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690Y1 - 홀로그램 스캐너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690Y1
KR930004690Y1 KR2019880010245U KR880010245U KR930004690Y1 KR 930004690 Y1 KR930004690 Y1 KR 930004690Y1 KR 2019880010245 U KR2019880010245 U KR 2019880010245U KR 880010245 U KR880010245 U KR 880010245U KR 930004690 Y1 KR930004690 Y1 KR 930004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laser beam
center
disk
sc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0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308U (ko
Inventor
양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0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690Y1/ko
Publication of KR900001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85Holographic scan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홀로그램 스캐너
제1도는 일반적인 홀로그램 스캐너(Hologram Scanner)에 의한 레이저 비임의 주사원리를 설명한 도면.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홀로그램 스캐너를 설명하는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홀로그램 스캐너를 설명하는 구성도.
제4a,b도는 제3도의 홀로그램 디스크와 홀로그램 필름평판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요부확대도.
제5도는 제3도의 홀로그램 스캐너의 종단면도.
제6a,b도는 또다른 홀로그램 스캐너로 제작된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홀로그램 디스크 2 : 레이저 비임
4 : 원형간섭무늬 6 : 주사평면
10 : 홀로그램 필름평판 11 : 홀로그램
13 : 원통형렌즈 14 : 레이저 비임 분리기
16, 17 : 레이저 평행광
본 고안은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에 있어서, 주사선의 휘어짐을 보정하는 홀로그램 스캐너(Hologram Scann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홀로그램 스캐너에 의한 레이저 비임의 주사원리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홀로그램(1)에 레이저 비임(3)을 주사하면 그 비임은 홀로그램(1)의 촛점거리(F)만큼 떨어진 곳에서 홀로그램(1)의 원형 간섭무늬(5)의 중심(4)의 축(6)상에 집속되게 된다. 그러므로 주사하는 레이저비임(3)을 고정하고 그 홀로그램(1)을 A방향으로 직선으로 움직이면 원형간섭무늬의 중심(4)도 A방향으로 직선으로 움직이게 되어, 결국 그 홀로그램(1)에 의해 회절된 레이저비임(3)이 원형간섭무늬의 중심(4)을 따라 촛점 평면에서 직선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레이저 비임의 주사원리에 의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홀로그램 스캐너는 레이저 비임의 홀로그램상에서 주사위치가 홀로그램 간섭무늬중심(9)보다 홀로그램 디스크(1)의 중심(3)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게 되면, 간섭무늬(4)가 그 디스크(1)의 중심(3)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한 여러장의 홀로그램(8)으로 구성된 홀로그램디스크(1)가 회전함에 따라 홀로그램(8)의 간섭무늬중심(9)이 원형으로 움직이게 되어 그 레이저비임(2)이 주사평면(6)에 주사궤적(5)을 그리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홀로그램 디스크를 사용하여 레이저비임을 주사하면 주사선을 따라 주사궤적이 휘어지면서 나타나게 되므로 직선으로 레이저 비임을 주사해야 되는 경우에는 주사할 수가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에 있어서 주사선의 휘어짐을 보정하는 홀로그램 스캐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제3도에서 제6도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홀로그램(11)의 원형 간섭무늬(4)의 중심(B)이 홀로그램 디스크(1)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에 위치하도록 한장 이상의 홀로그램으로 구성된 홀로그램 디스크(1)와, 상기 홀로그램 디스크(1)와 주사평면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주사선의 휘어짐을 보정하는 홀로그램 필름평판(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로그램 필름 평판내의 간섭무늬(9)의 중심(A)이 상기 홀로그램(11)의 원형 간섭무늬(4)의 중심(B)과 같은 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홀로그램 필름평판내의 간섭무늬는 한쪽 방향으로 빛을 집속하는 선형의 간섭무늬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사평면(6)상의 주사궤적이 휘어지는 것을 다시 보정하기 위하여 원통형렌즈(13)와, 레이저 비임 분리기(14)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비임 분리기(14)가 상기 원통형 렌즈(13)의 촛점위치(15)내에 위치하며, 레이저 평행광(16),(17)을 서로 직각되는 방향에서 상기 평행광(16)이 원통형렌즈(13)에 상기 평행광(17)이 레이저 비임 분리기(14)에 각각 입사되어 그들 레이저비임에 의해 간섭무늬를 상기 홀로그램 필름평판(10)에 생성시킴으로써 제작된다(제6도). 이때 생성된 간섭무늬는 제4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A점을 중심으로 A점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선형의 간섭무늬를 갖게 된다.
제4a도는 홀로그램디스크(1)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원형의 간섭무늬(4)의 중심(B)이 홀로그램 디스크(1)의 반경보다 크게 되면, 그 디스크가 회전할 때에 간섭무늬(4)의 중심(B)이 위치하는 반경의 궤적(12)을 따라 움직이며, 원형의 간섭무늬(4)의 중심(B)이 홀로그램디스크(1)의 반경보다 작게되는 경우에는, 주사평면(6)의 주사궤적(5)보다 반경이 더 큰 주사궤적(5)을 그리게 된다. 즉, 주사궤적(5)의 휘어짐의 정도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일차적으로 홀로그램디스크(1)에 의해 주사궤적(5)의 휘어짐이 어느정도로 보정된 레이저 비임(2)은 홀로그램필름평판(10)을 통해 주사평면(6)에 주사된다. 상기 주사평면(6)에 주사된 레이저비임(2)은 홀로그램디스크(1)가 회전함에 따라 주사궤적(5)이 휘어지게 되므로 그 주사평면(6)에 주사된 위치가 변하게 된다.
그러나 제6a,b도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홀로그램 필름평판(10)은 제4b도와 같이 선형의 간섭무늬(9)를 가지기 때문에 단지 D방항으로만 레이저비임(2)을 집속하는 기능을 가진 원통형렌즈(13)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되어 레이저비임(2)의 주사되는 위치가 변하더라고 그 레이저비임(2)은 주사평면(6) 상에서 C근방에 집속하게 된다(제5도).
그러므로 레이저 비임의 주사궤적이 휘어지는 것을 2차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주사선이 직선으로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주사선의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직선으로 주사를 해야하는 레이저 스캐너에 사용하는 제품이나 레이저프린터 및 레이저 디스플레이어 등에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홀로그램(11)의 원형간섭무늬(4)의 중심(B)이 홀로그램 디스크(1)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에 위치하도록 한장 이상의 홀로그램으로 구성된 홀로그램디스크(1)와, 상기 홀로그램디스크(1)와 주사평면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주사선의 휘어짐을 보정하는 홀로그램 필름평판(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로그램 필름평판내의 간섭무늬(9)의 중심(A)이 상기 홀로그램(11)의 원형간섭무늬(4)의 중심(B)과 같은 축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스캐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필름평판(10)이 한쪽 방향으로만 빛을 집속하는 선형의 간섭무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스캐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평면(6)상의 주사궤적이 휘어지는 것을 다시 보정하기 위하여 원통형렌즈(13)와, 레이저 비임분리기(14)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비임 분리기(14)가 상기 원통형 렌즈(13)의 촛점위치(15)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스캐너.
KR2019880010245U 1988-06-29 1988-06-29 홀로그램 스캐너 KR930004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245U KR930004690Y1 (ko) 1988-06-29 1988-06-29 홀로그램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245U KR930004690Y1 (ko) 1988-06-29 1988-06-29 홀로그램 스캐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308U KR900001308U (ko) 1990-01-18
KR930004690Y1 true KR930004690Y1 (ko) 1993-07-22

Family

ID=1927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0245U KR930004690Y1 (ko) 1988-06-29 1988-06-29 홀로그램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6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308U (ko) 199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679A (en) Multibeam photoscanner
AU597971B2 (en) Scanning apparatus
US4054361A (en) Beam scanning device with line image formed by and reflected to optical element
US5283690A (en) Optical diffraction grating element
EP0021852B1 (en) Holographic scanning system
EP0132956B1 (en) Light beam scanning apparatus
US4946234A (en) Light beam deflection scanning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WO1991016654A1 (en) Hologon scanner with beam shaping stationary diffraction grating
US3972582A (en) Laser beam recording system
US5463418A (en) Plural-beam scanning optical apparatus
US4753502A (en) Holographic laser beam scanner
US4073566A (en) Beam scanning device using a stationary hologram
KR930004690Y1 (ko) 홀로그램 스캐너
US4578577A (en) Light beam scanning device
KR950005646Y1 (ko) 비점수차가 보정된 홀로그래픽 주사장치
US4953927A (en) Lens assembly for long-life laser imaging system
KR960009793Y1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직선주사광학계
KR930009680B1 (ko) 광기록 재생장치의 주사방법 및 장치
JP2758447B2 (ja) ホログラムを用いたレーザバーコードスキャナ
JPH03249724A (ja) レーザバーコードスキャナ
KR960014059B1 (ko) 홀로그램 주사 장치
JPH0348808A (ja) ホログラムスキャナ
KR20000032433A (ko) 편향 디스크를 채용한 빔 주사장치
KR960035460A (ko) 광학픽업 및 광학기록매체 재생장치
JPH04166908A (ja) ホログラムスキャ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