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492Y1 - Low speed play circuit - Google Patents

Low speed play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492Y1
KR930008492Y1 KR2019880003939U KR880003939U KR930008492Y1 KR 930008492 Y1 KR930008492 Y1 KR 930008492Y1 KR 2019880003939 U KR2019880003939 U KR 2019880003939U KR 880003939 U KR880003939 U KR 880003939U KR 930008492 Y1 KR930008492 Y1 KR 930008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chmitt trigger
transistor
pulse
s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9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90019885U (en
Inventor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03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492Y1/en
Publication of KR890019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88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492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저속도 재생회로Low speed regeneration circuit

제 1 도는 종래 저속도 재생회로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low speed regeneration circuit.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저속도 재생회로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low speed regener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부의 상세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4 도는 종래 회로에 따른 타이밍챠트도.4 is a timing char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ircuit.

제 5 도는 본 고안 회로에 따른 타이밍챠트도.5 is a timing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ircui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정상 제어시스템1: normal control system

2 : 브레이크(Brake)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2: brake mono multivibrator

3 : 슬로우 트래킹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 4 : 라이징(Rising)검출부3: Slow tracking mono multi vibrator 4: Rising detector

5 : 오버 드라이브 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 overdrive pulse mono multivibrator

6 :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 7, 8 : 앰프6: start mono multivibrator 7, 8: amplifier

9 : 카운터 HㆍSW : 헤드스위치9: counter H / SW: head switch

ST1∼ST4 : 슈미트트리거 G1∼G3 : 오아게이트ST1 to ST4: Schmitt trigger G1 to G3: Oagate

Q1∼Q3 : 트랜지스터Q1 to Q3: transistor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 재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로우(Slow)기능이 있는 VCR에서 프레임 슬로우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적당하도록한 저속도 재생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ow speed playback of a video tape rec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 speed playback circuit suitable for a system for performing frame slow in a VCR having a slow function.

종래의 기술구성을 제 1 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ventional technica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헤드스위치(HㆍSW)는 슬로우/스틸 스타트 신호가 인가되는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에 접속되고,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의 출력단은 오버 드라이브 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에 접속되며, 오버 드라이브 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의 출력단은 슈미트 트리거(ST3)를 거쳐 오아게이트(G1)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재생 콘트롤 펄스가 인가되는 라이징 검출부(4)의 출력단은 슬로우 트랙킹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3)를 거쳐 브레이크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2)와 슈미트 트리거(ST2)에 각각 접속되며, 브레이크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출력단은 슈미트 트리거(ST1)에 접속되고, 슈미트 트리거(ST1)와 상기 슈미트 트리거(ST2)의 출력단은 접속되어 상기 오이게이트(G1)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오아게이트(G1)의 출력단은 한 입력단이 정상 제어시스템(1)에 접속된 오아게이트(G2)의 타입력단에 접속되어 구성된 회로로 그의 동작 및 문제점을 제 1 도와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head switches H and SW are connected to a start mono multi vibrator 6 to which a slow / steel start signal is applied,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start mono multi vibrator 6 is connected to an overdrive pulse mono multi vibrator 5, The output terminal of the overdrive pulse mono multi vibrator 5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oragate G1 via the Schmitt trigger ST3,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rising detection unit 4 to which the reproduction control pulse is applied is the slow tracking mono multi vibrator ( 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rake mono multi vibrator 2 and the Schmitt trigger ST2,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brake mono multi vibrator 2 is connected to the Schmitt trigger ST1, and the Schmitt trigger ST1 and the Schmitt trigger The output terminal of the ST2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gate O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gate O1 is connected to one input terminal. If described on the a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Iowa gate (G2) consisting of a circuit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1) for its operation and a problem with reference to the first help FIG. 4 as follows.

슬로우 모드가 되면,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에 슬로우/스틸 스타트 하이신호가 인가되어 제 4 도에 보인 a, b의 파형과 같이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의 출력펄스(제 4 도의 b파형)가 헤드 스위치(HSW)의 출력펄스(제 4 도의 a파형)와 동기된다.In the slow mode, the slow / steel start high signal is applied to the start mono multivibrator 6, and the output pulse of the start mono multi vibrator 6 (b waveform of FIG. 4) is similar to the waveforms a and b shown in FIG. Head switch (H) It is synchronized with the output pulse (waveform a in FIG. 4) of SW).

그리고 제 4 도의 b와 c에 보인 바와같이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 출력펄스(제 4 도의 b파형)의 하강점에서 동기하여 오버 드라이버 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는 임의의 단안정발진을 하여 제 4 도 c와 같은 펄스를 출력하고,이에 따라 슈미터 트리거(ST3)에서 제 4 도 d와 같은 오버 드라이브 펄스가 발생되어 오아게이트(G1)에 인가된다. 한편 제 4 도 e와 같은 재생콘트롤 펄스가 라이징 검출부(4)에 인가되어 검출되면 이에 따라 슬로우 트래킹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3)는 제 4 도 f와 같은 단안정 발진파명을 만들어 내고 이 파명의 폭만큼 슈미트 트리거(ST2)에서 제 4 도 i와 같은 드라이브 펄스가 출력되며, 브레이크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2)에서는 제 4 도 g와 같은 브레이크 단안정 발진파형의 출력되어 슈미트 트리거(ST1)에서 제 4 도 h와 같은 펄스로 출력되어 오아게이트(G1)에 입력된다. 따라서 오이게이트(G1)로부터 출력되는 최종파형은 제 4 도는 j와 같이 된다.As shown in b and c of FIG. 4, the over-driver pulse mono multivibrator 5 performs arbitrary monostable oscill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alling point of the start mono multivibrator 6 output pulse (b waveform in FIG. 4). A pulse as shown in FIG. 4C is output, and according to this, an overdrive pulse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eneration control pulse as shown in FIG. 4E is applied to the rising detector 4 and detected, the slow tracking mono multivibrator 3 generates the monostable oscillation wave as shown in FIG. A drive pulse as shown in FIG. 4 is output from the Schmitt trigger ST2, and a brake monostable oscillation waveform as shown in FIG. 4 is output from the brake mono multivibrator 2, and a fourth pulse h is shown in the Schmitt trigger ST1 as shown in FIG. It is output as a pulse and is input to the oragate G1. Therefore, the final waveform output from the o gate G1 becomes as shown in FIG. 4 or j.

그러나 오버 드라이브 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의 발진에 의한 슈미트 트리거(ST3)의 출력펄스의 폭이 조정을 거쳐 고정되면 사용자가 가변할 수 없게되며, 슈미트 트리거(ST2)로부터의 드라이브 펄스 파형도 정상 재생동작이 아닌 고정된 값이므로 비디오 테이프의 장력에 따른 능동적인 작동이 불가능하고, 테이프의 길이나 기기의 기계적 장력의 오차에 따라 요구되는 기동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안정된 화면이 나타나지 않게된다는 문제점을 갖게된다.However, if the width of the output pulse of the Schmitt trigger ST3 due to the oscillation of the overdrive pulse mono multivibrator 5 is fixed after adjustment, the user cannot change the drive pulse waveform from the Schmitt trigger ST2. It is a fixed value, not a playback operation, so active operation is not possible due to the tension of the video tape, and stable maneuverability does not appear because the required maneuvering power cannot be properly mainta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ape or the mechanical tension of the device. Will hav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제 2 도와 제 3 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as follows.

종래의 기술구성인 제 1 도에 있어서, 재생CFG신호가 인가되는 앰프(8)의 출력단은 슈미트 트리거(ST4)를 거쳐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의 출력단에 접속된 카운터(9)에 접속되고, 재생 제어펄스가 인가되는 앰프(7)의 출력단은 슬로우 트래킹 모노 바이브레이터(3)에 접속된 라이징 검출부(4)에 접속되며, 라이징 검출부(4)의 접속되며, 라이징 검출부(4)의 출력단은 상기 카운터(9)에 접속되고, 카운터(9)의 출력단은 오버 드라이브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에 접속되며, 슈미트 트리거(ST3)의 출력단은 제 3 도에서와 같이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슈미트 트리거(ST2)의 출력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함께 에미터가 접속되어 에이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슬로우/스틸 스타트신호(S/S)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가 접속되어 에이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정상 제어시스템(1)와 오아게이트(G3)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오아게이트(G3)의 입력단은 슈비트 트리거(ST2, ST3)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구성된 회로로서 그의 동작 및 효과를 제 2 도와 제 3 도및 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FIG. 1 of the prior art configuration,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8 to which the reproduction CFG signal is applied is connected to the counter 9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tart mono multivibrator 6 via the Schmitt trigger ST4.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7 to which the regeneration control pulse is applied is connected to the rising detector 4 connected to the slow tracking mono vibrator 3, the rising detector 4 is connected,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rising detector 4 is connected to the rising detector 4.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unter 9 is connected to the overdrive pulse mono multivibrator 5,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chmitt trigger ST3 has an emitter grounded as shown in FIG. Is connected to the base of Q3),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chmitt trigger ST2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to which the emitter is connected with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3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slow / steel start signal ( S / S) And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2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base of transistor Q1, which is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normal control system 1 and the oragate G3. An input terminal of the gate G3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chwyt triggers ST2 and ST3, respectively.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5 as follows.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에 제 5 도 (ㄱ)와 같은 헤드스위치(HSW)의 신호와 슬로우 스틸(S/S) 하이신호가 인가되면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는 제 5 도 (ㄴ)와 같은 단안정 발진파명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앰프(8)에 제 5 도 (ㄷ)과 같은 재생CFG신호가 인가되면 슈미트 트리거(ST4)는 입력된 재생CFG신호를 정형화하여 카운터(9)로 입력시키게 된다. 카운터(9)는 입력된 재생CFG신호의 숫자를 카운트하다가 라이징 검출부(4)가 제 5 도 (ㅁ)의 재생콘트롤 펄스를 검출하게 되면 일정시간후 제 5 도 (ㄹ)과 같은 펄스를 발생하여 오버 드라이브 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에 입력시키며, 오버 드라이브 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는 리세트 된다. 오버 드라이브 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의 발진폭에 따라 제 5 도 (ㅊ)과 같이 슈미트 트리거(ST3)의 펄스폭의 결정되며, 슈미트 트리거(ST3)의 출력펄스는 오아게이트(G3)와 스위치(SW)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한편 앰프(7)로 인가된 제 5 도 'ㅁ'과 같은 재생콘트롤 펄스는 라이징 검출부(4)에서 정형화되고, 상승부와 첨출되면 슬로우 트랙킹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3)로부터 제 5 도 (ㅅ)과 같은 발진파형이 출력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동작식리가 결정되며, 제 5 도 (ㅇ)와 같은 브레이크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2)의 발진파형이 출력된다.Head switch H as shown in FIG. 5 (a) to the start mono multivibrator 6 When the SW) signal and the slow still (S / S) high signal are applied, the start mono multivibrator 6 outputs the monostable oscillation waveform as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when the reproduction CFG signal as shown in FIG. 5C is applied to the amplifier 8, the Schmitt trigger ST4 formats the input reproduction CFG signal and inputs it to the counter 9. The counter 9 counts the number of the input reproduction CFG signals, and when the rising detection unit 4 detects the reproduction control pulse of FIG. 5 (ㅁ), generates a pulse as shown in FIG. The overdrive pulse mono multivibrator 5 is inputted, and the overdrive pulse mono multivibrator 5 is reset. The pulse width of the Schmitt trigger ST3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scillation width of the overdrive pulse mono multivibrator 5, and the output pulse of the Schmitt trigger ST3 is switched to the oragate G3 and the switch. It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3 of (SW). On the other hand, the regeneration control pulse as shown in FIG. 5 'ㅁ' applied to the amplifier 7 is shaped by the rising detector 4, and when it is added to the rising part, the slow tracking mono multivibrator 3 and The same oscillation waveform is output, whereby the operating formula of the brake mono multi vibrator 2 is determined, and the oscillation waveform of the brake mono multi vibrator 2 as shown in FIG. 5 is output.

상기한 동작은 제 5 도에서 살펴보면 시간(t1)동안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슬로우/스틸 하이 신호가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브레이크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2)가 아직 발진을 하지 않아 제 5 도 (ㅈ)와 같은 슈미트 트리거(ST2)로부터의 반전펄스가 입력되지 않으며, 트랜지스터(Q3)의 의 베이스에 오버 다라이브 펄스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의 발진에 의한 슈미트 트리거(ST3)의 펄스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온'이 되어 정상 제어시스템(1)의 출력은 오아게이트(G3)에 입력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the base slow / still high signal of the transistor Q1 is applied for a time t1, and the brake mono multivibrator 2 does not oscillate at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The inverted pulse from the Schmitt trigger ST2 such as 5 degrees is not input, and the pulse of the Schmitt trigger ST3 due to the oscillation of the over-live pulse mono multivibrator 5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3. Is applied, the transistor Q1 is 'on' so that the output of the normal control system 1 is not input to the oragate G3.

다음 시간(t2)동안에는 트랜지스터(Q3)에는 로우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하이가 입력되므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인가된던 슬로우/스틸 하이신호는 트랜지스터(Q2)로 흘러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기 때문에 정상 제어시스템의 출력은 오아게이트(G3)로 인가된다.During the next time t2, a low is input to the transistor Q3 and a high is input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Therefore, the slow / steel high signal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flows to the transistor Q2 and is applied to the transistor Q1. Since is off, the output of the normal control system is applied to the oragate (G3).

이와같은 동작으로 오아게이트(G3)로 부터는 제 5 도 (ㅋ)과 같은 캡스턴 모터 제어신호가 출력된다.In this operation, the capstan motor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5 is output from the oragate G3.

상기한 본 고안은 슬로우 동작초기 구동시간이 테이프의 길이와 기기의 장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되고, 초기 구동후 프레임 진생시에도 정상 재생시와 마찬가지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화면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스틸동작에 있어서도 잠읍없이 정확한 위치에 장치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operation time of the slow motion is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ape and the tension of the device, and since the frame can be controlled like the normal playback even when the frame is generated after the initial driving, a stable screen can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the correct position even without a sleep.

Claims (2)

VCR의 저속도 재생회로에 있어서, 재생 콘트롤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라이징 검출부(4)로 인가하는 앰프(7)와, 재생 CFG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슈미트 트리거(ST4)로 인가하는 앰프(8)와, 상기 앰프(8)의 출력을 입력받아 파명정형하는 슈미트 트리거(ST4)와, 슬로우/스틸 스타트신호와 헤드 스위치신호를 입력받는 스타트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슈미트 트리거(ST4)의 출력파형을 카운트하다가 상기 라이징 검출부(4)에서 재생 콘트롤펄스를 검출하면 지연시간을 가진후 리셋펄스를 출력하여 오버드라이브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로 인가하는 카운터(9)와, 정상 제어시스템(1)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오버 드라이브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5)의 출력을 입력받는 슈미트 트리거(ST3)의 출력과 라이징 검출부(4)의 출력을 입력받는 슬로우 트래킹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3)의 출력을 슈미트 트리거(ST2)를 입력받고 슬로우/스틸 스타트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SW)와, 상기 슬로우 트랭킹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3)의 출력을 브레이크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2)을 통해 입력받아 파명정형하는 슈미트 트리거(ST1)의 출력과 스위치(SW)의 출력 및 슈미트 트리거(ST3)의 출력을 입력받아 캡스틴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G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도 재생회로.In the low-speed reproducing circuit of the VCR, an amplifier 7 which receives and amplifies a reproduction control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rising detection unit 4, and an amplifier 8 which receives and amplifies the reproduction CFG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Schmitt trigger ST4. And the Schmitt trigger (ST4)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amplifier (8) and performing the shaping, and the output of the start mono multivibrator (6) receiving the slow / steel start signal and the head switch signal. After counting the output waveform of (ST4) and detecting the regeneration control pulse by the rising detector 4, a counter 9 for outputting a reset pulse after the delay time and applying it to the overdrive mono multivibrator 5, and normal The output of the Schmitt trigger ST3 and the output of the rising detector 4 which ar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control system 1 and receive the output of the overdrive mono multivibrator 5. A switch (SW)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by receiving a Schmitt trigger (ST2) and an input of a slow / steel start signal to the output of the slow tracking mono multi vibrator (3), and the slow tracking mono multi vibrator (3).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Schmitt trigger (ST1) and the output of the switch (SW) and the output of the Schmitt trigger (ST3) to receive the output of the output through the brake mono multi-vibrator (2) and outputs the Capstin motor control signal A low speed regeneration circuit comprising an oragate (G3).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치(SW)는 슈미트 트리거(ST3)을 통해 인가되는 오버 드라이브 펄스를 베이스로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출력과 슈미트 트리거(ST2)을 통해 인가되는 슬로우 트래킹 펄스를 베이스로 입력받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출력과 슬로우/스틸 스타트 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 정상 제어시스템(1)으로 부터 출력되어 오아게이트(G3)로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도 재생회로.2. The switch SW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 SW receives the overdrive pulse applied through the Schmitt trigger ST3 based on the transistor Q3, the collector output of the transistor Q3, and the Schmitt trigger ST2. Transistor Q2 receiving the applied slow tracking pulse as a base, the collector output of the transistor Q2, and the slow / steel start signal are input to the base, and are output from the normal control system 1 and are output from the oragate G3. And a transistor (Q1) for controlling a signal applied to the low speed regeneration circuit.
KR2019880003939U 1988-03-24 1988-03-24 Low speed play circuit KR9300084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939U KR930008492Y1 (en) 1988-03-24 1988-03-24 Low speed play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939U KR930008492Y1 (en) 1988-03-24 1988-03-24 Low speed play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85U KR890019885U (en) 1989-10-05
KR930008492Y1 true KR930008492Y1 (en) 1993-12-22

Family

ID=1927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939U KR930008492Y1 (en) 1988-03-24 1988-03-24 Low speed play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492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85U (en)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1658A (en) Variable speed picture reproducing apparatus for video tape recorder
KR930008492Y1 (en) Low speed play circuit
JPH0746859B2 (en) Still image playback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 playback device
JPS6339196B2 (en)
JPS553271A (en) Rotary head type magnetic picture recorder/reproducer
US53272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apstan motor of the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function of automatic five/slow playback
JPS6121088U (en) VTR
JPS5830278Y2 (en) Control signal recording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s
JPH075558Y2 (en) Video tape recorder for long-term recording
JPS5834589Y2 (en) Tape speed switching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equipment
KR940003917Y1 (en) Still picture control circuit
KR900010118Y1 (en) Q-mode automatic switching circuit for vtr
KR900007911Y1 (en) Reproducing control circuit of video tape recorder
KR830000140Y1 (en) Frame by Frame and Noise Eliminator Circuit for VTR
KR0130267Y1 (en) Phase control circuit of a capstan motor
JP2714142B2 (en) Control signal waveform shaping circuit
JPH0526866Y2 (en)
KR870001589Y1 (en) Fine still circuit of video tape recorder
JPH0526865Y2 (en)
JPH0540621Y2 (en)
KR930008274B1 (en) Vcr capstan motor control method at still/slow mode
SU726573A2 (en) Device for reproducing signalogram
JPS6390050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930000747Y1 (en) Control pulse compensation circuit for vtr
KR920000042Y1 (en) Control circuit for capstan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