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06Y1 -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06Y1
KR930005306Y1 KR2019930011125U KR930011125U KR930005306Y1 KR 930005306 Y1 KR930005306 Y1 KR 930005306Y1 KR 2019930011125 U KR2019930011125 U KR 2019930011125U KR 930011125 U KR930011125 U KR 930011125U KR 930005306 Y1 KR930005306 Y1 KR 930005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grill body
reflector
light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 히데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90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6410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930011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06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제1도는 본 고안인 자기조명 그릴을 설치한 승용차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그릴의 확대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Ⅲ-Ⅲ을 따라 절취한 그릴의 수평 단면도.
제4도는 그릴의 평면도.
제5도는 그릴의 배면도.
제6도는 그릴내에 설치된 포그램프 조립체를 제5도의 선Ⅵ-Ⅵ을 따라 절취한 그릴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각 포그램프 조립체가 어떻게 그릴본체에 선회하도록 장착되며 그릴에 관해 어떻게 경사져 있는지를 도시하기 위해 제5도의 선 Ⅶ-Ⅶ을 따라 절취한 그릴의 확대 단면도.
제8도는 방수조명실에서 어떻게 습기가 배출되는지를 도시하기 위해 제5도의 선 Ⅷ-Ⅷ을 따라 절취한 그릴의 확대 단면도.
제9도는 그릴이 어떻게 자동차 본체에 장착되는지를 도시하기 위해 제5도의 선 Ⅸ-Ⅸ을 따라 절취한 그릴의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제5도의 선ⅩI-ⅩI을 따라 절취한 그릴의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각 램프 조립체의 전선이 어떻게 조면실에서 나오는지를 도시하기 위해 제5도의 선 X-X을 따라 절취한 그릴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자기조명 그릴 28 : 전조등
30 : 그릴본체 32 : 렌즈
36, 36' : 포그램프 조립체 38, 38' : 틸팅기구
50 : 통기튜브 52 : U자형 연장튜브
본 고안은 자동차 그릴, 특히 여러종류의 자동차들 중에서도 승용차의 양쪽 전도등 사이에 설치하기에 적당하며 장식효과가 있는 자기조명 그릴에 관한 것이다.
초기에는 자동차 그릴이 도림질 세공한 금속판으로 설계되어 엔진 라지에터 중심부를 가리기 위한 것이었으나, 오늘날의 승용차 모델에서는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공지된 출원중에는 이러한 자기조명을 갖춘 장식용 그릴은 없었다. 즉, 자동차의 주행도로나 그릴 자체를 조명하기 위해 광원장치를 그릴 내부에 설치하지는 않았다.
승용차는 시일드 비임형 전구 시스템뿐 아니라 차체 전단에 포그램프와 같은 보조 조명기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조 전조등은 본래의 조명기능을 손실 시키거나 감소함이 없이 차의 미적 매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장식 그릴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미적 및 실용적인 면에서 승용차나 다른 자동차에 장착될 수 있는 새로운 자기조명 그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인 자기조명 그릴은 전조등 사이에서 수평으로 자동차 차체에 장착되기 위하여 긴 그릴 본체로 구성되는 것으로써 간략하게 요약할 수 있다.
횡방향으로 긴 렌즈는 그와 함께 조합되는 밀폐 조명실을 형성하도록 그릴 본체에 장착된다. 광원장치는 렌즈길이의 전체 표면을 충분히 조명하기 위하여 조명실 내부에 장착된다.
광원장치는 일반적으로 한쌍의 포그램프 조립체 형태이다. 이러한 램프 조립체는 조명실 내부에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위치로 장착되어서 그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렌즈의 전체 면적을 밝힐 수 있다. 램프 조립체의 왼쪽의 노출되는 그릴 본체의 내부 표면은 양호하게 반사될 수 있다.
삽입된 포그램프 조립체 쌍은, 선행기술에서와 같은 차체 전단에 분리된 위치로 장착될 경우의 그릴 및 포그램프 조립체보다 부품수를 작게 하여 조립 및 장착 단계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야간운행중 램프 조립체를 점화할 경우, 렌즈의 전체 표면은 단일 조명기구 형태로 조명될 것이다. 또한 주간운행중에는, 상기 렌즈가 램프 조립체의 반사경 및 그릴 본체의 내부반사 표면부분에 의해 햇빛을 반사하여 밝게 조사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그릴은 자동차 설계에 새로운 미적 매력을 제공할 것이다.
추가되는 장점으로서는, 그릴내에 설치된 램프 조립체가 보조 전조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어, 전조등 시스템이 고장났을 경우, 심각한 불편없이 운전할 수 있도록 그릴등이 조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다른 특징과 장점 그리고 이들을 실행하는 방법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에 의해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자기조명 그릴은 일반적으로 제1도에서와 같이 도면번호 20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형적인 예인 4륜 승용차(22)에 장착되어 있다. 승용차(22)는 전단패널(26)을 포함하는 차체(24)를 가지며, 그 패널에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한쌍의 전조등(28)이 장착된다. 자기조명 그릴(20)은 한쌍의 전조등(28)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차체(24)의 전단패널(26)에 장착된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자기조명 그릴(20)의 확대도이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그릴 본체(30)는 수평으로 길며, 일반적으로 오목하며,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릴 본체(30)의 개방된 전단부를 그와 형태 및 크기가 일치하는 렌즈(32)로 밀폐한다. 그릴 본체(30)와 렌즈(32)는 서로 결합하여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밀폐 조명실(34)을 형성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포그램프 조립체(36,36')를 포함하는 광원장치가 조명실(34)내에 수용된다. 두 개의 포그램프 조립체(36,36')는 그릴(20)의 대향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각 포그램프 조립체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부분적으로 도시한 틸팅기구(38,38')가 제공된다. 렌즈(32) 및 자동차(22)앞의 주행도로에 최적의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틸팅기구(38,38')는 그릴(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축에 대해서 포그램프 조립체(36,36')를 전후로 조정가능하도록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하, 그릴본체(30), 렌즈(32), 포그램프 조립체(36,36') 및 그램 틸팅기구(38,38')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과, 그릴(20)이 차체(24)에 장착되는 방법과, 상기 그릴에 의해 얻어지는 기능 및 장점에 대해 설명한다.
[그릴본체]
강한 프라스틱으로 주조된 그릴 본체(30)는 일반적으로 제5도처럼 후방에서 볼 때 연장된 스트립 형태이다. 제5도에 도시된 선들을 따라 절취한 제6도 내지 제11도의 그릴(20)에 대한 횡단면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릴본체(30)의 정확한 담면 형태는 그 길이방향에서 각 지점들에 따라 다르다.
제3도는, 그릴 본체(30)가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한쌍의 후미 리세스(40,40')를 구비하고 있음을 도시한다. 수평으로 연장된 리세스(40,40')는 포그램프 조립체(36,36')를 각각 수용한다. 수직 리브 혹은 스크린 쌍들(42,42')은 각 리세스(40,40')양쪽에서 그릴 본체(3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끔 형성된다. 상기 리브(42,42')는 후에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포그램프 조립체(36,36')에 의해 방출되는 조명의 측면 경계 혹은 수평경계를 결정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 쌍(40,40')은 그릴본체(30)를 제2도에 도시한 전단면에서 볼 수 있는 중간면(44), 좌측 단부면(46) 및 우측 단부면(46')으로 나눈다. 그릴본체(30)의 중간면(44)은 제10도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우측 단부면(46)은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좌측 단부면(46')은 우측 단부면(46)과 동일하다. 제9도 및 제10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이 모든 그릴 본체 부분들(44,46,46')은 단면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반사층(48)은 적어도 그릴 본체(30)중간면(44)의 내부표면에, 양호하다면 양단부면(46,46')내부 표면에까지 반사형 금속의 기상 중착에 의해 또는 반사형 페인트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그러한 반사층은 필요나 요구에 따라 리세스(40,40')의 표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되며 제8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 본체(30)는 이하 설명할 방수구조로 되어 있는 조명실(34)을 통기시키기 위해 그릴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뻗은 세 개의 통기튜브(50)를 구비한다.
상기 통기튜브(50)중 한 개는 중간면(44)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두 개는 리세스(40,4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고무로 제조되는 U자형 연장튜브(52)는 각 통기튜브(50)에 끼워져 있다. 그릴 본체(30)를 향하여 뒤로 하향하여 굽혀져 있으므로, 연장튜브(52)는 조명실(34)내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릴 본체(30)의 배면에 있는 핀(54)을 조정함으로서 연장튜브(52)의 각도 위치를 결정한다.
[렌즈]
렌즈(32)는 제5도를 제외한 전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제6도를 참조하여 그 형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주조된 렌즈(32)는, 상부로 오를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편평한 주부분(56)과 주부분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환형 플랜지 부분(58)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 부분(58)은 렌즈의 단부 두께가 축소된 설부에 의해 그릴 본체(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환형홈(62)에서 결합됨.
그릴본체(30) 및 렌즈(32)사이의 설무 및 연결홈의 결합을 겸고리고 방수가되게 결합하기 위하여 접착제가 설부(60)와 연결홈(62)사이의 공간(64)을 메운다.
제4도 및 제7도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렌즈(32)의 설부(60)는 적당한 위치에 형성된 일련의 록핀(66)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록핀(66)은 설부가 그릴 본체의 홈(62)내에 삽입될 때 프라스틱 주조 렌즈(32)의 플랜지 부분(58)과 설부(60)가 갖는 탄성 때문에 그릴 본체(30)의 개구부(68)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도, 제8도 및 제10도에는 렌즈(32)상에 형성되는 필요한 표시부분(70)을 보여준다. 이러한 표시부분(70)은, 예컨대 렌즈(32) 외부 표면상에 형성된 보스(72)와 보스상의 페인팅(74)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렌즈수단은 제6도 내지 제8도에서 도면번호 76으로 표시된 표시부분(70)의 배면을 제외한 렌즈(32) 전체의 내부표면을 형성한다.
[포그램프 조립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 개의 포그램프 조립체(36,36')는 동일한 구조이다. 좌측 포그램프 조립체(36)를 상세히 설명하면 우측 포그램프 조립체(36')도 설명한 것이 될 것이다. 포물선형 반사경(84)은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이며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그릴 본체(30)의 리세스(40)에 설치된다.
제6도에서 명확히 도시한 바와같이, 각 포그램프 조립체(36)는 필라멘트(80)와 전구에 덮혀진 착색 글로브(82)와 포물 반사경(84)을 구비한 전구(78)를 포함한다.
전구(78)는 장착링(88)을 경유해 타원 반사경(84)에 결합된 스템(86)을 구비한다. 반사경(84)에 자착된 전구(78)가 반사경의 촛점에 대략 위치한 전구의 필라멘트를 가진다. 또한, 제3도에서 점선(90)에 의해 지시된 바와같이, 전구의 필라멘트(80)와 양측램프조립체(36)에서 수직 리브쌍(42)의 정면단부와를 연결하는 점선은 렌즈와 좌측 단부와 중심부에서 교차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두 개의 포그램프 조립체(36 및 36')는 렌즈(32)의 모든 주부분에 조사된다.
착색 글로브(82)는 벨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개구단부는 포물 반사경(84)에 결합된다. 상기 글로브(82)는 램프 조립체(36)가 상기 실시예에서 포그램프로서 이용하기 위한 것이라면 노란색으로 착색된다. 상기 램프 조립체가 다른 목적을 위한 것이라면 다른 색으로 될 수도 있거나 없을 수도 있다. 부수적으로 포그램프와 같은 램프 조립체의 이용해서 그 광학축은 최적으로 도로를 조명하기 위하여 램프 틸팅기구(38)에 결합함에 의해 미소하게 아래로 기울어질 수 있다.(예컨대, 수평면에서 0.7도 정도로).
제3도, 제6도 및 제7도를 고려할 때 포물 반사경(84)은 주부분(92)과 양측의 주부분에 설치된 플랜지(94)쌍을 일체형으로 포함하여 압입한 시이트 금속이다. 전체로서, 포물 반사경(84)은 정면도에서 도시된 모양에서는 사각형이며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릴 본체(30)의 리세스(40)에 설치한다.
제3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경(84)의 장착용 플랜지(94)쌍은 플랜지 하단부 근처에서 그릴본체(30)의 보스(96)에 나사(98)로 고정된다. 탄성 중합체나 탄성물질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반사경 시이트(100)는 반사경 플랜지(94) 및 그릴 본체 보스(96) 사이에 삽입된다. 각 반사경 시이트(100)는 도면부호 102에서 한쪽 밀폐단부를 가진 비교적 짧은 튜브형인데, 그 밀폐단부는 중앙을 관통하는 개구부(104)를 가졌다. 튜브형 반사형 시이트(100)가 그릴 본체 보스(96)에 고정됨에 따라, 그 밀폐단부(102)의 개구부(104)는 보스(96)의 나사구멍(106)과 동축상으로 배열된다.
그릴 본체 리세스(40)내에 포물선형 반사경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나사(98)는 반사경 플랜지(94)의 개구부(108)와 반사경 시이트(100)의 개구부(104)를 통하여 그릴 본체 보스(96)의 나사구멍(106)에 삽입된다. 그렇게 그릴 본체(30)에 장착되며 거기에 결합된 전구(78)를 갖춘 반사경(84)은 그릴(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축에 대해 선회할 수 있으며, 반사경 시이트(100)의 단부(102)는 제한범위내에서 반사경의 그러한 선회 이동을 허용하기 충분할 정도로 두꺼우며 탄성을 가지고 있다.
두 개의 포그램프 조립체(36,36')는 후에 설명한 틸팅기구(38,38')에 의하여 상기 수평축에 대해서 조정가능하게 선희한다.
제3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릴 본체(30)는 전구(78)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리세스(40)의 중앙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출입구(110)를 갖는다. 환형림(112)은 출입구(110)와 동축관계로 그릴본체(3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으로 연장된 환형림(116)을 구비한 프라스틱 리드(114)는 출입구(110)를 개방가능하게 밀폐시킨다.
상기 림(116)은 원주상의 공간위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18)를 갖는다. 출입구(110)의 경계를 이루는 그릴 본체 모서리가 리드(114)의 림(116)상에 있는 돌출부(118)와 환형배열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보이지 않는 압입 자국을 갖는다. 밀봉 링(120)은 림(116)에 고정되어 있다.
출입구(110)를 밀폐하기 위하여, 리드의 림(116)은 그릴 본체(30)의 보이지 않은 압입 자국을 경유하는 림의 돌출부(118)에 의해 그 내부에 삽입된다. 그 다음, 리드(114)가 그릴 본체(30)의 림(112)과 밀착될 때까지 리드(114)는 뒤에 있는 일련의 손잡이 블레이드(122)를 손으로 잡고 예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릴 본체(30)와 리드(114)사이의 결합을 방수가능하게 밀봉시키도록 이 밀봉링(120)으로 압착될 것이다. 림의 돌출부(118)가 출입구(110)의 경계인 그릴 본체 모서리와 확고히 결합하여 상기 리드(114)는 불측의 분리에 대하여도 확실히 결속될 것이다. 전술한 과정은 전구(78)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 출입구(110)를 개방하기 위하여 반대의 과정이 될 것이다.
전구(78)가 그릴 본체(30)의 배면상에서 커넥터(124)에 어떻게 접속되는지는 제4도, 제5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도시되어 있다. 전구(78)와 전선(126)은 그릴 본체(30) 하부인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130)에 끼워진 쇠고리(128)를 지나서 연장되어 있다. 전선(126)은 조명실(34)에서 나와서 그릴 본체(30)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지지벽(132)상의 커넥터(124)와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124)가 양쪽 포그램프 조립체(36,36')에 모두 제공되기 위하여 그릴 본체(30)의 길이에 대하여 중앙부근에 위치한다.
제8도 및 제10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전선(126)은 쇠고리(128)에서 커넥터(124)로 연결도중에 그릴 본체(30)와 결합된 자기강화용 리브 혹은 리브들(136)내에 있는 한 개 이상의 노치(134)내에 압착되어 끼워진다. 노치(134)가 커넥터(124)와 쇠고리(128)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는 것을 제5도에서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124) 및 쇠고기(128)보다 아래 고정된 대부분의 전선(126) 때문에, 이 부분의 전선 주위의 습기는 그릴 본체(30)나 커넥터(124)에 침투하지 못한다.
[램프 틸팅 기구]
좌측 포그램프 조립체(36)의 틸팅기구(38)는, 제7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우측 램프 틸팅기구(38')도 같은 구조이다. 좌측 램프 틸팅기구(38)는 그릴 본체(30)와 결합된 지지슬리브(142)단부의 개구부(14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정볼트(138)를 포함한다. 지지슬리브(142)는 한쪽 반사경 시이트(100)위에 위치한다.
반사경 뒤에 있는 플랜지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플라스틱 재료의 너트(144)는 조정볼트(138)와 나사결합을 이룬다. 나선 압축 스프링(148)은 조정볼트(138)의 머리부(152)가 지지슬리브 단부에 밀착하도록 지지슬리브(142)의 쇼울더(150)와 너트(144)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볼트(138)를 돌림으로써, 너트(144)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볼트의 전후방으로 이동할 것이다. 그릴본체(30)에 대한 조정볼트(138)의 길이 방향 위치는 압축 스프링(148)에 의해 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조정볼트(138)를 양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구(78) 및 포물선형 반사형(84)으로 구성되는 포그램프 조립체(36)는 탄성 반사경 시이트(100)쌍을 경유해 연장된 수평축에 관하여 전후로 선회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릴을 차체에 장착하는 방법]
자기조명 그릴(20)을 차체(24)에 장착하는 장치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9도에는 확대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용 장치는 그릴 본체 배면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된 다수(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장착용 슬리브(154)을 포함한다. 장착용 슬리브(154)은 스터드(156)를 수용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각 스터드(156) 길이의 반은 너얼(158)형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반은 나사(160)로 되어 있으며, 두 개의 이등분 사이 경계에는 칼라(162)가 형성되어 있다.
스터드(156)의 너얼부분(158)은 칼라(162)가 슬리브 단부에 밀착될 때까지 장착용 슬리브(154)에 결합된다.
제1도 및 제9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그릴(20)은 차체(24)의 전달 패널에 형성되며 전조등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리세스(164)에 수용된다. 스트드(156)의 치형부분(160)은 리세스(164)를 형성하는 벽(168)의 장착용 개구부(166)내를 경우하여 삽입된다.
너트와 스터드상의 칼라(162) 사이의 벽(168)를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너트(170)는 이 벽(168)뒤에서 스터드(156) 치형부분(160)의 돌출부 상에서 죄어진다.
[기능 및 장점]
삽입된 포그램프 조립체(36,36')를 갖춘 그릴(20)은 그릴과 포그램프 조립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차체상에 떨어진 위치에 장착되는 선행 기술과 비교할 때, 조립 및 장착단계뿐 아니라 구성부품수도 상당히 줄어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야간운행시에 전등(78)을 점등함에 따라, 렌즈(32)는 제3도에 관해 설명했던 바와 같이 완전히 켜질 것이다. 또한, 야간운행시에 렌즈의 전체 길이는 포그램프 조립체의 포물선형 반사경(84)뿐 아니라 중간부분(44)의 반사층(48)에서 조명되고, 그릴 본체의 단부(46,46')는 낮동안 빛을 반사하게 된다. 이 그릴 본체부분(44,46 및 46')이 오목한 형태를 취함으로써 빛이 렌즈를 향하여 효과적으로 반사하게 된다. 또한, 그릴 본체부분(44,46 및 46')의 오목한 형태는 그릴(20)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시키는 추가 기능도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밤이나 낮동안 자기조명 그릴(20)은 차에 새로운 미적 매력을 제공할 것이다.
그릴(20)내에 포그램프 조립체(36,36')나 이와같은 보조 전조등을 설치하는 것은 더 많은 이익을 제공한다. 즉, 야간운행중 전조등(28)의 필라멘트가 끊어지거나 혹은 다른 이유로 인해 전조등이 꺼지는 경우, 상기 보조 램프가 대신 안전한 수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추가되는 장점은, 일반적으로, 자기조명 그릴이 방수됨과 동시에 조명실(34)이 U자형 연장튜브(52)를 구비한 통기튜브(50)를 통해 대기와 일정하게 환기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명실(34)의 통기는 그릴 본체(30)의 렌즈(32), 포물선형 반사경(84) 및 반사표면(44,46 및 46')이 습기로 어두워지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U자형 연장튜브(52)는 물의 침투가능성을 배제시키며 조명실(34)을 통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설명된 그릴(20)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본 고안 범위에서 벗어나기 않은 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설계나 각 특정 응용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에 있어서, (a)연장된 그릴 본체와, (b)그릴 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조명실을 형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연장된 렌즈와, (c)그릴의 길이방향으로 연자된 축에 대해서 선회운동을 하기 위하여 그릴 본체에 장착되며, 조명실내에 위치하여 렌즈의 전체 길이를 조명하기 위하여 그릴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한쌍의 포그램프 조립체, (d)각 포그램프 조립체를 그릴 본체에 대한 수평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조정할 수 있는 포그램프 틸팅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림프 조립체가 (a)그릴 본체에 장착되는 반사경과, (b)반사경에 교환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전구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3. 제2항에 있어서, 그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축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도록 포그램프 조립체의 반사경을 그릴 본체에 정착하기 위한 장착용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림프 틸팅장치가 (a)그릴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장된 수나사 부재와, (b)각 포그램프 조립체의 반사경에 장착되어 수나사 부재와 결합하는 암나사 부재와, 그리고 (c)암, 수나사 부재를 서로 떨어져서 경사지게 하기 위하여 그릴 본체와 반사경 사이에 적용하는 탄성장치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용 장치가 (a)그릴 본체상에 있는 탄성재료인 한쌍의 반사경 시이트와, (b)각 포그램프 조립체의 반사경을 각 반사경 시이트를 경유해 그릴 본체에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이 수평축에 대해 설치될 수 있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반사경 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6. 제1항에 있어서, (a)조명실을 통기시키기 위하여 그릴 본체에 형성된 통기튜브와, (b)조명실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기튜브에 결합된 U자형 연장튜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7. 제1항에 있어서, 그릴 본체는, 그릴 본체의 한쪽 단부와 한쪽 포그램프 조립체 사이의 제1반사표면과, 포그램프 조립체 쌍 사이의 제2반사표면과, 그리고 그릴 본체의 다른쪽 단부와 다른쪽 포그램프 조립체 사이의 제3반사표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램프 조립체는, 그릴 본체내의 제1 및 제2반사표면 사이에 위치한 한 리세스와 제2 및 제2반사표면 사이에 위치한 다른 리세스에 수용되는 반사경을 포함하므로, 렌즈의 전체 길이는 그릴 본체의 제1, 제2 및 제3반사 표면을 조명시킨 것처럼 보이며 포그램프 조립체의 반사경을 낮동안 반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KR2019930011125U 1988-04-12 1993-06-23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KR930005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125U KR930005306Y1 (ko) 1988-04-12 1993-06-23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90091A JPH01264101A (ja) 1988-04-12 1988-04-12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JP90091 1988-04-12
KR1019890004829A KR890016327A (ko) 1988-04-12 1989-04-12 자동차에 대한 자기 조명 그릴
KR2019930011125U KR930005306Y1 (ko) 1988-04-12 1993-06-23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829A Division KR890016327A (ko) 1988-04-12 1989-04-12 자동차에 대한 자기 조명 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06Y1 true KR930005306Y1 (ko) 1993-08-13

Family

ID=2730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125U KR930005306Y1 (ko) 1988-04-12 1993-06-23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3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0460A (en) Self-illuminated grill for motor vehicles
US5353204A (en) Vehicular headlamp assembly having auxiliary lamp
CA1286268C (en) Headlamp assembly
KR970037317A (ko) 차량용 전조등(head lamp for vehicles)
JPH0523215B2 (ko)
JPH07272504A (ja) 車輌用標識灯
EP0586279B1 (fr) Plaque frontale monobloc pour véhicule automobile
US6601981B2 (en) Headlight assembly
KR930005306Y1 (ko) 자동차용 자기조명 그릴
JPH01265401A (ja)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EP1150063B2 (fr) Dispositif de signalisation à lampe ville pour véhicule automobile et projecteur incorporant un tel dispositif
JP2004228025A (ja) 車両用灯具
JPH0741043Y2 (ja) 車輌用前照灯
US20030123255A1 (en) Lamp assembly with dual mode reflector
GB2254686A (en) An optical unit for a vehicle,having an embellisher
US3387127A (en) Clearance safety reflector ring
EP0344135B1 (en) Sun visor and lighting installation for motor vehicles
JP2626206B2 (ja) 車両用灯具
JPS6348883Y2 (ko)
JP2002362451A (ja) 自転車用前照灯
JP3023753B2 (ja) 車輌用前照灯
KR0126575Y1 (ko) 자동차용 프론트 컴비네이션 램프
JPH0446321Y2 (ko)
KR200294631Y1 (ko) 전구가 구비된 싸이드 미러
KR200147157Y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