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632Y1 -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 Google Patents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632Y1
KR930007632Y1 KR2019900019520U KR900019520U KR930007632Y1 KR 930007632 Y1 KR930007632 Y1 KR 930007632Y1 KR 2019900019520 U KR2019900019520 U KR 2019900019520U KR 900019520 U KR900019520 U KR 900019520U KR 930007632 Y1 KR930007632 Y1 KR 930007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loading
compression spring
hole
air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883U (ko
Inventor
곽중건
Original Assignee
곽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중건 filed Critical 곽중건
Priority to KR2019900019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632Y1/ko
Publication of KR920012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50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70Details not provided for in F41B11/50 or F41B11/6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참고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결합상태에서 도시한 정면작동상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결합상태에서 도시한 배면작동상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결합상태에서 도시한 평면작동상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리쇠몸체 2 : 가이드공
3 : 격판 4 : 작동부
5 : 장전부 6 : 홀치기레버
7 : 구멍 8 : 감속링크부
9 : 링크 10 : 핀
11 : 작동돌기 12 : 작용돌기
13 : 햄머 14 : 걸림턱
15 : 장전턱 16 : 압축스프링
17 : 햄머가이드봉 18 : 햄머가이드핀
19 : 방아쇠 20 : 햄머펀치
본 고안은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발식 공기총에 있어 압축스프링을 압축하여 장전할때 압축스프링을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발식 공기총의 압축스프링은 상당히 높은 탄성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압축하여 장전함에 있어 사용자의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개머리판을 꺽어 장전하거나, 노리쇠에 장착된 레버를 공기총의 측면에서 180도로 회동시켜 장전하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장전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거나 조준된 상태에서는 재장전이 극히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훌치기식에 의한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공기총의 총열하부에 장착되는 훌치기 손잡이를 단지 전진, 후진시키는 것에 의하여지는 것이나, 이러한 훌치기식은 공기총에 적용할 경우 훌치기손잡이의 전, 후진만에 의해서는 압축스프링을 효과적으로 압축하지 못하고 오히려 개머리판을 바닥에 지지한 후에나 장전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훌치기식에 의한 장전방법을 사실상 공기총에는 그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훌치기식으로 적용되는 공기총의 압축스프링을 효과적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하여 조준상태에서도 간단히 훌치기 손잡이를 후진시키므로 해서 장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에 가이드공(2)이 형성된 격벽(3)에 의하여 작동부(4)와 장전부(5)를 구성하는 노리쇠장전몸체(1)에 있어서, 압축스프링(16)에 감합된 햄머가이드봉(17)이 햄머가이드핀(18)에 삽입되고, 상기 햄머가이드봉(17)의 후단에서 압축스프링(16)을 탄지하는 상태로 내삽이도는 햄머(13)가 상기 노리쇠장전몸체(1)의 장전부(5)에 장착되어지되 상기 햄머(13)의 저면하부에는 장전턱(15)과 걸림턱(14)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노리쇠장전몸체(1)의 작동부(4)에는 감속링크부(8)가 장착 되어지되 상기 감속링크부(8)는 다수의 링크(9)가 핀(10)에 의해 축착되어지고, 그 중앙부에는 작용돌기(12)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2)에 관통되어 햄머(13)의 걸림턱(14)에 걸려지도록 장착되며, 후방선단에는 작동돌기(11)가 훌치기레버(6)의 구멍(7)에 삽입되어지고, 전방선단에 형성된 고정구멍(22)은 노리쇠장전몸체(1)의 작동부(4)에 형성된 고정구멍 장착돌기(21)에 회동가능토록 내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19는 방아쇠이며, 20은 햄머멈치로서 방아쇠의 끝단에 접촉하여지되 햄머(13)의 장전턱(15)에 걸리도록되어 장전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훌치기레버(6)는 훌치기손잡이(미도시)에 결착되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에 대하여 그 작용 및 제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훌치기레버(6)에 결착된 훌치기손잡이(미도시)를 후방으로 후퇴 시키면 상기한 훌치기레버(6)가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치기레버(6)의 구멍(7)에 삽입된 감속링크부(8)의 작동돌기(11)가 각각의 링크(9)를 핀(10)에서 늘어나는 상태로 후진하게되어 결국 상기 감속링크부(8)의 중앙에 형성된 작용돌기(12) 역시 가이드공(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작용돌기(12)를 지지하는 걸림턱(14)에 의해 햄머(13)가 후방으로 햄머가이드봉(17)과 햄머가이드핀(18)을 따라 압축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햄머(13)가 압축스프링(16)을 압축한 상태에서 이의 장전턱(15)이 햄머펀치(20)에 걸리게 되면 일단의 장전작용은 완료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16)은 햄머(13) 자체에 장전손잡이등에 고정하여 후퇴장전시키는 것보다 수월하게 압축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장전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한 감속링크부(8)의 작용에 의하는 것인바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한 도면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감속링크부(8)을 축착하는 지점인 선단의 고정구멍(22)을 정점으로 하였을때 상기한 작동돌기(11)를 작동점으로하여 후퇴시키게 되면 각각의 링크(9)가 핀(10)에 축착된 상태에서 그 전체의 길이에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작용돌기(12)는 작동돌기(11)의 길이변화에 대한 1/2지점이 되게 되므로 작용돌기(12)와 작동돌기(11)사이의 길이만큼 작용돌기(12)의 힘이 작동돌기(11)에 미치게 되므로 결국 작동돌기(11)의 힘이 "1"이라면 작용돌기(12)에는 그배에 해당하는 "2"의 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16)을 압축하는데 필요로하는 힘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기존의 1/2의 힘만이 필요로 하게된다. 이러한 것은 지렛대 원리에 의하면 쉽게 이해되는 것이며, 작동돌기(11)인 작동점과 작용돌기(12)인 작용점과의 사이길이와 작동돌기(11)의 힘이 작용돌기(12)에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작동원리에 따라 햄머(13)를 장전하기 위해 이를 후퇴 하므로서 압축스프링(16)을 압축시키는데 필요로하는 힘이 반감되게되므로 조준상태에서도 훌치기손잡이를 전, 후진하므로서 훌치기 레버(6)에 의한 장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장전된 상태에서 훌치기손잡이 즉 훌치기레버(6)를 전방으로 밀어 감속링크부(8)를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시킨후, 방아쇠(19)를 당기면 이의 끝단에 접촉된 햄머펀치(20)를 햄머(13)의 장전턱(15)에서 해지되게 되므로 압축된 압축스프링(16)의 탄발력에 의해 햄머(13)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종래와 같이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여 주어서 사격을 위한 배출밸브를 눌러주게 된다.
이때 압축된 공기가 배출밸브를 통하여 공기총탄알을 총구로 밀어주게 되어 사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감속링크부(8)가 2절식으로 구성되었으나 첨부한 도면 제 5 도에서와 같이 3절식으로 구성하되 그 작용돌기(12')를 햄머(13)의 걸림턱(14)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작동돌기(11)의 힘을 1/3으로 감축할 수도 있겠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하면 공기총에 있어 압축스프링의 압축에 필요로하는 힘을 감속링크부에 의하여 이를 반감함으로서 공기총에도 훌치기식에 의한 연발사격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기총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중앙에 가이드공(2)이 형성된 격벽(3)에 의하여 작동부(4)와 장전부(5)를 구성하는 노리쇠장전몸체(1)에 있어서, 압축스프링(16)에 감합된 햄머가이드봉(17)이 햄머가이드핀(18)에 삽입되고, 상기 햄머가이드봉(17)의 후단에서 압축스프링(16)을 탄지하는 상태로 내삽입되는 햄머(13)가 상기 노리쇠장전몸체(1)의 장전부(5)에 장착되어지되 상기 햄머(13)의 저면하부에는 장전턱(15)과 걸림턱(14)이 형성되어 지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 장전몸체(1)의 작동부(4)에 다수의 링크(9)가 핀(10)에 축착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2절식 감속링크부(8)가 장착되어지되 그 중앙부에는 작용돌기(12)가 형성되어 가이드공(2)에 관통되어 햄머(13)의 걸림턱(14)에 지지되고, 그 후방선단에 형성된 작동돌기(11)는 훌치기레버(6)의 구멍(7)에 삽입되고, 그 전방 선단에 형성된 고정구멍(22)은 노리쇠 장전몸체(1)에 형성된 고정구멍 장착돌기(21)에 회동가능토록 내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링크부(8)가 3절식의 감속링크부(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KR2019900019520U 1990-12-11 1990-12-11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KR930007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520U KR930007632Y1 (ko) 1990-12-11 1990-12-11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520U KR930007632Y1 (ko) 1990-12-11 1990-12-11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883U KR920012883U (ko) 1992-07-25
KR930007632Y1 true KR930007632Y1 (ko) 1993-11-05

Family

ID=1930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520U KR930007632Y1 (ko) 1990-12-11 1990-12-11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6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883U (ko) 199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2345A (en) Semi-automatic crossbow apparatus and method
US4895128A (en) Underwater spear gun
US4603676A (en) Bow drawback mechanism
KR0156264B1 (ko) 자동장전식 권총
EP2829838B1 (en) Toy gun
US4697571A (en) Cross bows
US9784524B1 (en) Toy gun
KR980003461A (ko) 방아쇠 장치
US4850328A (en) Air gun
US4367723A (en) Air gun with piston fully cocked in plurality of stages
US7194833B1 (en) Firing mechanism for semi-automatic pistols
US20110041680A1 (en) Semiautomatic pistol
EP2019959B1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US3924599A (en) Air gun mechanism arrangement including trigger safety
JPH09145296A (ja) 連続発射装置と銃又は玩具銃
US4883042A (en) Air guns
CN116601451A (zh) 玩具射弹发射器的供弹机构和方法
KR860001010B1 (ko) 자동소총
KR20050062591A (ko) 총기용 복동, 공이치기 트리거 기구
US2922412A (en) Cartridge cylinder for a toy gun
KR930007632Y1 (ko) 연발식 공기총의 장전장치
US4841840A (en) Firing mechanism for a semi-automatic arm
HU212293B (en) Fire gun with recoil buffers
US4183282A (en) Toggle actuating, shell loading and ejecting apparatus for hand held guns
US3548590A (en) Power actuated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