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420B1 - 매립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매립형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7420B1 KR100367420B1 KR10-2000-0004088A KR20000004088A KR100367420B1 KR 100367420 B1 KR100367420 B1 KR 100367420B1 KR 20000004088 A KR20000004088 A KR 20000004088A KR 100367420 B1 KR100367420 B1 KR 1003674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turntable
- electrode
- main tabl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각각 정극성 전원과 부극성 전원이 공급되는 정극성 전원전극 및 부극성 전원전극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그라운드 전원이 공급되는 그라운드전극과, 접속구 내에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 인입시 회전함과 아울러 직선운동하여 플러그의 전극봉들을 상기 정극성/부극성 전원전극과 그라운드전극 쪽으로 안내하는 턴테이블부재와, 접속구를 관통하는 가이드봉이 형성되어 턴테이블 및 플러그에 연동되어 접속구 내에 직선운동하여 하강하는 메인 테이블부재와, 메인 테이블부재에 수납되며 턴테이블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 인입시 플러그의 전극봉들이 정극성/부극성 전원전극과 그라운드전극에 대향되게 함과 아울러 플러그 인출시 플러그의 전극봉이 턴테이블부재와 매인 테이블부재 사이에 고정되게 하는 탄성부재와, 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와, 버튼부재와 테이블부재에 공통으로 접촉되며 본체 하우징 내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에 연동되어 턴테이블부재 및 상기 메인 테이블부재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메인 테이블부재에 연동되어 버튼부재를 들어 올리는 레버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매립형 콘센트는 벽면 내에 매립되어 다양한 가정기기들 각각에 연결된 코드들을 옥외로부터 공급되는 공중 전력원과 접속시키는 장치이다. 본원 출원인은 편리함을 추가하는 추세에 부응하여 푸쉬버튼을 이용하여 플러그를 간편하게 접속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매립형 콘센트(한국특허출원 "99-0007712"호)를 제안한 바 있다.
기출원된 매립형 콘텐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 하우징(44)과 본체 하우징(47)이 조립된 콘센트 본체(54)와, 접속구(52) 내에서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41)과, 턴테이블(41) 아래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테이블(43)과, 턴테이블(41)과 메인 테이블(43) 사이에 설치되는 이물질 삽입방지판(42)과, 메인 테이블(43)을 구동시키기 위한 레버(46)와, 레버(46)를 구동시키기 위한 푸쉬버튼(45)을 구비한다. 상판 하우징(44)은 푸쉬버튼(45)이 관통되는 사각홀(44a)과 접속구(52)의 입구에 대응되는 환형홀(44b)이 형성된다. 본체 하우징(47)은 소정 깊이의 접속구(52), 푸쉬버튼(45)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47f)와 레버(46)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기(47e)가 형성된다. 접속구(52)는 상판 하우징(44)의 환형홀(44b)과 동일한 직경의 원통면(47a), 사각홈(47c)을 사이에 두고 원통면(47a)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47b), 플러그의 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삽입홀(47d) 및 메인 테이블(43)의 가이드봉(43g)이 삽입되는 가이드홀(47d)가 형성된다. 사각홈(47c) 및 단턱부(47b)는 플러그의 전극편이 본체 하우징(47) 내부로 삽입될 때 플러그를 안내함과 아울러 턴테이블(41) 및 메인 테이블(43)이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턴테이블(41)은 라운딩면(41d) 사이의 대향되는 지점에 직선면(41c)이 존재하는 원판 형태로 제작된다. 이 턴테이블(41)은 플러그의 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삽입홀(41a)과 도시하지 않은 스크류가 관통되는 나사홀(41b)이 형성된다. 턴테이블(41)의 배면에는 가이드돌기(41e)가 돌출된다. 턴테이블(41)은 원통면(47a) 내의 단턱부(47b)가 없는 상단 부분에서 회전운동과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함과 아울러 원통면(47a) 내의 단턱부(47b)가 존재하는 하단 부분에서 단턱부(47b)에 의해 회전운동이 구속되어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만 가능하게 된다. 메인 테이블(43)은 이물질 삽입방지판(42)이 수납되는 수납홈(43c), 플러그의 전극봉이 삽입되는 삽입홀(43a), 삽입홀(43a) 쪽으로 플러그의 전극봉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43b), 턴테이블(41)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타원형홈(43d), 접속구(52)의 사각홈(47c) 내에 끼워지는 단턱(43e) 및 단턱(43e)의 반대측에 수평으로 신장되는 인출막대(43f)가 형성된다. 한 쌍의 삽입홀(43a)에 형성된 가이드홈(43b)은 턴테이블(41)의 삽입홀(41a)을 관통한 플러그의 전극봉과 턴테이블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플러그의 전극봉을 삽입홀(43a)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홈(43b)은 삽입홀(43a) 쪽으로 갈수록 깊어지게 된다. 타원형홈(43d) 내에는 스프링(45h)과 턴테이블(41)의 가이드돌기(41e)가 끼워지게 된다. 인출막대(43f)는 레버(46)의 일단에 접촉되어 레버(46)의 구동력을 메인 테이블(4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메인 테이블(43)의 배면 중심에는 가이드봉(43g)이 수직으로 신장된다. 가이드봉(43g)은 메인 테이블(43)이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할 때 어느 일측으로 편심지지 않도록 메인 테이블(43)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물질 삽입방지판(42)은 양 끝단에 대칭적인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들(42a)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크류가 끼워지는 나사탭핑홈(42b)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물질 삽입방지판(42)은 스프링(59)을 사이에 두고 수납홈(43c) 내에 수납되어 턴테이블(41)의 수납홀(41c)을 관통한 손가락 또는 타물질(못, 젓가락, 기타 전기가 통하는 물질)의 삽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두 개의 경사면들(42a) 중 어느 하나만 이물질에 의해 눌려 지게 되면 이물질 삽입방지판(42)의 다른 끝단이 들어 올려지면서 턴테이블(41)의 삽입홀(41a)을 닫히게 한다. 스크류(53)는 턴테이블(42)의 나사홀(41b)을 관통한 다음, 이물질 삽입방지판(42)의 나사탭핑홀(42b)에 끼워지게 된다. 레버(46)는 본체 하우징(47)의 돌기(47e)가 끼워지는 힌지홀(46b)과 메인 테이블(43)의 인출막대(43f)에 접촉되는 핑거(46a)가 형성된다. 이 레버(46)는 푸쉬버튼(45)에 연동되어 돌기(47e)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메인 테이블(43)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푸쉬버튼(45)은 스프링 지지돌기(45a)가 형성된다. 스프링 지지돌기(45a)와 상판 하우징(44) 사이에는 스프링(57)이 끼워진다. 이 푸쉬버튼(45)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 레버(46)를 구동시키게 된다.
도 1과 같은 매립형 콘센트에는 공중 전력원이 공급되는 전극들이 완전하게 구성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공중 전력원을 공급하는 전극들은 가급적 플러그가 접속구에 꽂혀있지 않는 비사용기간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매립형 콘센트에는 비사용기간에 이물질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있지만 이물질 삽입 방지부재는 간단한 힘으로 쉽게 젖혀질 수 있다. 이렇게 이물질 삽입 방지부재가 젖혀지게 되면 공중 전력원 공급용 전극들(정극성 전극, 부극성 전극 및 그라운드전극)이 노출되어 각종 전기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매립형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매립형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커버 7.52 : 접속구
4,44 : 상판 하우징 8,46 : 레버
10,41 : 턴테이블 12,42 : 이물질 삽입방지판
14 : 윤형 스프링 16,43 : 메인 테이블
18 : 토션 스프링 20,53 : 스크류
22 :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 24 : 전극하우징
26 : 그라운드전극 28 : 매립전극부
30 : 인장 스프링 36,45 : 푸쉬버튼
45a : 스프링 지지돌기 47 : 본체 하우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각각 정극성 전원과 부극성 전원이 공급되는 정극성 전원전극 및 부극성 전원전극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그라운드 전원이 공급되는 그라운드전극과, 접속구 내에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 인입시 회전함과 아울러 직선운동하여 플러그의 전극봉들을 상기 정극성/부극성 전원전극과 그라운드전극 쪽으로 안내하는 턴테이블부재와, 접속구를 관통하는 가이드봉이 형성되어턴테이블 및 플러그에 연동되어 접속구 내에 직선운동하여 하강하는 메인 테이블부재와, 메인 테이블부재에 수납되며 턴테이블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 인입시 플러그의 전극봉들이 정극성/부극성 전원전극과 그라운드전극에 대향되게 함과 아울러 플러그 인출시 플러그의 전극봉이 턴테이블부재와 매인 테이블부재 사이에 고정되게 하는 탄성부재와, 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와, 버튼부재와 테이블부재에 공통으로 접촉되며 본체 하우징 내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에 연동되어 턴테이블부재 및 상기 메인 테이블부재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메인 테이블부재에 연동되어 버튼부재를 들어 올리는 레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는 상판 하우징(4)과, 상판 하우징(4)과 결합되는 본체 하우징(6)과, 본체 하우징(6)에 회전 및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10)과, 턴테이블(10) 아래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테이블(16)과, 턴테이블(10)과 메인 테이블(16) 사이에 설치되는 이물질 삽입방지판(12)과, 메인 테이블(16)을 구동시키기 위한 레버(8)와, 레버(8)를 구동시키기 위한 푸쉬버튼(36)과, 전극하우징(24)에 조립되는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들(22) 및 그라운드전극(26)을 구비한다. 상판 하우징(4)에는 푸쉬버튼(36)이 관통되는 타원형홀(4a)과 접속구(7)의 입구에 대응되는 환형홀(4b)이 형성된다. 이 상판 하우징(4)의 전면에는 대면되도록 커버(2)가 조립된다. 커버(2)에는 상판 하우징(4)의 환형홀(4b)과 대응하는 환형홀(2a)이 형성됨과 아울러 대각선 방향의 양 모서리에 푸쉬버튼(36)을 가이드하기 위한 만곡면(2b)이 형성된다. 상판 하우징(4)의 아래에 조립되는 본체 하우징(6)은 소정 깊이의 접속구(7)와, 레버(8)가 끼워지는 홀(6d) 및 토션 스프링(18)이 끼워지는 돌기(6e)가 형성된다. 접속구(7)에는 상판 하우징(4)의 환형홀(4b)과 동일한 직경의 원통면(6g)과, 직선가이드홀(6b)과 원통면(6g)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직선면(6a)과, 그라운드전극(26)이 삽입되는 직선홀(6c)이 형성된다. 직선면(6a)과 원통면(6g)은 턴테이블(10)과 메인 테이블(16)의 직선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턴테이블(10)과 메인 테이블(16)이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한다. 턴테이블(10)은 좌우에 직선면(10c)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 플러그의 정극성/부극성 전극봉이 각각 관통하는 전극봉 삽입홀(10d)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플러그의 그라운드 전극봉이 관통되는 홈(10b)과 단턱(10a)이 형성된다. 턴테이블(10)의 배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돌기가 형성된다. 턴테이블(10)은 완전히 상승한 위치 즉, 상판 하우징(4)의 환형홀(4b) 내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접속구(7) 내의 직선면(6a)과 원통면(6g)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면서 직선운동하게 된다. 메인 테이블(16)에는 이물질 삽입방지판 (12)이 끼워지는 원통형 돌기(16a), 소정 갭(gap)을 사이에 두고 원통형 돌기(16a)를 감싸는 가이드리브(16b), 접속구(7)의 직선가이드홀(6b) 쪽으로 돌출되는 돌기(16d), 돌기(16d) 반대측에 위치하여 곡면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직선면(16c), 저면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신장되는 가이드봉(16e), 턴테이블(10)을 안내하기 위한 곡면리브(16f,16g) 및 턴테이블(10)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인장 스프링(30)이 삽입되는 스프링수납홈(16h)이 형성된다. 원통형 돌기(16a)와 가이드리브(16b) 사이의 갭에는 윤형 스프링(14)과, 이물질 삽입방지판(12)이 유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물질 삽입방지판(12)에는 메인 테이블(16)의 원통형돌기(16a)에 끼워지는 환형띠(12a)와 비사용기간에 턴테이블(10)에 형성된 전극봉삽입홀(10d)과 대향하는 경사면(12b)이 형성된다. 이 이물질 삽입방지판(12)은 원통형돌기(16a)와 가이드리브(16b)에 의해 가이드되어 윤형 스프링(14)에 의한 탄성력으로 경사면(12b)으로 하여금 턴테이블(10)에 형성된 전극봉삽입홀(10d)을 차폐하며, 플러그의 정극성/부극성 전극봉에 가해지는 힘으로 밀리면서 전극봉삽입홀(10d)을 개방시키게 된다. 메인 테이블(16)의 돌기(16d)는 접속구(7)의 직선가이드홀(6b)을 관통하게 된다. 이 돌기(16d)는 레버(8)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메인 테이블(16)로 하여금 턴테이블(10)을 들어 올리게 한다. 이 돌기(16d)의 저면에는 본체 하우징(4)에 끼워진 토션 스프링(18)의 일단이 접촉된다. 토션 스프링(18)은 레버(8)의 회전한계점에서 탄성력으로 메인 테이블(16)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메인 테이블(16)의 직선면(16c)은 접속구(7)의 직선면(6a)과 대면되어 메인 테이블(16)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가이드봉(16e)에는 스크류(20)과 끼워지는 암나사홀이 형성된다. 가이드봉(16e)의 암나사홀에 끼워진 스크류(20)는 메인 테이블(16)과 턴테이블(1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 가이드봉(16e)은 삽입구(7)의 중앙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홀을 관통하여 메인 테이블(16)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메인 테이블(16)의 상면에 돌출된 곡면리브(16f,16g)는 턴테이블(10)을 감싸게 되며, 그 끝단이 턴테이블(10)의 단턱(10a)과 접촉되어 턴테이블(10)의 회전을 규제하게 된다. 스프링수납홈(16h)에는 턴테이블(1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인장스프링(30)이 함께 삽입된다. 인장스프링(30)은 턴테이블(1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소정 탄성력으로 밀게 된다. 이 인장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턴테이블(10)은 회전하게 된다. 전극하우징(24)은 절연재료로 몰드(mold)되어지며,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들(22)이 끼워지는 홀(24a)과, 그 사이에 그라운드전극(26)이 관통되는 홀(24b)이 형성된다.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들(22)은 각각 사각형몸체부(22a)와 플러그의 정극성/부극성 전극봉이 삽입되는 원통형전극(22b)이 형성된다. 그라운드전극(26)은 "ㄷ"자 형태로 절곡되며, 벽면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메립전극부(28)에 고정되고 전극하우징(24)을 관통하여 인접한 접속구들(7) 각각에 형성된 직선홀(6c)을 통하여 접속구(7) 상에 노출된다. 푸쉬버튼(36)에는 하단부에 홈(36a)이 형성되며 레버(8)의 일단(8b)이 홈(36a)에 끼워지게 된다. 레버(8)는 푸쉬버튼(36)에 끼워진 일단의 반대측에 메인 테이블(16)의 돌기(16d)의 저면에 접촉되는 단턱면(8c)이 형성되며, 본체 하우징(6)의 측면에 형성된 홀(6d)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기(8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러그의 정극성/부극성 전극봉이 인장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턴테이블(10)의 전극봉삽입홀(10d)의 측면과 메인 테이블(16)의 가이드리브(16b) 사이에 압착되어 있다. 이 때, 플러그는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턴테이블(10)과 메인테이블(16) 사이에 정극성/부극성 전극봉들이 고정되어 있으며, 정극성/부극성 전극봉과 그라운드 전극봉들이 각각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들(22)과 그라운드전극(26)으로부터 분리되어 절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들(22)은 물론 그라운드전극(26)도 턴테이블(1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된다. 다시 말하여, 턴테이블(10)이 소정각도 회전되어 있으므로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들(22)과 그라운드전극(26)은 외부에서 전혀 볼수가 없고 플러그를 밀어 접속구(7)에 꽂지 않는 이상 물리적 접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러그를 밀어 넣으면 경사면(12b)의 테이퍼(taper) 구배에 의하여 플러그의 전극봉들의 밀리는 힘에 의하여 턴테이블(16)이 회전하여 플러그의 전극봉들은 플러그와 함께 접속구(7) 내로 진입하게 된다. 접속구(7)에 진입한 플러그의 전극봉들은 턴테이블(10) 및 메인 테이블(16)과 함께 수직으로 하강하게 되며, 어느 순간부터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들(22)과 그라운드전극(26)에 접속하게 된다. 플러그가 완전히 접속구(7)에 꽂히게 되면 레버(8)가 메인 테이블(16)에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푸쉬버튼(36)은 레버(8)에 연동되어 상승하게 된다.
플러그를 접속구(7)로부터 인출하기 위하여, 푸쉬버튼(36)을 누르면 레버(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메인 테이블(16)이 레버(8)에 연동되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턴테이블(10)은 메인 테이블(16)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이 때, 플러그의 전극봉들은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들(22)과 그라운드전극(26)으로부터 분리된다. 플러그가 접속구(7)로부터 더 인출되면 턴테이블(10)이 인장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플러그의 전극봉들이 턴테이블(10)과 메인 테이블(16) 사이에 압착된다. 이 때, 플러그는 콘센트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속구(7)에 매달려 있으며, 그라운드전극(26)은 회전된 턴테이블(1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는 접속구들 사이에 그라운드 전극이 형성되고 플러그 인출시 그라운드 전극이 회전된 턴테이블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됨과 아울러 접지로부터 분리되므로 절연 스위치를 겸하여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정극성/부극성 전원 전극들도 회전된 턴테이블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는 콘센트 내의 전극들에 이물질이 삽입될 수 없고 플러그 인출시 절전효과를 가짐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
-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각각 정극성 전원과 부극성 전원이 공급되는 정극성 전원전극 및 부극성 전원전극과,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그라운드 전원이 공급되는 그라운드전극과,상기 접속구 내에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 인입시 회전함과 아울러 직선운동 하여 상기 플러그의 전극봉들을 상기 정극성/부극성 전원전극과 그라운드전극 쪽으로 안내하는 턴테이블부재와,상기 접속구를 관통하는 가이드봉이 형성되어 상기 턴테이블 및 플러그에 연동되어 상기 접속구 내에 직선운동하여 하강하는 메인 테이블부재와,상기 메인 테이블부재에 수납되며 상기 턴테이블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 인입시 상기 플러그의 전극봉들이 정극성/부극성 전원전극과 그라운드전극에 대향되게 함과 아울러 플러그 인출시 상기 플러그의 전극봉이 상기 턴테이블부재와 매인 테이블부재 사이에 고정되게 하는 탄성부재와,상기 본체 하우징을 관통하여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와,상기 버튼부재와 테이블부재에 공통으로 접촉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내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턴테이블부재 및 상기 메인 테이블부재를 들어 올림과 아울러 상기 메인 테이블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들어 올리는 레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접속구, 상기 턴테이블부재 및 상기 메인 테이블부재 각각은 상기 플러그의 정극성/부극성 전극봉이 관통되는 한 쌍의 삽입홀과 플러그의 그라운드 전극봉이 관통되도록 측면에 홈이 형성되며,상기 턴테이블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며,상기 메인 테이블부재는 상기 접속구 및 턴테이블 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개폐하기 위한 이물질 삽입방지부재 및 상기 이물질 삽입방지부재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감싸는 제1 리브와 상기 턴테이블부재를 감싸는 제2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4088A KR100367420B1 (ko) | 2000-01-27 | 2000-01-27 | 매립형 콘센트 |
KR2020000002403U KR200189072Y1 (ko) | 2000-01-27 | 2000-01-28 | 매립형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4088A KR100367420B1 (ko) | 2000-01-27 | 2000-01-27 | 매립형 콘센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2403U Division KR200189072Y1 (ko) | 2000-01-27 | 2000-01-28 | 매립형 콘센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6741A KR20010076741A (ko) | 2001-08-16 |
KR100367420B1 true KR100367420B1 (ko) | 2003-01-14 |
Family
ID=1964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04088A KR100367420B1 (ko) | 2000-01-27 | 2000-01-27 | 매립형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67420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74969U (ko) * | 1984-10-24 | 1986-05-21 | ||
KR920018705U (ko) * | 1991-03-12 | 1992-10-19 | 김경호 | 콘센트 안전장치 |
KR950015696U (ko) * | 1993-11-23 | 1995-06-19 | 김현욱 | 전원 콘센트 |
KR19990007052U (ko) * | 1997-07-30 | 1999-02-25 | 손상철 |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 |
KR19990007053U (ko) * | 1997-07-30 | 1999-02-25 | 손상철 |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 |
KR20000002218U (ko) * | 1999-05-07 | 2000-02-07 | 김금택 | 플러그인출기능을가지는매립형콘센트 |
KR20000002949U (ko) * | 1998-07-14 | 2000-02-15 | 이충기 | 안전판이 달린 전원콘센트 뚜껑 |
KR20000004232U (ko) * | 1998-08-01 | 2000-03-06 | 이장우 | 콘센트 |
-
2000
- 2000-01-27 KR KR10-2000-0004088A patent/KR10036742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74969U (ko) * | 1984-10-24 | 1986-05-21 | ||
KR920018705U (ko) * | 1991-03-12 | 1992-10-19 | 김경호 | 콘센트 안전장치 |
KR950015696U (ko) * | 1993-11-23 | 1995-06-19 | 김현욱 | 전원 콘센트 |
KR19990007052U (ko) * | 1997-07-30 | 1999-02-25 | 손상철 |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 |
KR19990007053U (ko) * | 1997-07-30 | 1999-02-25 | 손상철 |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 |
KR20000002949U (ko) * | 1998-07-14 | 2000-02-15 | 이충기 | 안전판이 달린 전원콘센트 뚜껑 |
KR20000004232U (ko) * | 1998-08-01 | 2000-03-06 | 이장우 | 콘센트 |
KR20000002218U (ko) * | 1999-05-07 | 2000-02-07 | 김금택 | 플러그인출기능을가지는매립형콘센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6741A (ko) | 2001-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84258B2 (en) | Socket power supply control structure | |
US6932631B2 (en) | Socket protective cover capable of preventing single-opening insertion | |
US6511770B2 (en) | Battery casing with an ejector | |
JPS61116086U (ko) | ||
KR20020084149A (ko) | 콘센트 | |
KR200258989Y1 (ko) |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매립형 콘센트 | |
KR100758689B1 (ko) |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 |
KR101408132B1 (ko) | 콘센트 안전장치 | |
KR200189072Y1 (ko) | 매립형 콘센트 | |
KR100367420B1 (ko) | 매립형 콘센트 | |
CN2276207Y (zh) | 电源插座的安全门结构 | |
JP4149907B2 (ja) | 電源コンセント | |
US5854456A (en) | Line switch having a parallel arrangement between conducting plates with piercing tips and the electrical cord | |
KR100327529B1 (ko) | 매립형 콘센트 | |
KR200199635Y1 (ko) | 매립형 콘센트 | |
KR200258988Y1 (ko) | 플러그 인출 기능을 가지는 멀티 코드 콘센트 | |
US2777023A (en) | Electric lock plug | |
KR100986197B1 (ko) | 탈거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 |
KR200278375Y1 (ko) | 전기 콘센트 | |
KR100759121B1 (ko) |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단자함 | |
US6713697B2 (en) | Dust and moisture free switch | |
WO2020024124A1 (zh) | 插座结构 | |
JP2988895B2 (ja) | コンセントソケット | |
KR200408946Y1 (ko) | 멀티탭 스위치 커버 | |
KR200144140Y1 (ko) | 승강식 안전 콘센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