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806Y1 -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806Y1
KR930005806Y1 KR2019930010367U KR930010367U KR930005806Y1 KR 930005806 Y1 KR930005806 Y1 KR 930005806Y1 KR 2019930010367 U KR2019930010367 U KR 2019930010367U KR 930010367 U KR930010367 U KR 930010367U KR 930005806 Y1 KR930005806 Y1 KR 930005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motor
voltage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3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미찌히로 쇼오지
Original Assignee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73943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4493Y2/en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7394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6009Y2/en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00008913U external-priority patent/KR930005805Y1/en
Application filed by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30010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8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06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g. by fluid-pressure drive pneumatic powe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running-out of drills or fracture of drills when getting th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02Use of a particular power source
    • B23B2270/022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drill device with electromagnet base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드릴장치의 일예를 환상 날붙이(喚想刀物)를 생략해서 도시한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magnet-based drill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mitting an annular blade.

제3도는 제2도의 우측면도.3 is a right side view of FIG.

제4도는 제2도의 좌측면도.4 is a left side view of FIG.

제5도는 제3도를 Z-Z선으로 절단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Z-Z of FIG.

제6도는 제5도의 하모닉스 드라이브장치 및 보올클러치 근방의 확대도이며, 그 보올클러치가 온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harmonic drive device and the bowl clutch of FIG. 5, showing the state where the bowl clutch is on. FIG.

제7도는 보올클러치의 걸어맞춤 부재(121)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the engaging member 121 of the bowl clutch.

제8도는 보올클러치의 걸어맞춤 부재(121)의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ngagement member 121 of the bowl clutch.

제9도는 클러치 축(124)의 종단면도.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lutch shaft 124.

제10도는 제9도의 X-X선으로 절단한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제11도는 제9도의 Y-Y선으로 절단한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Y-Y of FIG.

제12도는 제5도의 하모닉스 드라이브장치 및 보올클러치 근방의 확대도이고, 그 보올클러치가 오프의 상태인 것을 도시하는 도.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harmonic drive device and bowl clutch of FIG. 5, showing that the bowl clutch is in an off state. FIG.

제13도는 제1도의 지시전압발생 지연회로, 펄스발생회로 및 래치회로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an instruction voltage generation delay circuit, a pulse generation circuit, and a latch circuit of FIG.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각 논리회로 등의 진리치 도표.FIG. 14 is a truth table of each logic circui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프레임 2 : 전자석 베이스1 frame 2 electromagnet base

3 : 드릴장치 6 : 수동승강핸들3: Drill device 6: Manual lifting handle

6A : 축 7 : 손잡이6A: shaft 7: handle

101 : 전송모우터 110 : 하모닉스 드라이브장치101: transmission motor 110: harmonic drive device

120 : 보올클러치 121 : 걸어맞춤 부재120: clutch clutch 121: engaging member

121C : 통형상부 122 : 凹부121C: cylindrical part 122: rib

123 : 보올 124 : 클러치 축123: ball 124: clutch shaft

124E : 제 2구멍 125 : 클러치 링124E: second hole 125: clutch ring

125A : 제 1환상 홈 125B : 제 2환상 홈125A: 1st annular groove 125B: 2nd annular groove

126 : 내부샤프트 126A : 제 1환상 홈126: internal shaft 126A: first annular groove

126B : 제 2환상 홈 126D : 환상 홈126B: Second Illusion Groove 126D: Illusion Groove

127 : 스프링 131 : 핸들유지부재127: spring 131: handle holding member

506 :전자석 515 : 드릴모우터506: electromagnet 515: drill motor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고안은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릴 장치(전기드릴)의 전송을 전송모우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에 있어서, 드릴로서 절삭 종료 후에 상기 드릴장치를 고속으로 처음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하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apparatus for a drill device with an electromagnet b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magnet base drill device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a drill device (electric drill) by a transmission motor, wherein the drill device is terminated after the end of cutting as a drill. A control device for automatically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at high speed.

[종래의 기술][Prior art]

환형상의 날붙이를 구비한 드릴장치, 그 드릴장치를 피가공물에 흡작시키기 위한 전자석 베이스 및, 상기 드릴장치를 피가공물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보내기 위한 전송모우터를 보유하는 전송기구 등에 의해 구성된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는 이미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With an electromagnet base constituted by a drill device having an annular cutlery, an electromagnet base for sucking the drill device onto the workpiece,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having a transfer motor for automatically sending the drill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workpiece. Has already been proposed.

또 드릴장치에 의한 천공(穿孔)작업종료 수에 상기 드릴장치를 처음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전자석 베이스부 드릴장치는 제안되어 있다.In addition, an electromagnet base portion drill apparatu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turn the drill apparatus to the initial position at the end of the drilling operation by the drill apparatus has been proposed.

여기서 예를 들면 특개소 63-139605호 공보에는 천공작업 종료후에 있어서 드릴장치의 되돌림(상승)속도를 천공작업시에 드릴장치의 전송(하강)속도 보다도 빠르게 하여 천공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Her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3-139605 describes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rilling work by making the speed of return of the drill device higher than the transmission (fall) speed of the drill device during the drilling work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rilling work. It is.

구체적으로, 상기 공보에 기재된 전자석 베이스부 드릴장치에서는 천공작업시에는 전송모우터의 회전을 감속장치를 통해서 드릴장치에 전달하고, 천공작업 종료 후는 상기 전송모우터의 회전을 감속장치를 개입하지 않고 드릴장치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electromagnet base portion drill apparatus described in the above publication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transmission motor to the drill apparatus through the deceleration device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and does not intervene the rotation of the transmission motor through the reduction device after the drilling operation is finished. It is intended to be transmitted to the drill device without.

그래서, 이와 같은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에서는 전송모우터에 접촉된 감속장치를 떼어내는 기구를 필요로 하므로, 그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또 그 드릴장치가 대형화된다.Therefore, since such a drill apparatus with an electromagnet base requires a mechanism for removing the reduction gear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on motor, the configuration of the drill apparatus with the electromagnet base is complicated, and the drill apparatus is enlarged.

이와 같은 염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송모우터로서 직류모우터를 사용하고, 그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바꿈과 함께 그 전압치를 바꾸면 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cern, a DC motor is used as the transmission motor, and the voltage value is changed along with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즉 드릴장치의 천공시에 있어서는 전송모우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작게하고 천공 종료후에 있어서는 그 전송모에 인가되는 전압을 크게함으로서, 드릴장치의 상승속도를 그 하강속도 보다도 빠르게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increas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at the time of drilling the drill device and increas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hai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rilling, the ascending speed of the drill device can be made faster than the descending speed.

그런데, 예측 할 수 없는 요인으로서 드릴장치의 천공시(하강시)에 있어서 전송모우터에 인가되는 전압이 크게될때에 드릴장치의 하강속도가 너무 빠르면 그 드릴장치의 아버(arbor)에 부착된 환상 날붙이가 파손되든가, 드릴모우터가 소손하든가 하는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천공시에 전송모우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시 감시해서, 그 전압이 일정치를 넘었을 때에는 드릴모우터 및 전송모우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회로를 설치하면 된다.By the way, as an unpredictable factor, when the drilling device's descending speed is too high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becomes large during the drilling (descent) of the drill device, the annular attached to the arbor of the drill device is too high. There is a fear that the cutlery may be damaged or the drill motor may be burned out. In order to solve such a defect, if the voltag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is always monitored during the drilling, and if the voltage exceeds a certain value, a safety circuit that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drill motor and the transmission motor is installed. do.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 to Solve]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한 안전회로는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이상시에는 확실히 작동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안전회로가 확실히 동작하는가 않는가를, 예를 들면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조공장내등에서 시험을 할 필요가 있다.Since the above safety circuit must be sure to operate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of the drill apparatus with the electromagnet base, it is necessary to test whether the safety circuit operates reliably, for example, in the manufacturing plant of the drill apparatus with the electromagnet base. There is.

그러나, 드릴 장치의 하강시에는 전송모우터에는 미리 설정된 낮은 전압만이 인가되지 않도록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전장치의 동작을 확인할 수가 없다.However, when the drill device is lowered,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cannot be confirmed since the drill device with the electromagnet base is configured so that only a predetermined low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본 고안은 상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안전회로의 동작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of a drill device with an electromagnet base that can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safety circuit.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작용][Means and Actions to Solve the Problem]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송 모우터에 대해서 천공시의 인가되는 전압 보다도 높은 전압을 전기드릴의 하강시에 인가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applied at the time of drilling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when the electric drill falls.

이와 같이, 드릴장치의 하강시에 전송모우터에 대해서, 천공시에 인가되는 낮은 전합을 넘은 전압(시험전압)이 인가되어서 안전회로의 시험이 행해진다.In this way, a voltage exceeding a low sum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test voltage)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when the drill apparatus descends, and the safety circuit is tested.

또 이와 같은, 전송모우터에 대한 시험전압의 인가시에, 전기드릴의 통상의 하강시에 그 전송모우터에 대한 전압의 인가를 천공시 전압인가수단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한 점에도 특징이 있다. 이결과, 전송모우터에 대해 시험전압을 인가해도 그 인가 전압이 상기 천공시 전압인가수단의 작용에 의해 하강하는 일이 없고, 그 결과 전송모우터에 대한 시험전압의 인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test voltage to the transmission motor,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to the transmission motor during the normal fall of the electric dri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voltage application means at the time of puncturing to stop. . As a result, even if a test voltage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the applied voltage does not drop by the action of the voltage applying means at the time of puncturing, and as a result, application of the test voltage to the transmission motor can be facilitated. .

다시, 드릴모우터에 흐르는 전류치에 상응한 전압이 전송모우터에 인가되도록 상기 천공시 전압인가수단을 구성한 점에도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feature in that the voltage applying means is provided at the time of drilling so that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value flowing in the drill motor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이것으로서 드릴모우터의 부하가 클대에는 전송모우터의 회전수가 감소되고, 역으로 드릴 모우터의 부하가 작을 때에는 전송모우터의 회전수가 증가된다.As a result, when the load of the drill motor is larg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mission motor is reduced, and conversely, when the load of the drill motor is smal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mission motor is increased.

다시 또, 드릴모우터에 흐르는 전류가 작을 때 전송모우터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한 레벨로 감소하도록, 다이오드 등의 정전수단을 가지고 상기 천공시 전압인가수단을 구성한 점에도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applying means at the time of puncturing is provided with electrostatic means such as a diode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mission motor decreases to a constant level whe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ll motor is small.

이에 따라, 해당 드릴장치에 의한 천공 개시시에 그 드릴장치의 전송속도가 감소한다.As a result,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drill apparatus decreases at the start of drilling by the drill apparatus.

[실시예]EXAMPLE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자석 베이스부 드릴장치의 일예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좌측면도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2 is a front view of an example of an electromagnet base portion drill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left side view of FIG.

각각의 도면에 있어서, 프레임(1)에는 전자석 베이스(2) 및 드릴장치(3)가 부착되어 있다. 이 드릴장치(3)는 제5도에 관해서 후술하는 전송모우터(101)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상기 드릴장치(3)의 아버(5)는 그 드릴장치(3)의 회전축(스핀들)과 일체 성형되었고, 전자석 베이스(2)에 부착된 아암(21)의 부시(22)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그 하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환상형의 날붙이 또는 천공드릴을 가지고 있다.In each figure, the electromagnet base 2 and the drill apparatus 3 are attached to the frame 1. This drill apparatus 3 is mov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mention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The arbor 5 of the drill device 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ry shaft (spindle) of the drill device 3, and the rotary motion is prevented by the bush 22 of the arm 21 attached to the electromagnet base 2. Supported freely, the lower end has an annular blade or punch drill not shown.

브래킷(1E)은 수나사(1F)로 상기 프레임(1)에 부착되어 있다.The bracket 1E is attached to the frame 1 with a male screw 1F.

이 브래킷(1E)에는 카아트리지식의 오일탱크(4)가 고정되어 있다.The cartridge oil tank 4 is fixed to this bracket 1E.

상기 오일탱크(4)내에 도시되지 않은 수법에 의해서 주입된 절삭유(이하 오일이라함)는 오일콕(41) 및 튜우브(42)를 통해서, 상기 드릴장치(3)의 본체의 직접 형성된 오일받이(31)내에 한방울씩 도입한다.Cutting oil injected by a method not shown in the oil tank 4 (hereinafter referred to as oil) is directly formed through the oil cock 41 and the tub 42, and the oil reservoir directly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drill device 3. One drop is introduced in (31).

이 오일은 다시 튜우브(43)를 통해서 아버(5)를 지지하는 드릴장치(3)의 케이스에 형성된 환상홈(環狀構)(37)에 도입된다.This oil is again introduced into the annular groove 37 formed in the case of the drill device 3 supporting the arbor 5 via the tub 43.

상기 환상홈(37)에 도입된 오일은, 아버(5)의 내벽(51)에 뚫어 놓은 오일도입구(52)를 거쳐서 상기 내벽(51)에 유출해서 그 아버(5)에 고정되는 도시되지 않은 환상형의 날붙이로 급유가 된다.The oil introduced into the annular groove 37 flows into the inner wall 51 through the oil inlet 52 drilled into the inner wall 51 of the arbor 5 and is fixed to the arbor 5. It is refueled with the annular blade which is not.

또, 부호(32)는 오이받이(31)의 한 벽면을 구성해서, 그 오일받이(31)내에 도입되는 오일의 점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그라스, 수지등의 투명창이고, 부호(38)는 오일시일이다.Reference numeral 32 is a transparent window made of glass, resin or the like for constituting a wall of the cucumber tray 31 and confirming the drip state of oil introduced into the oil tray 31, and the numeral 38 is Oil seal.

상기 드릴장치(3)는 제5, 6, 12도에 관해서 후술되는 클러치(보올클러치(120)를 투입한 후, 수동승강핸들(6)을 회전시킴으로해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rill device 3 is configured to be liftable by rotating the manual lift handle 6 after the clutch (bottle clutch 120 is inserted) described below in relation to the fifth, sixth and twelve degrees.

부호(6A)는 축, 또 (6C)는 손잡이이다.6A is a shaft, and 6C is a handle.

제5도는 제3도를 Z-Z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하모닉스드라이브(등록상표) 장치(110) 및 보올클러치(120)근방의 확대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Z-Z of FIG. 3,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harmonic drive (registered trademark) device 110 and the bowl clutch 120 shown in FIG.

각각의 도면에 있어서 제2도 ∼제4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의 부분을 나타낸다.In each figure, the code | symbol same as FIG. 2-FIG. 4 shows the same or equivalent part.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프레임(1)의 베이스(1B)에 고정된 전송모우터(101)의 주측은 회전은 그 출력축에 고정된 피니언기어(102), 평기어(103), 그 평기어(103)와 동일한 축(104)에 고정된 평기어(105) 및 평기어(106)를 통해서 그 평기어(106)에 고정된 축(107)에 전달된다.5 and 6, the main side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fixed to the base 1B of the frame 1 is the pinion gear 102, the spur gear 103, the rotation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It is transmitted to the shaft 107 fixed to the spur gear 106 through the spur gear 105 and the spur gear 106 fixed to the same shaft 104 as the spur gear 103.

그리고, 부호(141) 및 (142)는 상기 축(104)을 지지하는 보올베어링, 부호(143), 및 (144)는 상기 축(107)을 지지하는 보올베어링이다.Reference numerals 141 and 142 denote bowl bearings supporting the shaft 104, reference numerals 143, and 144 denote bowl bearings supporting the shaft 107.

부호(110)은 상술의 하모닉스 드라이브장치이며, 주식회사 하모닉스 드리이브 시스템의 감속장치이다. 이 하모닉스 드라이브장치(110)은 웨이브 발전기(111)이고, 웨이브 발전기 베어링(112), 박편 스플라인(113), 원주 스플라인(S114) 및 원주스플라인(D115)으로 구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10 is a harmonic drive device described above, and is a deceleration device of the harmonics drive system. The harmonic drive device 110 is a wave generator 111, and is composed of a wave generator bearing 112, a flake spline 113, a circumferential spline S114 and a circumferential spline D115.

웨이브 발전기(111)는 상기 축(107)에 접속되어서 그 바깥 둘레에 복수의 웨이브 발전기 베어링(112)이 배열설치된 타원 형상의 판상태(타원체)이다.The wave generator 111 is an elliptic plate state (ellipse body) connected to the shaft 107 and having a plurality of wave generator bearings 112 arranged around its outer circumference.

박편 스플라인(113)은 그 바깥둘레에 복수의 톱니를 소유하고, 상기 웨이브 발전기 베어링(112)에 밀착하도록 타원형상으로 탄성변형된 환상체(탄성환상체)이다.The flake spline 113 possesses a plurality of teeth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is an annular body (elastic annular body) elastically de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ve generator bearing 112.

이 박편 스플라인(113)은 후술함과 같이 원주스플라인(S114) 및 원주스플라인브라인(D115)과 걸어맞춤되어 있으므로, 타원형상의 웨이브 발전기(111)가 회전하므로 해서 박편 스플라인(113)의 형상은 변화한다.Since the flake spline 113 is engaged with the circumferential spline S114 and the circumferential spline brine D115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hape of the flake spline 113 changes as the wave generator 111 of the elliptical shape rotates. .

원주스플라인(S114) 및 원주스플라인(D115)은 적어도 그 안쪽둘레가 원형으로 성형됨과 함께 상기 박편 스플레인(113)의 톱니에 걸어맞추는 복수의 톱니을 소유하는 링 형상 부재이다. 상기 원주스플라인(S114)에 형성된 톱니의 수는 박편 스플라인(113)에 형성된 톱니 수보다 많고, 상기 원주스플라인(D115)에 형성된 톱니수는 박편 스플라인(113)의 톱니 수와 동수이다.The circumferential spline S114 and the circumferential spline D115 are ring-shaped members which have a plurality of teeth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flake spline 113 while at least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number of teeth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pline S114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eeth formed on the flake spline 113, and the number of teeth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pline D115 is equal to the number of teeth of the flake spline 113.

또, 상기 원주스플라인(S114)은 베이스(1B)에 고정되어 있다.The circumferential spline S114 is fixed to the base 1B.

따라서, 원주스플라인(S114)의 톱니 수가 박편 스플라인(113)의 톱니수보다도 예로서 1개 많을 때에는 웨이브 발전기(111)가 1회전하는 사이에 박편 스플라인(113)은, 원주스플라인(S114)에 대해서 톱니 수의 2개분 만큼 회전한다.Therefore, when the number of teeth of the circumferential spline S114 is one more than the number of teeth of the flake spline 113 as an example, the flake spline 11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pline S114 while the wave generator 111 rotates once. Rotate by two of the number of teeth.

또 상기 원주스플라인(D115)의 톱니 수는 박편 스플라인(113)의 톱니 수와 동수이므로, 그 원주스플라인(D115)은 박편 스플라인(113)과 동속도로 회전한다. 즉, 축(107)의 회전이 높은 감속비로 원주스플라인(D115)에 전달된다.Since the number of teeth of the circumferential spline D115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eeth of the flake spline 113, the circumferential spline D115 rotates at the same speed as the flake spline 113. That is, the rotation of the shaft 107 is transmitted to the circumferential spline D115 at a high reduction ratio.

보올클러치(120)의 걸어맞춤 부재(121)는 상기 원주스플라인(D115)에 접속되어 있다.The engaging member 121 of the bowl clutch 120 is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spline D115.

상기 걸이맞춤 부재(121)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를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Front an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engagement member 121 are shown in FIGS. 7 and 8.

이 걸어맞춤 부재(121)는 통형상부(121C) 및 플랜지 (121B)로 구성되어 있다.This engaging member 121 is comprised from the cylindrical part 121C and the flange 121B.

상기 통형상부(121C)의 내벽에는, 도시되는 것과 같이 복수의 부(122)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inner wall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1C, a plurality of portions 122 are formed as shown.

그리고 (121A)는 그 걸어맞춤 부재(121)를 상기 원주스플라인(D115)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이다.And 121A is an attachment hole for attaching the engaging member 121 to the circumferential spline D115.

제5도 및 제6도로 되돌아가서, 상기 걸어맞춤 부재(121)의 통형상부(121C)의 외벽을은 보올베어링(145,146)에 의해, 베이스(1B)가 고정되는 프레임 본체(1A)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5 and 6, the outer wall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1C of the engaging member 121 is rotated to the frame body 1A to which the base 1B is fixed by the ball bearings 145 and 146. This is supported freely.

상기 걸어맞춤 부재(121)의 통형상부(121C)에는, 부시(128)에 의해 프레임 본체(1A)에 대해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통형상의 클러치 축(124)의 한쪽끝(통형상체 124G)이 끼워져 있다.One end (cylindrical body 124G) of the cylindrical clutch shaft 124 whose rotational movement is freely supported by the bush 128 to the frame main body 1A by the tubular portion 121C of the engaging member 121. ) Is inserted.

제9도는 클러치 축(124)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제9도를 X-X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를 Y-Y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utch shaft 124,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Y-Y.

각각의 도면에 있어서, 클러치 축(124)의 상기 한쪽끝(124G)에는 비교적 큰 지름의 내주부(124A)와 그 외주부(124B)와의 사이를 연통하도록, 그 클러치 축(124)의 주위에 같은 간격으로 (해당 클러치 축(124)의 중심축에 대해 90도 마다에) 4개의 제 1구멍(124C)이 형성되고, 또 그 제 1구멍(124C)과 간격 (W)을 두고 등간격으로 4개의 제 2구멍(124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1구멍(124C) 및 제 2구멍(124E)은 그 클러치 축(124)의 중심축에 대해서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In each of the figures, the one end 124G of the clutch shaft 124 has the same circumference around the clutch shaft 124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124A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124B. Four first holes 124C are formed at intervals (ever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lutch shaft 124), and at equal intervals with the first holes 124C and at intervals W. Second holes 124E are formed. The first hole 124C and the second hole 124E form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lutch shaft 124.

그리고, 제2구멍(124E)은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클러치 링(125)에 감추어져 있어서 도시되어 있지 않다.Incidentally, the second hole 124E is hidden in the clutch ring 125 described below in FIGS. 5 and 6, and is not shown.

클러치 축(125)의 상기 한쪽끝(124G)에서 그 다른 쪽에 걸쳐서는 상기 내주부(124A)보다도 작은 지름은 내주부(124D)가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peripheral part 124D is formed in the diameter smaller than the said inner peripheral part 124A from the said one end 124G of the clutch shaft 125 to the other.

제5도 및 제6도로 되돌아가서, 상기 클러치 축(124)내에는 또다시 그 끝부분에 클러치 링(125)이 부착된 내부샤프트(126)가 삽입되어 있다.5 and 6, an inner shaft 126 having a clutch ring 125 attached thereto is inserted into the clutch shaft 124 again.

이 삽입은 클러치 링(125)이 클러치 축(124)의 내주부(124A)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This insertion is such that the clutch ring 125 is dispos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124A of the clutch shaft 124.

상기 클러치 링(125)이 주위에는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환상홈(제 1환상홈 125A 및 제2환상홈 125B)이 뚫어져 있다.Two annular grooves (first annular groove 125A and second annular groove 125B) are drilled around the clutch ring 125 as shown.

그리고, 이 제1환상홈(125A) 및 제2환상홈(125B)의 간격을 클러치 축(124)에 뚫어져 있는 제1구멍(124C) 및 제2구멍(124E)의 간격(W) (제9도 참조)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Then, the interval W between the first annular groove 125A and the second annular groove 125B is defined by the interval W between the first hole 124C and the second hole 124E, which are drilled in the clutch shaft 124. It is set similarly to FIG.

클러치 축(124)에 뚫어져 있는 제1 구멍 124C 및 제2구멍(124E)의 각각에는, 보올(123)이 배치되어 있다.The bowl 123 is arrange | positioned in each of the 1st hole 124C and the 2nd hole 124E which are perforated by the clutch shaft 124. As shown in FIG.

여기서 제12도에 도시됨과 같이, 제1구멍(124C) 및 제2구멍(124E) 클러치 링(125)의 제1환상홈(125A) 및 제2환상홈(125B)와 대향(對向)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각 보올(123)은 제1환상홈(125A) 및 제2환상홈(125B)내에 들어 있다. (이하 이러한 상태를 클러치 오프라 함)클러치 링(125)의 제1환상홈(125A) 및 제2환상홈(125B)이 상기 제1구멍(124C) 및 제2구멍(124E)아 대향하고 있지 않은 때 즉, 제6도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제1구멍(124C) 및 제2구멍(124E)가 클러치 링(125)의 보다도 지름의 대부분과 대향하고 있을때에는, 보올(123)은 그 지름의 대부분에 의해서 늘려져서 클러치 축(124)의 외주(124B) 보다도 돌출해서, 걸어맞춤 부재(121)의 통형상부(121C)에 형성된 凹부 (122) 내에 걸어맞춤된다. (이하, 이러한 상태를 클러치 온이라 함).Here,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and second annular grooves 125A and 125B of the clutch ring 125 of the first and second holes 124C and 124E are opposed to each other. Each bowl 123 is contained in the first annular groove 125A and the second annular groove 125B. (Hereinafter, this state is referred to as clutch off.) The first annular groove 125A and the second annular groove 125B of the clutch ring 125 are not opposed to the first hole 124C and the second hole 124E.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hole 124C and the second hole 124E face most of the diameter of the clutch ring 125 as shown in FIG. 6, the bowl 123 is made up of most of its diameter. It extends by and protrudes more than the outer periphery 124B of the clutch shaft 124, and engages in the concave part 122 formed in the cylindrical part 121C of the engagement member 121. As shown in FIG.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utch on).

이에 의해서 걸어맞춤 부재(121)의 회전이 클러치 축(124)에 전달되게 된다.As a result, rotation of the engagement member 121 is transmitted to the clutch shaft 124.

여기에서, 내부샤프트(126)를 제12도의 상태로 부터 제6도의 상태가 되도록 이동(제12도의 화살표 V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한때에 있어서, 보올(123)이 상기 凹부(122)내에 제대로 잘 들어가지 않은 때에는, 스프링(127)이 압축되어서 클러치 링(128) 만이, 제12도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그 후의 예로서 수동승강핸들(6)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축(124)을 약간 회전시켰을 때에는, 보올(123)이 상기 凹부(122)내에 들어가고, 또 스프링(127)의 탄발력(彈發力)에 의해, 클러치 링(125)은 제6도의 상태가 된다. 즉, 클러치 온이 된다.Here, when the inner shaft 126 is moved from the state in FIG. 12 to the state in FIG. 6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rrow V direction in FIG. 12), the bowl 123 is in the recess 122. When it does not enter well, the spring 127 is compressed and only the clutch ring 128 maintains the state of FIG. As a later example, when the clutch shaft 124 is slightly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anual lifting handle 6, the bowl 123 enters the indentation 122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7 ( The clutch ring 125 enters the state of FIG. That is, the clutch is turned on.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도에 관해서 후술함과 같이, 드릴장치(3)의 천공시에 있어 전송동작이, 전송모우터(101)의 정회전으로 행하는 것이라고 하면, 그 드릴장치(3)의 천공종료 후에 있어서의 되돌림 동작은 전송모우터(101)의 역회전으로서 행해지고, 그 결과 보올클러치(120)가 접속되는 동력 전달 축(이 에에 있어서는 원주스플라인(D115)으로 역전된다.In this embodi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 assuming that the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forward rotation of the transfer motor 101 at the time of drilling of the drill apparatus 3, the drill apparatus 3 The return operation after the end of the drilling is performed as the reverse rotation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and as a result, it is reversed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in this example, the circumferential spline D115) to which the bowl clutch 120 is connected.

그런데, 클러치 샤프트(124)의 다른끝 쪽은 핀(132)에 의해 핸들 유지부재(131)에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 샤프트(124) 내에는 내부샤프트(126)가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핀(132)에 의해 내부샤프트(126)의 2축 방향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그 내부샤프트(126)에는 긴 구멍(126C)이 뚫어져 있다.By the way, the other end of the clutch shaft 124 is provided to the handle holding member 131 by the pin 132. Here, the inner shaft 126 is inserted into the clutch shaft 124, but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inner shaft 126 so that the pin 13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iaxial movement of the inner shaft 126. (126C) is open.

상기 핀(132)에 의해 접속된 클러치 축(124) 및 핸들유지부재(131)는 수동승강부핸들(6)의 축(회전축)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핸들유지부재(131)는 부수(133)에 의해 프레임 본체(1A)에 대해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었다.The clutch shaft 124 and the handle holding member 131 connected by the pin 132 constitute the shaft (rotation shaft) of the manual lift handle 6. The handle holding member 131 was freely supported by the appendage 133 with respect to the frame body 1A.

상기 내부샤프트(126)에는 제1환상홈(126A) 및 제 2환상홈(126B)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shaft 126 is formed with a first annular groove 126A and a second annular groove 126B.

상기 핸들유지부재(131)내에는 또다시 보올(135)이 배치되어 있다.The bowl 135 is disposed in the handle holding member 131 again.

이 보올(135)은 스프링(136)에 의해 내부샤프트(126) 쪽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 1환상홈(126A) 및 제 2환상홈(126B)의 한편으로 걸어맞춤되어 있다.The bowl 135 is inclined to one side by the spring 136 toward the inner shaft 126 and engaged with one of the first annular groove 126A and the second annular groove 126B.

즉,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됨과 같이, 클러치 온인 때에는 보올(135)이 제 1환상홈(126A)과 걸어맞춤되도록 또 내부샤프트(126)를 제5도의 화살표 V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오프가 되었을 때에는 보올(135)이 제2환상홈(126B)과 걸어맞춤하도록 상기 제1환상홈(126A) 및 제2환상홈(126B)의 형성 위치 및 보올(135)의 배치위치가 설정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when the clutch is on, the inner shaft 126 is moved in the arrow V direction of FIG. 5 so that the bowl 135 is engaged with the first annular groove 126A. As shown in FIG. 12,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nular groove 126A and the second annular groove 126B are formed so that the bowl 135 engages with the second annular groove 126B when the clutch is turned off,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bowl 135 is set.

손잡이(6C)를 가지는 축(6A)은 핀(134)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핸들유지부재(131)에 설치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에 있어서는 축(6A)이 3개 설치되어 있다.The shaft 6A having the handle 6C is provided on the handle holding member 131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is freed around the pin 134. As shown in Fig. 3, three shafts 6A are provided in this case.

상기 샤프트(6A)의 선단에는 돌기(6B)가 형어되어 있다. 이 돌기(6B)는 상기 내부샤프트(126)의 클러치링(125)이 설치된 측과 반대측에 형성된 환상홈(125D)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서, 손잡이(6C)가 제5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부터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상태가 되도록, 샤프트(6A)를 상기 핀(134)를 지점으로 해서, 회전운동시키면, 내부샤프트(126)가 화사표 V방향으로 이동해서, 보올(135)의 걸어맞춤이 제1환상홈(126A)으로 부터 제2환상홈(126B)에 옮겨져서, 클러치 오프가 된다.A projection 6B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haft 6A. The protrusion 6B is engaged with the annular groove 125D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clutch ring 125 of the inner shaft 126 is installed. By this engagement, when the shaft 6A is rotated with the pin 134 as the point so that the handle 6C becomes a state indicated by a dashed line from the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26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V, the engagement of the bowl 135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annular groove 126A to the second annular groove 126B, and the clutch is turned off.

또 이러한 상태로 부터 샤프트(6A)를 실선의 상태로 되돌리면, 클리치 온이 된다. 상기 보올(135)의 제 1환상홈(126A) 또는 제 2환상홈(126B)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클러치의 온/오프 동작이 확실히 유지된다.From this state, if the shaft 6A is returned to the solid line state, it is clicked on. The engagement of the bowl 135 with the first annular groove 126A or the second annular groove 126B ensures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clutch.

그리고 부호(137)는 차폐판(遮閉板)이고 부호(138)은 그 차폐판(137)의 설치용 수나사이다.Reference numeral 137 denotes a shielding plate and reference numeral 138 denotes a male screw for mounting the shielding plate 137.

또 제5도 및 제9도에 있어서, 부호(124F)는 클러치 샤프트(124)에 형성된 피니온이다. 이 피니온(124F)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1A)에 형성된 얇은 줄홈(1D)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드릴장치(3)의 래크(3A;rack)와 걸어맞춤하고 있다. 따라서, 보올클러치(120)를 오프로 하고, 수동승강핸들(6)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의해 드릴장치(3)가 승강하고, 도 보올클러치(120)를 온으로 해서 전송모우터(101)를 가압하면, 그 드릴장치(3)가 자동승강한다.5 and 9, reference numeral 124F denotes a pinion formed on the clutch shaft 124. As shown in FIG. This pinion 124F is engaged with the rack 3A (rack) of the drill device 3 which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thin filed groove 1D formed in the frame body 1A, as shown in FIG. Doing. Therefore, when the bowl clutch 120 is turned off and the manual lifting handle 6 is rotated, the drill device 3 is lifted by the rotation, and the bowl clutch 120 is turned on to transfer the motor 101. ), The drill device 3 automatically moves up and down.

더욱 제5도에 도시된 (1C)는 프레임(1)의 커버이다.1C shown in FIG. 5 is a cover of the frame 1.

다음에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를 설명한다.Next,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drill apparatus with an electromagnet base is demonstrated.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부호(A) 및 (B)로 도시되는 단자는 각각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는 것이 공통으로 접속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figure, the terminal shown by code | symbol (A) and (B) is commonly connected by displaying with the same code | symbol, respectively.

제1도에 있어서 부호(598) 및 (599)는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의 입력단자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s 598 and 599 denote input terminals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drill apparatus with the electromagnet base.

메인스위치(501)는 2개의 접점(제 1접점(503) 및 제 2접점(504))를 소유하고 있는 손잡이(501A) (제4도)의 제 1단계 조작에 의해 제 1접점(503)이 온이 되고, 제 2단계 조작에 의해 제 2접점(504)이 온이된다.The main switch 501 is the first contact 503 by the first stage operation of the handle 501A (FIG. 4) which possesses two contacts (the first contact 503 and the second contact 504). This turns on, and the second contact 504 is turned on by the second step operation.

후술함과 같이, 제 1접점(503)이 온이 되면 전자석(506)이 여자되어, 제2접점(504)이 온이 되면, 다시 드릴모우터(515) 및 전송모우터(101)가 회전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first contact 503 is turned on, the electromagnet 506 is excited, and when the second contact 504 is turned on, the drill motor 515 and the transmission motor 101 rotate again. do.

그리고 상기 전송모우터(101)는 직류모우터 드릴모우터(515)는 교류 모우터이다.The transmission motor 101 is a DC motor drill motor 515 is an AC motor.

브리짓형 정류기(505)의 한쌍의 입력단자는 제1접점(503) 및 입력단자(509)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브릿지형 정류기(505)의 한쌍의 출력단자는 전자석 베이스(2)내에 설치된 전자석(506)에 접속되어 있다.A pair of input terminals of the bridge rectifier 505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503 and the input terminal 509. The pair of output terminals of the bridge rectifier 505 is connected to an electromagnet 506 provided in the electromagnet base 2.

정전압 회로(507)의 입력단자는 다이오드 및 저항을 거쳐서, 제 1접점(503) 및 입력단자(599)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정전압회로(507)의 출력단자는 저항(512) 및 발광 다이오드(513)를 거쳐서, 후술하는 비교기(51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input terminal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07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ntact 503 and the input terminal 599 via a diode and a resistor.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07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11 described later via the resistor 512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513.

펄스상 기준전압발생회로(508)는 상기 정전압 회로(507)의 출력을 받아서, 소정치의 펄스상 전압을 상기 비교기(51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주기적으로 출력한다.The pulsed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508 receives the output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07 and periodically outputs a predetermined pulse phase voltage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11.

직렬로 접속된 저항(509) 및 가변저항(510)은, 상기 제 1접점(503) 및 입력단자(509)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The resistor 509 and the variable resistor 510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ntact 503 and the input terminal 509.

상기 저항(509) 및 가변저항(510)의 접속점은 상기 비교기(511)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sistor 509 and the variable resistor 510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11.

상기 비교기(511)의 반전입력단자에 있어서 전위는 저항(509) 및 가변저항(510)의 저항치 및 교류전원(500)의 출력전압에 의해 결정된다.The potential of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11 is determined by the resistance of the resistor 509 and the variable resistor 510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AC power supply 500.

따라서, 교류전압(500)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상인 때에만 비교기(511)의 반전입력의 단자의 전위가 펄스상 기준전압의 출력전압 보다도 높아지도록 상기 저항(509) 및 가변 저항(510)의 저항치, 또는 펄스상 기준전압의 출력전압을 설정해 놓으면, 상기 교류전원(500)의 출력전압이 상기 소정전압 이상일 때에는 상기 펄스상기준전압 보다 펄스가 출력되고 있다 없다에 상관없이 발광 다이오드(510)가 점등된다.Therefore, the resistance 509 and the variable resistor 510 of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11 are high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pulsed reference voltage only when the voltage of the AC voltage 5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When the resistance value or the output voltage of the pulsed reference voltage is set,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AC power supply 5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oltage, the light emitting diode 510 is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a pulse is output than the pulsed reference voltage. Lights up.

또 교류전원(500)의 전압이 상기 소정의 전압 미만인 때에는 상기 펄스상 기준전압으로 펄스가 출력되고 있을때에는 발광 다이어드(513)는 소등된다.When the voltage of the AC power supply 500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oltage, the light emitting diamond 513 is turned off when a pulse is outputted at the pulsed reference voltage.

즉, 상기 발광 다이오드(513)은 점멸 동작한다.That is, the light emitting diode 513 blinks.

그럼, 변압기(514)의 한쌍의 입력단자는 제 2접점(504) 및 상기 입력단지(599)에 접속되어 있다.Then, the pair of input terminals of the transformer 514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504 and the input terminal 599.

또 드릴모우터(515)는 메인 릴레이(546)의 b접점(547)을 통해서 상기 제2접점(504)및 입력단자(599)에 접속되어 있다.The drill motor 515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504 and the input terminal 599 through the b contact 547 of the main relay 546.

CT 트랜스(516)는 상기 드릴모우터(515)에 흐르는 전류에 응하는 전압을 발생한다.The CT transformer 516 generates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flowing in the drill motor 515.

상기 변압기(514)의 출력단자는 브릿지형 정류기(517)의 한쌍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브릿지형 정류기(517)의 출력단자는 정전압회로(518)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514 is connected to a pair of input terminals of the bridge type rectifier 517. The output terminal of the bridge rectifier 517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18.

상기 CT트랜스(516)의 출력은, 로퍼스 필터(519)를 통해서 전파정류평활증폭회로(520) 및 반파정류평활증폭회로(521)에 공급된다.The output of the CT transformer 516 is supplied to the full-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520 and the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521 through the loafers filter 519.

따라서, 상기 전파정류평활증폭회로(520) 및 반파정류평활증폭회로(521)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드릴모오루(515)에 흐르는 전류에 융한 전압차가 된다. 상기 전파정류평활증폭회로(521)의 출력신호선은 비교기(554), (555) 및 (556)으 반전 입력단자 및 비교기(557)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refor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full-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520 and the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circuit 521 becomes a voltage difference that is fused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ll module 515. The output signal lines of the full-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circuit 521 are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s of the comparators 554, 555, and 556 and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s of the comparator 557.

또 상기 정전압회로(518)의 출력선에 접속된 저항(550)의 각 부분(C),(D),(E) 및 (F)는 상기 비교기(554), (555) 및 (556)의 비반전 입력단자 및 비교기(557)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arts C, D, E and F of the resistor 550 connected to the output line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18 is connected to the comparators 554, 555 and 556.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57 are connected.

여기에서 상기 (C), (D), (E) 및 (F)의 전위를 각각 (c), (d), (e) 및 (f)라 하면 이러한 각 전위에는 제 1식의 관계가 있다.If the potentials of (C), (D), (E) and (F) are (c), (d), (e) and (f), respectively, each of these potentials has a first relation. .

c〉d〉e〉f〉0〔V〕 (1)c> d> e> f> 0 (V) (1)

또 상기 각 비교기(554)∼(557)의 출력선에는 각각 소정의 저항을 통해서, 발광 다이오드(558)∼(561)가 접속되어 있다.Light emitting diodes 558 to 561 are connected to output lines of the comparators 554 to 557 through predetermined resistors, respectively.

따라서 드릴모우터(515)의 전류가 대체로 0으로 되어 반파정류팽창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이 f보다도 작게 되었을 때에는 발광다이오드(561)만이 점등된다.Therefore, when the current of the drill motor 515 becomes substantially 0,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half-wave rectified expansion amplifier 521 is smaller than f, only the light emitting diode 561 is turned on.

또 드릴모우터(515)에 가하는 부하가 가볍고, 그 드릴모우터(515)의 전류치가 작은때 즉, 반파정류평활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C)를 넘어섰을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560)가 점등되고, 그와 같이 상기 부하가 약간 무겁고, 드릴모우터(515)의 전류치가 약간 커져서 반파정류평활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이 (d)를 넘어섰을때에는, 다시 발광 다이오드(559)가 점등한다.When the load applied to the drill motor 515 is light and the current value of the drill motor 515 is small, that is, when the output voltage C of the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521 is exceeded, the light emitting diode 560 is used. When the load is slightly heavy and the current value of the drill motor 515 is slightly increased, the output voltage of the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circuit 521 exceeds (d). Lights up.

그래서, 상기 부하가 대단히 무겁고, 드릴모우터(515)의 전류치가 대단히 커져서, 반파정류팽활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C)를 넘어섰을 때에는 다시 발광 다이오드(558)가 점등된다.Therefore, when the load is very heavy and the current value of the drill motor 515 becomes very large and exceeds the output voltage C of the half-wave rectified expansion amplifier 521, the light emitting diode 558 is turned on again.

상기 발광 다이오드(560)가 점등하고 있을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561)는 소등된다.When the light emitting diode 560 is turned on, the light emitting diode 561 is turned off.

즉, 상기 발광 다이오드(561)는 드릴모우터(515)가 정지했을 때에 점등하는 정지 표시용 LED이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558)∼(560)는 드릴모우터(515)에 흐르는 전류치에 응해서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전류레벨 표시용 LED이다.That is, the light emitting diode 561 is a stop display LED which is turned on when the drill motor 515 is stopped,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558 to 560 are sequentially in response to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drill motor 515. LED for current level indication.

그래서 브릿지형 정류기(582)의 입력단자는 메인 릴레이(546)의 b 접점(547), 및 트라이악(585)을 통해서 입력단자(599) 및 메인스위치(501)의 제2점점(50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트라이악(585)은 후술하는 점고펄스발행회로(58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브릿지형 정류기(582)의 출력선은 극성 반전 릴레이(534)의 한쌍의 접점(583)을 통해서 전송모우터(101)에 접속되어 있다.Thus, the input terminal of the bridge type rectifier 582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int 504 of the input terminal 599 and the main switch 501 through the b contact 547 of the main relay 546, and the triac 585. Connected. The triac 585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viscous pulse issuing circuit 581 described later. The output line of the bridge rectifier 582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otor 101 via a pair of contacts 583 of the polarity inversion relay 534.

상기 한쌍의 접점(583)은 브릿지형 정류기(582)로 부터 출력이 발생되어 있을 때에는, 평상시에는 드릴장치(3)가 하강하도록 또 극성반전 릴레이(534)의 압력에 의해 드릴 장치(3)가 상승하도록 상기 브릿지형 정류기(582)의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환해서 전송 모우터(101)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When the output of the pair of contacts 583 is generated from the bridge type rectifier 582, the drill device 3 is normally op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polarity inversion relay 534 so that the drill device 3 descends normally.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is controlled by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bridge rectifier 582 so as to rise.

점고 펄스발생회로(581)는 상기 b접점(547)을 통해서 입력단자(599) 및 제 2접점(50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고 펄스 발생회로(581)는 그 제어단자(581A)에 인가되는 전위에 응해서, 상기 트라이악(585)을 제어한다.The point-high pulse generating circuit 581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599 and the second contact 504 via the contact b 547. The point-to-point pulse generating circuit 581 controls the triac 585 in response to a potential applied to the control terminal 581A.

상기 전파 정류평할 증폭회로(520)의 출력신호선은 자동회로(523)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송속도 기준전압발생회로(522)의 출력선은 상기 차동회로(52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signal line of the full-wave rectified flat amplifier 520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automatic circuit 523. The output line of the transmission speed reference voltage generator 522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circuit 523.

상기 전송속도 기준전압발생회로(522)로 부터 출력되는 전위는 상기 전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0)로 부터 출력되는 최대 전위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The potenti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rate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522 is set to a value larger than the maximum potential output from the full-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circuit 520.

차동회로(523)의 출력신호는 전송속도 기준전압발생회로(522)의 출력신호로부터 전파 정류평활증폭회로(520)의 출력신호를 뺀차의 신호이므로 그 차동회로(523)의 출력 신호는 드릴모우터(515)의 전류치가 클때(드릴 모우터(515)의 부하가 클때)에는 작게, 역으로 드릴 모우터(515)의 전류차가 작을 때(드릴 모우터(515)의 부하가 작을때)에는 크게 된다.Since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circuit 523 is a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ull-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circuit 520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speed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522,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circuit 523 is drill-moor. When the current value of the rotor 515 is large (when the load of the drill motor 515 is large), when the current difference of the drill motor 515 is small (when the load of the drill motor 515 is small) It becomes big.

상기 차동회로(523)의 출력신호선은 직렬로 접속된 저항(571) 및 가변저항(572)을 통해서 정전압회로(518)의 마이너스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signal line of the differential circuit 523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output terminal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18 through a resistor 571 and a variable resistor 572 connected in series.

이 저항(571) 및 가변저항 (572)의 접속점(J)는 다음에 기술하는 빨리 되돌리는 전압인가용 릴레이(532)의 후술함과 같이 통상의 천공 작업시에는 트랜지스터(568)∼(570)는 오프이므로, 점고 펄스 발생회로(581)는 상기 차동회로(523)의 출력신호의 전위에 따라서 제어된다. 즉 드릴 모우터(515)의 부하가 비교적 클때에는 전송모우터(101)의 회전수가 적어져서 드릴장치(3)의 하강속도가 작아지고, 역으로 드릴 모우터(515)의 부하가 작을 때에는 전송모우터(101)의 회전수가 커져서 드릴장치(3)의 하강속도가 크게 된다.The connection point J of the resistor 571 and the variable resistor 572 is used for transistors 568 to 570 during normal drilling operations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fast-returning voltage application relay 532 described below. Since is off, the point-high pulse generating circuit 581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tential of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circuit 523. That is, when the load of the drill motor 515 is relatively larg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decreases, so that the descending speed of the drill apparatus 3 decreases, and conversely, when the load of the drill motor 515 is small, the transmiss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01 becomes large, and the descending speed of the drill apparatus 3 becomes large.

상술한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신호선은 다시 비교기(565) 및 (566)의 비반전 입력단자, 또 비교기(567)의 반전입력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output signal lines of the half-wave rectified smooth amplification circuit 521 are again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s of the comparators 565 and 566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67.

또 상기 정전압 회로(518)의 출력선에 접속된 저항(564)의 각 부분(G), (H) 및 (I)는 상기 비교기(565) 및 (566)의 반전입력단자, 또 비교기(567)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Each of the portions G, H and I of the resistor 564 connected to the output line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18 is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s 565 and 566 and a comparator 567.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여기서 상기 (G), (H) 및 (I)의 전위를 각각 (g), (h) 및 (i)라고 하면 이러한 각 전위에는 제 2식의 관계가 있다.If the potentials of the above (G), (H) and (I) are (g), (h) and (i), respectively, these potentials have a relation of the second equation.

g〉h〉i〉f〉0〔V〕 (2)g> h> i> f> 0 (V) (2)

또 상기 비교기(565)∼(567)의 출력선은 각각 트랜지스터(568)∼(570)상기 에미터 상기 전전압 회로(518)의 마이너스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lines of the comparators 565 to 567 are connected to the negative output terminals of the transistors 568 to 570 and the emitter full voltage circuit 518, respectively.

또 상기 트랜지스터(570) 및 (569)의 콜렉터는 각각 다이오드(573) 및 저항(574)을 통해서, 항상 닫혀있는 시험용 스위치(575)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collectors of the transistors 570 and 569 are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test switch 575 which is always closed via the diode 573 and the resistor 574, respectively.

상기 트랜지스터(568)의 콜렉터는 직접, 시험용 스위치(575)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568 is directly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test switch 575.

상기 시험용 스위치(575)의 또다른 쪽의 단자는 상기 접속점(J)에 접속되어 있다.The other terminal of the test switch 57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J.

여기서 드릴이 천공을 개시하기전 등의 드릴모우터(515)에 걸리는 부하가 대단히 가벼운 상태이며, 드릴 모우터(515)의 전류치가 작을때에는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전위가(i) 보다도 낮아져서 트랜지스터(570)가 온이 된다.Here, the load on the drill motor 515, such as before the drill starts drilling, is very light, and when the current value of the drill motor 515 is small, the output potential of the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521 is (i The transistor 570 is turned on since the voltage is lower than.

이 트랜지스터(570)의 온동작으로 해서 다이오드(573)가 연결되고, 그 다이오드(573)의 순방향의 전압의 강하에 의해서 접속점(J)의 전위가 저하된다.The diode 573 is connected by the ON operation of the transistor 570, and the potential of the connection point J decreases due to the drop in the forward voltage of the diode 573.

드릴의 회전이 개시되어서부터 실제에 피가공물에 대하여 천공을 개시하기 전의 무부하의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다이오드(573)가 정전류 소자로서 기능하고, 제어 단자(581A)의 전위가 저하해서 그리고 전송모우터(101)에 공급되는 전압의 전압치가 저하해서 그 전송모우터(101)의 회전수가 작아진다.In the no-load state from the start of the rotation of the drill to the actual start of drilling of the workpiece, the diode 573 functions as a constant current element, and the potential of the control terminal 581A decreases, and the transfer motor ( The voltage value of the voltage supplied to 101 decreases,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becomes small.

즉, 드릴장치(2)의 보내기 속도가 작아진다(스로우 스타트).That is, the feed speed of the drill apparatus 2 becomes small (throw start).

천공이 시작되고, 드릴모우터(515)의 부하가 크게되고, 반파정류 평화회로(521)의 출력전위가(i) 보다도 높고 그리고(h) 보다도 낮아지면, 모든 트랜지스터(568)∼(570)가 오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접속점(J)의 전위는 저항(571) 및 가변저항(572)에 의해서 분할된 차동회로(523)의 출력전압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드릴모우터(515)의 부하가 비교적 큰때에는 전송모우터(101)의 회전수가 작아져서 드릴장치(3)의 하강속도가 작아지고, 역으로 드릴모우터(515)의 부하가 작을때에는 전송 모우터(101)의 회전수가 커져서 드릴장치(3)의 하강속도가 크게 된다.When the drilling is started, the load of the drill motor 515 becomes large, and the output potential of the half-wave rectifying peace circuit 521 is higher than (i) and lower than (h), all the transistors 568 to 570. Is off. Accordingly, the potential of the connection point J becomes the output voltage of the differential circuit 523 divided by the resistor 571 and the variable resistor 572. As described above, the load of the drill motor 515 is relatively large. At this tim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decreases and the descending speed of the drill apparatus 3 decreases. On the contrary, when the load of the drill motor 515 is smal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increases and the drill apparatus ( The descent speed of 3) becomes large.

다음에 드릴 모우터(515)의 부하가 어떤 요인으로 해서 즉, 예를 들면 드릴의 날 끝에 형성되는 칼날끝의 구성 혹은 금속 절삭설의 배출 불량등의 요인에 의해서 부하가 켜져서 반파정류평활증폭회로(521)의 출력전위가 (h)보다도 높아지면 트랜지스터(569)가 온이되므로 상기 접속점(J)의 전위는 가변저항(572) 양단의 전압강하분만큼 저하된다. 그 결과 전송모우터(101)의 회전수가 작아져서 드릴장치(3)의 하강속도가 저하된다.Next, the load of the drill motor 515 is turned on due to a factor, that is,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blade tip formed at the end of the drill, or the discharge of metal cutting tongue, etc. When the output potential of the circuit 521 is higher than (h), the transistor 569 is turned on, so the potential of the connection point J is lowered by the voltage drop across the variable resistor 572. As a result, the rotation speed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becomes small, and the descending speed of the drill apparatus 3 falls.

드릴 모우터(515)의 부하가 다시 켜져서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전위가 (g)보다 높아지면, 트랜지스터(565)로 온이 되고 상기 접속점(J)의 전위는 정전압회로(518)의 마이너스 출력 단자의 레벨로 저하된다.When the load of the drill motor 515 is turned on again and the output potential of the half-wave rectified smooth amplification circuit 521 becomes higher than (g), the transistor 565 is turned on and the potential of the connection point J is changed to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 It decreases to the level of the negative output terminal of 518).

즉 접속점(J)는 전위는 0〔V〕가 된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point J has a potential of 0 [V].

따라서 제어단자(581A)의 전위로 0가 되서, 트라이락(585)의 가압이 행해질 수 없게 된다. 즉 전송 모우터(101)의 회전이 정지된다.As a result, the potential of the control terminal 581A is zero, so that the pressurization of the trilock 585 cannot be performed. That is, the rotation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is stopped.

그래서 상기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선은 비교기(525)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기준전압 발생회로(524)의 출력선은 상기 비교기(525)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us, the output line of the half-wave rectified smooth amplification circuit 521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25. The output line of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524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25.

상기 기준전압 발생회로(524)의 출력전압은 드릴모우터(515)로 천공이 행해지고 있을 때 및 행하지 않은때의 각각의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이 대략 중간치로 설정되어 있다.The output voltage of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524 is set to approximately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f each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circuit 521 when the drilling motor 515 is being drilled and when it is not.

따라서 드릴모우터(515)에 의해 천공이 행해지고 있지 않고 그 드릴모우터(515)가 무부하인 때에는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은 기준전압발생회로(524)의 출력전압을 밑돌며, 비교기(525)의 출력을 발생하지 않는다.Therefore, when the drilling motor 515 is not perforated and the drill motor 515 is unloaded, the output voltage of the half-wave rectified smooth amplification circuit 521 falls below the output voltage of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524. ,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525 is not generated.

역으로 드릴모우터(515)에 의해 천공이 행해지고 있으며, 그 드릴모우터(515)에 부하가 발생하고 있을때에는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은 기준전압 발생회로(524)의 출력전압을 상회하고, 비교기(525)는 출력을 발생한다.On the contrary, the drilling is performed by the drill motor 515, and when the load is generated in the drill motor 515, the output voltage of the half-wave rectified smooth amplification circuit 521 is the output of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524. Above the voltage, the comparator 525 generates an output.

지시 전압발생 지연회로(526)은 상기 비교기(525)가 출력을 발생해서 정지할때 까지의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예로서 1∼2초)보다도 클때에는 출력(지시전압)을 발생한다. 즉 자동 천공을 행하기 전에 드릴장치(3)의 전송을 수동으로 해서 시험천공을 행할때에는 비교기(525)의 출력 신호가 순간적으로 온이 되는데, 이러한 때에는 상기 지시 전압발생 지연회로(526)는 출력을 발생치 않는다.The instruction voltage generation delay circuit 526 generates an output (indication voltage) when the time until the comparator 525 generates an output and stop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to 2 seconds) set in advance. That is, when the test drilling is performed by manually transmitting the drill device 3 before the automatic drill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525 is turned on momentarily. In this case, the instruction voltage generation delay circuit 526 outputs the output. Does not occur.

상기 비교기(525)의 출력이 온이 되고(천공을 개시하고), 소정의 시간을 겨과한 후에 오프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지시 전압발생 지연회로(526)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낟. 이 출력신호의 발생은 자동전송에 의해 천공이 종료한 것을 의미한다.When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525 is turned on (starting puncturing) and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instruction voltage generation delay circuit 526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e generation of this output signal means that the puncturing is completed by automatic transmission.

상기 출력신호의 발생에 의해 펄스발생회로(527)은 펄스를 발생하고, 그 펄스는 래치(latch) 회로(528)에 의해서 래치된다.By the generation of the output signal, the pulse generating circuit 527 generates a pulse, and the pulse is latched by the latch circuit 528.

이 래치에 의해 지연회로(529), 또 릴레이 구동회로(531) 및 (533)가 가압된다.By this latch, the delay circuit 529 and the relay drive circuits 531 and 533 are pressed.

제13도는 상기 지시 전압발생 지연회로(526) 및 펄스발생회로(527) 및 래치회로(528)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the instruction voltage generation delay circuit 526, the pulse generation circuit 527, and the latch circuit 528. FIG.

제13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부분을 표시한다.In Fig. 1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1 denote the same parts.

비교기(525)의 출력선은 저항(603)을 통해서 NOR회로(605)의 출력단자는 NOR 회로(606)의 한쪽의 입력단자(606B)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line of the comparator 525 is connected to one input terminal 606B of the NOR circuit 606 through the resistor 603.

또 상기 비교기(525)의 출력선을 저항(601)을 통해서 NOR 회로(606)의 또다른 쪽의 입력단자(606A)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line of the comparator 525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606A of the NOR circuit 606 through the resistor 601.

또 상기 비교기(525)의 출력선은 저항(601)을통해서 NOR 회로(606)의 다른쪽의 단자(606A)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line of the comparator 525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606A of the NOR circuit 606 through the resistor 601.

상기 입력단지(606A) 및 NOR 회로(605)의 한쌍의 입력단자는 각각 콘덴서(602) 및 (604)를 통해서 접지되어 있다.The pair of input terminals of the input terminal 606A and the NOR circuit 605 are grounded through the capacitors 602 and 604, respectively.

상기 콘덴서(602, 604)의 커페스던스이고, 또 저항(601, 603)의 전기저항은 비교기(525)의 출력이 "0"에서 "1"이 된 때에 "1"이 먼저 입력단자(606A)에 입력 되어서 그 다음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예로 1∼2초)을 늦게 NOR 회로(605)의 한쌍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s 602 and 604, and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resistors 601 and 603 are the first input terminals 606A when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525 becomes from "0" to "1". Are input to the pair of input terminals of the NOR circuit 605 at a later time.

환언하면, 콘덴서(604)보다도 먼저 콘덴서(602)의 충전이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NOR회로(606)의 출력단자는 NOR(607)의 한쪽의 입력단자(607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NOR 회로(607)의 출력단자는 NOR 회로(608)의 한쌍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charging of the capacitor 602 is completed before the capacitor 604. The output terminal of the NOR circuit 606 is connected to one input terminal 607B of the NOR 607. The output terminal of the NOR circuit 607 is connected to a pair of input terminals of the NOR circuit 608.

또, 상기 NOR 회로(608)의 출력단자는 상기 NOR 회로(607)의 또다른 쪽의 입력단자(607A) 및 지연회로(529), 릴레이 구동회로(531, 533)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NOR circuit 608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607A of the NOR circuit 607, the delay circuit 529, and the relay drive circuits 531, 533.

다음에 이 지시전압발생 지연회로(526) 및 펄스발생회로(527) 및 래치회로(528)의 동작을 제14도로서 설명한다.Next, operations of the instruction voltage generation delay circuit 526, the pulse generation circuit 527, and the latch circuit 52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①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드릴모우터(515)가 천공을 행하고 있지 않을때(초기상태)에는 비교기(525)의 출력은 "0"이고 점(S)의 한쌍의 입력단자(NOR 회로(606)의 입력단자(606A)) 및 점(T)(NOR 회로(605)의 전위도 " 0"이다.First, as shown in ①, when the drill motor 515 is not drilling (initial stat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525 is "0" and a pair of input terminals of the point S (NOR circuit 606). Potential of the input terminal 606A) and the point T (NOR circuit 605) are also " 0 ".

따라서 NOR회로,(606, 607, 608)의 출력은 "1", "1", "0" 및 "0"이다.Thus, the outputs of the NOR circuits 606, 607, 608 are " 1 ", " 1 ", " 0 " and " 0 ".

다음에 드릴모우터(515)가 천공을 개시하면, 그 전류치가 증대함으로써 ②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비교기(525)의 출력이 "0"로부터 "1"이 된다.Next, when the drill motor 515 starts drilling, the current value increases so that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525 becomes "1" from "0" as indicated by (2).

이때에 콘덴서(602) 및(604)에의 충전이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으므로 점(S) 및 점(T)의 전위는 "0"이며, 각 NOR 회로(605)∼(608)의 출력도 변하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charging to the capacitors 602 and 604 has not yet been completed, the potentials of the points S and T are "0", and the outputs of the respective NOR circuits 605 to 608 also do not change. .

이 천공개시로부터 조금 늦어서 콘덴서(602)로의 충전이 완료하면, ③에서 도시함과 같이 점(S)의 전위가 "1"이 되고 그러나 이 시점엔느 콘덴서(604)로의 충전이 완료되어 있지 않으므로 점(T)의 전위는 "0"상태이고 각 NOR 회로(605)∼(608)의 출력도 변하지 않는다.When the charge to the capacitor 602 is completed a little later from the start of drilling, the potential of the point S becomes "1" as shown in 3), but at this point, the charge to the capacitor 604 is not completed. The potential of the point T is in the " 0 " state and the output of each of the NOR circuits 605 to 608 does not change.

상기 천공개시로부터 조금 늦어져서 콘덴서(604)에의 충전도 안료되면 ④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점(T)의 전위도 "1"이 된다.If the charge to the condenser 604 is also pigmented a little later from the start of the puncture, the potential of the point T becomes "1" as shown in (4).

따라서 NOR 회로(605)의 출력은 "1"에서 "0"이 된다.Therefore, the output of the NOR circuit 605 becomes "1" to "0".

그러나 점(S)의 전위는 "1"이므로 NOR회로(606)의 출력은 "0"상태이고, 따라서 NOR회로(607, 608)의 출력은 변하지 않는다.However, since the potential of the point S is " 1 ", the output of the NOR circuit 606 is in the " 0 " state, so that the outputs of the NOR circuits 607 and 608 do not change.

천공이 완료하면, 드릴모우터(515)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함으로 ⑤에서 도시함과 같이 비교기(525)의 출력은 다시 "0"이 된다.When the drilling is complete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ll motor 515 decreases, so that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525 becomes "0" again as shown in ⑤.

이때에 콘덴서(602, 604)의 방전은 끝나지 않았으므로 점(S) 및 (T) 또 NOR 회로(605, 608)의 출력은 변하지 않는다(즉 ④와 같다).At this time, since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s 602 and 604 is not finished, the outputs of the points S and T and the NOR circuits 605 and 608 do not change (i.e., ④).

천공 완료후로부터 조금 늦어져서 콘덴서(602)의 방전이 완료되면 ⑥에서 도시되는 점(S)의 전위는 "0"이 된다.When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602 is completed a little later than the completion of the drilling, the potential at the point S shown at 6 becomes "0".

이 시점에서 콘덴서(607)의 방전은 완료하지 않았으므로 점(T)의 전위는 "1"(즉, NOR회로(605))의 출력은 "0"이다.At this point, since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607 has not been completed, the potential of the point T is "1" (that is, the output of the NOR circuit 605) is "0".

따라서 NOR회로(606)의 출력은 "1"이고, 그리고 NOR 회로(607, 608)의 출력은 각각 "0" 및 "1" 이 된다.Therefore, the output of the NOR circuit 606 is "1", and the outputs of the NOR circuits 607 and 608 are "0" and "1", respectively.

즉, 지연회로(529) 또 릴레이 구동회로(531, 533)에 대해서 천공완료를 표시하는 제어신호가 출력된다.That is, a control signal indicating puncturing completion is output to the delay circuit 529 and the relay drive circuits 531 and 533.

그후는 ⑦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콘덴서(604)의 방전으로 종료해서 점(T)의 전위도 "0"이 되고 NOR회로(605, 606)의 출력은 반전한다.Thereafter, as shown in?, The discharge ends of the capacitor 604, and the potential of the point T also becomes "0", and the outputs of the NOR circuits 605 and 606 are inverted.

그러나 NOR 회로(607)의 출력은 변화하지 않으므로 NOR 회로(608)의 출력도 변하지 않는다. 즉 상기의 천공완료를 표시하는 제어신호의 출력이 래치된다.However, since the output of the NOR circuit 607 does not change, the output of the NOR circuit 608 does not change. In other words,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puncturing is latched.

그래서 ③에서 도시한 상태의 다음 즉 콘덴서(604)에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때에 천공완료가 되었을때(예로 수동으로서 시험굴삭을 끝냈을때)는 그 직후에 있어서는 콘덴서(602)의 방전이 완료되어 있지 않으므로 ⑧에서 도시함과 같이 점(S) 및 (T)의 전위는 변하지 않고, 또 그후에 상기 콘덴서(602)의 방전이 완료한 때도 1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점(S)의 전위가 반전할 뿐이고 NOR 회로(605)∼(609)의출력에 변화는 없다.Therefore,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602 is not completed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drilling (for example, when the test excavation is completed manually) after the state shown in (3), that is, when the charging of the capacitor 604 is not completed. Therefore, as shown in (8), the potentials of the points (S) and (T) do not change, and when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602 is completed thereafter, only the potential of the point (S) is reversed as shown in FIG. There is no change in the output of the NOR circuits 605 to 609.

요컨대 상기의 천공 완료를 표시하는 제어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In short, the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puncturing is not output.

그리고, 상기 콘덴서(602)는 특별히 설비하지 않아도 좋으나 이 콘덴서(602)를 설치함으로써 드릴모우터(515)에 흐르는 전류치가 작아진 후에 천공 완료를 표시하는 제어신호가 약간 늦게 출력되게 된다.Although the condenser 602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in particular, the condenser 602 is provided so that a control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of drilling is output slightly later after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drill motor 515 is reduced.

천공완료 직후에 있어서는 피가공물의 하면쪽에 절삭편이 남아있게 마련인데 상기 제어신호가 지연되어 출력됨으로써 드릴장치(3)의 상승이 지연되고 이 결과, 상기 절삭편의 잔류를 극력방지할 수 있다.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the drilling, the cutting piece remains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workpiece, but the control signal is delayed and output, thereby delaying the rise of the drill apparatus 3, and as a result, the remaining of the cutting piece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제1도에 되돌아가서 상기 지연회로(529)는 상기 가압으로부터 예정시간 경과후에 빨리 되돌아가는 전압발생회로(530)를 가압한다.Returning to FIG. 1, the delay circuit 529 pressurizes the voltage generating circuit 530 which returns quickly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from the pressurization.

이 가압에 의해 빨리 되돌아가는 전압발생회로(530)는 드릴장치(3)의 하강시에 있어서의 전송속도보다도 빠른속도로 드릴장치(3)가 상승하도록 비교적 높은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The voltage generating circuit 530 quickly returned by this pressurization outputs a relatively high voltage signal so that the drill apparatus 3 rises at a speed higher than the transfer speed at the time of the drill apparatus 3 descending.

릴레이 구동회로(531, 533)은 각각 빨리 되돌아가는 전압인가용 릴레이(532) 및 극성 반전릴레이(534)를 가압해서 이에 따라 접점(580)이 변환되어 빨리 되돌아가는 전압발생회로(530)의 출력신호선이 제어단자(581A)에 접속점과 함께 접점(583)이 변환되어 전송모우터(101)에 공급되는 브릿지형 정류기(582)의 출력의 극성이 변환된다.The relay driving circuits 531 and 533 respectively press the voltage applying relay 532 and the polarity inversion relay 534 which return quickly, and the contact 580 is converted accordingly to output the voltage generating circuit 530 which returns quickly. A contact line 583 is converted together with a connection point of the signal line to the control terminal 581A, and the polarity of the output of the bridge rectifier 582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101 is converted.

이에 따라 상기 지시 전압발생 지연회로(526)가 출력을 발생하고서 상기 예정시간 경과후에 전송모우터(101)가 고속으로 역회전을 개시한다.Accordingly, the instruction voltage generation delay circuit 526 generates an output,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transmission motor 101 starts reverse rotation at high speed.

이결과 드릴장치(3)가 고속으로 상승한다.As a result, the drill apparatus 3 rises at high speed.

그리고, 상기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신호선은 다시 비교기(54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signal line of the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circuit 521 is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42 again.

또 상기 정전압회로(518)의 출력신호선은 미분회로(540)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signal line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18 is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circuit 540.

이 미분회로(540)에 접속되어 있다.It is connected to this differential circuit 540.

이 미분회로(540)는 상기 정전압회로(518)의 출력신호를 미분하고 그 미분신호가 소정치 이상이 되어있을 때에는 전정지 기준전압발생회로(541)에서 출력되는 기준전압(전정지 기준전압)을 상승시킨다.The differential circuit 540 differentiates the output signal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18 and the reference voltage output from the full stop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541 when the differential signal i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full stop reference voltage). To increase.

그리고 상기 미분신호가 소정치 미만일때에는 전정지 기준 전압을 평상상태로 되돌린다. 상기 정전지 기준전압은 상기 비교기(542)의 반전 입력단자에 공급된다.When the differential signal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full stop reference voltage is returned to the normal state. The electrostatic cell refere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42.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신호는 드릴모우터(515)의 회전개시시의 대전류(기동 전류)에 의해 2회전 개시시에 순간적으로 크게 되고 이때의 미분회로(540)의 출력전압은 반파정류 평활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보다도 높아진다.The output signal of the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circuit 521 is momentarily increased at the start of two revolutions by the large current (starting current) at the start of the rotation of the drill motor 515,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differential circuit 540 at this time is The output voltage of the half-wave rectified smoothing amplifier circuit 521 is higher.

따라서 비교기(542)는 출력을 일으키지 않는다.Thus, comparator 542 does not produce an output.

또 미분회로(540)의 동작이 정지해도 드릴모우터(515)의 전류치도 저하하므로 전정지 기준전압 발생회로(541)의 출력전압은 반파정류 평활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보다도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value of the drill motor 515 also decreases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circuit 540 stops, the output voltage of the pre-stop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541 is high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half-wave rectified smoothing amplifier 521. Keep it.

그러나 예측할 수 없는 요인에 의해 드릴모우터(515)의 정상 운전상태시에 큰 부하가 걸렸을때는 상기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치를 넘어서고 이에 따라 비교기(542)가 출력을 발생한다.However,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drill motor 515 due to an unpredictable factor, the output voltage value of the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521 is exceeded, and the comparator 542 generates an output accordingly.

상기 비교기(542)의 출력발생에 따라 메인 릴레이 구동유지회로(543)가 가압되어 메인 릴레이(546)가 작동하고 b접점(547)이 개(開)가 된다.As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542 is generated, the main relay driving holding circuit 543 is pressed to operate the main relay 546 and the b contact 547 is opened.

따라서 드릴모우터(515) 및 전송모우터(101)의 회전이 정지한다.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drill motor 515 and the transmission motor 101 is stopped.

상기 메인 릴레이(546)의 작동은 메인 릴레이 구동유지회로(543)에 전원공급이 정지될때에 유지된다.The operation of the main relay 546 is maintained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relay driving holding circuit 543 is stopped.

상기 메인 릴레이 구동유지회로(543)에의 전원공급은 메인스위치(501)의 접점중 적어도 제 2접점(504)을 개(開)가 될때까지 행한다.The power supply to the main relay drive holding circuit 543 is performed until at least the second contact 504 of the contacts of the main switch 501 is opened.

상기 전정지 기준전압 발생회로(541)는 후술하는 릴레이(589)의 a접점(590) 및 상단검출스위치(544) 및 엇갈림 검지스위치(545)를 병렬로 개재해서 정전압 회로(518)의 마이너스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The pre-stop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541 outputs the negative output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518 via the contact a 590 and the upper end detection switch 544 and the stagger detection switch 545 of the relay 589 described later in parallel.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상기 상단 검출스위치(544)는 드릴장치(3)가 최상단 위치에 상승했을 때에 온이 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오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end detection switch 544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when the drill apparatus 3 ascends to the uppermost position and to be turned off in other cases.

또 상기 엇갈림 검지스위치(545)는 당해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전자석이 피가공물 위로부터 엇갈림된 때에 순간적으로 온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tagger detection switch 545 is configured to turn on instantaneously when the electromagnet of the drill apparatus with the electromagnet base is staggered from the workpiece.

상기 a접점(590) 상단 검출스위치(544) 또는 엇갈림 검지스위치(545)가 온이되며 전정지 기준전압발생회로(541)에서 발생하는 기준전압이 0〔V〕로 저하하고 반파정류 평활증폭회로(521)의 출력전압치에 상관없이 메인릴레이(546)가 작동한다.The a-contact 590 upper end detection switch 544 or the stagger detection switch 545 is turned on, and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ed by the pre-stop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541 falls to 0 [V] and the half-wave rectification smoothing amplifier circuit The main relay 546 operates regardless of the output voltage value of 521.

그리고 상기 상단 검출스위치(544)는 상술한 것과 같이 천공종료후, 드릴장치(3)가 최상단 위치로 상승한 때에 온이 된다.The upper end detection switch 544 turns on when the drill apparatus 3 ascends to the uppermost position after the end of the drilling as described above.

다음의 천공시에는 해당 전자석 베이스 부 드릴장치의 조작자는 드릴의 위치 결정을 위해서 드릴장치(3)의 하강 조작을 행함으로, 이에 따라 상기의 상단 검출 스위치(544)가 오프되고, 비교기(542)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소정 전위가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다음번의 천공이 가능해진다.During the next drilling, the operator of the electromagnet base portion drill apparatus performs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drill apparatus 3 for positioning of the drill, whereby the upper detection switch 544 is turned off, and the comparator 542 A predetermined potential is appli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refore, the next drilling is possible.

또 상기 엇갈림 검지스위치(54)는 통형상과 그 통형상체내에 봉해 넣은 수은과 상기 통형상체내에 돌출하도록 구성된 한쌍의 접점으로서 구성되게 된다.The stagger detection switch 54 is configured as a cylindrical shape, mercury encapsulated in the cylindrical shape, and a pair of contacts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cylindrical shape.

이와 같은 구성된 스위치를 상기 한쌍의 접점이 약간의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통형상체를 경사지어 그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에 설치하면 그 접점은 항상 오프이고 그리고 그 전자석부 드릴장치에 강한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 통형상체내에서 수은이 이동해서 상기 접점은 순간적으로 온이 된다.When such a switch is installed on the drill device with the electromagnet base inclined so that the pair of contacts are slightly upward, the contact is always off and strong vibration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drill device. At that time, mercury moves in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contact is turned on instantaneously.

또 상기 엇갈림 검지 스위치(545)는 고정접점과 스프링의 수단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에 근접해서 배치된 가동접점으로서 구성되기도 한다.The stagger detection switch 545 may also be configured as a movable contact disposed close to the fixed contact by means of a fixed contact and a spring.

이 구성을 소유하는 스위치도 그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에 강한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접점을 순간적으로 온이된다.The switch possessing this configuration also turns on the fixed contact point and the movable contact momentarily when a strong vibration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based drill device.

그럼 안전회로(586)는 다이오드(587), 저항(588) 및 릴레이(589)를 직렬로 접속해서 구성되고, 그것들을 상기 전송모우터(101)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The safety circuit 586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diode 587, a resistor 588, and a relay 589 in series, and ar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otor 101 in parallel.

상기 다이오드(587)는 드릴장치(3)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전송모우터(101)가 회전하고 있을때에도 통하도록 접속되어 있다.The diode 587 is connected so as to pass even when the transmission motor 101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ll apparatus 3 descends.

저항(588)의 저항치는 드릴장치(3)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전송모우터(101)가 회전하고 있을때에 상기 전송모우터(101)의 양단자 사이에 빨리 되돌리기 전압 발생회로(530)의 출력전압의 전압치와 대략 동일한 또는 그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어 버렸을때에 상기 릴레이(589)가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588 is outputted by the voltage generator circuit 530 to quickly return between both terminals of the transmission motor 101 when the transmission motor 101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ll apparatus 3 descends. The relay 589 is set to operate when a voltage approximate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voltage is applied.

즉 해당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가 정상일때에는 드릴장치(3)의 상승시에만 빨리 되돌리기 전압발생회로(530)로부터 출력되는 높은 전압이 전송 모우터(101)에 인가되는데 그 제어장치의 고장에 의해서 드릴장치(3)의 하강시에 상기 전압정도 이상의 높은 전압이 전소모우터(101)에 인가되며 버린때에는 릴레이(589)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a접점(590)이 폐(閉)가 된다.That is, when the control device of the drill device with the corresponding electromagnet base is normal, the high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return circuit 530 is quickly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101 only when the drill device 3 rises. When the drill device 3 is lowered by a high voltag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all-power motor 101, the relay 589 operates when discarded so that the contact a 590 is closed. .

따라서 전정지 기준전압 발생회로(541)에서 발생되는 기준전압이 0〔V〕로 저하해서 메인 릴레이(546)가 작동하고 드릴모오터(515) 및 전송모우터(101)가 정지한다.Therefore,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ed by the all-sto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541 falls to 0 [V] so that the main relay 546 operates, and the drill motor 515 and the transmission motor 101 stop.

그럼 상기 안전회로(586)가 정상으로 가능하나 안하나를 확인하기에는 상기 메인 스위치(501)의 제 2접점(504)를 폐함과 동시에 시험용 스위치(575)를 개하고, 가변저항(572)를 조정해서 그 저항치를 높이고 접속점(J)의 전위를 상기 빨리 되돌리기 전압발생회로(503)의 출력전압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상승시키면 좋다.Then, the safety circuit 586 can be normal, but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re is any, close the second contact 504 of the main switch 501 and at the same time open the test switch 575, adjust the variable resistor 572 It is good to raise the resistance value and raise the potential of the connection point J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equal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quick return voltage generation circuit 503.

이에 따라 천공종료후에 전송 모우터(101)에 인가될 전압이 드릴장치(3)의 하강시에 인가된다. 즉, 전송모우터(101)에 대해서 안전회로(586)가 정상으로 기능하는가 하지 않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전압이 인가된다.Accordingly, the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101 after the end of the drilling is applied when the drill apparatus 3 descends. In other words, a test voltage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101 to confirm whether the safety circuit 586 functions normally.

여기에서 상기 시험용 스위치(575)를 개조하는 것은 드릴 모우터(515)가 천공을 하고 있지 않을때에는 반파정류평활 증폭회로(512)의 출력전압치는 낮으며, 상기(I)의 전위를 밑돌고, 다이오드(573)가 도통해 버림으로 이때에는 가변저항(572)의 저항치를 변경해도 접속점(J)의 전위를 높일수가 없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test switch 575 is adapted to have the output voltage value of the half-wave rectified smooth amplification circuit 512 low when the drill motor 515 is not drilling. This is because 573 becomes conductive, and at this time, even if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572 is changed, the potential of the connection point J cannot be increased.

안전회로(586)의 작동이 확인되면, 제2접점(504)을 개한후, 시험용 스위치(575)를 다시 폐로하고 가변저항(572)의 저항치를 원위치로 되돌린다.When the operation of the safety circuit 586 is confirmed, after the second contact 504 is opened, the test switch 575 is closed again and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57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그리고 그 제어장치가 비교기(567), 트랜지스터(570) 및 다이오드(57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때에는 상기 시험용 스위치(575)는 특별히 설치하지 않아도 가변저항(572)의 저항치를 변경함으로써 접속점(J)의 전위를 높일수가 있다.When the control device is not provided with the comparator 567, the transistor 570, and the diode 573, the test switch 575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bu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572 is changed to thereby connect the connection point J. Can increase the potential of.

이상의 설명으로서 명확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고안의 효과][Effect of design]

이상의 설명에서 명확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1)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에 의해서, 천공시에 보내기 모우터에 인가되는 전압이 너무 커진 경우에는 전송 모우터 및 드릴모우터의 회전이 즉석에서 정지되는 것으로 드릴장치으 아바에 취부된 날붙이가 파손되든가, 드릴드릴모우터가 소손되는 일이 없어진다.(1)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nding motor at the time of drilling becomes too large by the control device of the drill apparatus with the electromagnet base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of the transmission motor and the drill motor is stopped immediately. This prevents the cutlery attached to the drill unit from being damaged, and does not damage the drill drill motor.

(2)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에 의하면 릴레이, 다이오드 및 저항만으로서 안전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안전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2) According to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drill apparatus with an electromagnet bas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Item 2, a safety device can be constituted only by a relay, a diode, and a resistor. That is, the safety device can be configured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3)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 장치에 의하며는 자동 전송에 의한 천공종료를 확실히 판정할 수 있다. 또 피가공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천공종료후는 즉시 드릴장치의 상승을 행할 수 있었으므로 드릴장치의 최하단 위치를 리미트 스위치로 검출해서 드릴장치가 상승할때와 비교해서 그 천공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3) By the control device of the drill apparatus with the electromagnet base described in claim 3, the end of drilling by automatic transmission can be reliably determined. In addition, since the drilling device could be raise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drilling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workpiece,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drilling device was detected by the limit switch, and the drilling work could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than when the drilling device was raised. have.

Claims (3)

피가공물에 대해서 흡착을 행하는 전자석 베이스를 소유하는 프레임, 드릴 모우터를 소유하는 전기드릴이 사이 프레임에 고착되고, 상기 전기 드릴을 피가공물에 대해 진퇴운동을 시키는 직류의 전송모우터를 구비한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전기 드릴에 의한 피가공물의 천공 종료를 검출하는 천공검출수단과, 상기 천공종료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해서 상기 전송모우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바꾸어서, 또 천공시에 있어 전송모우터의 인가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을 그 전송모우터에 인가되는 전송모우터의 역전수단과, 상기 전기드릴의 하강시에 천공시에 있어서 전송모우터의 인가전압 보다도 높은 전압이 상기 전송모우터에 인가된 것을 검출해서 상기 드릴모우터 및 전송모우터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하는 안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An electromagnet having a direct current transmission motor for fastening and moving the electric drill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wherein the frame having the electromagnet base which adsorbs the workpiece and the electric drill having the drill motor are fixed to the interframe. A control device for a drill device with a base, wherein the polarit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is changed by punctur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end of puncturing of the workpiece by the electric drill and output of the puncturing end detecting means, In addition, a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at the time of drilling is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inverting means, and a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at the time of drilling when the electric drill descends. The safety circuit which detects that it has been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otor and stops the power supply to the drill motor and the transmission motor. An electromagnetic control device of the drilling device of the base mount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회로는 상기 드릴모우터 및 전송모우터에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는 접점을 구비한 릴레이, 저항 또는 다이오드를 직렬로 접속해서 된 그것들을 천공시에 상기 릴레이에 대해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송 모우터와 병렬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The safety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fety circuit is configured to connect a relay, a resistor, or a diode in series with a contact for stopping the supply of power to the drill motor and the transmission motor, and energizes the relay when drilling. Control device for a drill device with an electromagnet bas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ransmission motor to be ma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종료 검출수단을 드릴모우터의 전류치가 소정치를 초과하는 예정시간경과후에 상기 소정치를 밑도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석 베이스 부착의 드릴장치의 제어장치.The control device for a drill apparatus with an electromagnet bas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punching end detection means falls below said predetermined valu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the current value of the drill motor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KR2019930010367U 1989-06-23 1993-06-14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KR9300058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367U KR930005806Y1 (en) 1989-06-23 1993-06-14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73943U JP2514493Y2 (en) 1989-06-23 1989-06-23 Control device for drilling device with electromagnet base
JP1989073942U JP2516009Y2 (en) 1989-06-23 1989-06-23 Control device for electromechanical drilling device
JP89-73942 1989-06-23
JP89-73943 1989-06-23
KR2019900008913U KR930005805Y1 (en) 1989-06-23 1990-06-23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KR2019930010367U KR930005806Y1 (en) 1989-06-23 1993-06-14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913U Division KR930005805Y1 (en) 1989-06-23 1990-06-23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06Y1 true KR930005806Y1 (en) 1993-08-27

Family

ID=2746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367U KR930005806Y1 (en) 1989-06-23 1993-06-14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80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805Y1 (en)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KR890000121B1 (en) Drilling machine
US20130001250A1 (en) Touch-free dispenser with single cell operation and battery banking
CN2905993Y (en) Anti-clamping automatic closing device for power-driven glass windows in automobile
JPH0735698Y2 (en) Perforator
JP6811850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power tool
KR930005806Y1 (en) Controller for boring apparatus
CN105171398A (en) Tightening machine and method adopting same for tightening workpieces
JP2514493Y2 (en) Control device for drilling device with electromagnet base
JP2516009Y2 (en) Control device for electromechanical drilling device
JPH0724165Y2 (en) Drill equipment
JPH0735697Y2 (en) Control device for electromechanical drilling device
US20220200317A1 (en) Discharge circuit and discharging method of motor drive power supply circuit, and robot controller
JP3640904B2 (en) Hybrid pipette device
JP2000015586A (en) Electrically driven fastening tool with torque clutch
CN1248826C (en)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knife holder of economical numerical control machine
JPS6223557B2 (en)
KR20030005688A (en) Automatic lubricator
CN112705482A (en) Secondary detection device for plastic nut
CN214845652U (en) Worm gear speed reducer assembly stationarity detection device
CN218268485U (en) Transmission system oiling device
JPS60131136A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screw clamping machine
JP7287117B2 (en) power tools and control circuits
CN218276383U (en) Control device of electric push rod
CN216483935U (en) Automatic running-in device of clutch for aviation actu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