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842B1 -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842B1
KR930009842B1 KR1019890020484A KR890020484A KR930009842B1 KR 930009842 B1 KR930009842 B1 KR 930009842B1 KR 1019890020484 A KR1019890020484 A KR 1019890020484A KR 890020484 A KR890020484 A KR 890020484A KR 930009842 B1 KR930009842 B1 KR 93000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electric
vacuum cleaner
main body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209A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2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9842B1/ko
Publication of KR910011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장치의 평면배치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일부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흡기통로와 이에 대한 청소수단의 연결상태를 일례를 들어 나타낸 것이다.
제 5 도는 상기 본 발명의 전체외관 사시도로서, 수동조작을 하기 위해 청소수단을 주름관에 의해 본체에 연결한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5 : 흡기장치
7 : 제어회로부 10 : 흡기통로
11a, 11b : 구동바퀴 15 : 흡기통로
32 : 집진실 40a, 40b : 전동기
60 : 전선권취구 61 : 역회전방지장치
62 : 전동기 64 : 솔
본 발명은 청소기능 및 이동기능을 원격조종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일일이 이동시켜 가면서 수동조작에 의해 청소를 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청소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낮은 공간이나 협소한 공간등 청소 대상 구역에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그 사용에 많은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뒤따랐던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청소기의 전진과 후퇴 및 좌, 우 방향으로의 방향전환을 원격조종장치에 의하여 자유로이 행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기장치의 전동기 가동을 원격조종장치에 의해 원격조종 가능하게 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기 본체의 이동에 따른 전원전선의 인입, 인출기능과 기타 전기적 에너지로 얻어지는 모든 기능을 원격조종장치에 의해 원격조종 가능하게 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 내부에 각각의 전동기에 의해 독립적으로 정, 역 회전하는 한쌍의 구동바퀴와, 흡기통로에 연통되는 집진실 및 집진실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장치와, 전원전선의 인입, 인출기능을 담당하는 전원전선 출입장치등을 설치하고 청소기 본체의 흡기통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청소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흡기장치의 전동기 및 전원전선 출입장치의 전동기를 원격조종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각종 기계적, 전기적 장치가 장착되는 본체(1)와, 이의 상부에 안치되는 상부몸체(2)와, 뚜껑(30)을 구비하는 집진통(3)과, 흡입구(4)등의 청소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의 전방에는 흡입구(4)등의 청소수단을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흡기통로(10)가 형성되고 바닥면 하단 좌, 우측에 구동바퀴(11a)(11b)가 설치되며 바닥면 하단 전, 후방에는 바퀴(12a)(12b)가 설치된다.
그리고 바닥면상에는 전동기(40a)(40b), 피대(41a)(41b)등으로 구성되는 바퀴 구동장치가 상기 구동바퀴(11a)(11b)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양 구동바퀴(11a)(11b) 사이 적소에는 회전날개와 전동기 등을 구성되는 흡기장치(5)와 전선권취구(60), 역회전방지장치(61), 전동기(62), 피대(63) 등으로 구성되는 전원전선 출입장치 및 원격조종을 위한 제어회로부(7)가 적절히 배치, 고정된다.
상기 바퀴구동장치는 원격조종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어 전동기(40a)(40b)의 회전력을 피대(41a)(41b) 또는 변속기어장치등의 기타 전동수단에 의해 구동바퀴축(11a')(11b')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흡기장치(5)의 전동기는 원격조종 또는 구동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원전선 출입장치는 상기 흡기장치(5)의 전동기와 마찬가지로 원격조종 또는 수동스위치조작에 의해 구동되어 전동기(62)의 동역을 역회전방지장치(61) 및 피대(63)등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선권취구(60)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전원전선(13)의 권취 또는 인출시 전동기(62)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상기 역회전방지장치(6)에 의해 전동기(62)가 계속 공회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동기(62)의 소손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2)는 상,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그 상단 전방에 반원형의 관통홈(20)이 형성되어 이의 중간에 상기 본체(1)상의 흡기통로(10)와 맞통하도록 된 분기구(2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20)의 전방에는 덮개(22)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안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집진통(3)은 전술한 바대로 상부에 제어장치(31)에 의해 개폐되는 뚜껑(30)이 설치되고 내부에 먼지봉투(14)가 내입되는 집진실(32)이 형성되며 이 집진실(32) 전방에는 상기 상부몸체(2)상의 관통홈(20)에 대향하는 반원형의 관통홈(33)이 형성되어 이들이 겹쳐짐으로써 하나의 흡기통로(15)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청소수단은 상술한 바와같이 흡입구(4)등 통상의 진공청소기에 부속되는 각종 형태의 부속품으로서 구성되고 또한 이들의 연결수단으로서 연장관(80) 및 주름관(81)등이 마련되며 상기 흡입구(4)등의 끼움관(40)은 상기 본체(1)의 흡기통로(10)와 연장관(80) 하단에 호환성 있게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장관(80) 상단의 손잡이관(82)에는 원격조종장치(9)등의 원격조종수단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은 본체상의 흡기통로와 상부몸체상의 분기구를 연결하는 연결관, 23은 흡입구등의 청소수단을 착탈시키기 위한 누름단추, 24는 밀폐부재, 64는 전원전선에 붙은 먼지등을 제거해주는 솔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 2 도에서 제 5 도까지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이 상태는 원격조종에 의해 진공 청소기 본체 및 청소수단을 자동적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청소를 행하고자 할 때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부몸체(2)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덮개(22)를 닫아 본체(1)상부의 흡기통로(15)가 막히도록 하고 본체(1) 전방에 형성된 하부 흡기통로(10)에 연장관(80)을 제거한 상태의 흡입구(4)를 결합한 다음 집진통(3) 상부의 뚜껑(30)을 열어 집진실(32) 내부에 먼지봉투(41)를 끼우면 되는 것으로, 이때의 상태는 제 4 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진공청소기를 가동시키기 위한 준비를 완료하고 나서 원격조종장치(9)의 주전원단추를 누르면 제 3 도에 도시된 흡기장치(5)의 전동기가 구동되기 시작하여 상기 흡입구(4)가 먼지를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의 흡기경로는 본체(1)상의 하부 흡기통로(10)에 결합된 상기의 흡입구(4)→연결관(16)→분기구(61)→상부흡기통로(15)→먼지봉투(14) 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체(1)를 현재의 위치로부터 전, 후 또는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원격조종장치(9)의 전선인출단추를 눌러 전원전선(13)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거리만큼 인출시킨 다음 방향선택단추중 원하는 방향의 단추를 조작함으로써 본체(1)의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시킬 수 있는데, 이하에서 이때의 동작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체(1)를 이동시키고자 하여 원격조종장치(9)의 전선인출 단추를 일정기간 동안 누르게 되면 제어회로부(7)에 이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전원전선 출입장치의 전동기(62)가 전원전선(13)의 감김방향과 반대로 구동되면서 그 회전력을 피대(63) 및 역회전방지장치(61)에 의해 전선권취구(60)에 전달함으로써 전원전선(13)을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시켜 주게 되고, 상기와 반대로 전원전선(13)을 권취시키고자 하여 코드권취단추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전동기(62)가 역회전하게 됨으로써 전원전선(13)을 권취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나서 원격조종장치(9)의 방향선택단추중, 예를들어 본체(1)를 전방(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여 전진단추(또는 후진단추)를 일정한 기간동안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회로부(7)가 전진신호(또는 후진신호)를 입력받아 이 신호를 바퀴구동장치의 전동기(40a)(40b)에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동기(40a)(40b)는 동일한 회전방향 및 회전수로 구동하여 이 회전력을 피대(41a)(41b)에 의해 각각의 구동바퀴(11a)(11b)에 전달해 줌으로써 본체(1)를 전진(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또한, 본체(1)를 좌방(또는 우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여 좌향단추(또는 우향단추)를 누르게 되면 양 전동기(40a)(40b)가 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바퀴(11a)(11b)를 정, 역회전시켜줌으로써 본체(1)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본체(1)를 전, 후진이 아닌 좌, 우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킬 경우에는 양측 구동바퀴(11a)(11b)중의 어느 하나는 본체(1)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다른 하나는 본체(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본체(1)의 회전반경을 작게 하고 그 회전속도를 신속히 하는 것이다.
한편, 원격조작이 아닌 수동조작에 의해 청소수단을 이동시켜가면서 청소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 하단에 직접 연결된 흡입구(4)를 본체(1) 전방 하부의 누름단추(23)를 누름으로써 분리하여 이 흡입구(4)를 연장관(80) 및 주름관(81)에 연결하고 상부몸체(2)상의 덮개(22)를 열어 상부 흡기통로(15)가 개방되도록 한 뒤 이 흡기통로(15)에 상기 주름관(81)을 끼워 청소를 행하면 되는데, 이때는 하나의 원격조종장치(9)를 연장관(80) 상부의 손잡이관(82)에 결합하여 상기 원격조종장치(9)의 각 단추를 조작함으로써 본체(1)의 이동 및 전선인출을 조종할 수 있으며 본체(1) 하부의 흡기통로(10)는 상기 상부 흡기통로(15)에 주름관(81)을 끼움으로 해서 주름관(81)에 의해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관(82)상에는 별도의 조작단추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때의 흡기경로는 흡입구(4)→연장관(80)→주름관(81)→상부흡기통로(15)→먼지봉투(14)의 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다시말해서 본 발명은 상기의 청소수단중 흡입구(4)등의 흡입장치를 본체(1)의 전용 흡입통로(10)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조종장치(9)등의 원격조종수단에 의해 청소기 본체 및 청소수단을 함께 자동적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청소를 행할 수도 있고 기존의 청소기와 같이 본체(1)의 다른 흡입통로(15)에 연장관(80) 및 주름호스(81)에 의해 연결하여 청소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키고 청소기 본체만을 원격조종장치(9)의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행할 수도 있는 특징을 지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조종에 의해 청소기 본체 및 청소수단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청소를 행할 수 있음으로 해서 청소를 전혀 힘이 들지 않고 또 청소대상구역에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실내의 구석구석을 신속하고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청소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잇점을 지니며 또한 청소기 본체의 구성이 특이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기의 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좀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의 각 장치말고도 청소진행순서를 기억시켜 단추 하나의 조작만으로 자동으로 청소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억장치와 이동중에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을 스스로 피해갈 수 있도록 하는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의해 그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감지장치등을 본체에 부착하면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

Claims (4)

  1. 상, 하부의 흡기통로(10)(15) 및 이들과 연통되는 집진실(32)을 구비하는 본체(1)의 내부 적소에 각각의 전동기(40a)(40b)에 의해 독립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한쌍의 구동바퀴(11a)(11b)와, 회전날개 및 전동기 등으로 구성되는 흡기장치(5)와, 전선권취구(60)와 역회전방지장치(61) 및 전동기(62)등으로 구성되는 전원전선출입장치등을 상호 연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흡기통로(10)(15)중의 어느 하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지는 청소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구동바퀴(11a)(11b)를 구동시키는 전동기(40a)(40b)와 상기 흡기장치(5)의 모터 및 상기 전원전선 출입장치의 전동기(62)를 원격조종에 의해 자동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종식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구동전공기(40a)(40b), 전원전선 출입구동전동기(62), 흡기장치(5)의 전동기는 제어회로부(7)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선권취구(60)는 역회전방지장치(61)를 통하여 구동이 가능하게 하며 전선감김속도를 일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권취구(60)의 전방에는 전원전선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솔(64)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원격 조종식 진공청소기.
KR1019890020484A 1989-12-30 1989-12-30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KR930009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484A KR930009842B1 (ko) 1989-12-30 1989-12-30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484A KR930009842B1 (ko) 1989-12-30 1989-12-30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209A KR910011209A (ko) 1991-08-07
KR930009842B1 true KR930009842B1 (ko) 1993-10-12

Family

ID=1929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484A KR930009842B1 (ko) 1989-12-30 1989-12-30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9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686B1 (ko) * 2001-12-15 2004-12-03 서울시립대학교 전방향으로 자체추진되는 원격제어식 바닥 폴리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209A (ko) 199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156A (en) Remote controllable automatic moving vacuum cleaner
CA2237965C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suction path corresponding to place to be cleaned
KR930006001B1 (ko) 직립형 전기소제기
US5802666A (en) Power brush for a vacuum cleaner
KR100208133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JP2520732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US7690078B2 (en)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cleaning attachment
KR930009842B1 (ko) 원격조종식 진공청소기
US7051401B2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GB2377629A (en) Electric rotary brush module
JPS6340208Y2 (ko)
JP2934370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H04218128A (ja) 電動式床用吸込具
JP2003135328A (ja) 電気掃除機
JP2908958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101281927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JPH026901Y2 (ko)
KR0158386B1 (ko) 흡입구가 2개인 진공청소기
KR960008294Y1 (ko) 진공청소기
MXPA98003965A (en) Hand vacuum with switching capacity between the suction path corresponding to the place to be clean
JP2005312714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170708Y1 (ko) 진공청소기
KR940010754B1 (ko) 진공청소기용 걸레 장착 흡입구의 걸레회전 제어장치
KR94000791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장착 흡입구
KR200170372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