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300Y1 - 콘센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300Y1
KR930004300Y1 KR2019910003316U KR910003316U KR930004300Y1 KR 930004300 Y1 KR930004300 Y1 KR 930004300Y1 KR 2019910003316 U KR2019910003316 U KR 2019910003316U KR 910003316 U KR910003316 U KR 910003316U KR 930004300 Y1 KR930004300 Y1 KR 930004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terminal
terminal insertio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705U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2019910003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300Y1/ko
Publication of KR920018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7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센트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동 요부확대 단면도.
제5a,b도는 본 고안의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시키기 전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 3,3′ : 안내요홈
6 : 콘센트판 7,7′,17,17′ : 단자삽입공
10 : 요입부 11 : 회전캡
13,15 : 지지턱 14 : 스프링
16 : 지지턱 18,18′ : 경사로
19,19′ : 플러그접촉부
본 고안은 콘센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의 비사용시 콘센트의 단자삽입공이 폐쇄되게 함으로써, 단자합입공을 통하여 민지등이 유입되어 접촉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하고, 어린이들이 단자삽입공에 젓가락등의 금속편을 삽입하지 못하도록 한 콘센트 안전장치는 최근 일반가정에 고압의 220V가 공급되면서 그 필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이와같은 콘센트 안전장치는 지금까지 여러가지 방식이 공지된바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이 콘센트의 단자삽입공을 개폐시키는 캡을 단자삽입공의 전면에 회전가능케 스프링으로 탄착시킴으로써, 비사용시에는 캡에 의하여 단자삽입공이 폐쇄되게 하였다가, 사용시에는 단자삽입공이 개방되어 플러그단자와 접속되게 하는 방식을 주로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단자삽입공의 개폐수단에 있어서, 종래의 콘센트 안전장치는 단순히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회전캡이 스프링으로 탄착되어 콘세트단자판의 전면에서 회동되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레 삽입하기 위해서는 1차로 플러그단자를 회전캡의 단자삽입공에 끼운후, 2차로 플러그와 회전캡을 일정각도로 돌려 플러그단자가 콘센트의 단자삽입공과 일치했을때, 3차로 플러그단자를 콘센트단자에 끼워 접속시켜야 했으므로, 접속동작이 3단계를 가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 불편을 해소키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회전캡의 좌우 양 단자삽입공과 같은 원호상으로 단자삽입공의 회전방향 바로 전방에 경사로가 형성된 플러그 접촉부를 요설함으로써, 플러스삽입시 플러그단자를 플러그접촉부에 대고 누르고 것만으로 플러그단자가 경사로를 따라 하강하면서 회전캡을 회동시켜 플러그단자가 회전캡의 단자삽입공에 도달하여 콘센트의 단자 삽입공에 삽입, 접속 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콘센트 안정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플러그삽입시 플러그를 여러단계로 나누어 동작시키지 않고도 단 1회의 연속동작에 의하여 플러그 단자가 콘센트단자와 접속되는 간편함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220V용 콘센트에 본 고안의 안전장치를 적용한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1은 플러그삽입요구(2)의 좌우양측에 안내요홈(3)(3′)이 형성된 220V용 콘센트, 4는 접속가이드(5)(5′)가 양측에 형성된 220V용 플러그이다. 그리고 6은 상기 플러그삽입요구(2)의 저면에 형성된 콘센트판으로 좌우 양측에 단자삽입공(7)(7′)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 콘센트단자(8)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같은 공지의 220V용 콘센트에 있어서, 본 고안의 콘센트 안전장치는 상기 콘센트판(6)의 중앙에 통공(9)이 형성되어 그 전면요입부(10)에 삽입된 회전캡(11)의 괘지턱(12)이 삽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캡(11)의 지지턱(13)에는 스프링(14)의 일단이 지지되고 스프링(14)의 다른 일단은 콘센트판(6)의 일측에 돌출된 지지턱(15)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캡(11)의 지지턱(13)은 콘센트판(6)의 저지턱(16)에 걸려 플러그(4)를 뽑았을때의 회전캡(11)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 회전캡(11)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콘센트(1)의 단자삽입공(7)(7′)과 일치하는 단자삽입공(17)(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자삽입공(17)(17′)의 회전방향의 원호상에는 제2도에 도시되 바와같이 경사로 (18)(18′)가 형성된 플러그접촉부(19)(19′)가 요설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0은 콘센트단자(8)에 연결된 연결 배선, 21,21′은 플러그 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콘센트 안전장치는 콘센트(1)에 플러그(4)를 접속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프링(14)에 탄착된 회전캡(11)의 지지턱(13)이 콘센트판(6)의 저지턱(16)에 걸린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때 회전캡(11)은 플러그접촉부(19)(19′)가 콘센트판(6)의 단자삽입공(7)(7′) 바로 위에 위치하여 단자삽입공(7)(7′)을 폐쇄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4)를 콘센트(1)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플러그(4)의 접속가이드(5)(5′)를 콘센트(1)의 안내요홈(3)(3′)에 삽입한 상태에서 플러그(4)를 콘센트(1)의 플러그삽입요구(2)에 넣으면, 플러그(4)의 단자(21)(21′)는 제5도a에서와 같이 콘센트판(6)의 플러그접촉부(19)(19′)에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플러그(4)를 안쪽으로 계속 누르면, 압압되면 플러그단자(21)(21′)가 회전캡(11)의 경사로(18)(18′)를 따라 하강하면서 회전캡(11)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플러그단자(21)(21′)가 회전캡(11)의 단자삽입공(17)(17′)에 도달하고, 게속하여 제5b도와 같이 콘센트(1)의 단자삽입공(7)(7′)에 삽입, 접속되게 된다.
다시 플러그(4)를 콘센트(1)에서 뽑기 위해서는 상기 접속할때와는 반대로 스프링(14)에 의하여 회전캡(11)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콘센트(1)의 단자삽입공(7)(7′)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콘센트 안정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프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할때 플러그를 1차로 회전캡의 단자삽입공을 끼운후 2차로 플러그와 회전캡을 일정각도 돌리고 3차로 플러그단자를 콘센트단자에 끼워 접속시키는등의 여러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플러그단자를 콘센트의 플러그접촉부에 대고 누르는 1회 동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안전콘센트에 보다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자삽입공(17)(17′)이 형성된 회전캡(11)을 안내요홈(3)(3′)이 형성된 콘센트(1)의 전면에 스프링(14)으로 탄착시켜 콘센트(1)의 단자삽입공(7)(7′)을 개폐시키도록한 콘센트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의 콘센트판(6)전면에 요입부(10)를 형성하여 그 내측에 스프링지지턱(15)과 지지턱(16)을 돌출시키고, 상기 회전캡(11)의 저면에 지지턱(13)을 돌출시켜 스프링(14)을 삽입하며, 상기 회전캡(11)의 단자삽입공(17)(17′)의 회전방향의 원호상에 경사로(18)(18′)가 형성된 플러그접촉부(19)(19′)를 요설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KR2019910003316U 1991-03-12 1991-03-12 콘센트 안전장치 KR930004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316U KR930004300Y1 (ko) 1991-03-12 1991-03-12 콘센트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316U KR930004300Y1 (ko) 1991-03-12 1991-03-12 콘센트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05U KR920018705U (ko) 1992-10-19
KR930004300Y1 true KR930004300Y1 (ko) 1993-07-10

Family

ID=1931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316U KR930004300Y1 (ko) 1991-03-12 1991-03-12 콘센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147B1 (ko) * 2018-08-30 2019-05-07 전강현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529B1 (ko) * 2000-01-27 2002-03-15 주용섭 매립형 콘센트
KR100367420B1 (ko) * 2000-01-27 2003-01-14 주식회사 신안이텍 매립형 콘센트
KR20010084128A (ko) * 2000-02-24 2001-09-06 이장우 콘센트
KR101467495B1 (ko) * 2013-01-15 2014-12-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웃렛
KR200483856Y1 (ko) * 2016-09-23 2017-07-04 이현민 콘센트장치
KR200485406Y1 (ko) * 2017-06-05 2018-01-04 장지환 종속콘센트를 포함하는 플러그
KR101995664B1 (ko) * 2018-02-21 2019-07-02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콘센트 멀티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147B1 (ko) * 2018-08-30 2019-05-07 전강현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05U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783B1 (ko) 콘센트
US20080050955A1 (en) Electrical connector
US5320563A (en) Safety construction of receptacle plugs
KR930004300Y1 (ko) 콘센트 안전장치
US4927373A (en) Electrical safety receptacle assembly
US5391085A (en) Electrical socket assembly including safety device
US5398532A (en) Modular wiring harness for electronic vehicle ignition lock
US5453018A (en) Low inserting and extracting force connector
KR20000013643U (ko) 안전 콘센트
US2777023A (en) Electric lock plug
US4905130A (en) Flashlight assembly
KR200194388Y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145523Y1 (ko) 200v 콘센트 내의 회전 안전 보호대
KR19990039173U (ko) 콘센트 안전장치
JPS6239588Y2 (ko)
KR0119589Y1 (ko) 안전 콘센트
KR0136803Y1 (ko) 안전용 콘센트
KR200174688Y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218583Y1 (ko)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KR0123209Y1 (ko) 안전콘센트
KR19990034764U (ko) 보호구가장착된콘센트
JP2000123906A (ja) 栓刃差込口閉塞型プラグ抜止コンセント
US2247006A (en) Electrical plug and base
KR970002245Y1 (ko) 안전방수콘센트
KR19980027165U (ko) 안전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