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691Y1 - 원터치식 펜 스캐너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펜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691Y1
KR930004691Y1 KR2019910002847U KR910002847U KR930004691Y1 KR 930004691 Y1 KR930004691 Y1 KR 930004691Y1 KR 2019910002847 U KR2019910002847 U KR 2019910002847U KR 910002847 U KR910002847 U KR 910002847U KR 930004691 Y1 KR930004691 Y1 KR 930004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scanner
tip
bar code
case
sc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2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109U (ko
Inventor
김익성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2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691Y1/ko
Publication of KR920017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1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6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터치식 펜 스캐너
제도는 바코드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펜 스캐너 조립 상태도.
제3도는 종래의 회로부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펜 스캐너 조립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펜 스캐너 작동 상태 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회로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 코드 라벨(Bar Code Label) 2 : 펜 스캐너(Ren Scanner)
3 : 디코더 4 : 호스트 컴퓨터
5 : 볼렌즈 6 : 팁(TIP)
7 : 센서 8 : 프린트회로 기판(PCB)
9, 9′ : 스위치 10 : 링
11, 11′ : 케이블 12 : 케이스
13 : 링과의 결합부 14 : 캡(CAP)
15 : 스프링 16 : 그라운드판(GND판)
본 고안의 데이타 입력장치의 하나인 바 코드(Bar Code)를 읽을 때 사용하는 펜 스캐너(Pen Scann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차단하고 바 코드 라벨을 읽을때만 전원이 인가되도록한 원터치식 펜 스캐너의 관한 것이다.
바 코드 시스템이란 상품 정보인 숫자와 알파벳을 바와 스페이스로 구성된 바 코드를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함으로써 상품의 이력관리를 컴퓨터와 연계시켜 즉각 기록하고 수집된 정보를 관리목적에 적합하도록 편집 관리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바 코드 시스템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품에 부착되어 데이타 역할을 하는 바 코드 라벨(1)과 바 코드 라벨(1)을 읽는 스캐너(2)와 스캐너(2)가 읽는 바 코드를 해석하는 디코더(3) 및 디코더(3)에서 보내온 정보를 편집,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호스트 컴퓨터(4)로 구성된 것이다.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렌즈(5)와 이를 고정시켜 주는 팁(6)과 바코드 라벨에 레이저 빔을 투광하고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센서(7)와 구성부품들을 고정,연결시키는 프린트회로기판(PCB)(8), 펜스캐너에 인가되는 전원을 통제하는 스위치(9), 프린트 회로기판(8)이 케이스(12)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링(10)과 디코더(3)와 연결되는 케이블(11)로 구성조립된다.
또한 회로부의 구성은 제3도의 배치도에서 보는바와같이 바코드 라벨(1)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서 읽는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OP AMP와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A/D변환부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스위치(9)를 누르면 스위치(9′)가 온 되어 회로부에 전원이 인가되며 펜 스캐너로 바코드 라벨(1)을 읽으면 바코드 라벨(1)의 코드값에 따라 빛의 강.약을 센서(7)가 감지하여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며, 바뀌어진 미세한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OP AMP로 증폭하게 되어 이 신호는 A/D변환부를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변환된 디지탈 신호는 아웃 단자를 통하여 케이블(11′)를 거쳐 디코더(3)로 보내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동되는 종래 고안은 바 코드를 일을 때 스위치(9)를 반드시 누르면서 바 코드 라벨(1)을 읽어야 하므로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스위치(9)를 장착하기 위해 케이스(12)의 뒷부분이 두꺼워지므로 작업 공정이 불편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구성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렌즈(5)와 팁(6)에 케이스(12)가 연결되고 팁(6)이 앞으로 빠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캡(14)과 센서부, 바 코드를 읽고 난 후 팁(6)을 프린트회로기판(8)과 단락시켜 주는 스프링(15), 케이스(12), 링(10), 그리고 디코더(3)와 연결되는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로부의 구성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펜 스캐너(2)를 사용할 때 팁과 연결되어 프린트회로 기판상의 회로부에 그라운드 전원(OV)을 공급해주는 그라운드판(16′)이 있으며 제3도 스위치(9′)를 없앤 것으로 그 작동상태를 첨부도면 제5도와 제6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라운드 단자(OV)가 제4도의 링(10)과 결합되어 있고 링(10)은 케이스(12)와 연결되어 있고 케이스(12)는 캡(14)과 연결되며 캡은 팁(6)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팁(6)은 그라운드 단자(OV)의 역할을 하게 되며 볼렌즈(5)로 바 코드 라벨을 읽게 되는데 이때 가하는 힘에 의해 볼렌즈(5)와 연결된 팁(6)이 제5도와 같이 작동되면서 프린트회로기관(8)의 그라운드판과 닿아 회로부에 그라운드 전원(OV)을 공급해준다.
바 코드를 읽은 후 펜 스캐너(2)를 라벨에서 떼면 스프링(15)에 의해 회로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펜스캐너(2)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때 스프링(15)의 탄력은 바 코드 라벨을 읽기 위해 펜 스캐너(2)를 바코드 라벨에 밀착시킬 때 팁(6)이 밀려들어가 전원을 온시킬 수 있어야 하고 읽은후 바 코드 라벨에서 떼어내면 팁(6)을 밀어낼수 있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바 코드 라벨을 읽을 때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스위치(9,9′)을 없앰으로써, 케이스(12)의 두께를 얇게 하여 작업공정이 좋아지고, 재료비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뿐아니라, 바 코드를 읽을 때 반드시 스위치(9)를 눌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볼렌즈(5)를 고정시켜 주는 팁(6)과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센서부(7), 구성부품들을 고정, 연결시키는 프린트 회로기판(8)이 케이스(12)에 내장되어 구성된 펜 스캐너(2)에 있어서, 센서부(7)외부에 스프링(15)를 고정시키고 케이스(12)에 캡(14)을 형성하여 스위치 접점 역할을 하는 팁(6)이 밀려들어가면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펜 스캐너.
KR2019910002847U 1991-02-28 1991-02-28 원터치식 펜 스캐너 KR930004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847U KR930004691Y1 (ko) 1991-02-28 1991-02-28 원터치식 펜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847U KR930004691Y1 (ko) 1991-02-28 1991-02-28 원터치식 펜 스캐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109U KR920017109U (ko) 1992-09-17
KR930004691Y1 true KR930004691Y1 (ko) 1993-07-22

Family

ID=1931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2847U KR930004691Y1 (ko) 1991-02-28 1991-02-28 원터치식 펜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6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109U (ko) 199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3018B1 (en) Optical readers
AU650833B2 (en) Mirrorless scanners with movable laser, optical and sensor components
EP0531645B1 (en) Portable transaction terminal
US4901364A (en) Interactive optical scanner system
US4935610A (en) Hand-held bar code reader
US5723853A (en) Bar code reader
US5319185A (en) Small-size hand-supported bar code reader
KR930013984A (ko) 펜 컴퓨터
ATE336047T1 (de) Automatisch aktivierter, tragbarer laser- strichkodeabtaster mit datenübertragungsvorrichtung
AU643507B2 (en) A hand scanner for reading bar codes
US4031358A (en) Optical code readers
KR930004691Y1 (ko) 원터치식 펜 스캐너
US7140545B2 (en) Optical reading device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 optical reading device
DE59007311D1 (de) Tastensatz.
GB2183070A (en) Bar-code reader
CN2142985Y (zh) 一种条码笔式扫描器
JPH0384669A (ja) ポケット電子辞書
JPH0720982A (ja) ペン型入力装置
JP2004126920A (ja) バーコードリーダ付きマウス
GB1579111A (en) Optical code readers
KR20030005153A (ko) 바코드 및 이차원 코드 판독 장치
JPH0215160Y2 (ko)
JPH01127067U (ko)
KR20060036779A (ko) 코드 인식기능을 구비한 마우스
KR970012169A (ko) 키보드 결합형 칩카드 리드/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