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02Y1 - 단일셀 회중전등 - Google Patents

단일셀 회중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02Y1
KR930005302Y1 KR2019930011152U KR930011152U KR930005302Y1 KR 930005302 Y1 KR930005302 Y1 KR 930005302Y1 KR 2019930011152 U KR2019930011152 U KR 2019930011152U KR 930011152 U KR930011152 U KR 930011152U KR 930005302 Y1 KR930005302 Y1 KR 930005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light
barrel
head
reflector
hea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글리카 안토니
Original Assignee
맥 인스트러먼트 인코오퍼레이티드
매글리카 안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90006393A external-priority patent/KR900018590A/ko
Application filed by 맥 인스트러먼트 인코오퍼레이티드, 매글리카 안토니 filed Critical 맥 인스트러먼트 인코오퍼레이티드
Priority to KR2019930011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02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일셀 회중전등
제1도는 본 고안 단일셀 회중전등의 스위칭(switching) 및 집속(focusing)특징을 통합시킨 회중전등의 사시도.
제2도는 2-2로 표시된 평면을 통해 취한 제1도의 소형회중전등의 단축부분 단면도.
제3도는 고스트상(ghost image)으로 회중전등의 전단부의 병진운동을 예시하는 제1도의 소형 회중전등의 전단부의 부분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로 표시된 평면을 따라 취한 제1도 회중전등에 따라 사용된 전구홀더조립체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소형회중전등의 배럴(barrel)에 관하여 전구홀더조립체의 조립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시하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전구홀더조립체내의 전구의 전기단자들과 전기도체들간의 전기기계적 계면을 예시하는 분리한 부분사시도.
제7도는 한 절연체와 전지전극 접촉단자를 예시하는 제5도의 전구홀더조립체의 부품의 배후표면의 사시도.
제8도는 비집속된 실질적으로 구형의 조명원으로서 사용되는 제1도의 소형회중전등의 예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등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줄과 메달을 포함하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측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정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배면도.
제13도는 헤드부근에 장착된 열쇠고리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의 사시도.
제14도는 다른 손잡이 설계를 갖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사시도.
제15도는 또다른 손잡이 설계를 갖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사시도.
제16도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단면도.
제17도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반사경의 배면사시도.
제18도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후부캡 단부의 확대단면도.
제19도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후부캡 삽입물의 확대사시도.
제20도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후부캡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1차적으로 회중전등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소형의 단일셀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크기와 형태의 회중전등이 본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공지의 회중전등의 어떤 것은 전기에너지원으로서 회중전등 손잡이를 제공되는 원통형 관에 들어있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건전지를 이용한다.
전형적으로, 전기회로는 도체를 통해 전지의 한 전극으로부터 스위치로, 그 다음 도체를 통해 전구의 한적극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구의 필라멘트를 통과한 후, 전기회로는 도체와의 전기접촉으로 전구의 제2전극을 통해 나오고, 이것을 차례로 회중전등 하우징과 전기접촉되어 있다.
회중전등등 하우징은 전지의 다른 전극과 접촉하여 전기도체에 전기전도통로, 일반적으로 스프링부재를 제공한다. 전기회로를 완선시키기 위한 스위치의 작동은 전류가 필라멘트를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이로써 반사경에 의해 전형적으로 집속되는 광을 발생시켜 광비임을 형성한다.
이러한 회중전등으로부터의 빛의 생산은 이용되는 반사경과 램프의 질, 비임로에 개입되는 렌즈의 광학적특성, 그리고 램프, 렌즈 및 반사경내 또는 그위의 오염 또는 그의 손상과 관련된 문제들에 의해 종종 저하되었다.
본 고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선된 광학특성을 갖는 소형의, 단일셀, 손전등을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주목적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변화무쌍한 산란을 갖는 광비임을 생산할 수 있는 소형의 단일셀 손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더 이상의 목적은 헤드조립체의 제거시 실질적으로 구형의 비집속 광원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소형의 단일셀 손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공안의 또다른 목적은 광비임의 가변성 및 산란을 일으키는 부품들의 상대적 이동의 회중전등의 전기회로를 열고 완성시키는 전기적 스위치 기능을 제공하는 소형의 단일셀, 손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한손에 회중전등과 열쇠를 잡고, 잠그고 여는 조작의 동안에 자물쇠와 열쇠 또는 기타소도구에 동시에 회중전등으로 부터의 빛이 집속될 수 있는 소형의, 단일셀 손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이후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명백한데, 한 개의 소형전지, 적어도 한 개의 절연체와 원통형 관에 지지된 소형램프의 단자와 원통형 관간의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전기도체를 포함하는 전구홀더조립체, 그리고 전지와 인접하여 원통형 관의 한단부에 보유된 전지의 간극을 각각 함유하는 원통형 관, 원통형 관의 다른 단부를 둘러싸는 전지의 다른 전극에 전기접촉을 제공하는 후부캡과 스프링부재, 그리고 렌즈내에 반사경의 중앙에 구멍을 통해 전구가 연장되도록 원통형 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드, 반사경, 렌즈 및 0-고리를 포함하는 헤드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소형 회중전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주 구체예에서 전지는 통상 AAA 크기의 전지로 일컫는 크기의 전지이다.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은 또한 AAAA, AA 또는 특수크기의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헤드조립체는 원통형 관의 축에 대한 헤드조립체의 회전이 렌즈와 전구간의 상대적이동을 변화시키게 되도록 원통형 관의 외부에 형성된 나삿니를 계지하고 있다.
헤드조립체가 원통형 관상에서 충분히 회전될 때, 반사경은 램프홀더조립체의 전단부를 향해 밀고나가 그것을 후부캡에서의 스프링 접촉의 밀림을 향해 원통형 관내에서 후방이동을 일으킨다.
이 위치에서, 전구로부터 원통형 관으로의 전기회로를 완성시키는 램프홀더조립체내의 전기도체는 관과 접촉되어 있지 않다.
헤드조립체를 원통형 관에 대하여 전방이동시키도록 하는 방향으로 헤드조립체의 회전시, 반사경으로부터 램프홀더조립체의 전방표면상의 압력은 완화되어 후부캡에서의 스프링 접촉은 전지와 팸프홀더조립체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작용하여 이것은 전기도체를 원통형 관과 접촉하도록 가져오고 이로써 전기회로가 완성되고 전구가 밝혀지게 된다.
이 시점에서. 램프홀더조립체는 원통형 관에 관하여 램프홀더 조립체의 더 이상의 전방이동을 방지하는 스톱을 계지한다.
헤드조립체를 원통형관에 대하여 전방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헤드조립체의 연속회전은 전구에 대하여 반사경을 전방이동시키는 원인이 되고 이로써 전구에 대하여 반사경의 초점이 변하여 이것은 렌즈를 통해 받아들여진 광비임의 분산을 변동시키는 결과가 된다.
원통형 관으로부터 해체될 때까지 헤드조립체을 회전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은 실질적으로 구형의 조명원이 된다.
이 방식으로 작동되는 회중전등으로 초와 유사한 비집속광원을 제공한다.
또한, 이 방식으로 단일셀 회중전등은 그것으리 후부캡의 수평 표면상에 놓이면서 똑바로 세울 수 있다.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은 그것은 후부캡에 부착되는 그것의 헤드 또는 줄에서 열쇠고리 홀더를 갖추어 회중전등으로부터의 빛이 자물쇠에 뿐만 아니라 자물쇠의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회중전등을 잡고 있는 같은 손에 잡고 있는 열쇠에도 동시에 향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회중전등에 열쇠에 부착을 제공한다.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스위치 및 집속기능을 통합하고 있는 소형 회중전등을 사시도로 일반적으로 20으로 예시하였다.
소형 회중전등(20)은 제1단부에서 후부캡(22)에 의해 둘러싸이고 제2단부를 둘러싸는 헤드조립체(23)를 갖는 일반적으로 우순환 원통 또는 배럴(21)로 이루어진다.
헤드조립체는 렌즈(26)를 보유하는 정면 캡(25)을 부착하고 있는 헤드(25)로 이루어진다.
헤드조립체(23)는 배럴(2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배럴(21)의 외부너머 외부로 통과하도록 채택된다. 배럴(21)은 축길이를 따라 가공된 손잡이 표면(27)을 제공할 수 있다. 후부캡(22)은 안에 형성된 탭(28)에 구멍(28)을 통해 다루는 줄을 부착하기 위한 설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제2도를 참조하면, 배럴(21)은 직렬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소형전지(31)를 둘러싸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짐을 나타내나, 그것은 또한 단지 1개의 전지를 둘러싸는 길이가 될 수 있다.
후부캡(22)은 외부나삿니(32) 영역을 갖는데 그것은 배럴(21)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된 들어맞는 나삿니를 계지한다.
전형적으로 0-고리의 형태인 밀봉부재(33)가 후부캡(22)과 배럴(21)간의 계면에 제공되어 방수밀봉을 제공한다. 스프링부재(34)는 후부캡(22)과 인접전지(31)의 케이스전극(35)과 전기적 접촉을 하도록 배럴(21)내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부재(34)는 또한 화살표(36)로 표시한 방향을 전지(31)를 민다.
최후방 전지(31)의 중심전극(37)은 전방전지(31)의 케이스전극과 접촉되어 있다.
전방전지의 중심전극(38)은 하부절연제 리셉터클(41)내에 장착된 제1도체(39)와 접촉되어 밀고 있다. 하부절연체 리셉터클(41)은 또한 안에 부착된 측접촉 도체(42)를 갖고 있다. 중심도체(39)와 측접촉 도체(42)는 둘다 축방향으로 하부절연체 리셉터클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고 둘다 소형 2-핀전구(45)의 말단전극(43 및 44)을 마찰수용 및 보유하도록 채택된다.
더 이상의 조립체없이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은 스프링(34)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36)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밀고 있어 그것이 배럴(21)의 단부상에 형성된 립(46)과 접촉될때까지 이동된다. 그 지점에서 측접촉 도체(42)와 배럴(21)의 립(46)간에 전기적 접촉이 만들어진다.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은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이 설치되어 있는 배럴(21)의 단부에 외부에 배치된다.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은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과 맞도록 구성되어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과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의 반대 표면간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한다.
전구(45)의 램프전극(43 및 44)은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을 통과하고 각각 중심도체(39)와 측접촉 도체(42)와 전기접촉되어 있는 한편, 전구(45)의 케이싱은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의 외표면을 향해 놓인다.
헤드조립체(23)는 배럴(21)의 외표면에 형성된 들어맞는 나삿니와 계지하는 헤드(24)의 내표면에 형성된 제지나삿니(48)에 의해 배럴(2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밀봉 0-고리(49)는 나삿니에 인접한 배럴(21)의 원주둘레에 설치되어 헤드조립체(23)와 배럴(21)간의 방수밀봉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포물선의 반사경(51)은 헤드(24)의 최외단부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그것은 랜즈(26)에 의해 제자리에 단단히 유지되며 이것은 차례로 헤드(24)의 외경 전방부에 형성된 나삿니(52)와 나삿니로 계지되는 정면캡(25)에 의해 보유된다.
0-고리(53 및 53A)는 정면캡(25)과 헤드(24), 그리고 정면캡(25)과 렌즈(26)간의 계면에서 통합되어 방수밀봉을 제공한다.
헤드(24)가 나삿니(48)에 의해 배럴(21)에 충분히 고정될 때, 전구(45)의 통과를 위해 안에 형성된 구멍을 둘러싼 반사경(51)의 중앙부는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의 최외표면을 향해 힘이 가해져 그것을 화살표(36)로 표시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밀고 있게 된다. 다음에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은 같은 방향으로 하부절연체 리셉터클(41)을 밀어, 이로써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의 최전방 표면과 배럴(21)의 전단부상의 립(46)사이에 공간을 제공한다.
측접촉 도체(42)는 따라서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럴(21)상의 립(46)과의 접촉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면, 배럴(21)의 축에 대한 헤드(24)의 적당한 회전은 헤드조립체(23)로 하여금 나삿니(48)의 계지를 통해 화살표(36)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을 일으킨다.
실선에 의해 제3도에 표시된 상대적 위치에 이를 때 헤드조립체(23)는 반사경(51)이 또한 같은 거리를 이동해, 화살표(36)의 방향으로 전지(31)를 병진운동시키는 스프링(34)(제2도)의 미는 힘에 의해,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과 하부절연체 리셉터클(41)로 하여금 예시된 위치에 이동될 수 있게 하도록 화살표(36)의 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를 전진해 있다. 이 위치에서, 측접촉 도체(42)는 배럴(21)의 전방단부의 립(46)과 접촉하도록 가져왔고 이것은 전기회로를 닫는다.
화살표(36)로 표시된 방향으로 헤드조립체(23)의 추가적인 병진운동을 일으키도록 해드 조립체(23)의 추가적인 회전은 회전조럽체(23)를 제3도의 고스트상에 의해 표시된 위치에 이르는 결과를 가져오고 위치(25')에 정면캡이 놓이고 26'로 표시한 위치에 렌즈가 놓이고 이것은 차례로 반사경(51)을 위치(51')로 이동시킨다.
이 조작의 동안에,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은 배럴(21)에 상대적인 고정된 위치에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전구(45)도 또한 고정된 위치에 남는다.
헤드조립체(23)의 이 추가적인 회전동안 전구(45)에 상대적인 반사경(51)의 이동은 반사경(51)의 포물선면 초점에 관하여 전구(45)의 필라멘트의 위치로 상대적 이동을 일으키고, 이로써 렌즈(26)를 통해 전구(45)로부터 발산하는 광비임의 분산을 변동시키게 된다.
다음에 제4도를 참조하면, 부분단면도로서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과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간의 계면을 예시한다.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은 그를 통해 형성된 한쌍의 평행 슬롯(54)을 갖는데 이것은 그것들의 중앙위치에서 확대되어 중심도체(39)와 측접촉 도체(42)를 각각 수용한다.
한쌍의 아치형 리세스(55)가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의 들어 맞는 아치형 연장부를 수용한다.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은 배럴(21)의 내경내에 이동가능하게 함유되어 있고 이것은 차례로, 예시된 단면의 위치에서 헤드(24)내에 둘러싸여 있다.
다음에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면, 하부 저연체 리셉터클(41), 중심도체(39), 측접촉 도체(42),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 및 소형전구(45)의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방법이 설명될 수 있다.
아치형 리세스(55)가 배럴(21)과 립(46)의 전방 단부를 향해 배향되도록 하는 위치로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을 놓을 때, 중심도체(39)는 실질적으로 환상단부단면(56)이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의 배후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뻗도록 슬롯(54)의 하나를 통해 삽입된다. 다음에 환상단부단면(56)은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도의 전지(31)중 최전방 전지의 중심전극에 맞도록 중심에 놓인 위치에서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의 최후방 표면과 평형이 되도록 굽어진다.
다음에 측접촉 도체(42)는 방사상 돌기(57)가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의 측상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뻗도록 다른 슬롯(54)에 삽입된다.
방사상 돌기(57)는 두 개의 리세스(55)사이의 웹(58)과 일렬로 됨을 주목해야 한다.
조립된 도체와 함께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은 다음에 배럴(21)의 후방단부에 삽입되고 립(46)에 바로 인접한 전방위치로 미끄럼 가능하게 병진 이동된다.
전구(45)를 함유하는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은 램프전극(43 및 44)이 각각 측접촉 도체(42)와 중심도체(39)의 수용부와 일렬로 되도록 병진 이동된다.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에 형성된 한쌍의 노치(61)는 따라서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의 웹(58)과 일렬로 된다.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은 그 다음 배럴(21)의 전방단부를 통해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내에 아치형리세스(55)에 삽입된다.
램프전극(43 및 44)는 그다음 제6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부절연체 리셉터클(47)의 후방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상부 절연체 리셉터클(47)의 전방표면을 통해 형성된 한쌍의 구멍(59)을 통과한다.
다시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제1도의 소형 회중전등의 전기회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에너지는 최후방 전지(31)로부터 전방전지(31)의 케이스전극과 접촉되어 있는 중심 접촉부(37)를 통해 전도된다.
그다음 전기에너지는 전방전지(31)로부터 그것의 중심전극(38)을 통해 램프전극(44)에 결합되어 있는 중심접촉부(39)에 전도된다.
전구(45)를 통과한 후, 전기에너지는 측접촉 도체(42)에 결합되어 있는 램프전극(43)을 통해 나온다. 헤드조립체(23)가 나삿니(48)에 대해 회전되어 제2도에 예시된 위치로 될 때, 측접촉 도체(42)는 배럴(21)의 립(46)과 접촉하지 않고 이로써 열린 전기회로를 가져온다.
그러나, 헤드조립체(23)가 나삿니(48)에 대해 회전되어 제3도의 실선에 의해 예시된 위치로 될 때, 측접촉도체(42)는 제2도의 스프링(34)에 의해 화살표(36)의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는 하부 절연체 리셉터클(41)에 의해 립(46)을 향해 압착된다.
이 구조에서, 전기에너지는 그다음 측접촉 도체(42)로부터 립(46)으로, 배럴(21)을 통해 제2도의 후부캡(22)으로 흐를 수 있다.
스프링(34)은 후부캡(22)을 최후방 전지(31)의 케이스 전극(35)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헤드조립체(23)가 화살표(36)로 표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나삿니(48)에 대해 헤드조리체(23)를 회전시킴으로써, 헤드조립체(23)는 제2도에 예시된 위치로 회복될 수 있고 이로써 전기회로를 열고 회중전등을 끄게 된다.
다음에 제8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1도의 소형회중전등(20)의 추가이용을 예시한다. 헤드조립체(23)로 하여금 제3도의 화살표(36)의 방향으로 배럴(21)에 상대적으로 병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나삿니(48)에 대해 헤드조립체(23)를 회전시킴으로써, 앞서 기술된 바와같이 전기회로를 닫게되고 전구(45)는 밝혀지게된다.
그 방향으로의 헤드조립체(23)의 연속회전은 헤드조립체(23)로 하여금 소형 회중전등(20)의 전방단부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게하여 실질적으로 구형의 비집속 조명원을 제공한다. 추가로, 정면캡(25)이 표면에 놓이도록 실질적으로 수평의 표면(예시않음)에 헤드조립체(23)를 놓음으로써, 소형 회중전등(20)의 후부캡(22)은 실질적으로 수직의 배열로 배럴(21)을 유지하기 위해 헤드(24)에 삽입될 수 있다.
반사경(51)(제2도)은 헤드조립체(23)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전구(45)는 실질적으로 구형의 조명을 생략하게되고 이로써 "주위(ambient)"빛수준을 제공하게 된다.
소형 회중전등(20)의 모든 외부금속표면을 형성하는 배럴(21), 후부캡(22), 헤드(24) 및 정면캡(25)은 부식 및 전기저항성을 위해 전기분해시킨 가공된 고강도 알루미늄으로부터 제조된다. 모든 내부전기 접촉표면은 적당히 가공되어 효율적인 전기전도를 제공한다. 바사경(51)은 고정밀도 광학거울을 보증하기 위해 진공 알루미늄 금속화되어 있는 컴퓨터로 형성된 포물선이다.
제9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9도 내지 제20도에서 제1도의 소형 회중전등에 관하여 기술된 부품과 기능이 유사한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의 부품을 같은 참고번호로 부르되, 본 고안 단이셀 회중전등에서 발견되는 부품을 부르는데는 "A"자를 붙히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은 많은 미적으로 호감가는 방법으로, 예를들면 공동계류중인 미국 의장출원 일람번호 181/296에 개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9도는 배럴(76), 헤드조립체(77), 렌즈(26A) 및 후부캡(78)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75)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10도는 본 고안의 줄(99)과 메달(93)을 포함하는 제9도의 측면도이다.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줄이 후부캡(78)에서 회중전등에 부착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정면단부에 뻗고 헤드조립체(77) 약간 넘어서 뻗기에 충분한 길이이다.
본 고안의 줄(99)은 열쇠를 정면 단부고리(91)에 부착할 때 회중전등(75)으로 부터의 빛은 열쇠와 자물쇠 둘다에 향해질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선택되므로 흑암중에서 잠그고여는 자물쇠 둘다에 향해질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선택되므로 흑암중에서 잠그고여는 조작의 동안에 광선이 자물쇠를 동시에 향하면서 회중전등(75)과 줄부착된 열쇠를 잡는데 한손이 사용될 수 있도록 된다.
줄길이는 동시적인 잠그거나 여는 조작과 흑암중에서 잠그거나 여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열쇠와 자물쇠에 광선을 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회중전등(75)과 협력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메탈(93)은 성명 및 또는 주소와 같은 신분내용이 새겨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11도는 제1도의 회중전등의 렌즈(26)와 같은 재료 및 기능인 렌즈(26A)를 나타내는 제9도의 회중전등의 정면도이다.
제12도는 이후 더 기술되는 바와같이 후부캡(78)을 나타내는 제9a도 회중전등의 배면도이다.
제13도는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의 사시도이며, 회중전등(75)의 헤드조립체(77)부근에 장착될 수 있는 열쇠고리홀더(89)를 예시한다.
이 열쇠고리홀더(89)는 제10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것과 같은 줄과 마찬가지로 기능하되, 제13도의 열쇠고리홀더(89)는 내식성 금속 또는 내식성 도금된 금속 또는 스프링 와이어와 같은 또다른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열쇠고리홀더(89)는 제13도에서 윤곽만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열쇠를 유지하게 되도록, 그리고 흑암중에서 용이하게 열거나 잠그는 조작을 위해 한손으로 잡으면서 회중전등으로 부터의 광선이 자물쇠에 뿐만아니라 열쇠에도 향해지도록 하는 위치로 돌릴 수 있는 충분한 길이와 크기의 열쇠고리 홀더이다.
제13도의 구체예는 줄 또는 열쇠고리를 위한 구멍을 갖지 않는 고정캡과 같은 제9도의 회중전등과 비교하여 다른 후부캡을 설계를 가질 수도 있다.
제14도는 제9도의 회중전등을 나타내나 다른 미적 설계인 것으로 생각되는 다른 손잡이 패턴을 가진 것을 나타내며 공동계류중의 미국의장출원, 일람번호 181/296에 개시되어 있다. 제15도는 제9도의 회중전등과 관련하여 또다른 손잡이 패턴을 나타내고 이것도 공동계류중의 미국의장출원 181/296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 단일셀 회중전등의 제9도 및 또다른 구체예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AAA"크기전지를 사용하나,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은 "AAAA"또는 특수전지 크기와 같은 기타전지크기를 수용하도록 그에 따라서 정해 질 수 있다.
"AAAA"전지는 상단부에 클립접촉부가 있는 종래의 9볼트 전지의 구성요소로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9볼트 전지는, 공동계류중의 미국특허출원 144,389(현재 포기됨)에서 회중전등에서의 사용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같이, 그의 외부케이싱내에 "AAAA"전지로서 공지된 6개의 작은 전지를 갖는다.
제9도의 회중전등의 단면도인 제16도를 참조하면 단일셀 회중전등은 제1도의 회중전등에서 발견되는 것과 몇가지 같은 특징을 갖는 것과 같이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될 수 있다.
그러나, 제1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단일셀 회중전등(75)은 바람직하게는 "AAA"또는 "AAAA"크기의 단일전지를 수용하도록 크기를 만든 배럴(76)을 갖는다.
배럴은 제1도의 회중전등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나삿니와 립(46)과 유사하거나 같은 기능을 하는 헤드(77)단부와 립(46A)에서 나삿니를 갖는다.
제1도의 회중전등에서의 립(46)은 배럴단부에 위치되는 한편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의 립(46A)은 단부 약간 안쪽에 위치되고 제1도의 회중전등과 같이 직각으로 보다는 배럴벽에 예각으로 된 바닥표면을 갖는다.
립(46A)상의 이 경사벽은 제9도의 회중전등의 절연제(41A)와 전기접촉부(42A)상에 여각 경사진 표면과 협력한다.
헤드조립체(77)는 제1도의 회중전등의 헤드(23)와 유사한 내부 나삿니를 갖는 헤드(77A)를 포함한다. 그러나, 단일셀 회중전등의 헤드조립체(77)는 제1도의 회중전등과 같이 정면캡을 갖지 않는다.
오히려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헤드(77A)의 전방단부는 거기에 가공된 홈(85)을 가지며 거기에 0-고리(79)가 놓인다. 렌즈(26A)는 그것을 헤드(77A)의 후방단부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조립의 동안에 0-고리(79)를 향해 위치된다.
헤드조립체(77)는 또한 실질적으로 포물선면이고 배럴에 상대적인 헤드의 회전동안에 이동되는 컴퓨터로 형성시킨 반사경(80)을 또한 포함하며 이 회전은 제1도의 회중전등과 유사하다. 전구(45A)가 사용되고 그것은 공지의 원리에 따라 단일셀 전지전력원으로 작동하도록 수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의 회중전등의 전구(45)와 동일하다. 반사경(80)은 복수의 리테이너 스프링(81)을 갖추고 있다.
리테이너 스프링(81)은 헤드(77)로 반사경(80)의 삽입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스프링작용하여 헤드(77A)의 내표면으로 가동된 리세스(83)에 스프링 작용한다.
이미 삽입된 0-고리(79)와 렌즈(26A)를 갖는 헤드(77A)로 반사경(80)의 삽입시, 스프링 삽입물(81)은 레지(84)의 전방통과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리세스(83)에 스프링 작용할 것이다. 반사경(80), 0-고리(79)를 풀어 놓을 때, 그의 탄성 때문에 팽창되어 반사경(80)을 뒤로 밀고 따라서 스프링 삽입물(81)이 헤드(77A)에서 레지(84)를 향해 위로 이동하도록 된다.
이와같이, 0-고리(79)는 헤드(77A), 렌즈(26A) 계면에서 밀봉작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레지(84)와 스프링 삽입물(81)과 연관하여 헤드(77)와 렌즈(26A)에 상대적인 고정된 종방향 및 방사상 위치로 반사경(80)을 유지시키는 스프링력을 또한 제공한다.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헤드조립체(77)는 배럴(76)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으며, 제1도의 회중전등의 비교적 확대된 직경의 헤드와 외관이 아주다른 외경을 갖는다.
특히, 제16도와 제1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단일셀 회중전등의 반사경(80)은 반사경(80)에 대해서 헤드조립체(77)의 회전시 전구홀더조립체의 이동을 일으키도록 상부 절연체(47A)에 접촉하는 하부표면에 대한 기계적 지지체를 제공하는 연장부 및 방사상 핀(fins)(86)을 갖는다.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부 절연체(47A)는 반사경(80)의 연장부(86)에 접촉되는 한편 제1도의 회중전등에서 상부 절연체(47A)가 반사경(51)에 접촉된다.
0-고리(49A)가 또한 제15도에 나타나 있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0-고리(49)와 동일한 방식으로 헤드(77A)와 배럴(76)간의 밀봉기능을 제공한다.
제16도와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은 제1도의 회중전등의 절연체와 전기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구홀더조립체와 설계 및 기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절연체 및 전기도체를 포함하는 전구홀더조립체를 사용하되,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립(46A), 절연체(41A) 및 접촉부(42)에 관해서와, 후기하는 바와같이, 전지가 거꾸로되면 회중전등의 작동이 방지되는 특징에 관하여 수정되었다.
전구홀더조립체는 전지의 중심접촉부를 수용하는 크기로된 작은 소켓(90)이 절연체(41A)내 홀더조립체의 배후에 위치되도록 더 수정된다.
전구홀더조립체에 통합된 소켓특징으로 회중전등은 렌즈(26A)를 향해 뾰족하게된 융기된 중심접촉부가 중도에 삽입된 전지만으로 적당한 전기회로가 완성될 것이다.
제16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면, 단일셀 회중전등 고안의 반사경(80)에 통합될 수 있는 추가의 임의적 특징을 기술하기로 한다.
반사경(80)은 연장부(82)가 리테이너 스프링(81)으로부터 후방에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82)는 제17도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같이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표면(88)을 갖게 된다.
연장부(82)는 리테이너 스프링(81)으로부터 후방으로 그리고 헤드(77A)에서 레지(84)에 또는 그밖으로 연장된다. 연장부(82)의 크기설정 각이루기 및 구성은 헤드(77A)의 표면(88)과 벽(89)사이에 작은 틈이 제공되도록 한다.
그다음, 예시하지 않았으나, 도구가 제공될 수 있고 이것은 표면(88)과 벽(89) 사이의 틈에 삽입될 수 있는데, 렌즈(26A)를 향하고 표면(88)을 따르는 도구의 삽입시 내부힘이 생기고 따라서 리테이너 스프링(81)으로 하여금 렌즈(26A)와 반사경(80)이 세척 및/또는 대치를 위해 헤드(77A)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정도로 방사상으로 내부로 이동을 일으키게 하도록 한다.
도구는 헤드(77)의 내경내에 맞도록 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관형상이 될 수 있으며 한 단부에, 벽(89)과 표면(88)간의 틈에 들어맞게 되고 렌즈(26a)를 향하는 방향으로 틈에 도구의 삽입시 도구와 반사경의 통합이 반사경(80)의 리테이너 스프링(81)의 충분한 방사상의 내부이동을 일으키게 되도록 하는 정도의 각을 갖는 리드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진 테두리를 가지므로 따라서 리테이너 스프링(81)은 리세스(83)의 전적으로 방사상으로 안쪽에 있게되고 후방 방향으로 렌즈(26A) 및 /또는 반사경(80)의 후속밀림이 헤드(77A)로부터 반사경(80)과 렌즈(26A)의 제거를 허용하게 된다.
제17도는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의 반사경의 배면사시도이며, 반사경(80), 리테이너 스프링(81), 경사진 표면(88)을 갖는 리테이너 스프링 연장부(82) 및 반사경 연장부(86)를 나타낸다.
제16도와 제17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여, 단일 셀 회중전등의 후부캡과 후부캡 삽입물을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은 제2도를 참조하여 나타내고 기술한 것과 같은 후부캡 또는 열쇠고리구멍을 갖지 않는 후부캡 또는 다른 외관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은 바람직하게는 공동계류중의 특허출원 일련번호 144,389(현재포기됨)에 더 충분히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이 후부캡 삽입물을 가진 후부캡을 사용한다. 이점에 관하여 제19도-제20도는 공동계류중 특허출원 일련번호 144,399(현재포기됨)의 제10도, 제12도 및 제14도에 해당하나 참고번호는 접미사 "A"를 붙여 본 고안 단일셀 회중전등으로의 함입을 나타내었다.
제19도-재20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후부캡(78)은 공동계류중 출원의 또다른 후부캡(63)에 해당한다. 후부캡(78)은 65A에 일부 나타낸 임의의 작은 플라스틱 보호홀더를 포함하는 후부캡 삽입물(64A)을 유지한다.
여분의 전구(62A) 및/또는 홀더(65A)의 면들을 잘라서 만든 압입부(66A)의 도움으로 고착된다.
윙(67A)은 삽입물(64A)의 중앙 환상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뻗고 배럴(76)에 후부캡(78)의 삽입시 배럴(76)의 내표면과의 전기접촉을 제공한다.
0-고리를 또한 33A에 나타내었고 후부캡(78)과 배럴(76)간의 밀봉을 제공한다.
특히 제19도를 참조하면, 삽입불(64A)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스냅자물쇠(68A)가 후부캡(78)내의 삽입물(64A)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스프링(34A)이 삽입물(64A)로 다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3개의 백스톱(69A)중 2개를 또한 나타낸다.
제20도를 참조하여, 후부캡(78)의 정면사시도를 나타낸다. 슬룻(71A)은 삽입물(64A)의 윙(67A)의 배향과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후부캡(78)의 나삿나부(72A)상의 정면에서 절단된다. 줄 및/또는 열쇠고리를 부착하기 위한 구멍(28A)과 탭(29A)을 제공하기 위한 후부캡의 후방연장부의 곡면 또는 부채꼴모양 외관이 나타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고 제19도-제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삽입물(64A)은 배럴(76)의 내부로부터 삽입물(64A)의 윙(67A)을 통해 삽입물 몸체 자체, 그다음 적어도 백스톱(69A)에서 삽입물(64A)과 접촉해 있는 스프링(34A)에 전도로를 제공한다.
쉽게 인식될 수 있는 바와같이, 전도로는 이와같이 형성되나 전체 후부캡이 절연체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거나 또는 절연체 물질로 피복될 수 있다.
후부캡이 절연체 물질로 피복되는 종래의 설계에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영역 73과 74에서 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의 가공을 요한다.
후부캡 삽입물(64A)은 베릴륨 구리와 같은 어떤 적합한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단일셀 회중전등에서 사용된 줄(99)은 나일론 브레이드 물질로 만드러 질 수 있고 어느 한단부에서 고리(91)를 가지며 각 단부에 고착시키기 위한 페롤(92)을 갖는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브레이드 물질의 한단부는 자체에 다시 삽입되고 공동계류중의 특허출헌, 일람번호 182/282에 기술된 바와 같이 회중전등에 부착된다.
본 고안의 단일셀 회중전등은 제1도의 회중전등과 꼭같이 헤드조립체(77)의 제거시비집속의, 실질적으로 구형의 조명을 제공하도록 조작될 수 있음이 또한 주목된다.
그러나, 제1도의 회중전등과 달리, 단일셀 회중전등(75)은 후부캡 단부를 먼저 거꾸로 된 헤드조립체에 삽입시키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단일셀 회중전등(75)은 후부캡만에 수직으로 서게될 것이다.
본 고안자는 여기서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한편, 많은 수정, 변경, 다른 구체예 및 다른 재료들이 당업자에 의해 생각될 수 있고 본 고안을 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모든 이러한 다른 구체예는 첨부 청구범위에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내인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단일 전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 배럴; 헤드부, 렌즈, 0-고리 및 반사경을 포함하고 배럴의 한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계지하기 위해 채택된 헤드조립체; 필라멘트를 갖는 램프를 유지하는 수단,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 및 전기도체를 포함하는 스위칭 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 조립체는 배럴의 일단부에 이동가능하게 보유되어 헤드 조립체의 회전에 용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헤드조립체의 회전은 스위칭 조립체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의 열림 및/또는 닫힘을 일으키기 위해 필라멘트와 배럴간의 상대 운동을 일으키며; 및 헤드조립체의 추가적인 회전은 회중전등의 동작동안에 빛의 산란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반사경과 필라멘트간의 상대운동을 일으키는 소형회중 전등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리세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비사경은 라테이너 스프링을 포함하여, 반사경의 레테이너 스프링이 헤드부에 고정된 축상관계로 반사경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헤드부의 리세스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회중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밸럴로부터 먼방향으로 헤드조립체의 추가적인 회전은 전구를 노출시키고 구형(球形)의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배럴로부터 헤드조립체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3. 제1항에 있어서, 설치후 반사경의 제거를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는 리테이너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4. 제3항에 있어서, 제거를 위한 수단은 리테이너 스프링으로부터 연장되고 배럴의 내부표면으로부터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1표면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 헤드의 내부표면과 리테이너 스프링의 제1표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5. 제1항에 있어서, 회중전등의 길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6. 제5항에 있어서, 줄은 적어도 하나의 폐롤을 갖는 헝겊재료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7. 제1항에 있어서, 열쇠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회중전등의 헤드조립체 부근에서 이동가능하게 회중전등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8. 제1항에 있어서, 회중전등의 전체길이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줄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9.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조립체를 전지의 융기된 중심 접촉부를 수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수단은 융기된 중심접촉부의 삽입시 전구에 전지의 중심 접촉부를 접촉시키고 배럴의 후부캡 단부에 면하는 융기된 중심접촉부를 가진 배럴내로 전지의 삽입시 전구와 전지의 전기적 접속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10. 제6항에 있어서, 줄 및 회중전등에 소유자를 식별하는 수단이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KR2019930011152U 1989-05-13 1993-06-23 단일셀 회중전등 KR930005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152U KR930005302Y1 (ko) 1989-05-13 1993-06-23 단일셀 회중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393A KR900018590A (ko) 1989-05-13 1989-05-13 단일셀 회중전등
KR2019930011152U KR930005302Y1 (ko) 1989-05-13 1993-06-23 단일셀 회중전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393A Division KR900018590A (ko) 1989-05-13 1989-05-13 단일셀 회중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02Y1 true KR930005302Y1 (ko) 1993-08-13

Family

ID=2662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152U KR930005302Y1 (ko) 1989-05-13 1993-06-23 단일셀 회중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3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0047B1 (en) Single cell flashlight
US4819141A (en) Flashlight
EP0236113B1 (en) Flashlight
US4658336A (en) Miniature flashlight
US4577263A (en) Miniature flashlight
US4527223A (en) Flashlight
US5806964A (en) Miniature flashlight
US4899265A (en) Miniature flashlight
US4942505A (en) Miniature flashlight
US4841417A (en) Tailcap switch-focus flashlight
US4851974A (en) Flashlight
US4956755A (en) Mechanical actuation
KR0126293B1 (ko) 재충전가능 소형 회중전등
US5158358A (en) Tailcar switch focus flashlight
US5143441A (en) Miniature flashlight
US5400227A (en) Tailcap switch focus flashlight
EP0605133B1 (en) Flashlight
US6796674B2 (en) Flashlight head with isolated lighting elements
US5293307A (en) Miniature flashlight
KR930005302Y1 (ko) 단일셀 회중전등
CA2144375C (en) Lighting assembly for use in cigaret lighter shell without reliance on conductivity thereof
JP2729081B2 (ja) 小型懐中電灯
NZ228976A (en) Flashlight; switched by rotating head
KR200219497Y1 (ko) 개인용 휴대 전등
GB2259358A (en) Multi-function flash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