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355Y1 -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355Y1
KR930007355Y1 KR2019910008983U KR910008983U KR930007355Y1 KR 930007355 Y1 KR930007355 Y1 KR 930007355Y1 KR 2019910008983 U KR2019910008983 U KR 2019910008983U KR 910008983 U KR910008983 U KR 910008983U KR 930007355 Y1 KR930007355 Y1 KR 930007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orkpiece
cutting
cutting length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450U (ko
Inventor
남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8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355Y1/ko
Publication of KR930000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6Hand-held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2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high-speed cutting discs, performing the cut by frictional heat melt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조절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탁상용절단기의 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 결합상태의 요부를 보인 정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 제 3 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가공물 5 : 지지수단
15 : 선후단지지대 51 : 지지부
52 : 받침면 53 : 안내공
55 : 조임볼트
본 고안은 탁상용 절단기의 절단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공물의 절단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아울러 가공물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절단작업의 정밀성을 기할 수 있게하는 탁상용 절단기의 절단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탁상용 절단기는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목재가공물의 길이를 절단하는 것으로, 그러한 탁상용 절단기는 회전하는 절단날에 의해 가공물의 단면을 소폭으로 절삭하면서 필요한 길이만큼씩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탁상용 절단기에는 가공물의 절단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한 절단길이 조절장치가 절단부의 후단에 설치되는데, 이 절단길이 조절장치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가공물의 선후단 하부를 받쳐주는 지지대의 후단에 설치된다.
이와같이 절단길이 조절장치가 결합구성되는 탁상용 절단기는 베이스의 후방에 받침대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전방에는 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가공물을 고정시킬수 있도록 조임부재를 갖춘 고정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회전테이블을 끼우고 이에 힌지암이 결합시키며, 손잡이를 가지는 작동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구성시키고 이에 구동모터를 장착시켜서 이에 금속톱이나 저석으로된 원형절단날을 커버로 감싸아 축설시킨 절단부가 결합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의 베이스에는 길이가 긴 가공물의 선후단 하부를 받쳐 수평을 유지시키는 선후단 지지대가 횡설되는 것이며, 그 일측에는 가공물 절단측의 반대방향인 후단인출 길이에 따라 전후방이송시키면서 가공물 후면을 받쳐주는 절단길이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탁상용 절단기에 있어 종래의 절단길이 조절장치는 단순히 가공물의 후면에만 밀착시켜 절단길이를 조절하게 되므로서, 선후단 지지대의 지지면에 미치지 못하고 짧게 인출되는 가공물의 저면은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에 가공부에 가공물을 고정시킨후 절단부를 가압시키게 되면 심한진동이 발생되고 가공물의 후단이 하향으로 쳐지거나 위치변형이 발생되어 절단작업의 정밀성을 저하시키게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공물의 절단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아울러 가공물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절단작업의 정밀성을 기할수 있게하는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공물후단의 저면과 후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절단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절단길이 조절장치는 선후단 받침대를 따라 전후방으로 자유로이 이송안내되며 가공물 후단의 저면과 후면에 긴밀하게 면접촉되고 지지대에 선택적으로 고정설치되는 지지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탁상용 절단기의 측면도이다.
이 탁상용절단기는 통상에서와 같이 가공물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와 고정된 가공물을 절단시키는 절단부(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는 베이스(11)의 후방에 받침대(12)가 수직으로 입설되고, 그 전방에는 가공물(4)의 절단폭에 따라 이송시키면서 가공물(4)의 전면을 밀어 고정시키는 조임부재(13)가 안내대에 지지되어 전후방이송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의 베이스(11)에 회전테이블(14)을 개재시키고 이에 힌지암(3)이 구비되는 것이며, 이 힌지암(3)에는 절단부(2)가 결합구성되는데, 이 절단부(2)는 선단에 손잡이(211)를 가지는 작동부재(21)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암(3)을 중심으로 상,하 소정각도 회동이 가능하게 축설되고, 그 중앙에 구동모터(22)를 장착시켜 이에 절단날 커버(23)와 안전커버(24)에 의해 상부가 이중으로 감싸여진 원형절단날(25)의 중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의 베이스(11)에는 길이가 긴 가공물의 절단시 그 선,후단 저면을 떠받쳐 수평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전후방이 소정폭 이격되고 그 양측이 베이스(11)상면과 동일선상이되도록 경사를 이루어 일체화된 지지면(151)을 가지는 선후단지지대(15)가 베이스(11)의 양측으로 인출되게 횡설되고, 이 선후단지지대(15)의 일측, 즉 절단위치의 타측에 본 고안 지지수단(5)이 결합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5)이 제 2 도에 사시도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지지수단(5)은 몸체의 선단을 하향으로 절곡시키고 후단을 상향으로 절곡시켜 직각형태를 이루게한 지지부(51)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하향절곡된 하부를 일측 소정폭으로부터 상향절곡부의 저면과 동일선상의 타측단까지 만곡지게 형성되는 받침면(53)이 형성되는데 이때의 받침면(52) 단부는 선후단지지대(15)의 타측지지봉(153)에 일측과 수평이 되도록 안착될 수 있게 감안한 높이이다.
또한 상기 받침면(52)의 일측 수평면의 상부에 상향절곡부(5A)의 저면에 형성되는 받침면(5B-1)에 일치하도록 안내공(53)이 통공되고, 이 안내공(53)의 중앙의 직각방향에는 나사공(54)을 외곽으로부터 통공시키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보면, 선후단지지대(15)의 일측지지봉(152)을 지지수단(5)의 안내공(53)을 끼워 관통시킴과 동시에 타측 지지봉(153)의 상부에 만곡된 받침면(52)을 안착시켜 수평으로 설치한 후 안내공(53) 중앙에 직각방향으로 통공된 나사공(54)에 조임볼트(55)를 끼워 결합구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결합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가공물의 절단길이를 설정한후 제 3 도에서와 같이 조임볼트(55)가 해체된 상태에서 선후단지지대(15)의 지지봉(152)(153)을 따라 이송시켜서 가공물(4)의 후단에 밀착시키게되는데, 이때 지지봉을 따라 이송되는 지지수단(5)은 일측 지지봉(152)을 중심으로 타측이 수평이동되면서 가공물후단의 후면과 저면에 면접촉을 이루면서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와같은 길이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공물후단에 지지수단(5)이 밀착되면 제 4 도에서와 같이 조임볼트(55)를 지지봉(152)의 주벽에 강하게 체결시킨후 조임부재(13)를 이송시켜 가공물(4)을 고정시키고 모터(22)에 전원을 공급하여 절단날이 회전하는 절단부(2)의 손잡이(211)를 하향으로 눌러 가공물의 단면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절단길이가 설정된 가공물의 후단에 지지수단을 수평으로 이동시켜서 후면과 저면을 동시에 지지하게 되므로써, 가공물의 절단길이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절단작업시 가공물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밀하게 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선후단지지대에 안내되어 전후방으로 이송되면서 가공물의 절단길이를 조절하는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전방이 하향으로 절곡되고 후방이 상향으로 절곡되어 가공물 후단의 후면과 저면을 동시에 지지하게되는 지지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하향절곡부의 상면과 상향절곡부의 전면이 직각을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하향절곡부의 일측단에 상향절곡부의 받침면상으로 통공되는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의 중앙으로부터 외부로 통공되는 나사공과 상기 안내공의 내측소정위치로부터 상향절곡부의 받침면과 동일선상이 되는 타측까지 만곡되게 형성되는 받침면을 포함하는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 조절장치.
KR2019910008983U 1991-06-17 1991-06-17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조절장치 KR930007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983U KR930007355Y1 (ko) 1991-06-17 1991-06-17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983U KR930007355Y1 (ko) 1991-06-17 1991-06-17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50U KR930000450U (ko) 1993-01-20
KR930007355Y1 true KR930007355Y1 (ko) 1993-10-25

Family

ID=1931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983U KR930007355Y1 (ko) 1991-06-17 1991-06-17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3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32Y1 (ko) * 2015-11-05 2016-01-07 박영진 휴대형 고속 절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098A (ko) * 2001-01-19 2002-07-25 김성진 동일 물체 절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32Y1 (ko) * 2015-11-05 2016-01-07 박영진 휴대형 고속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50U (ko)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01878A (en) Table saw with part of the table swingably and laterally adjustable
EP0715918B1 (en) A double bevel table saw
RU2050261C1 (ru) Вертикальная ленточная пила
US4600184A (en) Tool fence
US5460070A (en) Fence for table saws
JPH08281605A (ja) 回しびきのこ
US4007657A (en) Saw tables
JP2006346909A (ja) 切断機
US4599925A (en) Fiberboard cutting system
KR930007355Y1 (ko) 탁상용절단기의 절단길이조절장치
KR102322630B1 (ko) 원형 커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커팅 장치
US1836457A (en) Bench mounting for portable electric power saws
US2265408A (en) Tilting arbor saw mounting
US20170355028A1 (en) Work table for band saw for use in vertical or horizontal saw position and method
US4494429A (en) Crosscut saw carriage
JP4138234B2 (ja) 丸鋸盤のテーブルロック装置
US4055102A (en) Band and saber saw arrangement
JP4454719B2 (ja) 食肉スライサー
KR102510087B1 (ko) 회전 가능한 절단유닛을 포함한 판재 절단 시스템
JP4225116B2 (ja) 切断機
KR890007424Y1 (ko) 동력 원판톱 기계
US5484003A (en) Chop saw table
JP3312262B2 (ja) 二軸丸鋸盤のフレーム構造
US5398578A (en) Breakaway guide
US3187788A (en) Band s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