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34B1 - 대기를 이용한 전자동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대기를 이용한 전자동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34B1
KR930005334B1 KR1019900014096A KR900014096A KR930005334B1 KR 930005334 B1 KR930005334 B1 KR 930005334B1 KR 1019900014096 A KR1019900014096 A KR 1019900014096A KR 900014096 A KR900014096 A KR 900014096A KR 930005334 B1 KR930005334 B1 KR 93000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air
supply pipe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588A (ko
Inventor
박상근
Original Assignee
서광산업 주식회사
박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산업 주식회사, 박상근 filed Critical 서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334B1/ko
Publication of KR92000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03B1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with air reg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기를 이용한 전자동 급수장치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압식 물탱크 2,2a : 급수관
3 : 급수펌프 4 : 저수조
5,5a : 송수관 6 : 급수관
7 : 자동 물올림탱크 8 : 공기여과필터
9,9a : 역지변 10 : 공기공급관
11 : 자동공기 공급통 12 : 게이트밸브
13 : 항압밸브 14 : 리미트스위치
15 : 공기압 조정기 16 : 압축공기 공급관
16a : 압축공기공급지관 17 : 비상전자밸브
E : 배전반 M : 모우터
18 : 공기압 자동배출 전자밸브 19 : 수위제어기.
본 발명은 기압식 물탱크에 항상 일정량의 공기와 물이 펌프에 의하여 보충되게 하는 동시에 급수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게한 대기를 이용한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고가수조나 수탑의 시공이 어려운 곳에 사용되는 종래의 압력수조방식은 각 가정으로 급수할 경우 급수구축의 수압변동이 극히 심하며, 동시에 이때 압력수조내의 공기압 저하를 동반하게 되는데, 압력수조내의 최저수위에 달할 때까지는 압력수조내에다 전혀 물의 공급없이 오로지 공기만을 강제적으로 보충하여 압력수조내의 공기압을 가압시키는 방식이어서 강제 공기 보충을 위해서 별도로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로인한 시설비 및 동력의 소요가 커지게 되어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기압식 물탱크내로 유입되는 물이 직접 기압식 물탱크내의 공기층을 가입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인바, 물이 기압식 물탱크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바로 그 유입되는 물이 공기를 기압식 물탱크내로 밀고 들어가도록 대기와 연결된 자동 공기 공급조를 급수관과 한라인으로 연통시키고 또한 기압식 물탱크내의 공기층의 가압과정에서는 기압식 물탱크내의 공기층을 기압식 물탱크내로 유입되는 물이 채워지는 과정에서 그 공기층이 가압되게 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의 중요한 특징은 유입되는 물이 공기를 기압식 물탱크내로 밀고 들어가기도 하고 동시에 기압식 물탱크내의 공기층도 가압하게 되는 2중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으며, 이로 인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공기압축기가 필요없을 뿐아니라, 시설면적이 적어도 되고 전기소모도 적어서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기압식 물탱크에 급수펌프를 가동시켜 물을 보충시킬때 공기가 일정량 공급된 후에 물이 공급되어 일정량의 물에 일정압력의 공기가 보충되게 하고, 물을 급수시켜 기압식 물탱크내의 공기압이 낮아지면 급수펌프가 자동으로 가동되어 일정량의 공기와 물을 보충시킬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항상 일정압력으로 가정이나 수요처에 급수시킬 수 있게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압식 물탱크(1)에 급수관(2)(2a)으로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된 모우터(M) 급수펌프(3)와 연관시키고 급수펌프(3)에는 급수펌프(3)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 저수조(4)와 송수관(5)으로 연관시키고 기압식 물탱크(1) 하부에 급수관(6)을 연관시켜 급수케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저수조(4)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급수펌프(3)가 일정수위에 잠기도록 일정수위를 유지하는 자동 물올림 탱크(7)를 저수조(4) 상부에 설치하여 급수펌프(3)와 저수조(4)에 송수관(5)(5a)으로 상호 연관시키고 대기와 직접 연통된 공기여과필터(8)와 역지변(9)을 차례로 설치된 공기공급관(10)에 연관된 자동공기 공급통(11)을 급수관(2)에 연관시켜 기압식 물탱크(1)에 연관시킨 급수관(2a)과 연관시키되 급수관(2a)에 역지변(9a)과 게이트밸브(12)를 차례로 설치하고, 기압식 물탱크(1)의 하부에 연관시킨 급수관(6)에 항압밸브(13)를 설치하여 상부에는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14)와 공기압 조정기(15)를 설치하여 기압식 물탱크(1)에 연관시킨 압축공기 공급관(16)을 연관시키고 항압밸브(13)의 하부에는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시킨 비상전자밸브(17)를 설치한 압축공기 공급지관(16a)을 연관시켰으며, 기압식 물탱크(1)의 상부에는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된 공기압 자동배출 전자밸브(18)를 설치하고 기압식 물탱크(1)의 하부 일측에 수위제어기(19)를 설치하여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시켜서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20, 20a, 20c는 압력계, 21은 월류관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압식 물탱크(1)의 하부에 연관시킨 급수관(6)에 설치한 항압밸브(13)를 거쳐서 각 수용가나 그 타장소에서 사용하게된 기압식 물탱크(1)내의 물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일정압력으로 공급되어진다.
이와같이 물을 사용하게되면 기압식 물탱크(1)내의 압력이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된 리미트스위치(14)가 작동되어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된 모우터(M)에 의하여 급수펌프(3)가 작동되면 저수조(4)의 상부에 설치한 자동 물올림 탱크(7)에 의하여 급수펌프(3)가 일정수위속에 위치되어서 자동 물올림 탱크(7)내의 물을 급수펌프(3)가 흡인하게 되면 자동 물올림 탱크(7)와 송수관(5a)으로 연관시킨 저수조(4)의 물을 흡입하게 된다.
이와같이 급수펌프(3)에 의하여 흡인된 물은 급수관(2)을 통하여 상승될 때 급수관(2)에 설치된 공기공급통(11)에 대기와 직접 연통된 공기여과필터(8)와 역지변(9)을 거쳐 공기공급관(10)에 의하여 채워진 공기가 공기공급관(10)에 설치된 역지변(9)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기압식 물탱크(1)와 연관시킨 급수관(2a)에 설치한 역지변(9a)과 게이트밸브(12)를 거쳐서 기압식 물탱크(1)내에 공급된 다음에 급수펌프(3)에 의하여 상승된 물이 공급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기압식 물탱크(1)에 물이 보충되면 점차 공기압이 상승되는데, 이때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시킨 리미트스위치(14)의 전원이 차단되어 급수펌프(3)의 가동이 중단된다.
이와같이 급수펌프(3)의 가동이 중단되면 공기공급통(11)에 들어있는 물이 대기압에 의하여 일정수위 즉 자동 물올림 탱크(7)의 일정수위 만큼 하강하여 급수펌프(3)와 자동 물올림 탱크(7)를 통하여 저수조(4)로 들어가고 하강하는 물의 흡인력에 의하여 역지변(9)은 닫히고 역지변(9)가 열리어 대기중의 공기가 공기여과필터(8)와 역지변(9)를 거쳐 공기공급관(10)에 의하여 공기공급통(11)에 채워져 있다가 급수펌프(3)가 가동될 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기압식 물탱크(1)내로 보충 공급되게 되고 기압식 물탱크(1)에 연관시킨 급수관(6)에 설치한 항압밸브(13)의 상부에 공기압 조정기(15)를 설치하여 기압식 물탱크 상부에 연관시킨 압축공기 공급관(16)을 연관시키고 항압밸브(13)의 하부에는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시킨 비상전자밸브(17)를 설치한 압축공기 공급지관(16a)을 연관시켰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공기압 조정기(15)에 의하여 조정된 압력으로 항압밸브(13)를 열어 항상 일정압력의 물을 공급시킬 수 있고, 정전시에는 비상전자밸브(17)가 작동하여 항압밸브(13)의 하부에 연관시킨 압축공기 공급지관(16a)을 통하여 항압밸브(13)의 하부에 공급되어 닫아 급수를 중단하게 되고 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다시 정상 가동되게 한 것이다.
이때 항압밸브(13)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월류관(21)을 통하여 급수관(6)에 물을 공급시킬 수 있으며 이와같이 정상 가동중에 기압식 물탱크(1)의 공기압이 과압되어 일정수위 이하로 밀어내리게 될 경우에는 기압식 물탱크(1)의 일측에 설치한 수위제어기(19)가 위험상태를 감지하면서 기압식 물탱크(1)의 상부에 설치한 공기압 자동배출밸브(18)을 작동시켜 기압식 물탱크(1)내의 공기를 대기중에 공기압을 저하시키면 기압식 물탱크(1)내에 일정량의 물을 더 보충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급수관 내로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계량기가 급속히 가동되어 수요자의 손실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인바,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하여 배전반(E)에 전원을 공급시키면 자동적으로 가동되어 수요자에게 항상 일정압력의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것으로 시설비가 적게 들고 고장율이 극히 적은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저수조(4)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급수펌프(3)가 일정수위에 잠기도록 일정수위를 유지하는 자동 물올림 탱크(7)를 저수조(4) 상부에 설치하여 급수펌프(3)와 저수조(4)에 송수관(5)(5a)으로 상호 연관시키고 공기여과필터(8)와 역지변(9)을 차례로 설치된 공기공급관(10)에 연관된 자동공기 공급통(10)을 급수관(2)에 연관시켜 기압식 물탱크(1)에 연관시킨 급수관(2a)과 연관시키되 급수관(2a)에 역지변(9a)과 게이트 밸브(12)를 차례로 설치하고, 기압식 물탱크(1)의 하부에 연관시킨 급수관(6)에 항압밸브(13)를 설치하여 상부에는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14)와 공기압 조정기 (15)를 설치하여 기압식 물탱크(1)에 연관시킨 압축공기 공급관(16)을 연관시키고 항압밸브(3)의 하부에는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시킨 비상전자밸브(17)를 설치한 압축공기 공급지관(16a)을 연관시켰으며, 기압식 물탱크(1)의 상부에는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된 공기압 자동배출 전자밸브(18)를 설치하고 기압식 물탱크(1)의 하부 일측에 수위제어기(19)를 설치하여 배전반(E)의 전원에 연결시켜서된 대기를 이용한 전자동 급수장치.
KR1019900014096A 1990-09-07 1990-09-07 대기를 이용한 전자동 급수장치 KR93000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4096A KR930005334B1 (ko) 1990-09-07 1990-09-07 대기를 이용한 전자동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4096A KR930005334B1 (ko) 1990-09-07 1990-09-07 대기를 이용한 전자동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588A KR920006588A (ko) 1992-04-27
KR930005334B1 true KR930005334B1 (ko) 1993-06-17

Family

ID=1930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096A KR930005334B1 (ko) 1990-09-07 1990-09-07 대기를 이용한 전자동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3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845B1 (ko) * 2006-06-14 2006-11-23 (주)탑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설비용 밀폐식 팽창탱크의 자동공기보충장치
CN102587458A (zh) * 2011-01-07 2012-07-18 上海祥帮工程设备有限公司 多功能无负压供水设备
CN104727387A (zh) * 2015-04-07 2015-06-24 上海沥源流体科技有限公司 基于保氯技术避免自来水二次污染的封闭式水箱
CN106065647A (zh) * 2016-08-02 2016-11-02 四川拓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供水箱式一体化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312A (ko) * 2000-02-01 2001-08-17 강희종 햇빛을 이용한 조명장치
KR100443333B1 (ko) * 2001-06-08 2004-08-09 서효석 수압유지형 급수 방식 및 이에 적합한 급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845B1 (ko) * 2006-06-14 2006-11-23 (주)탑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설비용 밀폐식 팽창탱크의 자동공기보충장치
CN102587458A (zh) * 2011-01-07 2012-07-18 上海祥帮工程设备有限公司 多功能无负压供水设备
CN104727387A (zh) * 2015-04-07 2015-06-24 上海沥源流体科技有限公司 基于保氯技术避免自来水二次污染的封闭式水箱
CN106065647A (zh) * 2016-08-02 2016-11-02 四川拓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供水箱式一体化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588A (ko) 199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06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oduction of fluids from a well
US4304526A (en) Well system and flow control tank
US5901744A (en) Water supply system for a water source with limited flow capability
KR930005334B1 (ko) 대기를 이용한 전자동 급수장치
US4239054A (en) Water pressurizing installation
CN111140476A (zh) 一种轨道车辆用给水系统及其控制方法
GB2076890A (en) Engine fuel supply and storage systems
US6047721A (en) Air introduction device for a hydro-pneumatic reservoir
JP2540692B2 (ja) 予蓄タンクを備えた給水装置
KR930003667Y1 (ko) 기압식 물탱크의 공기자동 보충장치
KR200181155Y1 (ko) 공기압 및 인버터을 이용한 급수 및 소화용수 급수장치
CN2175262Y (zh) 生活-消防共用气压供水装置
CN2641335Y (zh) 自动补水真空引水罐
CN211549944U (zh) 一种轨道车辆用给水系统
CN219700904U (zh) 消防车自供受水系统
GB2491300A (en) Service water usage system driven by drinking water
CN211228715U (zh) 一种自动供水装置
CN221072842U (zh) 一种恒压供水系统
CN219642128U (zh) 一种智能恒水位控制装置
CN217811541U (zh) 加压排水、虹吸排水两用排水系统
CN213952363U (zh) 一种后纺车间应急储水装置
KR920003637Y1 (ko) 급수펌프의 수위유지장치
RU209403U1 (ru) Комплексная мобильная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кач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из скважины в систему нефтесбора
CN115853060A (zh) 一种远距离高位供水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163186Y1 (ko) 무인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