance apparatus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47392B2 (en)
JPH0149955B2 (en)
JPH0257319B2 (en)
JP2660462B2 (en) Automatic performance device
JP2518056B2 (en) Music data processor
US5160797A (en) Step-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music-performing system
JP2861709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device
KR0185542B1 (e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the music performance
JPS638947Y2 (en)
JP2674331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device
JPH0323000B2 (en)
JPH034916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