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088Y1 - Oa 기기의 디스플레이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Oa 기기의 디스플레이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088Y1
KR930007088Y1 KR2019900008155U KR900008155U KR930007088Y1 KR 930007088 Y1 KR930007088 Y1 KR 930007088Y1 KR 2019900008155 U KR2019900008155 U KR 2019900008155U KR 900008155 U KR900008155 U KR 900008155U KR 930007088 Y1 KR930007088 Y1 KR 930007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display
attachment member
shaft
spring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94U (ko
Inventor
요시히로 오오쓰까
Original Assignee
가또오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또오 도모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또오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또오 도모아끼 filed Critical 가또오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1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OA 기기의 디스플레이체 개폐장치
도면은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하고, 제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A의 정면 단면도.
제3도는 경첩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장치본체 4 : 디스플레이
5 : 부착부재 6 : 축받이 구멍
7 : 샤프트 8 : 칼라부
9 : 슬라이더와셔 10 : 스프링 와셔
14,12 : 누름용 와셔
본 고안은 랜텁형의 사무 자동화 기기(OA기기)에 사용하는 유용한 디스플레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랜텁형 OA 기기의 디스플레이 개폐 장치로서는 경첩에 고리 가감시킨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그의 토오크가 일정 범위까지 작용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를 일정각도까지 열고, 그러한 후의 개방각도에 있어서는 토오크를 자르고, 오로지 마찰력을 사용하여 임의의 개방 각도로 자유로이 정지 유지시킬수가 있도록 한 것이 보통이다.
상술한 종래의 개폐 장치는 일반적으로 말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이였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근래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는 랜텁형의 OA 기기는 액정을 사용한 소형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고, 이 경우에는 그 자신 그다지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항상 대형의 설치 스페이스를 취하는 고가의 개폐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와 같은 OA 기기에 있어서는 소형 및 염가여서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는 개폐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이고 설치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는 외에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고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고, 그 위에 장기간 사용후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를 임의의 개방 각도로 안정적으로 정지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OA기기의 디스플레이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OA 기기의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로운 디스플레이와 이 디스플레이를 임의의 개방각도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경첩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첩을 장치 본체측에 부착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 부재에 설치한 축받이 구멍에 회동(回動)자유롭게 끼워 통하게한 칼라부를 가지는 샤프트와 이 샤프트를 끼워 통하게 하면서 상기 부착 부재를 끼우고 배치된 슬라이더 와셔 및 스프링와셔로 구성하고 상기 샤프트의 끝부분을 코오킹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 와셔 및 스프링 와셔와 칼라부 및 부착 부재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에는 부착부를 설치하고 이 부착부에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킨 것이다.
이때에 본 고안은 칼라부와 부착 부재 사이에 슬라이더 와셔를 집어넣어 부착 부재를 끼운 그 반대측에 스프링 와셔를 집어넣어 이 스프링 와셔와 샤프트 코오킹끝과의 사이에 스프링 와셔의 바깥직경과 대략 동일의 바깥 직경을 가지는 와셔를 또한 집어 넣은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스프링 와셔에 돌출변이 평탄한 요철을 설치한 것이다.
부착 부재에 설치한 축받이의 구멍에 축이 끼워진 샤프트는 그 자신을 끼워 통하여 하면서 부착 부재를 끼우고 슬라이더 와셔와 스프링 와셔를 배치시켜 그 끝부분을 코오킹함으로써 부착부재에 슬라이더 와셔와 스프링와셔를 눌러 붙이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하였기 때문에 샤프트에는 이것을 회전시키려고 하면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샤프트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는 상기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임의로 사용하는 개방각도로 안정되게 정지 및 유지된다.
그때에 슬라이더 와셔의 바깥직경과 대략 동일의 바깥 직경을 가지는 칼라부를 샤프트측에 설치하고, 스프링 와셔의 바깥직경과 대략동일의 바깥직경을 가지는 누름용 와셔를 스프링 와셔측으로 사용하면 슬라이더 와셔와 스프링 와셔의 부착 부재에 대한 압력접촉 면적이 증대되는 결과, 큰 마찰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때에, 스프링 와셔를 돌출면이 평탄한 요철(凹凸)에 설치한 것으로하면, 압력접촉 면적이 더욱 증대하여 더욱 큰 마찰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은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하고, 제1도에 있어서 키보드(1)를 설치한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의 장치 본체(2)에는 액정을 사용한 디스플레이(4)가 돌출부(3)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4)를 연 상태의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미사용시에는 닫혀있고, 디스플레이(4)에서 돌출시킨 외부에 조작 가능한 걸림편(4a,4b)이 장치 본체(2)측에 설치한 걸림구멍(2a,2a)과 걸어맞추어서 록크되어 있다.
디스플레이(4)를 개폐시키는 경첩은 제1도의 A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그 구조는 제2도 이하에 개시되어 있다.
도면에 의하면 장치본체(2)측에 부착된 정면 대략 L형을 나타내고 있는 부착 부재(5)에는 축받이 구멍(6)이 설치되어 있고, 이 축받이구멍(6)에 그의 일단부에 설치된 부착부(7a)를 디스플레이(4)에 고정시킨 샤프트(7)가 끼워져 있다.
이 샤프트(7)는 일단부측에 칼라부(8)를 가지고, 이 칼라부(8)와 부착부재(5)의 일측면과의 사이의 합성수지제의 슬라이더 와셔(9)를 끼워 통하기 구멍(9a )에 샤프트(7)를 통하게 함으로써 집어넣음과 동시에 부착부재(5)의 다른측면에는 스프링 와셔(10)를 똑같이 끼워통하기 구멍(10a)에 샤프트를 통하게 하므로써 집어넣고 있다.
이 스프링와셔(10)에는 또한 누름용 와셔(11,12)를 집어넣고, 그의 끼워 통하기 구멍(11a,12a)에 샤프트(7)를 통하게하여 타단부를 코오킹함으로써 슬라이더 와셔(9)와 스프링 와셔(10)를 부착 부재(5)로 눌러 붙이고 있다.
칼라부(8)의 바깥직경과 슬라이더 와셔(9)의 바깥 직경은 대략 동일하고, 누름용 와셔(11,12)의 바깥직경과 스프링 와셔(10)의 바깥 직경과는 대략 동일하다는 것에서 슬라이더 와셔(9)와 스프링 와셔(10)는 전면에 걸쳐서 균등하게 부착 부재(5)로 압축접합되고 있다.
또, 칼라부(8)는 반드시 칼라형상이 아니라도 샤프트(7)의 이부분에서 직경을 크게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누름용 와서(11,12)는 감도를 내기 위해 2중으로 하고 있으나, 강도가 충분하면 1매라도 좋고, 또 두껍게 함으로써 2매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스프링와셔(10)는 방사형상으로 3개의 요철을 설치하여 구성되고 이 요철의 표면은 어느것도 평탄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와셔(10)는 이것과 대략 동일의 바깥직경을 가지는 누름용 와셔(11,12)에 의해 부착 부재(5)측에 가압됨으로써 부착부재(5)와의 사이에서 큰 안정된 마찰력이 얻어지는 요인으로 된다. 또, 슬라이더와셔(9)와 스프링 와셔(10)의 위치는 바꾸어도 좋으나, 실시예와 같이하면 샤프트(7)의 끝부분을 코이킹할때에 코오킹 토오크를 내기 쉽고, 또한 슬라이더 와셔(9)가 코이킹 압력에 의해 변경하든지, 파손되든지 하는 염려가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또, 샤프트(7)의 끝부분을 코오킹할때의 코오킹 토오크는 디스플레이의 중량에 의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실시예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용의 것 이외에도 워드처리장치등을 위시하는 각 랜텁여 OA 기기의 것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이고,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청구범위 제1항과 같이 구성하면, 소형이고, 설치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임의의 사용 개방각도로 안정적으로 정지 및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때에 청구범위 제2항과 같이 구성하면, 스프링 와셔를 전면에 걸쳐서 균등하게 부착부재로 압축접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그때에 청구범위 제3항과 같이 구성하면 부착 부재에 대한 스프링 와셔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는 결과, 큰 마찰력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성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OA 기기의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된 디스플레이와 이 디스플레이를 임의의 개방각도로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경첩으로 구성되고, 이 경첩을 장치 본체측에 부착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 부재에 설치된 축받이 구멍에 회동(回動) 자유롭게 끼워 통하게 한 칼라부를 가지는 샤프트와 이 샤프트를 끼워 통하게 하면서 상기 부착부재를 끼워서 배치된 슬라이더 와셔 및 스프링 와셔로 구성하고, 상기 샤프트의 끝부분을 코오킹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 와셔 및 스프링와셔와 칼라부 및 부착 부재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에는 부착부를 설치하고, 이 부착부를 디스플레이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 기기의 디스플레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칼라부와 부착부재의 사이에 슬라이더 와셔를 집어넣어, 부착부재를 끼운 그 반대측에 스프링와셔를 집어넣어 이 스프링 와셔와 샤프트의 코오킹 끝과의 사이에 스프링 와셔의 바깥직경과 대략 동일한 바깥 직경을 가지는 와셔를 또한 집어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 기기의 디스플레이 개폐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 와셔가 돌출면의 평탄한 요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 기기의 디스플레이 개폐장치.
KR2019900008155U 1989-06-09 1990-06-09 Oa 기기의 디스플레이체 개폐장치 KR9300070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7588 1989-06-09
JP1989067588U JPH036122U (ko) 1989-06-09 1989-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94U KR910001294U (ko) 1991-01-24
KR930007088Y1 true KR930007088Y1 (ko) 1993-10-11

Family

ID=1334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155U KR930007088Y1 (ko) 1989-06-09 1990-06-09 Oa 기기의 디스플레이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6122U (ko)
KR (1) KR9300070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798A (ja) * 2000-09-29 2002-06-21 Yoshida Kogyo 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折畳み蝶番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8794A (en) * 1973-10-04 1977-10-12 Dresser Europe Sa Control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6122U (ko) 1991-01-22
KR910001294U (ko) 199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5266A (en) Non-handed two knuckle hinge
US6101676A (en) Adjustable clutch hinge assembly for portable computer
US5208944A (en) Hinge device for casings
EP2055878B1 (en) Hinge for a glass door
US3714678A (en) Ball hinges
US5655261A (en) Closing mechanism for cabinet hinge
KR930007088Y1 (ko) Oa 기기의 디스플레이체 개폐장치
GB2042059A (en) Furniture hinge
US4286352A (en) Furniture hinge
US3931663A (en) Springless self-latching hinge having a resilient hinge member
JP2602161Y2 (ja) チルトヒンジ
JPH0328134Y2 (ko)
JPH0374372B2 (ko)
US3431587A (en) Hinge having self-closing feature
KR200165374Y1 (ko) 간이샤워실(shower booth)용 경첩
WO1988007616A1 (en) Latch mechanism
CN219241578U (zh) 把手锁
KR920004928Y1 (ko) 다용도 버튼 스위치 커버
KR930004895Y1 (ko) 퍼스널 컴퓨터의 엘씨디 조립체 자동 개방장치
JPH0521079U (ja) Oa機器用チルトヒンジ
KR820002397Y1 (ko) 레코오드 플레이어등의 덮개 개폐용 힌지
KR940004170Y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록킹장치
JP2564029Y2 (ja) Oa機器用チルトヒンジ
KR950010339Y1 (ko) 경 첩
JP2569350Y2 (ja) Oa機器用チルト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