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816A -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816A
KR930009816A KR1019920019995A KR920019995A KR930009816A KR 930009816 A KR930009816 A KR 930009816A KR 1019920019995 A KR1019920019995 A KR 1019920019995A KR 920019995 A KR920019995 A KR 920019995A KR 930009816 A KR930009816 A KR 930009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strap member
reaction
automatic transmission
brak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0584B1 (ko
Inventor
제이. 그레제시악 안토니
제이. 페노글리오 로버트
제이. 슬래거 더글라스
Original Assignee
그레그 지지레워스키
보그-워너 오토모티브 트랜스미션 앤드 엔진 콤포넌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그 지지레워스키, 보그-워너 오토모티브 트랜스미션 앤드 엔진 콤포넌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그레그 지지레워스키
Publication of KR930009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6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externally-engaging brakes
    • F16D65/065Brake bands
    • F16D65/067Brake bands with means for mounting, e.g. end connection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개량된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10)는 리액션 개구(32)를 둘러싸는 상향 돔(36)으로 형성된 개량된 리액션 브래킷(20)을 갖는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에 대한 리액션 브래킷의 부분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른 단면도.

Claims (8)

  1. 환형의 내측 원주(34)를 형성하며 스트랩 부재(12)의 한 단부(14)에 위치된 어플라이 브래킷(18)과 상기 스트랩 부재(12)의 대향 단부(16)에 위치된 리액션 브래킷(20)을 갖는 연신된 스트랩 부재(12)와, 스트랩 부재(12)의 내측 원주(34)에 고정된 마찰 라이닝(24)을 포함하며, 상기 리액션 브래킷(20)은 그 사이에 형성된 리액션 개구(32)를 구비한 돔형상(36)을 가지며, 상기 돔형상(36)은 그 사이에 중공 지역을 형성하는 마찰 라이닝(24)으로부터 상기 리액션 개구(32)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36)은 상기 리액션 개구(32) 주위로 등거리로 이격된 상향의 외주를 갖는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136)은 돔(136)의 두 측부(135)가 상기 스트랩 부재(112)의 엣지에 평행하고 돔(136)의 나머지 두 측부(137)가 상기 스트랩 부재(112)의 엣지에 수직인 사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션 개구(32, 132)에 인접한 외주인 돔(36, 136)의 표면은 상기 스트랩부재(12, 112)에 의해 형성된 내원주(34, 134)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앵커핀(38, 138)이 상기 리액션 개구(32, 132)와 결합한 앵커핀(38, 138)의 축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5. 일반적으로 환형의 내측 결합면(34)를 형성하며 두 개의 단부(14, 16)를 갖는 연신된 스트랩부재(12)와, 스트랩 부재(12)의 결합면(34)에 고정된 마찰 라이닝(24)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 부재(12)의 한 단부(14)는 상기 단부(14)와 그로부터 형성된 어플라이 브래킷(18)에서 상기 스트랩 부재의 2배의 두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접혀지며, 상기 스트랩부재(12)의 대향 단부(16)는 상기 대향 단부(16)와 그로부터 형성된 리액션 브래킷(20)에서 상기 스트랩 부재의 2배의 두께를 형성하도록 후방으로 접혀지며, 상기 리액션 브래킷(20)은 그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리액션 개구(32)를 갖는 돔(36)으로서 스트랩 재료의 상기 이중층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돔(36)은 스트랩 부재(12)의 결합면(34)위에 중공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돔(36)은 상기 리액션 개구(32) 주위로 등거리로 이격된 상향의 외주를 갖는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돔(136)은 돔(136)의 두 측부(135)가 상기 스트랩 부재(112)의 엣지에 평행하고 돔(136)의 나머지 두 측부(137)가 상기 스트랩 부재(112)의 엣지에 수직인 사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션 개구(32, 132)에 인접한 외주인 돔(36, 136)의 표면은 상기 스트랩부재(12, 112)에 의해 형성된 내원주(34, 134)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앵커핀(38, 138)이 상기 리액션 객(32, 132)와 결합한 앵커핀(38, 138)의 축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19995A 1991-11-26 1992-10-29 자동변속기브레이크밴드 KR100280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8,212 1985-11-14
US79821291A 1991-11-26 1991-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816A true KR930009816A (ko) 1993-06-21
KR100280584B1 KR100280584B1 (ko) 2001-10-24

Family

ID=2517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995A KR100280584B1 (ko) 1991-11-26 1992-10-29 자동변속기브레이크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544406B1 (ko)
JP (1) JP3448313B2 (ko)
KR (1) KR100280584B1 (ko)
AU (1) AU2700192A (ko)
CA (1) CA2082719A1 (ko)
DE (1) DE6920525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6160A (en) * 1991-10-29 1995-12-19 Borg-Warner Automotive, Inc. Double-wrap brake band assembly
US20010008196A1 (en) 2000-01-13 2001-07-19 Kazuyuki Fujita Band brak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nular brake ban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642A (en) * 1990-01-25 1992-01-28 Advanced Friction Materials Company Double wrap friction brake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035918A1 (en) * 1990-04-12 1991-10-13 Christopher P. Puchalla One-piece transmission band having the apply and reaction members integrally formed in the base material
US5078237A (en) * 1990-06-28 1992-01-07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Automatic transmission b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82719A1 (en) 1993-05-27
DE69205259T2 (de) 1996-03-14
JPH05215235A (ja) 1993-08-24
DE69205259D1 (de) 1995-11-09
EP0544406B1 (en) 1995-10-04
AU2700192A (en) 1993-05-27
KR100280584B1 (ko) 2001-10-24
EP0544406A1 (en) 1993-06-02
JP3448313B2 (ja) 200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3319A (ko) 벨트 인장 장치
KR890016307A (ko) 벨트 장력기
KR960033339A (ko) 밴드설치구조
KR930005572A (ko) 버클
KR910004440A (ko) 팩된 전기 램프
KR870005195A (ko) 역전된 이중 랩 밴드용 스트랩
KR890000800A (ko) 보조조임 및 잠금장치가 장착된 메탈 클램프
KR930009873A (ko) 탬퍼프루프 링이 장착된, 합성물질로 만들어진, 나사 캡
US4207735A (en) Dial and movement fixing structure
KR900702601A (ko) 로크부착소켓
KR910019834A (ko) 에어백 수납용 커버
KR930009816A (ko)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 밴드
KR880010258A (ko) 탄성을 지닌 밴드 클램프
KR910010104A (ko) 조이기 밴드
US4787483A (en) Slotted brake band for transmission assembly
KR890012098A (ko) 샤프트 팩킹용 유니트
KR890014948A (ko) 스프링 클램프
KR950030913A (ko) 천공이어링
KR930008338A (ko) 이중 - 랩 브레이크 밴드 조립체
KR900014967A (ko) 토오크 리미터
KR880012312A (ko) 조임밴드 및 그의 조임공구
KR870008128A (ko) 크럿치 카바 어셈브리
KR840008883A (ko) 테 이 프 릴
KR970059004A (ko) 안전 벨트용 편향 기구
KR970015955A (ko) 허브를 갖는 스파우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