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272Y1 - 매몰형 밸브(埋沒形 Valve)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매몰형 밸브(埋沒形 Valve)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272Y1
KR930005272Y1 KR2019910008224U KR910008224U KR930005272Y1 KR 930005272 Y1 KR930005272 Y1 KR 930005272Y1 KR 2019910008224 U KR2019910008224 U KR 2019910008224U KR 910008224 U KR910008224 U KR 910008224U KR 930005272 Y1 KR930005272 Y1 KR 930005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ear
adapter
fixed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042U (ko
Inventor
정창무
Original Assignee
정창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무 filed Critical 정창무
Priority to KR2019910008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272Y1/ko
Publication of KR930001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0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매몰형 밸브(埋沒形 Valve)의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설치한 상태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제3도의 A-A선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제3도의 B-B선 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제3도의 C-C선 횡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 제3도의 D-D선 횡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 제3도의 E-E선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관 3 : 안내링체
4 : 핸들축 5 : 연결대
6 : 지시침 7 : 링기어 박스
7': 중심공 8 : 개폐기
9, 9'; 전달기어 10 : 내관
10': 내공부 11, 11': 걸림홈
12 : 아답터(Adaptor) 12': 주연턱
13, 18 : 내턱 14 : 내치차
a, b, c, a',b', c': 고정축 G, G',G", g, g', g": 유성기어
15 : 전달기어 16 : 원판
16': 통공부 17 : 캡
17': 안내공 19 : 재치환
20, 20': 안내홈 21 :자형 스톱퍼(Stopper)
22 : 나조(螺棗) 23 : 핸들측기어
24 : 고정축 24': 유성기어
본 고안은 지하에 매몰(埋沒)하여 설치하는 고압가스(LNG 및 LPG)판의 밸브를 지상에서 직접 적은 힘의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매몰형(埋沒形)밸브(Valve )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매몰작업과 같이 밸브의 후렌지와 체결하여 설치하는 본 고안의 개폐기는 그 상단부의 링기어 박스를 지상과 근접되도록 설치한 수취기실로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이 수취기실에 뚜껑을 덮어두었다가 유사시는 뚜껑을 열고 지상에서 직접 핸들로 지하에 매몰된 밸브의 개폐작업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본 고안은 핸들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외관 내부로 구성한 내관으로 전달되어 이의 상하 단부로 고정한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링기어 박스 내의 유성기어와 원판상에 삼각형태를 이루고 있는 3개의 유성기어로부터 상기 원판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시킨 전달기어와 다시 치합하는 아답터(Adaptor)상에 재치한 3개의 유성기어에 의해 아답터가 회전되도록 이들 유성기어들이 치합하고 있는 내치차를 상단 내주벽에 형성하고 그 하방에 내턱을 갖는 안내링체의 내부로 아답터의 주연턱이 걸러지도록 하여 아답터를 삽입구성한 것이다.
상기 아답터 상에는 연결대의 일단을 그 중심부로 입설 고정하여 조립시 원판의 저면으로 고정된 전달기어와 원판의 통공부를 통하여 상하단부에 전달기어를 갖는 내관의 내공부로 관착시켜 그 타단이 링기어 박스의 표면 중심부로 돌출되게 한다.
상기 내관의 상부는 이의 외부로 외관의 상단 내벽에 형성된 내턱에 걸리는 재치환과 양 아내홈으로 승강작동을 하는자형의 스톱퍼(Stopper)를 나합시킨 나조(螺棗)를 갖고 링기어박스의 내부에서 핸들축기어와 치합된 유성기어에 내관의 상단부로 고정한 전달기어를 치합하였다.
따라서 밸브의 후렌지와 안내링체의 후렌지를 체결하면 상기 안내링체의 내부로 안내된 아답터는 그 내벽 양측으로 요설한 안내홈이 기존 밸브축과 결합되므로 지상에서 개폐기의 핸들을 좌우방향(Open 및 Shut)으로 회동시켜 개폐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때 핸들의 회전력을 내과은 통해 원판과 아답터상으로 설치한 유성기어에 전달되고 이와 같은 전달력은 안내링체의 내치차에 의해 분산감소된 최소의 힘으로 가장 많은 유효하중을 아답터에 가하여 줌에 따라 아답터의 회전이 원활해지는 것이다.
특히 아답터와 같이 회전하는 연결대는 통공부와 내관의 내공부에서 공회전을 하는 연결대의 단부가 링기어박스의 표면 중심부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이에 지시침에 의해 밸브의 개방범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자형 스톱퍼의 상하 작동으로 인해 오차가 없는 밸브의 개방 및 차단상태를 확고히 하므로서 개폐 작업의 안전성과 실용성을 함께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하에 매몰되는 밸브의 개폐작업을 지상에서 핸들의 수평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최소한의 힘으로 가장 많은 유효하중을 가하여 밸브의 개폐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고저 하는데 있고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와 같이 연장축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개폐작업에서와 같은 홈관이나 콘크리이트 박스의 설치를 제거하여 최소한의 분기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수취기실 만을 간단히 설치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핸들의 회전력이 내관에 의해 밸브축에 가해지는 유효하중을 각각의 유성기어에 균등히 분배하여 안정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관내의 내용물(가스)에 관계없이 개폐작업을 효과적 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 지하에 매몰되는 밸브는 밸브축 상단에서 밸브를 조작하기 위한 홈관이나 콘크리트 박스를 비교적 크게 설치하여 평상시는 뚜껑을 덮어두었다가 이상이 유하여 밸브를 개폐시켜 주어야 할 경우에는 홈관이나 콘크리이트 박스의 뚜껑을 열고 직접 그 안으로 들어가서 개폐작업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웠을 뿐만 아니라 이에 가스가 충만되어 있을 때는 상기한 작업조차도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이 설치되는 대부분의 밸브는 윔기어나 또는 베벨기어에 의한 회전운동으로 핸들에 많은 힘을 가하는데 따른 유효하중을 밸브축에 효과적으로 가할 수 없어서 회전축에 비틀림작용을 초래하거나 또는 개폐작용의 정확성을 기할 수 없었다.
더우기 우기중에는 홈관이나 콘크리이트 박스로 누수현상이 잦아서 기밀성과 압력을 요하는 밸브축과 또 이에 연관된 각 구성물에 부식성을 초래하는 폐단으로 인한 안전성의 결함과 콘크리트 박스의 양생작업에 따른 장기간의 공기와 인건비의 상승 요인이 있었고 또한 분기공간의 확보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한 고안한 것으로서 밸브의 매몰심도(埋沒深度)에 따라 외관과 내관 및 연결대의 길이만을 조정하여 구성하는 본 고안의 개폐기는 밸브의 매설작업과 동시에 밸브축에 체결하여 설치하고 그 상부로 수취기실 만을 간단히 마련하므로서 개폐작업시 지상에서 직접 핸들을 조작하여 지하에 매몰된 밸브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의 길이로 조정이 가능한 외관(1)의 하단 내부에 후랜지(2)가 형성된 안내링체(3)를 삽착고정하일측으로 핸들축(4)과 그 중심부로 돌출시켜준 연결대(5)의 상단에 지시침(6)을 갖는 링기어 박스(7)를 외관(1)의 상단부와 보울트(6')로 나착하여 개폐기(8)를 구성한다.
상기 외관(1)의 내부에는 상하단부에 전달기어(9)(9')가 형성된 내관(10)의 외관(1)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 내관(10)의 하방에는 외관(1)의 하단부로 삽착고정된 안내링체(3)의 내부로 걸림홈(11)(11')을 양쪽으로 요설한 아답터(Ada ptoer)(12)을 안내시켜주되 이 아답터(12)의 주연턱(12')이 상기 안내링체(3)의 내턱(13)에 걸려 회전되도록 내턱(13)의 상방으로 형성된 내치차(14)에 아답터(12)상에 고정축(a)(b)(c)으로 지지된 유성기어(G)(G')(G")를 치합시키고 그 중심부에 연결대(5)의 하단에 고정하여 입설하였다.
또 아답터(12)의 상부에는 저면 중심부에 전달기어(15)를 고정하고 있는 원판(16)이 재치되고 이 원판(16)상에 다시 고정축(a')(b')(c')으로 지지된 유성기어(g)(g')(g")가 상기 내치차(14)에 같이 치합된 상태로 안내링체(3)의 상부로 캡(17)을 감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캡(17)의 안내공(17')으로 내관(10)의 하단부를 삽착시켜 이의 전달기어(9')는 유성기어(g)(g')(g")의 중심부에서 이들과 치합되게 하고 원판(16)의 저면으로 고정한 전달기어(15)는 유성기어(G)(G')(G")의 중심부로 각각 구성되도록 하는 한편 내관(10)의 상단부로 형성한 전달기어(9)의 직하방에는 외관(1)의 내턱(18)에 재치되는 재치환(19)과 내주벽의 안내홈(20)(20')으로 승강작동을 하는자형의 스톱퍼(21)가 나합되어지는 나조(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달기어(9)는 기어박스(7)의 내부에서 핸들축기어(23)과 치합하고 있는 고정축(24)의 유성기어(24')와 치합구성하여 핸들축(4)에 의한 회전력이 아답터(12)로 전달되게 하고 이 아답터(12)의 중심부상에 고정한 연결대(5)는 원판(16)의 통공부(16')와 내관(10)의 내공부(10') 및 링기어 박스(7)의 중심공(7')에서 이의 표면으로 약간 돌출된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H는 핸들, V는 밸브, 2'는 밸브 후랜지, VS은 밸브축, 25는 배관, 26은 수취기실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개폐기(8)로 밸브(V)의 개폐작용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먼저 배관(25)의 연결작업과 동시에 밸브(V)의 후렌지(2')와 개폐기(8)의 후렌지(2)를 체결하여 입설된 상태로 링기어박스(7)만이 수취기실(26)에 위치하도록 외관(1)전체를 밸브(V)와 같이 매몰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한 개폐기(8)로 밸브(V)를 개방시키고저 할때는 수취실(26)의 뚜껑(도면부호 없음)만을 열고 지상에서 직접 핸들(H)을 좌방향(OPEN)으로 회전시키면 링기어박스(7)의 내부에서 상기 핸들축(4)의 기어(23)와 치합하고 있는 고정축(24)의 유성기어(24')에 의해 핸들(H)의 회전력이 이와 치합된 내관(10)의 전달기어(9)로 전달됨에 따라 이의 내공부(10')로 관삽되어져서 내관(10)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상기 연결대(5)의 상단부로 구성된 지시침(6)이 "OPEN"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밸브(V)가 개방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상기 내관(10)의 상단 나조(22)로 나합되고 있는자형의 스톱퍼 (21)는 외관(1)의 내주벽으로 형성한 안내홈(20)(20')을 따라 개폐작업시 수직운동으로 승가작용을 한다. 즉자형 스톱퍼(21)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로 스톱하면 핸들(H)의 회전 작용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밸브(V) 가 완전히 개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차단시는 하강된 상태로 스톱을 하기 때문에 밸브(V)의 개방범위를 임의로 조정하여 배관(25)을 통하는 가스의 량을 적절히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지시침(6)을 갖고 있는 연결대(5)가 회전하는 작용은 상기 유성기어( 24')와 치합된 내관(10) 상단부의 전달기어(9)의 회전에 의해 외관(1)의 내턱(18)에 걸려진 재치환(19)에 재치된 상태로 유동됨이 없이 안전하게 회전하는 내관(10)의 하단부에 고정한 전달기어(9')와 치합하고 있는 원판(16)상의 유성기어(g)(g')(g")가 고정축(a')(b')(c')을 중심으로 안내링체(3)의 내치차(14)와 치합된 상태로 회전을 하여 원판(16)이 내관(1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함과 동시에 상기 원판(16)의 저면 중심부로 고정한 전달기어(15)와 다시 치합하고 있는 아답터(12)상의 유성기어(G)(G')(G")도 상기 내치차(14)와 같이 치합구성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아답터(12)가 유연하게 회전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답터(12)의 중심부상으로 입설하여 고정한 연결대(5)는 전달기어 (15)와 원판(16)의 통공부(16')를 통하여 안내링체(3)에 복착시킨 캡(17)의 중심공(17')으로 안내된 내관(10)의 내공부(10')를 지나 링기어박스(7)의 중심공(7')으로 돌출된 단부의 지시침(6)이 작동을 하는 것이다.
상기 아답터(12)는 안내링체(3)의 내턱(12')으로 주연턱(12')이 걸려진 상태로 치차(14)와 치합되어 있는 각각의 유성기어(G)(G')(G") 및 (g)(g')(g")에 의해 전달기어(15)(9')와 같은 방향으로 연결대(5)가 내관(10)의 내공부(10')에서 가볍게 회전하므로 상기 아답터(12)의 내주벽으로 형성한 걸림홈(11)(11')에 결합된 밸브축(VS)을 가볍게 회전시켜 밸브(V)을 개방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적은 힘으로 밸브(V)의 개방작업을 실시하는 본 고안의 개폐기(8)는 밸브(V)를 다시 차단시키고저 할때는 반대로 핸들(H)을 "SHUT"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의 작동이 모두 역으로 작동하여 밸브(V)의 차단작업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핸들(H)에 의한 회전작동으로 밸브(V)를 가볍게 개폐 작동시킬 수 있음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서 다수개의 유성기어(G)(G')(G")(g)(g')(g")군에 핸들(H)의 회전력으로 인한 유효하중을 최소한의 힘으로 가하여 가볍고 유연한 작동으로 밸브(V)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종래와 같이 윔기어나 베벨기어 및 기타의 수단에 의해 실시하는 개폐작업시의 과중한 회전력을 일소할 수 있고 또 홈관이나 콘크리트 박스와 같은 별도의 작업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지상에 간단히 수취기실(26)만을 형성하는데서 오는 분기공간의 확보 이점과 밸브(V)의 매몰심도에 따라 개폐기(8)의 외관(1)과 내관(10)을 임의의 길이로 선택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어서 경제성이 월등할 뿐만 아니라 삼각형태를 이루고 있는 각 유성기어(G)(G')(G")(g)(g')(g")들에 의해 핸들축(4)으로 부터 내관(10)을 경유하여 아답터(12)로 전달되는 회소한의 유효하중으로 내관(10)이나 연결대(5)의 비틀림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정확한 각 기어(G)(G')(G")(g)(g')(g")로 분배 집중되는 회전력으로 밸브의 대소에 관계없이 개폐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지시침(6)이 이동상태에 따라 개폐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지시침(6)의 이동상태에 따라 개폐범위를 지상에서 조정확인할 수 있고 또 이를 설치함에 있어서도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개폐기(8)를 밸브 후렌지에 체결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공기의 단축과 안전성을 함께 하는 실용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하에 매몰된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8)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관(1)의 하단부로 후렌지(2)를 갖고 내치차(14)와 내턱(13)이 내주벽으로 형성된 안내링체(3)를 삽착고정하여 이에 연결대(5)가 그 중심부상으로 고정되고 걸림홈(11)(11')을 내벽 양쪽으로 요설시킨 아답터(12)를 삽착하되 이 아답터(12)상에 고정축(a)(b)(c)으로 고정한 유성기어(G)(G')(G")와 그 상부에 다시 통공부(16')를 통해 연결대(5)로 안내되는 원판(16)을 적층하여 그 저면의 전달기어(15)와 치합된 유성기어(G)(G')(G")와 그리고 원판(16)상에 고정축(a')(b')(c')으로 고정한 유성기어(g)(g')(g")을 상기 내치차(14)에 같이 치압되도록 캡(17)으로 복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성기어(g)(g')(g")는 캡(17)의 중심공(17')으로 전달기어(9)(9')를 상하 단부에 형성된 내판(10)의 내공부(10')로 연결대(5)를 안내 삽착시켜 설치하는 내관(10)의 전달기어(9')와 치합시켜 주는 한편 상기 내관(10)상부의 재치환(19)은 외관(1)의 내턱(18)에 재치되고 나조(22)에는자형의 스톱퍼(21)를 나합하여 내관(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외관(1)의 내주벽으로 요설한 안내홈(20)(20')으로 승강 작동되게 하며 이 외관(1)의 상부에는 전달기어(9)와 유성기어(24') 및 핸들축기어(23)을 치합하여 구성한 링기어 스(7)를 설치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몰형(埋沒形) 밸브(Valve)의 개폐장치.
KR2019910008224U 1991-06-04 1991-06-04 매몰형 밸브(埋沒形 Valve)의 개폐장치 KR930005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224U KR930005272Y1 (ko) 1991-06-04 1991-06-04 매몰형 밸브(埋沒形 Valve)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224U KR930005272Y1 (ko) 1991-06-04 1991-06-04 매몰형 밸브(埋沒形 Valve)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042U KR930001042U (ko) 1993-01-21
KR930005272Y1 true KR930005272Y1 (ko) 1993-08-11

Family

ID=1931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224U KR930005272Y1 (ko) 1991-06-04 1991-06-04 매몰형 밸브(埋沒形 Valve)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2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178B1 (ko) * 2006-01-25 2007-06-15 주식회사 하이스텐 유성기어가 설치된 볼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178B1 (ko) * 2006-01-25 2007-06-15 주식회사 하이스텐 유성기어가 설치된 볼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042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115B2 (en) Valve position indicator
US20140331913A1 (en) Valve position indicator
ES2248869T3 (es) Valvula de gas.
KR930005272Y1 (ko) 매몰형 밸브(埋沒形 Valve)의 개폐장치
EP0647805B1 (en) Ball valve
EP1802817B1 (en) Discharge siphon for sanitary equipment.
US3656504A (en) Buried valve position indicator
EP0105758A1 (en) Fluid control assembly
KR101779574B1 (ko) 맨홀 가스관 밸브 개폐장치
GB8525277D0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JPS5921340Y2 (ja) 仕切弁
US6364179B1 (en) Telescoping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use thereof
RU184015U1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затвор сливного прибор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цистерны
KR101742445B1 (ko) 설치구조를 개선시킨 배관용 밸브 개폐장치
JPH0319663Y2 (ko)
US4936484A (en) Liquid container
JPS6220775Y2 (ko)
JPH0437577Y2 (ko)
CN216519923U (zh) 一种双向软密封蝶阀
CN218236339U (zh) 一种阀门启闭辅助工具
JPH07174260A (ja) 中心形バタフライ弁の駆動装置
CN220682575U (zh) 一种可双向打开或关闭的人孔盖及船舶
JP2545753Y2 (ja) 不凍給水栓の向き自在装置
JPH0721667Y2 (ja) 排水栓装置
KR100231720B1 (ko) 밸브개폐 표시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