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814Y1 - 가동 접점대의 밴딩부 구조 - Google Patents

가동 접점대의 밴딩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814Y1
KR930006814Y1 KR2019910017485U KR910017485U KR930006814Y1 KR 930006814 Y1 KR930006814 Y1 KR 930006814Y1 KR 2019910017485 U KR2019910017485 U KR 2019910017485U KR 910017485 U KR910017485 U KR 910017485U KR 930006814 Y1 KR930006814 Y1 KR 930006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bending
contact
leaf spr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622U (ko
Inventor
허준호
Original Assignee
금성계전 주식회사
성기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계전 주식회사, 성기설 filed Critical 금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814Y1/ko
Publication of KR930009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동 접점대의 밴딩부 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릴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3상 가동접점대의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의 밴딩부 구조를 가진 3상 가동 접점대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판스프링 3 : 밴딩부
본고안은 릴레이(Relsy)등과 같이 접점을 필요로 하는 제품내에 설치되어 고정접점과 접촉하면서 전기회로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작용을 하는 가동접점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스프링의 스프링력을 높이고 밴딩각도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가동 접점대의 벤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릴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로서, 몸체내에 고정 접점대와 복수개의 가동 접점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접점대는 지지대(1)와 판스프링 (2) 및 접점(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도와 같이 상방가동 접점이 고정접점대의 접점으로 떨어지고 하방 가동 접점대의 접점이 고정 접점대의 접점과접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하방 가동 접점대에 연결된 전기회로가 접속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상방 가동접점대에 연결된 전기회로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릴레이에서 가동접점대의 접점을 고정 접점대의 접점에 탄력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가동 접점대의 판스프링에는 탄성력의 부여를 위한 밴딩부(4)가 형성되는 것이일반적이며, 밴딩부의 밴딩각도로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접점에 적절한 탄성력이 부여되어 릴레이의 정확한 작동이 가능해진다.
제2도는 종래에 사용되어온 가동 접점대의 일예로서 3상 가동 접점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3상 가동 접점대에는 지지대(1)에 3개의 판스프링(2)이 결합되어 있으며, 각 판스프링(2)의 밴딩부는 모두 동일한 각도를 이루어야 하고 제품의 수명이 다할때까지는 밴딩부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제2도와 같은 종래의 가동접점대는 판스프링(2)의 밴딩부(4)가 단지 직선형으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판스프링(2)의 밴딩부(4)를 단순히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밴딩작업후 재료가 되는 판스프링(2)자체의 복원력에 의한 변위가 그대로 밴딩각도에 영향을 주어 요구하는 벤딩각도를 얻기가 어렵고 장기간 사용할 때 밴딩부(4)의 원상복원력이 저하되어 접점사이의 접촉력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동접점대는 지지대(1)와 복수개의 파니스프링(2)으로 구성되며, 밴딩부(3)는 V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밴딩부는 엠보싱(Embossing)작업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된 본고안은 판스프링(2)의 벤딩부(3)가 V자 단면형상으로 엠보싱되어 있기때문에 밴딩후 재료 자체의복원력에 의해 원상으로 돌아가려는 힘 및 변위가 밴딩각도에 미치는 영향이 종래 구조에 비해 월등히 적어진다.
따라서 3상 가동접점대의 경우 각각의 판스프링(2)의 밴딩부(3)가 거의 같은 각도를 이룰수 있게 되고 또 장기간 사용할 때에도 벤딩부(3)의 변위로 인한 접점의 접축력 저하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지대(1)에 고정된 판스프링(2)의 밴딩부(3)를 경사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대의 밴딩부 구조.
KR2019910017485U 1991-10-18 1991-10-18 가동 접점대의 밴딩부 구조 KR930006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485U KR930006814Y1 (ko) 1991-10-18 1991-10-18 가동 접점대의 밴딩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485U KR930006814Y1 (ko) 1991-10-18 1991-10-18 가동 접점대의 밴딩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622U KR930009622U (ko) 1993-05-26
KR930006814Y1 true KR930006814Y1 (ko) 1993-10-07

Family

ID=1932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485U KR930006814Y1 (ko) 1991-10-18 1991-10-18 가동 접점대의 밴딩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8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622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144Y1 (ko) 슬라이드 스위치
JPS5439872A (en) Electric connector for print circuit substrate
KR860007852A (ko) Plcc용 테스트 클립
US4350403A (en) Connecting-strip for plug-in cards and a connector fitted with connecting-strips of this type
EP0388048A3 (en) Electrical connector
US4220835A (en)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KR900007134A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KR910007187A (ko) 피봇형 전기 콘택트
KR910008760A (ko) 회로 차단기
US3920943A (en) Electrical switch
KR930006814Y1 (ko) 가동 접점대의 밴딩부 구조
US551841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oating V-spring continuity bridge
DK0549072T3 (da) Elektrisk afbryder, navnlig en belastningsafbryder eller en elektrisk kredsløbsafbryder
HK93496A (en) Support for the electric motor of a kitchen machine in particular lemon squeezer
US3200227A (en) Carrier frame for movable contact and combination thereof with snap acting switch
US4144419A (en) Push-button actuated slide switch
DK160027C (da) Fejlstroems- og ledningsbeskyttelsesafbryder med afbryder for en mellemleder
KR100444097B1 (ko) 스위치
SU1246159A1 (ru) Клавиатура
GB1480596A (en) Electric switches
JPH1012206A (ja) 電池収納構造
SU775767A1 (ru) Выключатель
GR3024254T3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RU2020626C1 (ru) Микровыключатель
NO885823D0 (no) Bryter, saerlig for bruk som automatisk bry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