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957B1 -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957B1
KR930006957B1 KR1019910012880A KR910012880A KR930006957B1 KR 930006957 B1 KR930006957 B1 KR 930006957B1 KR 1019910012880 A KR1019910012880 A KR 1019910012880A KR 910012880 A KR910012880 A KR 910012880A KR 930006957 B1 KR930006957 B1 KR 930006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th
bending metal
bending
lath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2626A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1991001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957B1/en
Publication of KR93000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95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Abstract

The metal lathe is bent into a waved form to have ups and downs in repetition to increase sectional secondary moment to improve resistance against a large moment load. The ups and downs may have respective reinforcing bars at intervals; the wave forms may be of a square shape or a ladder shape. The lathe consists of an extended metal to present a good reinforcing for concrete construction with ease and precision.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structures

제1도는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를 나타내는 사시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nt metal lath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a)(b)(c)(d)는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가 절곡되는 형상들에 따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예시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embodiments according to shapes in which the bent metal la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제3도는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에 보강재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예시도.3 is a perspective illustr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is disposed in the bent metal lath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의 (a)(b)(c)는 본 발명의 메탈라스에 보강재가 배치되는 상태들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예시도.Figure 4 (a) (b)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tate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is disposed on the metal la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의 (a)(b)(c)는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가 겹쳐져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Figure 5 (a) (b) (c)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nt metal la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verlapping.

제6도는 본 발명의 메탈라스가 구조물의 각종 구조부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도는 4각형 보 또는 기둥, (b)는 벽체, (c)도는 슬라브, (d)도는 원형기둥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예시도임.6 shows a state in which the metal la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various structural parts of the structure, (a) is a square beam or column, (b) is a wall, (c) is a slab, (d) is a circular column Illustrated cross section showing the state us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절곡 메탈라스 11 : 갈라짐부10: bending metal lath 11: cracks

12 : 산부 14 : 골부12: part 14: bone par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커다란 모멘트 하중을 받게되는 구조부에 조립철근으로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조립공사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하여주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t metal las for concrete structures that can be arranged as a reinforcing bar in a structural part subjected to a large moment load in a concrete structure, thereby making it easier and more accurate to perform reinforcing reinforcement work of the concrete structure.

원래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에는 강하지만 인장응력에는 취약하므로, 구조물에서 모멘트를 받는 각종부재에서는 인장응력이 작용되는 부분에 철근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매설되도록 하여, 압축 뿐아니라 인장응력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본원리이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철근조립공사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며, 배치되는 철근과 철근사이의 간격은 구조물의 품질을 결정적으로 좌우하는 요인이 되므로 철저한 공사감리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런데, 공사현장에서 철근공들의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철근조립작업에서 그 간격들의 정확성을 일정수준이상으로 유지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사실상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더군다나, 건설노임이 급상승하는 최근에는 철근조립공사에서 일정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Originally, concrete is strong in compressive stress but vulnerable to tensile stress. Therefore, in various members that receive moments in the structure, reinforcing bars are placed at regular intervals in areas where tensile stress is applied, so that they can receive not only compression but also tensile stress. This is the basic principl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Therefore, in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reinforcing steel assembly construction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and the spacing between the reinforcing steel and the reinforcing bars is a factor that critically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structure. However, it was actually very difficult to expect the accuracy of the gaps to be maintained above a certain level in the rebar assembly work performed by manual rebar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in recent years when construction labor has risen rapidly, it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quality in rebar assembly works.

한편, 와이어 라스 또는 메탈 라스는 미장공사에서 구조물본체의 표면부에 배치되고 모르타르등의 미장재료로 미장되어 경화된 후에, 외부로부터 미장층에 전달되는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서 구조물 본체에 전달시킴으로써, 미장층의 균열을 방지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와이어 라스 또는 메탈라스는 결과적으로 공장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근된 조립 철근판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공사현장에서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노력을 크게 절감시켜줄 수 있는 소재가 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근래에는 콘크리트 도로 또는 공장의 바닥을 포장하고자 할때에, 인장력 보강부재로서 와이어 라스 또는 메탈라스가 채택되어 사용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wire lath or metal lath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body in the plastering work and plastered with a plastering material such as mortar and cured, the wire lath or metal lath is evenly distributed and transferred to the structure body by spreading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to the plastering layer. Mainly used to prevent cracking of layers. Such a wire lath or metal lath can be recognized as a result of the assembled reinforcing steel plates which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actory. Therefore, the construction site becomes a material that can greatly reduce the effort to accurately match the gap between the rebar and the rebar. On the basis of this recognition, in recent years, when lagging concrete roads or factories, wire laths or metal laths have been used as tension reinforcing members.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와이어 라스 또는 메탈라스가 커다란 모멘트 하중을 받게되는 벽체, 기둥, 보, 및 각층슬라브등의 구조부에는 인장력 보강부재로 채택되어 사용되지 못하였다. 그 이유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와이어 라스 또는 메탈라스는 평판이나 곡률이 큰 만곡판으로 가공되어 공사현장으로 공급되며, 이러한 평판이나 곡률이 큰 만곡판을 다시 현장에서 가공하여 커다란 하중에 견딜수 있는 보강부재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었다.Nevertheless, such wire laths or metal laths were not used as tensile reinforcing members in structures such as walls, columns, beams, and slabs that are subjected to large moment loads.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the main reason is that the wire lath or metal lath is processed into flat plates or curved plates with large curvature and supplied to the construction site. This was because it was considered impossible to use it as a reinforcement member that could withstand the load.

본 발명의 목적은 커다란 하중에 견딜수 있는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구조물에서 커다란 모멘트 하중을 받게되는 구조부에 조립철근으로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철근조립공사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하여주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processed as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apable of withstanding large loads to be placed as a reinforcing bar in the structural part subjected to a large moment load in the structure, to make the reinforcement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more easily and precisely concrete structure It is to provide dragon bending metal lath.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본 발명은 메탈라스를 절곡하되, 그 일측의 단면이 산부, 연결부, 및 골부가 반복되어 전체적으로 파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그 단면2차 모멘트가 커져서 커다란 모멘트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이 증대되도록 하는데에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이 부여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nd the metal lath, the cross-section on one side of the peak,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valleys are repeated so as to have a waveform shape as a whole, so that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large moment loads Is given its technical configuration features.

여기에서, 와이어라스는 철선과 철선이 교차되는 교차점부분의 접합상태가 메탈라스에 비하여 약하므로, 절곡작업이 수행되었을 때에 그 절곡형상을 정상적인 강도로서 제대로 유지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본 발명에서 그 소재로서 와이어라스를 포함시키지 않는 이유이다. 또, 메탈라스중에서는 익스펜디드메탈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익스펜디드 메탈 (Expended Metal)이란 제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철판이 소정의 간격과 길이로 갈라짐부(11)들이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한후에 양쪽끝변을 잡아당김으로써, 만들어지는 메탈라스를 지칭한다. 이러한 익스펜디드메탈은 철판의 두께 및 한줄의 갈라짐부와 다음줄의 갈라짐부 사이의 거리를 어느정도의 범위내에서는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구조서계상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익스펜디드 메탈은 다시 압연공정을 거쳐서 일반철판과 동일한 정도로 용이하게 절곡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업연공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절곡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Here, sinc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wire and the wire cross the wire is weaker than that of the metal lath, the wir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maintain the bending shape as a normal strength when the bending operation is performed. This problem is wh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the wire as its material.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xpanded metal is selected among the metal laths. As shown in the drawing, an expanded metal refers to a metal lath that is made by pulling both edges after the iron plate is formed in a zigzag form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s and lengths. Such expanded metal has the advantage of satisfying the needs of various structural systems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litting part of one line and the splitting part of the next line can be freely adjusted within a certain range. The expanded metal may be easily bent to the same extent as the general steel sheet through the rolling process, or may be performed to the bending process without undergoing an upstage process.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10)는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산부(12), 연결부(13), 및 골부(14)가 반복되어 전체적으로 파형의 형상을 가지되, 그 단위파형은 원호, 3각형, 4각형, 또는 사다리꼴등 구조역학상 또는 제조상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4각형의 단위파형을 가지는 절곡 메탈라스(10)는 구조물의 벽체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고, 사다리꼴의 단위파형을 가지는 절곡 메탈라스(10)는 구조물의 슬라브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As shown in FIG. 2, the bent metal lath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ak shape in which the peak portion 12, the connection portion 13, and the valley portion 14 are repeated, and the unit waveform is a circular arc. Various choices may be made depending on structural or manufacturing needs, such as triangle, triangle, or trapezoid. The bent metal lath 10 having a quadrangular unit waveform is suitable for use for walls of structures, and the bent metal lath 10 having a trapezoidal unit waveform is suitable for being used for slabs of structures.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10)의 산부(12) 또는 골부(14)에는 별도의 보강재(20)들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20)는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파형의 진행방향으로 즉, 산부(12)들 또는 골부(14)들의 직각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파형의 진행방향으로 즉, 산부(12)들 또는 골부(14)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파형의 진행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재(20)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태가 안정되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하며, 산부(12)들 또는 골부(14)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재(20)는 본 발명 절곡 메탈라스(10)의 단면2차 모멘트를 보강시켜 보다 큰 모멘트하중에 결딜 수 있도록 하여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강재(20)는 직경이 굵은 철근, 띠철, 각종 형강등이 그 작업 및 구조역학상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 보강재(20)는 절곡 메탈라스(10)와 맞닿는 부분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고정수단은 용접 또는 철선 꼬기가 선택될 수 있다.Separate reinforcement 20 may be disposed on the peak 12 or valley 14 of the bent metal lath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reinforcement 20 may be disposed to be elong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aveform, that is, at right angles to the peaks 12 or the valleys 14. 12) or valleys 14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inforcement 20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wave form serves to stabilize the overall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inforcement 20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aks 12 or the valleys 14 is ben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reinforcing the second momen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lath 10 serves to bind to a greater moment load. The reinforcing material 20 may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work and structural dynamics, such as thick reinforcing bar, band iron, various section steel.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20 is preferably fixed to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ent metal lath 10. The fastening means can be selected by welding or twisting the wire.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는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2장이 서로 겹쳐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겹쳐지는 방식은 동일한 형태의 2장의 절곡 메탈라스(10)들의 파형이 일치되면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맞닿는 골부분들이 서로 고정되는 방식 ; 2장의 절곡 메탈라스(10)들의 파형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겹쳐져서 사용되는 방식 ; 과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와 종래의 평판 메탈라스(30)가 서로 겹쳐져서 사용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메탈라스와 메탈라스가 겹쳐져서 맞닿는 부분들은 용접이나 철선꼬지 등의 고정수단으로 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ent metal la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so that two sheets overlap each other,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overlapping method is a symmetrically arranged while the waveforms of the two bent metal laths 10 of the same shape are matched, the manner in which the bone part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ixed to each other; A method in which the waveforms of the two bent metal laths 10 are used to overlap each other at right angles; And the bending metal las and the conventional flat metal la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overlap each other. Here, the parts where the metal lath and the metal lath overlap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preferably fixed to each other by fixing means such as welding or an iron wire.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철근의 대용품으로 사용된다.The bending metal lath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reinforcing bar of the concrete structure.

1 방향성 슬라브용으로는 사다리꼴 단위파형을 가지는 절곡 메탈라스(10)와 인장력이 작용하는 쪽으로 평판 메탈라스가 겹쳐져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방향성 슬라브용으로는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10)들이 그 파형이 직각방향이 되도록 겹쳐져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10)가 슬라브공사에서 조립철근의 대용품으로 사용되면, 가로철근 및 세로철근들의 배치간격은 공장에서 제작되어 공급되는 제품에 그대로 설정되므로, 현장에서 철금조립에 소요되는 노력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 준다.For the one-way slab,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ding metal lath 10 having a trapezoidal unit waveform and the flat metal lath overlap with the tensile force acting. For bidirectional slabs, the bent metal lath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used in such a manner that their waveform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ending metal lath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ubstitute for reinforcing bars in slab construction, the placement intervals of the transverse rebars and the longitudinal rebars are set as they are in the product manufactured and supplied at the factory, and thus required for assembling the metal in the field It greatly reduces the effort.

원형기둥용으로서는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10)가 원형으로 감겨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각형 기둥용이나 4각형 보용으로는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10)가 각변마다 배치되어 그 모서리 부분들은 서로 고정시켜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10)가 기둥이나 보등에 사용되면, 늑근이나 대근의 조립 및 주철근들 사이의 간격배치에 소요되는 노력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준다.As for the circular column,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ding metal lath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circular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t metal lath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on each side so that the corner portions are fixed to each other and used for the quadrilateral pillar or the quadrilateral beam. Thus, when the bending metal lath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lumns or beams, it significantly reduces the effort required to assemble the reinforcement or reinforcement and to arrange the spacing between the main reinforcing bar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절곡 메탈라스는 첫째,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조립공사에서 철근과 철근의 간력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구조물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도록 하여주며, 둘째,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조립 공사에 소요되는 막대한 노동력의 소요를 절감시켜, 결과적으로 막대한 인건비를 절감할 구 있도록 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nt metal la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the above manner, firstly,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and rebars in the reinforcing assembly of concrete structures to make the strength of the structure as a whole uniform, and second In addition, it is very useful to reduce the labor cost of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work of concrete structures, and consequently to save huge labor cost.

Claims (9)

그 일측의 단명이 산부, 연결부, 및 골부가 반복되어 전체적으로 파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그 단면2차 모멘트가 커져서 커다란 모멘트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이 증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Bending metal for concrete structu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one end of the mountai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valley part is repeated to have a waveform shape as a whole, so that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large moment loads L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라스는 익스펜디드 메탈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The bending metal lat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lath is made of expanded met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을 이루는 단위파형은 4각형의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3. The bending metal lath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nit waveform forming the waveform has a quadrangular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을 이루는 단위파형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The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structure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nit waveform constituting the waveform has a trapezoidal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부 또는 골부에는 별도의 보강재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The bending metal lath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eparate reinforcements are disposed and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peaks or valley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산부들 또는 골부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The bending metal lath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einforcement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lls or valley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산부들 또는 골부들의 직각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The bending metal lath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einforcement is disposed at right angles of the hills or valley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직경이 철근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The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structure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 reinforcing ba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형강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절곡 메탈라스.The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structure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 section steel.
KR1019910012880A 1991-07-26 1991-07-26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construction KR9300069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880A KR930006957B1 (en) 1991-07-26 1991-07-26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880A KR930006957B1 (en) 1991-07-26 1991-07-26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626A KR930002626A (en) 1993-02-23
KR930006957B1 true KR930006957B1 (en) 1993-07-24

Family

ID=1931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880A KR930006957B1 (en) 1991-07-26 1991-07-26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95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626A (en)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6406B1 (en) Antiseismic spiral stirrups for reinforcement of load bearing structural elements
US7779590B2 (en) Composite floor system having shear force transfer member
US3686819A (en) Structural chord members for joist construction
WO1991017328A1 (en) Structural beam
KR20100003339U (en) column body of building
KR100947339B1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for junctional region of column-slab
JP6253058B2 (en) Reinforcing bar member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reinforcing bar member
US3785741A (en) Expansion joint construction for concrete slabs
KR930006957B1 (en) Bending metal lath for concrete construction
JP2667129B2 (en) Steel / concrete composite girder
JPH09125317A (en) Reinforced construction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base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GB2156873A (en)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JPH11190100A (en) Long construction member and its manufacture
JPS6351223B2 (en)
DE60011415T2 (en) CONSTRUCTION ELEMENT FOR BUILDINGS AND STEERING PLATE FOR SUCH ELEMENT
RU2053334C1 (en) Grate reinforcement for concrete slab and plate-type member of a wall concrete form for monolithic shell building
EP1972734A1 (en) Retaining body for an insulating board
KR20000025054A (en) Synthetic deck plate using wire mesh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0294416Y1 (en) Prestressed cold-formed joist having reinforcement materials
KR20190113304A (en) Shear connectorfor clt-concrete composite
KR200200417Y1 (en) Deck girder of reinforced concrete slab
RU2771568C1 (en) Construction element
KR0178690B1 (en) Deck girder adn panel for reinforced concrete slab
RU2789683C1 (en) Hybrid beam
RU2770712C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uild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