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538Y1 -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 - Google Patents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538Y1
KR930006538Y1 KR2019880003807U KR880003807U KR930006538Y1 KR 930006538 Y1 KR930006538 Y1 KR 930006538Y1 KR 2019880003807 U KR2019880003807 U KR 2019880003807U KR 880003807 U KR880003807 U KR 880003807U KR 930006538 Y1 KR930006538 Y1 KR 930006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ssr
control circuit
traffic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811U (ko
Inventor
김종복
장병국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3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538Y1/ko
Publication of KR890019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8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교통신호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교통신호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도.
제3a-f도는 제2도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연기 PC11: 포토커플러
PD11: 발광다이오드 PTR11: 수광트랜지스터
SSR11: 제로크로싱형 무접점릴레이 NOR11: 노아게이트
AC11, AC12: 교류전원
본 고안은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교통신호제어기에 있어서, 낮과 밤에 따라 교통신호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교통신호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통신호제어기 조광제어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신호입력단자(DRI1)가 무접점릴레이(Solid State Relay)(SSR1)의 입력단자(IN1)에 접속되고, 무접점릴레이(SSR1)의 구동단자(DR1)에는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전원단자(A1)가 다이오드(D1)를 통해 접속되며, 구동단자(DR2)는 교통신호등(L1)을 통해 전원단자(B1)에 접속되는 한편, 조광제어신호 입력단자(CS1)에 접속된 릴레이(RL1)의 스위치(RL11)가 상기 다이오드(D1)와 병렬로 접속되어 구성된 것으로,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부호 Vcc는 전원단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교통신호제어기 조광제어회로는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되고, 교류전원(AC)이 인가된 상태에서 구동신호 입력단자(DRI1)로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그 구동신호는 무접점릴레이(SSR1)의 입력단자(IN1)에 입력되므로 무접점릴레(SSR1)가 구동되어 그의 구동단자(DR1,DR2)가 상호 접속된다.
이때, 제어신호 입력단자(CS1)로 저전위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릴레이(RL1)가구동되면, 릴레이(RL1)의 스위치(RL11)가 접속되고, 전원단자(A1)의 교류전원(AC)이 릴레이(RL1)의 스위치(RL11), 무접점릴레이(SSR1)의 구동단자(DR1,DR2) 및 교통신호등(L1)을 통해 전원단자(B1)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교통신호등(L1)이 점등 즉, 교통신호등(L1)은 교류전원(AC)의 전파(full wave)가 인가되어 매우 밝게 점등된다.
그리고, 제어신호 입력단자(CS1)로 고전위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릴레이(RL1)가 구동되지 않으면, 릴레이(RL1)의 스위치(RL11)가 개방되므로 전원단자(A1)의 교류전원(AC)이 다이오드(D1)를 통해 반파(half wave)정류되고, 무접점릴레이(SSR1)의 구동단자(DR1,DR2) 및 교통신호등(L1)을 통해 전원단자(B1)로 흐르게 되어 교통신호등(L1)은 교류전원(AC)의 정의 반파만 인가되므로 상기의 교류전원(AC)의 전파가 인가될 때보다 약간 어둡게 점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통신호제어기 조광제어회로는 교류전원(AC)을 직접 제어하므로 교류전원(AC)의 전압이 높을 경우에 내압이 높은 다이오드(D1)및 릴레이(RL1)를 사용해야 됨은 물론 이때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수단을 구비해야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제로크로싱(Zero-Crossing)에서 동작되는 제로크로싱형 무접점릴레이의 입력을 직접 제어하여, 교통신호등을 교류전원의 전주기동안 또는 반주기동안 점등시켜 조광을 제어하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교통신호제어기 조광제어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11)이 인가되는 전원단자(A11)(B11) 사이에 포토커플러(PC11)의 발광다이오드(PD11)를 접속하고, 그 포토커플러(PC11)의 수광트랜지스터(PTR11)의 콜렉터를 전원단자(Vcc)에 접속된 저항(R11)및 지연기(11)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 지연기(11)의 출력단자를 제어신호입력단자(CS11)와 함께 노아게이트(NOR11)를 통한 후, 일측입력단자(IN11)에 구동신호입력단자(DRI11)가 접속된 제로크로싱형 무접점릴레이(SSR11)의 타측입력단(IN12)에 접속하며, 그 무접점릴레이(SSR11)의 구동단자(DR11)(DR12)는 교통신호등(L11)을 통해 교류전원(AC12)이 인가되는 전원단자(A12)(B12)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3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단자(A11,B11)에 교류전원(AC11)이 인가됨과 아울러 전원단자(A12,B12)에 교류전원(AC12)이 인가되며, 구동신호입력단자(DRI11)로 고정위의 구동신호가 입력되어 제로크로싱형 무접점릴레이(SSR11)의 입력단자(IN11)에 인가되면, 교류전원(AC11)의 주기에 의해 포토커플러(PC11)의 발광다이오드(PD11)가 온,오프 반복되어 수광트랜지스터(PTR11)가 온,오프 반복되므로 그 수광트랜지스터(PTR11)의 콜렉터에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11)의 주기에 따른 구형파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포토커플러(PC11)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신호는 지연기(11)를 통해 제3도의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시간(T1) 지연된 후 노아게이트(NOR11)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제어신호입력단자(CS11)로 고전위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노아게이트(NOR11)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면, 그 노아게이트(NOR11)에서 그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계속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구동신호입력단자(DRI11)로 입력된 구동신호가 제로크로싱형 무접점릴레이(SSR11)의 입력단자(IN11)(IN13)를 통해 노아게이트(NOR11)의 출력단자로 흐르게 되어 무접점릴레이(SSR11)가 계속 구동되므로 그 무접점릴레이(SSR11)의 구동단자(DR11)(DR12)가 계속 접속된다. 따라서 이때 교류전원(AC12)이 무접점릴레이(SSR11)의 구동단자(DR11,DR12)를 통해 교통신호등(L11)에 인가되어 교통신호등(L11)이 점등 즉, 교통신호등(L11)에 교류전원(AC12)의 전파가 인가되어 밝게 점등된다.
그리고, 제어신호입력단자(CS11)로 저전위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노아게이트(NOR11)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면, 노아게이트(NOR11)에서 그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구형파신호가 제3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되어 출력되고, 그 출력된 구형파신호는 제로크로싱형 무접점릴레이(SSR11)의 입력단자(IN12)에 인가된다.
따라서, 노아게이트(NOR11)에서 저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제3도의 (마)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12)의 제로크로싱이 되는 시점(t1,t3,…)에서 제로크로싱형 무접점릴레이(SSR11)가 구동되어 그의 구동단자(DR11,DR12)가 접속되고, 노아게이트(NOR11)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교류전원(AC12)의 제로크로싱이 되는 시점(t2,t4,…)에서 무접점릴레이(SSR11)의 구동이 정지되어 구동단자(DR11)(DR12)가 상호 개방된다. 따라서 이때 제3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12)의 정의 반파만 무접점릴레이(SSR11)를 통해 교통신호등(L11)에 인가되어 교통신호등(L11)은 상기의 교류전원(AC12)의 전파가 인가될 경우보다 어듭게 점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로크로싱형 무접점릴레이의 구동을 직접 제어하여 교통신호등을 교류전원의 전주기 또는 반주기동안 점등시키므로 종래와 같이 높은 다이오드 및 릴레이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그 다이오드 및 릴레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수단이 없어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로크로싱형 무접점릴레이(SSR11)의 입력단자(IN11)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그 무접점릴레이(SSR11)가 구동되어 교통신호(L11)이 점등되게 한 교통신호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에 있어서, 교류전원(AC11)이 포토커플러(PC11)의 발광다이오드(PD11)에 인가되게 접속하고, 상기 포토커플러(PC11)의 수광트랜지스터 (PTR11)의 콜렉터를 지연기(11)를 통해, 제어신호입력단자(CS11)와 함께 노아게이트(NOR11)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그 노아게이트(NOR11)의 출력단자를 무접점릴레이(SSR11)의 입력단자(IN12)에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
KR2019880003807U 1988-03-22 1988-03-22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 KR930006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807U KR930006538Y1 (ko) 1988-03-22 1988-03-22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807U KR930006538Y1 (ko) 1988-03-22 1988-03-22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11U KR890019811U (ko) 1989-10-05
KR930006538Y1 true KR930006538Y1 (ko) 1993-09-24

Family

ID=1927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807U KR930006538Y1 (ko) 1988-03-22 1988-03-22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5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11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590B2 (en) Two-level LED security light with motion sensor
US7102902B1 (en) Dimmer circuit for LED
US487034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US4051394A (en) Zero crossing ac relay control circuit
US10172192B2 (en) LED lamp single live wire intelligent control apparatus
SE8203601L (sv) Effektregulator, i synnerhet en ljusregulator
KR900001270A (ko) 조리기
KR930006538Y1 (ko)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광제어회로
US4293796A (en) Traffic light dimming technique and circuitry
KR102564883B1 (ko) 미세 점등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KR880003234A (ko) 형광등 디밍 제어 장치
KR940001176Y1 (ko) 신호지연 타이머 회로
KR200175718Y1 (ko) 조명등 구동회로
JP5773180B2 (ja) 負荷制御装置
KR940006442Y1 (ko) A/b접점형 무접점 릴레이
KR890003992B1 (ko) 절전형 반도체 안정기
SU1725380A1 (ru) Ключ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RU223738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итания источников света
SU145711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симистором
KR20000004240U (ko) 광 감지를 이용한 스위치
JPH0629804A (ja) ゼロクロス・スイッチングリレー
KR900007126Y1 (ko) 전류조절에 의한 절전장치
KR930006280Y1 (ko)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
KR930003932Y1 (ko) 네온 사인등 구동회로 장치
JPH0923577A (ja) ネオンランプ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