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226Y1 - 다중화 중간주파수증폭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화 중간주파수증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226Y1
KR930005226Y1 KR2019880013725U KR880013725U KR930005226Y1 KR 930005226 Y1 KR930005226 Y1 KR 930005226Y1 KR 2019880013725 U KR2019880013725 U KR 2019880013725U KR 880013725 U KR880013725 U KR 880013725U KR 930005226 Y1 KR930005226 Y1 KR 930005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utpu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918U (ko
Inventor
문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3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226Y1/ko
Publication of KR900005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화 중간주파수증폭 시스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중 제1, 제2서필터(14)(22)의 주파수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 11 : 밴드선택부
12 : 사운드 트랩 13 : 사운드 밴드 패스필터
14, 22 : 제1, 제2서필터 15 : 비디오 중간 주파부
16 : AM사운드 복조부 17 : QPT-DEM
18, 19 : 제1, 2초오크 코일 23 : FM복조부
20 : 발진기 21 : 혼합회로
본 고안은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함께 수신하는 수신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든 주파대역에 걸친 라디오 프리퀸시(Radio Frequency : 이하 RF라함)를 중간 주파증폭하여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복조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영상정보 즉 비디오 신호는 진폭변조(Ampletude Modulation : 이하 AM 이라함)하고, 음성정보 즉 음성신호는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 이하 FM이라함)하여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함께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음성정보와 영상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통신장치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32.4MHz~39.9MHz을 상용함은 통상적으로 통신장치 제작 및 설계자들에게는 공지의 사실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주파수 대역은 다음과 같이 세분하여 약칭하고 있는데 중심주파수가 32.4MHz이면 DK, 그리고 32.9MHz이면 I, 33.4MHz이면 BGH, 34.4MHz는 M로서 상기 약칭얼들은 모두 상기 중심주파수를 기점으로 음성신호를 FM변조한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이하 IF라함)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약칭어들 이외에 32.3MHz주파수대에서 음성신호를 AM변조한 L과 39.9MHz주파수대에서 AM변조한L'라는 약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장치에서는 상기 BGH, DK, I, M 밴드의 RF신호만을 중간주파증폭하도록 제작 시판되고 있는데 이는 공히 AM 변조하는 영상정보에 대하여 FM변조된 음성정보의 여러가지 간섭이 적은 이점때문이었다.
상기 이유로 현재의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를 함께 수신하는 수신장치들은 음성 정보는 FM복조할 수 있게, 그리고 영상정보는 AM복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AM변조한 L및 L'밴드의 음성정보는 함께 선택적으로 중간증폭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영상 및 음성정보를 함께 수신복조하는 수신장비에 있어서 L 및 L'밴드의 음성정보까지 함께 선택적으로 중간주파할 수 있게 함으로서 L 및 L'밴드의 음성정보까지 복조할 수 있는 다중화 중간주파 증폭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헤히 설명한다.
제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시청자의 조작에 의해 공중선(ANT)을 통해 입력되는 RF신호중 신청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대의 RF신호인 중간주파신호를 발생출력하는 튜너(10)와, 시청자의 조작에 의해 시청하고자 하는 주파수대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중간주파 증폭하기 위한 밴드선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밴드선택부(11)와, 상기 밴드선택부(11)의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밴드의 필터링 주파수 대역을 변화시키어 상기 튜너(10)로 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신호를 필터링함으로서 비디오 중간 주파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사운드 트랩(Sound Trap)(12)와, 상기 밴드 선택부(11)의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밴드의 필터링 주파수 대역을 변환시켜 상기 튜너(10)로 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함으로서 음성 중간 주파신호만을 선택출력하는 사운드 밴드 패스 필터(Sound Band Pass Fiter)(13), 상기 사운드 트랩(12)로 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중간주파 신호를 필터링하여 일정 주파수 이외의 잡음 성분을 제거하는 제1서필터(Saw Filter)(14)와, 상기 제1서필터(14)로 부터 재필터링된 비디오 중간주파신호를 증폭한 다음 복조하므로서 비디오 반송파와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여 제1, 제2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비디오 중간주파부(15)와, 상기 사운드 밴드 패스필터(13)으로 부터 출력되는 음성 중간 주파수가 AM변조되어져 있는 경우 증폭 및 검파 동작하여 음성신호를 제1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FM변조되어진 음성 중간 주파신호일 경우 음성 반송파를 제2출력단자를 통해 스위칭 출력하는 AM사운드 복조부(16)와, 상기 비디오 중간주파부(15)의 제2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반송파를 상기 밴드선택부(11)의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변화시켜 비디오 반송파를 출력하는 제1초오크 코일(18)과, 상기 밴드선택부(11)의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AM사운틀 복조부(16)의 제2출력단자로 부터 출력되는 음성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어 출력하는 제2초오크 코일(19)와, 제1초오크 코일(18)과 제2초오크 코일(19)로 부터 각각 출력되는 비디오 반송파의 음성 반송파를 믹싱 및 복조하여 FM의 제2음성 중간 주파수 신호(SIF)를 발생하는 쿼시 페러럴 톤 딤모듈레이터(Quasi-Parallal Tone Demodulator : 히아 QPT-DEM이라함)(17)와, 상기 밴드선택부(11)로부터 출력되는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된 밴드에 해당하는 국부 발진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기(20)와, 상기 QPT-DEM(17)로 부터 발생된 제2음성중간 주파신호와 상기 발진기(20)에서 발생되는 국부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일정 주파수대의 제3음성중간 주파신호를 발생하는 혼합회로(21)와, 상기 혼합회로(21)로부터 출력되는 제3음성중간 주파신호를 필터일하여 출력하는 제2서필터(22)와, 상기 제2서필터(22)로 부터 출력되는 제3음성중간 주파신호를 입력하여 FM복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FM복조기(23)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중 제1서필터의 주파수 특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상술한 제1의 구성 및 제2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시청자가 시청하고자하는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기 위해 밴드선택부(11)에 설치된 메뉴얼 스위치(Menual Switch)(도시하지 않았음)를 조작하면 밴드선택부(11)은 3비트의 밴드선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버스라인(1)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3비트의 밴드 선택 제어신호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이에 따른 선택 동작은 하기와 같다.
[표 1]
그리고 시청자가 튜너(10)를 조작하여 시청하고자하는 주파수대를 선택하며, 상기 튜너(10)는 공중선(ANT)를 통해 입력되는 RF신호중 선택된 주파수대역의 RF신호를 선택하고 이를 처리하여 중간주파수 신호로서 라인(2)로 출력한다.
이때 사운드 트랩(12)과 사운드 밴드패스 필터(13)는 상기 출력된 밴드 선택제어 신호에 의해 필터링 대역이 설정되는데 이는 각각 하기 표 2와 같이된다.
[표 2]
따라서 상기 사운드 트랩(12)과 사운드 밴드패스 필터(13)들은 상기 밴드 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튜너(1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중간 주파수를 해당 밴드의 신호로 필터링하여 출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사운드 트랩(12)은 중간 주파신호중 비디오 중간주파신호만을 추출하여 제1서필터(14)로 출력한다.
상기 제1서필터(14)는 사운드 트랩(12)으로 출력되는 상기 비디오 중간 주파신호를 제2도와 같은 주파수특성에 의해 필터링하여 자바음성분을 제거한 다음 비디오 중간주파수(15)로 출력한다. 상기 서필터(14)에서 필터링된 비디오 중간 주파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 중간 주파부(15)는 상기 비디오 중간 주파신호를 증폭하고 겸파하여 라인(3)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비디오 중간 주파수(15)는 비디오 반송파를 제2출력단자를 통하여 제1초오크 코일(18)로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중간 주파 증폭부(15)로 부터 비디오 반송파를 입력하는 제1초오크 코일(18)은 버스라인(1)을 통해 인가되는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따라 공진주파수를 조절하여 상기 비디오 반송파를 QPT-DEM(17)로 감쇄없이 전송한다.
한편 상기 버스라인(1)을 통해 밴드선택부(11)로 부터 출력되는 밴드선택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사운드 밴드 패스 필터(13)는 상기 튜너(10)로 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를 전술한 표와 같은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제1음성 중간 주파신호만을 AM사운드 복조부(16)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필터링되어 입력되는 제1음성중간 주파신호를 입력하는 AM사운드 복조부(16)는 상기 제1음성중간 주파신호의 변조 상태에 따라 스위칭된다.
예를들어 상기 입력된 제1음성 중간주파신호가 FM변조된 음성 증가주파 신호인가 AM변조된 음성중간 주파신호인가를 검출한다. 상기의 검출 결과 FM변조된 음성 중간주파 신호일 경우에는 입력되는 제1음성중간 주파수를 제2출력단자로 스위칭 출력하여 제2초오크 코일(19)에 입력시키고, AM변조된 음성중간 주파신호일 경우엔 증폭 및 검파하여 복조된 음성신호를 라인(4)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AM사운드 복조부(16)로 부터 음성반송파를 입력하는 제2초오크코일(19)은 상기 버스라인(1)을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가되는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공진주파수를 변화시켜 상기 음성반송파를 감쇄없이 QPT-DEM(17)는 상기 주파수 변환된 비디오 반송파와 음성반송파를 믹싱하여 밴드 선택에 따른 제2음성중간주파신호를 하기 표 3과 같이 발생하여 혼합회로(21)로 출력한다.
[표 3]
발진기(20)은 상기 버스라인(1)을 통해 인가되는 밴드선택 제어신호가 지정하는 주파수대의 국부발진 주파수를 발생하여 혼합 회로(21)로 출력하는데 이는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이때 상기 혼합회로(21)는 상기 QPT-DEM(17)로부터 출력되는 제2음성중간 주파 신호와 상기 발진기(20)로 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여 제3음성중간 주파신호를 제2서필터(22)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서필터(22)는 이를 제2도와 같은 특성을 필터링하여 FM복조부(23)는 제3음성중간 주파신호를 FM복조하여 라인(5)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FM변조된 음성 중간주파신호와 AM변조된 음성중간 주파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하게 함으로서 AM변조된 주파수 밴드의 RF신호까지 복조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주파수 선택신호에 의해 공중선(ANT)을 통해 입력되는 RF신호중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RF신호인 중간주파신호를 출력하는 튜너(10)와, 시청자의 조작에 의해 시청하고자 하는 주파수대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중간주파 증폭하기 위한 밴드선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밴드선택부(11)와, 상기 제2서필터(22)로부터 출력되는 제3음성중간 주파신호를 입력하여 FM복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FM복조기(23)를 구비한 다중화 중간주파수증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밴드선택부(11)의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밴드의 필터링 주파수 대역을 변화시키어 상기 튜너(10)로 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함으로서 비디오 중간 주파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사운드 트랩(12)와, 상기 밴드 선택부(11)의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밴드의 필터링 주파수 대역을 변화시켜 상기 튜너(10)로 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 함으로서 음성 중간 주파신호만을 선택출력하는 사운드 배니드 패스 필터(13)와, 상기 사운드 트랩(12)로 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일정 주파수 이외의 잡음 성분을 제거하는 제1서필터(14)와, 상기 제1서필터(14)로 부터 재필터링된 비디오 중간주파신호를 증폭한 다음 복조함으로서 비디오 반송파와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여 제1, 제2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비디오 중간주파부(15)와, 상기 사운드 밴드패스필터(13)으로 부터 출력되는 음성 중간 주파수가 AM변조되어져 있는 경우 증폭 및 검파 동작하여 음성신호를 제1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FM변조되어진 음성 중간 주파신호일 경우 음성 반송파를 제2출력단자를 통해 스위칭 출력하는 AM사운드 복조부(16)와, 상기 비디오 중간주파부(15)의 제2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반송파를 상기 밴드선택부(11)의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변화시켜 비디오 반송파를 출력하는 제1초오크 코일(18)과, 상기 밴드선택부(11)의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AM사운드 복조부(16)의 제2출력단자로 부터 출력되는 음성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어 출력하는 제2초오크 코일(19)와, 제1초오크 코일(18)과 제2초오크 코일(19)로 부터 각각 출력되는 비디오 반송파와 음성 반송파를 믹싱 및 복조하여 FM의 제2음성 중간 주파수 신호(SIF)를 발생하는 쿼시 페러럴 톤 디모듈레이터(17)와, 상기 밴드선택부(11)로부터 출력되는 밴드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된 밴드에 해당하는 국부 발진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기(20)와, 상기 쿼시 페러럴 톤 디오듈레이터(17)로부터 발생된 제2음성중간 주파신호와 상기 발진기(20)에서 발생되는 국부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일정 주파수대의 제3음성 중간 주파신호를 발생하는 혼합회로(21)와, 상기 혼합회로(21)로부터 출력되는 제3음성중간 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FM복조부(23)로 공급하는 제2서필터(2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다중화 중간주파 증폭회로.
KR2019880013725U 1988-08-23 1988-08-23 다중화 중간주파수증폭 시스템 KR930005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725U KR930005226Y1 (ko) 1988-08-23 1988-08-23 다중화 중간주파수증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725U KR930005226Y1 (ko) 1988-08-23 1988-08-23 다중화 중간주파수증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918U KR900005918U (ko) 1990-03-09
KR930005226Y1 true KR930005226Y1 (ko) 1993-08-09

Family

ID=1927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725U KR930005226Y1 (ko) 1988-08-23 1988-08-23 다중화 중간주파수증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2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918U (ko) 199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413B1 (ko) 지상 am 및 위성 fm-tv 방송 신호 수신기
US5577270A (en) Receiver for eliminating a crosstalk of an adjacent broadcast
JPH07231273A (ja) 衛星放送受信用チューナ
KR930005226Y1 (ko) 다중화 중간주파수증폭 시스템
JP2004519871A (ja) オフセットチューニング手段を有するデジタル信号のための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6166776A (en) Multi-receiving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signals received from multiple broadcasting systems
EP0437965A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television signals
GB2284316A (en) Sound carrier detecting circuit
WO2008018706A1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ing receiving method thereof
JP3589773B2 (ja) ラジオ受信機の雑音除去回路
JP2705794B2 (ja) 受信機
JP4046312B2 (ja) ソフトウェア受信機
JP4226806B2 (ja) 信号受信回路および信号受信装置
JPH11243348A (ja) 高周波信号の受信装置
KR200148568Y1 (ko) 위성방송 수신장치
JP3528423B2 (ja) 多方式高周波受信装置
JP3800036B2 (ja) Palおよびsecam−l方式対応型テレビ受信機
KR100235352B1 (ko) 개선된 방송용 복합튜너
US6925295B1 (en) Offset cancellation system for a communication system receiver
KR0174913B1 (ko) 세캄 컬러의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
JP4288557B2 (ja) Tv放送受信装置
KR200176217Y1 (ko) 텔레비전 튜너의 음성신호 복조회로
KR950000763B1 (ko) 멀티 사운드 검출기
JPS6221105Y2 (ko)
JP2519961Y2 (ja) 衛星放送チュ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