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103Y1 - 급수장치의 엘보형 감압밸브 - Google Patents

급수장치의 엘보형 감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103Y1
KR930008103Y1 KR2019910012869U KR910012869U KR930008103Y1 KR 930008103 Y1 KR930008103 Y1 KR 930008103Y1 KR 2019910012869 U KR2019910012869 U KR 2019910012869U KR 910012869 U KR910012869 U KR 910012869U KR 930008103 Y1 KR930008103 Y1 KR 930008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reducing valve
pressure reducing
pressure
t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096U (ko
Inventor
이상만
Original Assignee
이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만 filed Critical 이상만
Priority to KR2019910012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103Y1/ko
Publication of KR930005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수장치의 엘보형 감압밸브
제 1 도는 종래 감압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감압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감압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 고안 감압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통 2 : 커버
5 : 조절나사 8 : 다이어 후램
10 : 상부피스톤 13 : 하부피스톤
15 : 게이트 루버 16 : 게이트 홀다
19 : 스템
본 고안은 수원지로 부터 각가정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의 급수유로에 있어서 수도계량기와 근접된 위치에 사용하는 감압밸브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다이어 후램을 스템에 고정하여 다이어 후램이 스템과 일체로 동작하도록 하고, 게이트고무와 게이트가 경사지게 접촉하도록 하여 감압시 밸브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의 운도량 손실을 방지하며 수돗물의 입구와 출구를 소정각도를 갖는 부위에 각각 위치시켜 밸브가 감압기능과 동시에 엘보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등과 같은 집단주택에서는 수돗물이 수도코크에서 사용하기에 너무 높은 압력으로 공급되므로 이러한 수돗물의 이송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감압밸브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돗물이 수원지로 부터 단독주택과 같은 여러 가정에 공급되는 경우에 저지대에 위치하는 가정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면 수돗물의 이송압력이 떨어져 고지대의 가정에는 수돗물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저지대의 가정에는 수도계량기와 인접한 부위에 감압 밸브를 설치하여 수돗물의 사용압력을 떨어뜨려 수돗물이 고지대로 공급될 수 있는 이송압력을 확부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여러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감압밸브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19)의 상단에는 하부피스톤(13)을 고정하고, 하단부에는 게이트루버(15)와 루버홀더(16)를 차례로 끼워 고정하였다.
그리고, 하부피스톤(13)의 상단에는 상부피스톤(10)을 볼트(12)로써 고정하였고, 상부피스톤(10)과 하부피스톤(13)의 외주면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0링(11)을 각각 끼웠다.
몸체(1)에는 스템(19)이 끼워지는 게이트(1a)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1a)의 하단부에는 게이트루버(15)를 압박하기 위한 돌출부(1b)를 하향으로 튀어나오게 형성하였다.
또한 몸체(1)에는 입구(20)와 출구(21)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스템(19)은 몸체(1)의 게이트(1a)에 끼워봉고, 몸체(1)의 상단부에는 커버(2)를 씌워 체결요소로 커버(2)를 몸체(1)로 고정하되 커버(2)와 몸체(1)의 사이에는 다이아후램(8)을 끼워넣고 상기 다이어후램(8)의 상단부에는 감압비를 설정하기 위한 조절스프링(6)과 조절나사(5)를 설치하였다.
그러므로, 배수관과 연결되는 입구(20)에 입력 수압(P1)을 갖는 수돗물이 공급되면 수돗물의 입력수압 P1은 하부피스톤(13)과 게이트(1a)에 동시에 작용되었다.
이때 하부피스톤(13)의 직경이 게이트(1a)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입력수압(P1)에 의한 힘이 게이트(1a)보다 하부피스톤(13)에 크게 작용하게 되어 스템(19)이 상승하게 되므로써 (, F=A·P, P;압력 A;면적 F;힘)게이트(1a)와 게이트루버(15)의 간격이 변화되어 수압을 일차로 제어하였다.
또한 게이트(1a)를 통과한 수돗물의 유동압력인 2차수압 P2은 수도코크등에서 사용하는 수량과 관계되어 압력이 변화하게 된다.
즉, 수도코크에서 수돗물을 적게 사용하여 사용수량이 적게되면 게이트(1a) 를 통해 일정유량은 지속적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사용수량은 적으므로 2차수압 P2은 증대되고 이와같이 증대되는 2차수압 P2는 상부피스톤(10)에 작용하여 스템(19)이 상승하므로써 2차적으로 수압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감압밸브는 상부피스톤(10)과 다이어후램(8)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피스톤(10)에 설치된 O링(11)파손되거나 마모되어 상부피스톤(10)의 기밀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압의 2차적인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아 감압밸브의 수명이 길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감압밸브는 감압조절시에 스템(19)의 상하이동에 따라 돌출부(1b)와 게이트루버(15)가 충격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때 돌출부(1b)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므로써 게이트루버(15)의 특정부위와 계속하여 접촉함에 따라 게이트루버(15)의 특정부위는 쉽게 파손되었다.
뿐만아니라, 돌출부(1b)와 게이트루버(15)가 직각의 각도로 접촉하거나 개방되고, 이로인해 게이트(1a)를 통과하여 출구(21)로 이송하는 유체는 여러차례 이송방향을 직각으로 변화하게 되므로써 운동량의 손실이 많고, 이러한 운동에너지의 손실은 정확한 감압비를 얻는데 방해요인이 되어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감압밸브는 입구(20)와 출구(21)와 일직선상에 배열되고, 가정에 설치되는 수돌계량기함의 폭은 한정적이며, 특히 계량기는 계량오차를 없애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확보해야 하므로 계량기함에는 계량기와 감압밸브가 수평선상에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감압밸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계량기에는 엘보를 사용하여 직각으로 굽은 배관을 한 뒤 감압밸브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감압밸브의 설치가 매우 어려워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이어후램을 스템에 연결하고, 게이트와 게이트루버가 경사진 상태로 접촉하도록 하며, 입구와 출구의 위치가 직각이 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와 같이 스템(19)에는 상단부에 하부피스톤(13)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단부에 외주면이 경사지게 경사면(19a) 형성하여 경사면(19a)의 아래에도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게이트루버(15)와 루버홀더(16) 및 와셔(17)를 차례로 끼우고 너트(18)로 고정한다.
상기 하부피스톤(143)의 상단부에는 다이어후램(8)과 상부피스톤(10)을 차례로 올려놓고 스템볼트(12)가 다이어후램(8)과 상부피스톤(10)을 관통하여 하부피스톤(13)의 내부에 체결되도록 하여 다이어후램(8)을 상부피스톤(10)에 고정시키고 상부피스톤(10)은 하부피스톤(13)에 고정시킨다.
상기 하부피스톤(143)의 외주면에는 O링(14)을 끼워넣고 상부피스톤(10)의 외주연에는 U링(11)을 끼워넣는다.
상기 다이어후램(8)의 외주연은 몸체(1)와 카바(2)의 사이에 끼워져 몸체(1)와 카바(2)의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다이어후램(8)의 상단부에는 감압비를 조절하는 조절스프링(6)과 상기 조절스프링(6)을 압박하거나 이완시키는 조절나사(5)를 설치한다.
또한 수돗물의 입구(20)와 출구(21)는 서로의 위치가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한다.
상기 입구(20)와 출구(21)간의 각도는 9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돗물의 진행방향이 변환되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1)의 게이트(1a)는 게이트루버(15)와 접촉하는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게이트(1a)와 게이트루버(15)가 경사면으로 접촉되게 한다.
또한 몸체(1)의 외표면중 소정부위에는 통공이 형성된 봉인부(22)를 여러개 설치하여 조절나사(5)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봉인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감압밸브(24)의 입구(20)는 계량기(23)의 일단에 나란히 연결하고, 출구(21)는 급수관(25)과 연결한다.
계량기(23)와 감압밸브(24)는 제 5 도의 (a)와 (b)에서와 같이 수직선상 또는 수평선상에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계량기를 통과한 수돗물이 입구(20)를 통해 감압밸브내부로 유입되면 수돗물의 압력 P1에의해 스템(19)이 상승하여 1차 압력조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스템(19)의 상승시에는 상부피스톤(10)과 다이어후램(8)도 동시에 상승한다.
또한 수돗물이 사용량이 줄어들어 수돗물의 2차 압력 P2이 증대되면 상부피스톤(10)이 상승하여 2차 압력조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압력 조정과정에서 수돗물은 게이트(1a)와 게이트루버(15)사이를 통과하여 출구(21)로 이송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이어후램(8)이 스템볼트(12)에 의해 스템(19)과 동시에 이동하므로써 상부 피스톤(10)의 U링(11)이 훼손되어 기밀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에도 감압 조정시 다이어후램(8)이 상부피스톤(10)의 기능을 대행할 수 있고,이로인해 감압밸브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게이트(1a)와 게이트루버(15)의 경사진 외주면사이로 수돗물이 통과하므로 유동하는 수돗물의 운동량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정확한 감압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게이는(1a)와 게이트루버(15)가 경사진 상태로 접촉하므로 게이트루버(15)의 마모를 억제시킬 수 있어 수명이 길어지고 고장율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입구(20)와 출구(21)의 위치가 직교하므로 감압밸브가 엘보와 같이 수돗물의 흐름방향을 바꿀수 있고 이로인해 계량기의 설치공사가 쉽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나사(5)의 위치를 최초에 설정한 뒤 조절나사(5)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봉인을 하는 과정에서 봉인부(22)에 봉인한 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커버(2)로 복개된 몸체(1)의 상면 내부에 조절스프링(6)으로 압력이 조절되는 다이어 후램(8)이 설치되고, 몸체(1)의 내부에는 수압을 조절하는 상부 피스톤(10)과 하부 피스톤(13)을 설치하여 스템(19) 하부의 게이트 루버(15)가 게이트(1a)를 개폐하게된 것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 후램(8)과 상부 피스톤(10)이 스템 볼트(12)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피스톤(10)의 외주연에는 U링(11)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의 엘보형 감압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외면에 조절 압력 변환 방지용 봉인부(22)를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장치의 엘보형 감압 밸브.
KR2019910012869U 1991-08-14 1991-08-14 급수장치의 엘보형 감압밸브 KR930008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869U KR930008103Y1 (ko) 1991-08-14 1991-08-14 급수장치의 엘보형 감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869U KR930008103Y1 (ko) 1991-08-14 1991-08-14 급수장치의 엘보형 감압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096U KR930005096U (ko) 1993-03-22
KR930008103Y1 true KR930008103Y1 (ko) 1993-12-08

Family

ID=1931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869U KR930008103Y1 (ko) 1991-08-14 1991-08-14 급수장치의 엘보형 감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1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954A (ko) * 2001-09-19 2003-03-28 주식회사 대한비철금속 수압조절형 수도미터장치
CN110107720A (zh) * 2019-05-31 2019-08-09 捷锐企业(上海)有限公司 一种带压力腔的减压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096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73439A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US4305423A (en) Combination stop and pressure reducing valve
US3503418A (en) Chemical feeding apparatus
US4274592A (en) Adjustable riser member
US3812910A (en) Positive seal pitless well adapter
US2955614A (en) Constant tubing pressure choke
US5141029A (en) Variable orifice device
KR900002882B1 (ko) 배수장치용 콘트롤 스톱
KR930008103Y1 (ko) 급수장치의 엘보형 감압밸브
US4284102A (en) Combination stop and pressure reducing valve
US2895501A (en) Pressure regulator construction
DK0689652T3 (da) Selvvirkende justeringsventil
US3422835A (en) Valve for charging sewer line water traps
GB2101279A (en) Ablutionary shower system having a drain valve
CN101147017A (zh) 流体阀
ATE25724T1 (de) Halbautomatisches ventil zur abgabe einer vorbestimmten fluessigkeitsmenge unter druck, insbesondere druckspueler.
US2966164A (en) Fluid temperature-pressure relief valve
US3966168A (en) Pressure responsive valve
US4378932A (en) Pressure responsive valve assembly
US3276479A (en) Flow control
US3608579A (en) Pivoted float actuated valve
WO1989011611A1 (en) Backflow preventer valve
CA1138741A (en) Back pressure regulator
US3048187A (en) Valve with tubular resilient seal
KR950009975Y1 (ko) 유량자동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