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529Y1 - 안전벨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529Y1
KR930006529Y1 KR2019910024534U KR910024534U KR930006529Y1 KR 930006529 Y1 KR930006529 Y1 KR 930006529Y1 KR 2019910024534 U KR2019910024534 U KR 2019910024534U KR 910024534 U KR910024534 U KR 910024534U KR 930006529 Y1 KR930006529 Y1 KR 930006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fixed
safety belt
fixing device
bel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4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009U (ko
Inventor
박희종
Original Assignee
박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종 filed Critical 박희종
Priority to KR2019910024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529Y1/ko
Publication of KR930014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0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벨트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서 기판과 덮개판 내부에 고정봉을 삽입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
제4a,b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및 작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기판
3 : 고정볼 4 : 고정봉
5,6 : 장공 7 : 덮개판
8 : 상단공간부 9 : 하단공간부
10 : 안전벨트
본 고안은 자동차나 기차 항공기등의 좌석에 간편히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는 안전벨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벨트를 몸체에 고정할때 고정봉이나 고정볼에 의해 미끄러짐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 할수있고 또한 해정 할때에도 몸체를 약간만 밀어주면 손쉽게 고정구가 안전벨트의 고정상태에서 해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현재의 안전벨트는 좌석에서 착용할때 안전벨트의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서 착용자의 가슴을 항시 조이게 되어 일반적으로 착용자는 안전벨트를 착용한후 너무 당겨지지 않도록 일정한 위치에 안전벨트 고정구를 설치하여 안전벨트가 지나치게 착용자의 가슴이나 몸을 조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안전벨트의 고정구는 그 종류가 다양한 것인데 이들의 구성을 집약해 보면 집게 형식으로서 안전벨트를 미끄러지지 않게 몸체 내부에서 고정하거나 또는 스프링의 탄발력 내지 압지력으로서 안전벨트를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벨트를 착용한 탑승자는 언제나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고정구가 안전벨트의 고정부위로 부터 조금씩 유동되어 고정구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보다 간단한 구조이고 또한 사용상태도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2) 상부로 고정볼(3)이나 고정봉(4)이 삽입되게 장공(5)(6)이 형성된 덮개판(7)을 결합하여 몸체(1)를 구성하고 몸체(1)의 덮개판(7)은 기판(2)에서 상단공간부(8)는 좁고 하단공간부(9)는 점차 넓어지게 경사형으로 형성하여 고정볼(3)이나 고정봉(4)이 유동되면서 안전벨트(10)를 고정 또는 해정하게되는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11)는 걸림돌조이고(12)는 걸림요구이며(13)은 몸체(1)의 걸고리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몸체(1)의 걸고리(13)를 차내에 부착 고정된 통상의 안전벨트의 걸고리에 걸어서 사용하는 것인데 탑승자가 안전벨트(10)를 착용한후 안전벨트(10)의 조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로서 안전벨트(10)를 고정하고저 할때에는 제4a도 상태에서 제4b도 상태의 단면도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몸체(1)하단부를 수평이상으로 들어올리면 몸체(1) 내부의 하단공간부(9)에 있던 고정볼(3)이나 고정봉(4)이 자중에 의해 공간이 좁은 상단공간부(8)로 이동되다가 임의 위치에서 고정되면서 안전벨트(10)를 덮개판(7)내부의 경사면에 의해 고정하기 때문에 안전벨트(10)를 적당한 길이에서 고정할수 있는 것인데 본 고안은 안전벨트(10)가 몸체(1)의 상부로 당겨지면 더욱더 고정볼(3)이나 고정봉(4)이 공간이 좁은 상단공간부(8)쪽으로 삽입고정되므로서 안전벨트(10)가 미끄러짐 없이 효과적으로 몸체(1)에 고정되는 것이고, 착용자가 몸체(1)를 안전벨트(10)에서 해정하고저 할때에는 제4b도 상태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몸체(1)의 하단부를 하향시키면서 몸체(1)를 약간만 위로 밀어 올리면 고정볼(3)이나 고정봉(4)이 자중에 의해 공간이 넓은 하단공간부(9)로 굴러 내려와 안전벨트(10)와 덮개판(7)의 괘정 상태를 해정하기 때문에 손쉽게 몸체(1) 내부에서 안전벨트(10)를 이동하여 착용자는 안전벨트(10)를 몸에서 풀어낼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종래 집게나 스프링의 탄지력 또는 압지력을 이용한 것에 비해서 조작도 용이하고 작동상태도 정확하여 성인은 물론 노인이나 어린이들도 손쉽게 사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판(2)상부로 고정볼(3)이나 고정봉(4)이 삽입되게 장공(5)(6)이 형성된 덮개판(7)을 결합하여 몸체(1)를 구성하고 몸체(1)의 덮개판(7)은 기판(2)에서 상단공간부(8)는 좁고 하단 공간부(9)는 점차 넓게 경사형으로 형성하여 고정볼(3)이나 고정봉(4)이 유동되면서 안전벨트(10)를 고정 또는 해정되게한 안전벨트 고정구.
KR2019910024534U 1991-12-28 1991-12-28 안전벨트 고정구 KR930006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534U KR930006529Y1 (ko) 1991-12-28 1991-12-28 안전벨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534U KR930006529Y1 (ko) 1991-12-28 1991-12-28 안전벨트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009U KR930014009U (ko) 1993-07-27
KR930006529Y1 true KR930006529Y1 (ko) 1993-09-24

Family

ID=1932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4534U KR930006529Y1 (ko) 1991-12-28 1991-12-28 안전벨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5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009U (ko)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5257A (en) Adjustable breakaway seat belt shoulder harness comfort strap
US5285555A (en) Adjuster buckle with locking means
US3348881A (en) Fastening means for a three-point safety belt,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2981993A (en) Buckle
NZ505529A (en) Strap assembly, typically for securing loads to motorcycle or vehicle roof rack, with loop end, elastic cord section and quick release fastener end
US5000481A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 seat belts
US5598812A (en) Passenger restraint system
US3411602A (en) Automatic safety belt apparatus for vehicles
US3243233A (en) Adjustable safety belt
US4392277A (en) Lock tongue for safety belts
IL137847A0 (en) Tightening strip with tension locking system
US6666519B2 (en) Seat belt with a buckle tongue stop
US6357092B1 (en) Double acting adjustable buckle
US4706992A (en) Seat belt
KR930006529Y1 (ko) 안전벨트 고정구
US4810036A (en) Shoulder belt restraint
ITVI20030123A1 (it) Dispositivo per l'aggancio, lo sgancio rapido e di sicurezza
US5333935A (en) Seat belt system providing increased occupant mobility
US3222739A (en) Quick releasable buckle with belt length adjustments
US3377667A (en) Adjustable buckle for overshoulder safety belts
US3225401A (en) Adjustable belt buckle with safety catch
KR10028580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가이드
JPH0245086Y2 (ko)
KR96000562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보관장치
JPH02425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