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941Y1 -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4941Y1 KR930004941Y1 KR2019910001636U KR910001636U KR930004941Y1 KR 930004941 Y1 KR930004941 Y1 KR 930004941Y1 KR 2019910001636 U KR2019910001636 U KR 2019910001636U KR 910001636 U KR910001636 U KR 910001636U KR 930004941 Y1 KR930004941 Y1 KR 9300049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e
- push arm
- button shaft
- button
- casset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카세트 전면에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푸쉬아암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2 : 방향작동버튼
3 : 버튼축 4 : 안내홈
5 : 푸쉬아암 5a : 돌조
6 : 스프링 7 : 반사판 고정플레이트
7a, 7b : 반사경 8 : 토션스프링
9a, 9b : 발광소자
이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세트 하단에 설치된 방향작동버튼을 눌러줌에 따라 버튼축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서 푸쉬아암이 상단의 반사경이 구비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오토리버스 덱크의 전면에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카세트의 오토리버스 기능에서 테이프의 주행방향 표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세트 하단에 설치된 방향작동버튼(2)를 누름에 따라 발광소자(9a)(9b)의 불빛을 이용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상기한 발광소자(9a)(9b)의 불빛이 커져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각종의 카세트에 통상적으로 설치되어서 사용되어 왔다.
즉, 종래에는 주인쇄회로기판에서 카세트의 전면에 설치된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에 발광소자(9a)(9b) 2개를 고정해놓고 주인쇄회로기판의 동작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FWD에 위치한 발광소자(9a)가 켜지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RVS(Reverse)에 위치한 발광소자(9b)가 켜지도록 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 의한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카세트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한 생상단가가 많이 소요되며, 더욱이 생산시에 불량생산율이 높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카세트 하단에 방향작동 버튼과 연결된 버튼축에 안내홈을 따라 움직이는 푸쉬아암이 상단에 반사경이 구비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를 밀어 회전시켜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인한 테이프의 주행표시장치 제작시의 생산단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발광소자에 의해 테이프에 주행방향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하단에 설치된 방향작동버튼과 연결된 버튼축과, 상기 버튼축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부에 돌출된 돌조가 형성된 푸쉬아암과, 상기 푸쉬아암 끝단과 대응되는 상기한 버튼축 끝단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푸쉬아암의 돌조에 의해 움직이도록 상부에 복수개의 반사경이 구비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반사판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상단과 연결된 토션스프링을 형성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에 있다.
이하, 이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카세트(1)하단에 설치된 방향작동버튼(2)과 연결되어 설치된 버튼축(3)이 형성되고, 상기한 버튼축(3)의 상부에는 안내홈(4)이 형성되며, 상기한 버튼축(3)에 고정되어 안내홈(4)을 따라 움직이며 상부에 돌출된 돌조(5a)가 형성된 푸쉬아암(5)이 설치되고, 상기한 푸쉬아암(5)의 끝단과 대응된 버튼축(3)의 끝단사이에는 스프링(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버튼축(3)의 안내홈(4)을 따라 움직이는 푸쉬아암(5) 상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돌조(5a)와 대응되는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가 형성되며, 상기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반사경(7a)(7b)이 설치되고, 상기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의 일측상단은 토션스프링(8)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이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카세트(1)의 하단에 설치된 FWD의 방향작동버트(2)를 누르면, 상기한 방향작동버튼(2)과 연결된 버튼축(3)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4)에 고정되어 상기한 안내홈(4)을 따라 움직이는 푸쉬아암(5)의 상부에 돌출된 돌조(5a)가 상부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반사경(7a)(7b)이 구비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를 밀어서 좌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한 푸쉬아암(5) 끝단과 대응된 버튼축(3)의 끝단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에 의해 상기한 푸쉬아암(5)은 원위치로 되고, 상기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는 좌측 방향에 위치해서, 상부좌측에 설치된 반사경(7a)이 제1도에 나타낸 FWD의 발광소자(9a)에 위치되어 불빛이 표시된다.
또한, 카세트(1)의 하단에 설치된 RVS(Reverse) 방향작동버튼(2)을 누르면, 상기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는 상기한 푸쉬아암(5)의 돌조(5a)에 의해서 위치하여 상부우측에 설치된 반사경(7b)이 제1도에 나타낸 RVS 발광소자(9b)에 위치되어 불빛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의 일측상단과 연결된 토션스프링(8) 자체는 항상 외부로 나가려는 힘이 작용함으로 상기한 푸쉬아암(5)의 지시방향에 따라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푸쉬아암(5)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조(5a)가 상기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의 주행방향을 지시한 후에, 상기한 푸쉬아암(5)의 끝단과 대응된 버튼축(3)의 끝단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에 의해 원위치로 되는 과정에서 상기한 푸쉬아암(5)의 돌조(5a)가 상기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의 끝단에 걸려서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한 푸쉬아암(5)의 진행방향을 지시하고 원위치한 후에 유동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방향 표시장치는, 카세트 하단에 형성된 방향작동 버튼과 연결된 버튼축에 안내홈을 따라 움직이는 푸쉬아암이 상단에 반사경이 구비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를 밀어 회전시켜서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표시하도록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의 발광소자와 인쇄회로기판을 전원으로 연결하는 복잡한 구성 대신에, 간편한 구성에 의한 불량발생률을 최소화하여 생산원가의 절감 및 생산성을 대폭 제고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발광소자에 의해 테이프에 주행방향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1) 하단에 설치된 방향작동버튼(2)과 연결된 버튼축(3)과, 상기 버튼축(3)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4)과, 상기 안내홈(4)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부에 돌출된 돌조(5a)가 형성된 푸쉬아암(5)과, 상기 푸쉬아암(5) 끝단과 대응되는 상기 버튼축(3) 끝단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과, 상기 푸쉬아암(5)의 돌조(5a)에 의해 움직이도록 복수개의 반사경(7a)(7b)이 구비된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와, 상기 반사판 고정플레이트(7)의 일측상단과 연결된 토션스프링(8)을 형성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01636U KR930004941Y1 (ko) | 1991-01-31 | 1991-01-31 |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01636U KR930004941Y1 (ko) | 1991-01-31 | 1991-01-31 |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5672U KR920015672U (ko) | 1992-08-17 |
KR930004941Y1 true KR930004941Y1 (ko) | 1993-07-26 |
Family
ID=1931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01636U KR930004941Y1 (ko) | 1991-01-31 | 1991-01-31 |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4941Y1 (ko) |
-
1991
- 1991-01-31 KR KR2019910001636U patent/KR9300049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5672U (ko) | 1992-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30805A (en) | Tape recorder | |
JP2730237B2 (ja) |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 |
US4342055A (en) | Automatic reverse tape recorder | |
KR930004941Y1 (ko) |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방향 표시장치 | |
US4390917A (en) | Device for detecting edge of magnetic tape for recording signals | |
US4816943A (en) | Dubbing tape recorder having a common tape driving motor | |
JP2549032B2 (ja) | 記録再生素子の位置検出装置 | |
JP2873675B2 (ja) |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カバー | |
KR960042607A (ko) |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 메카니즘 | |
JP3694386B2 (ja) | 非接触型モード感知装置 | |
JPH0519861Y2 (ko) | ||
US6816336B2 (en) | Magnetic tape drive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a behavior of magnetic tape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sensor | |
KR930004285Y1 (ko) |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학픽업헤드 이송장치 | |
KR900000502Y1 (ko) | 전자식 텐션 서어보장치 | |
KR920007476Y1 (ko)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데크의 테이크 업 가이드 장치 | |
JPH0718053Y2 (ja) | ヘッド支持装置 | |
JP2590309B2 (ja) | 磁気記録再生装置 | |
JPH0356955Y2 (ko) | ||
JP3054818U (ja) | ビデオデッキのプリズム調整機構 | |
KR930006574Y1 (ko) | 픽업 구동장치 | |
JPH042421Y2 (ko) | ||
JPH0447775Y2 (ko) | ||
KR930006780Y1 (ko) | 카세트 데크의 헤드 승강기구 | |
US7377461B2 (en) | Tape-end sensor and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950002287Y1 (ko) | 아이들러(idler)의 2단 구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