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195Y1 - 프로텍션 표시회로 - Google Patents

프로텍션 표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195Y1
KR930007195Y1 KR2019900011605U KR900011605U KR930007195Y1 KR 930007195 Y1 KR930007195 Y1 KR 930007195Y1 KR 2019900011605 U KR2019900011605 U KR 2019900011605U KR 900011605 U KR900011605 U KR 900011605U KR 930007195 Y1 KR930007195 Y1 KR 930007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tandby
unit
transist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623U (ko
Inventor
박웅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1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195Y1/ko
Publication of KR920003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01R19/1652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using diodes, e.g. Zener di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텍션 표시회로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프로텍션 표시회로를 나타낸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텐바이 신호 출력단 2 : 레귤레이터
3 : 트랜스 10 :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
20 : 스텐바이 저전압 검출부 30 : 바이어스부
40 : 프로텍션 표시부 50 : 스위칭부
60 : 과전류 검출부 70 : 주전원 동작 검출부
Q1∼Q5 : 트랜지스터 RELAY : 릴레이
D1∼D2 : 제너다이오드 D3∼D9 : 다이오드
R1∼R18 : 저항 FB1, FB2 : 퓨즈저항
C1∼C4 : 콘덴서 L1,L2 : 코일
이 고안은 전원공급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텐바이 회로에 프로텍션 기능 및 프로텍션 표시기능을 추가하여 회로에 이상전압이 인가될 경우 회로를 보호하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게한 프로텍션 표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트콘트롤이 가능한 텔레비젼의 스텐바이 회로 및 주전원공급 회로에는 각 출력라인에 과전압인가시 퓨즈(fuse) 저항이 오픈되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프로텍션 회로가 설계되었다.
그러나 스텐바이 회로의 출력이 과전압인지 저전압인지 알 수가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마이콤의 파괴라든가 장치의 이상 발생시 이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또한, 과전압 및 저전압일때 프로텍션기능이 행하여짐을 표시하는 표시회로가 없었으며 회로가 복잡하여 각 소자들을 통과함에 따른 오차의 발생으로 신뢰도가 떨어질 염려가 있었으며 제작원가 상승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좀더 간단한 구성으로서 프로텍션 기능 및 프로텍션 표시기능을 할수 있도록한 프로텍션 표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스텐바이 신호 출력단(1)에 연결되어 스텐바이신호 출력이 과전압인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제1의 결점(6)을 갖는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10)와, 상기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10)에 접촉되어 스텐바이 저전압을 검출하는 스텐바이 저전압 검출부(20)와, 상기 제1의 결점(6) 및 상기 저전압 겸출부(20)에 접촉되어 바이어스 기능을 하고 제2의 절점(d)을 갖는 바이어스부(30)와, 상기 바이어스부(30)에 연결되어 스텐바이 신호 출력단(1)에 스텐바이 과전업 및 저전압이 인가될 경우, 회로의 이상을 표시하는 프로텍션 표시부(40)와, 마이콤 신호 및 제2의 절점의 전위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스위칭부(50)와, 펄스신호에 따라 전압 유기동작을 하며 유기전압을 평활시키는 과전류 검출부(60)와, 상기 과전류 검출부(60) 및 제1의 절점(b)에 접속되어 주 전원의 동작을 검출하여 프로텍션 기능을 행하는 주전원 동작 검출부(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션 표시회로에 있다.
이하, 이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프로텍션 표시회로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로서, 스텐바이 신호 출력이 과전압인 경우 이를 검출하는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10)가 스텐바이 신호 출력단(1)에 연결되며 상기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10)는 일정전압 이상일 때 동작되는 제너다이오드(D1)와, 증폭용 트랜지스(Q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10)에 스텐바이 저전압 검출부(20)가 연결되어 저전압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스텐바이 저전압 검출부(20)에 바이어스부(30)가 연결되며 상기 바이어스부(3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10)로부터 인가받은 전압을 바이어스 시키는 저항(R5)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는 에미터 보호저항(R4)이 연결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검지된 출력을 전송하는 다이오드(D3)의 및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를 연결시키는 병렬 접속 저항(R6), (R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이어스부(30)에 프로텍션 표시부(40)가 연결된다.
상기 프로텍션 표시부(40)는 저항(R9), (R10)에 의해 바이어스된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4)에 발광다이오드(LED)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마이콤신호 및절점(d)의 전위에 따라 스위칭 작용을 하는 스위칭부(5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3)의 1차측에 연결된 과전류 검출부(60)는 트랜스(3)의 2차측에 퓨즈역할을 하는 항(FB1), (FB2)이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퓨즈저항(FB1), (FB2)의 각각에 다이오드(D6), (D7) 및 코일 퓨즈저(L1), (L2)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전원의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를 검하는 주전원 동작 검출부(70)가 연결된다.
상기 주전원 동작 검출부(70)는 다이오드(D5), (D8) 및 저항 (R12), (R1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프로텍션 표시회로를 나타낸 제1도에서 스텐바이 신호출력단(1)으로부터 (a)쪽으로 스텐바이 출력전압이 과전압으로 출력될 경우는 제너다이오드(D1)가 단락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바이어스부(30)의 트랜지스터(Q2)가 PNP형 트랜지스터로 트랜지스터(Q1)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작을 하지 않으나, 즉, 접점(b)의 전위가 떨어지지 않으면 동작을 하지 않으나 접점(b)이 과전압에 의하여 전위가 떨어지면 트랜지스터(Q2)는 베이스전위가 떨어지므로 구동된다.
레귤레이터(2)의 동작여부를 알기 위하여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저항(R4)을 연결하여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를 걸게한다.
이로인하여 트랜지스터(Q3)는 동작하게 되고 접점(c)은 영전위가 되어 마이콤신호 입력이 "온"일때의 전압은 다이오드(D4) 및 다이오드(D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로 어스되어 장치를 "오프"시키게 된다.
또 다이오드(D2)의 애노우드가 어스되어 프로텍션 표시부(40)가 동작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4)동작하여 저항(R11)과 발광다이오드(LED)로 전류가 흘러 발광다이오드(LED)가 발광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스텐바이 출력단(1)에 과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10)의 제너다이오드(D1)가 턴온되어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키게 된다. 트랜지스터(Q1)이 구동되면 그의 베이스에 전류가 흘러 에미터-콜렉터간이 단락되어 콜렉터측은 거의 영전위가 된다.
즉, 절점(b)이 영전위가 된다. 절점(b)가 영전위가 되면 바이어스부(30)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트랜지스터(Q3)도 턴온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역시 영전위가 된다.
따라서, 프로텍션 표시부(40)의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어 그의 콜렉터-에미터간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에미터에 접속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LED)가 구동되어 발광다이오드(LED)가 발광하기 시작한다.
상기와는 달리 스텐바이 회로에 저전압이 인가될 경우 스텐바이 출력단(a)을 통하여 저항(R16)과 저항(R17)에 의하여 분압된다.
이 분압되는 전압은상태로 배분되어야 한다.
접점(a)의 전위가 떨어지면 접점(e)은 비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반면에, 바이어스부(30)의 레귤레이터(2)의 출력은 스텐바이신호 출력단(1)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게 떨어지더라도 떨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절점(e)의 전위가 저항(R18)에 걸린 전압보다 낮게 되므로 다이오드(D9)는 턴온되어 결국, 절점(d)의 전위가 영전위로 된다. 따라서, 스텐바이 출력단(1)에 과전압이 걸린 경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트랜지스터(Q4)가 구동되어 발광다이오드(LED)는 발광하기 시작한다.
한편, 과전류 검출부(60)는 전원회로의 2차측 전압이므로 출력을 하게되면 다이오드(D5), (D8)가 역방향이므로 프로텍션회로는 이상이 없으나 과전류에 의하여 퓨즈저항(FB1) 또는 퓨즈저항(FB2)이 오픈되면 출력(Out1), (Out2)에는 출력이 없게되어 다이오드(D5)와 다이오드(D8)는 저항(R12)과 저항(R13)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과전압 검출부(10)의 (b)점의 전위가 떨어지게 되어 바이어스부(30)가 동작하게 되고 스위칭부(50)의 마이콤신호를 억제하고 프로텍션 표시부(40)가 발광하여 표시를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은 스텐바이 회로에 프로텍션 기능 및 프로텍션 표시기능을 첨가하고 각 출력라인에도 프로텍션 기능을 첨가하여 장치에 이상전압이 인가될 경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게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8)

  1. 스텐바이 신호 출력단(1)에 연결되어 스텐바이 신호 출력이 과전압인 경우 이를 검출하며, 제1의 절점(b)을 갖는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10)와, 상기 스텐바이 검출부(10)에 접속되어 스텐바이 저전압을 검출하는 스텐바이 저전압 검출부(20)와, 상기 제1의 절점(b) 및 상기 저전압 검출부(20)에 접속되어 바이어스 기능을 하고 제2의 절점(d)을 갖는 바이어스부(30)와, 상기 바이어스부(30)에 연결되어 스텐바이 신호 출력단(1)에 스텐바이 과전압 및 저전압이 인가될 경우 회로의 이상을 표시하는 프로텍션 표시부(40)와, 마이콤 신호 및 제2의 절점의 전위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스위칭부(50)와 펄스신호에 따라 전압 유기동작을 하며 유기전압을 평활시키는 과전류 검출부(60)와, 상기 과전류 검출부(60) 및 제1의 절점(b)에 접속되어 주전원의 동작을 검출하여 프로텍션 기능을 행하는 주전원 동작검출부(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로텍션 표시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바이 과전압 검출부(10)는, 제1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스텐바이 신호 출력단(1)과 상기 제1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간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제너다이오드(D1)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절점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션 표시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바이 저전압 검출부(20)는 직렬 전압 분배용 저항(R16), (R17)와, 상기 저항들(R16), (R17)사이에 접속되는 제1의 다이오드(D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션 표시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30)는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2)와, 상기 제1의 절점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에미터에 저항(R4)가 접속되는 제1의 증폭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1의 증폭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베이스가 접속되고에미터가 접지되어 있으며 콜렉터가 제2의 다이오(D3)를 통하여 제2의 절점(d)에 접속되는 제2의 증폭 트랜지스터(Q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로텍션 표시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션 표시부(40)는 제2의 절점에 접속되어 제2의 절점(d)의 전위에 따라 회로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션 표시회로.
  6.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션 표시부(40)는 직렬 접속 바이어스저항(R19), (R10)과, 상기 바이어스 저항들(R9), (R10)사이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3의 증폭 트랜지스터(Q4)와, 제3의 증폭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회로이상시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션 표시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부(50)는 마이콤 신호 및 제2의 절점(d)의 전위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제2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5)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릴레이 동작을 행하는 릴레이와, 애노드가 상기 제2의 절점(d)에 접속되고 캐소오드가 제2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접속되는 제3의 다이오드(D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션 표시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원 동작 검출부(70)는 상기 제1의 절점(b)에 병렬접속되는 제4 및 제5의 다이오드(D5),(D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션 표시회로.
KR2019900011605U 1990-07-31 1990-07-31 프로텍션 표시회로 KR930007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605U KR930007195Y1 (ko) 1990-07-31 1990-07-31 프로텍션 표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605U KR930007195Y1 (ko) 1990-07-31 1990-07-31 프로텍션 표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623U KR920003623U (ko) 1992-02-25
KR930007195Y1 true KR930007195Y1 (ko) 1993-10-13

Family

ID=1930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605U KR930007195Y1 (ko) 1990-07-31 1990-07-31 프로텍션 표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1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623U (ko)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8907A (en) Desensitized ground fault interrupter
US5144517A (en) Intrinsically safe barrier device
EP0759220B1 (en) Detector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 ground connection to an electrical appliance
US7446539B2 (en) Identifying apparatus for AC power supply arrangement
US7446483B2 (en) Backlight light source drive device
KR930007195Y1 (ko) 프로텍션 표시회로
US11114430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and power connector employing the same
US3662369A (en) Circuit for signalling the operation of a circuit protecting device
US3943409A (en) Monitor assembly for ground fault interrupter
KR200156168Y1 (ko)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
JPH0512811Y2 (ko)
JP2776644B2 (ja) 電源異常監視回路
JPH0431679Y2 (ko)
JPH11299073A (ja) 非常停止回路
JP3411072B2 (ja) 直流電源装置の過電圧保護回路
KR910002456B1 (ko) 전자식 전압 계전기
KR102568714B1 (ko) 보호 계전 장치
JP2816277B2 (ja) 漏電警報装置
KR200143128Y1 (ko) 과전류 보호 회로
KR860000792Y1 (ko) 누전 경보 및 차단
JPH0319007A (ja) 電源装置
KR20230123431A (ko) 감시 장치 및 전기 장치
KR100280034B1 (ko) 특고압 전압 결상기 회로
KR900007581B1 (ko) I.c등을 사용하는 전자회로 보호장치
KR960000841Y1 (ko) 텔레비젼의 과전류 과전압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