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232B1 - 전자 건반악기의 건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건반악기의 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232B1
KR930004232B1 KR1019900018267A KR900018267A KR930004232B1 KR 930004232 B1 KR930004232 B1 KR 930004232B1 KR 1019900018267 A KR1019900018267 A KR 1019900018267A KR 900018267 A KR900018267 A KR 900018267A KR 930004232 B1 KR930004232 B1 KR 93000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
contact
contact spr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536A (ko
Inventor
남상은
Original Assignee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남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남상은 filed Critical 영창악기제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232B1/ko
Publication of KR92001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건반악기의 건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의 건반을 누르지 않은 상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것을 밑에서 올려다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의 건반을 누른 상태에서의 접점스프링의 위치변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본체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및 저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의 접점스프링 가압부재 및 이에 돌출설치된 스토퍼부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의 건반회동축부재의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의 건반가이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건 2 : 흑건
3 : 건반회동축부재 4 : 건반무게조절스프링
5 : 조정나사 6 : 접점스프링
7, 8 : 접점 9 : 회로기판
10 : 접점스프링끼움틀 11 : 접점스프링 가압부재
12 : 스토퍼부 또는 스프링가압부 13, 14, 15 : 쿠션부재
16 : 건반가이드 17 : 건반본체(백건, 흑건)의 프레임
19 : 스프링지지판 20 : 건반장치 프레임
본원 발명은 전자오르간과 같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건반누름시의 건반의 터치감을 개선하고 건반 회동시의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하는 건반의 회동축이나 건반가이드의 작용 및 쿠션작용의 개선, 나아가 전자건반장치의 접점스프링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은 될 수 있으면 아코스틱 건반악기의 건반과 유사한 터치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전자건반은 일정한 무게를 지님으로써 건반의 누름시에 적당한 저항이나 탄성을 부여하여 알맞은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건반을 해제하면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어서 복잡하고 빠른템포의 악기음을 명확히 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건반의 누름과 해제에 따른 건반의 회동시에 적당한 탄성력 및 터치감을 부여하기 위해 종래의 전자건반악기에서는 건반본체의 후단에 스프링을 부착하였으나 이 스프링의 양단이 건반 후단과 건반장치의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가 없어서 터치값의 변화 및 조정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은 중공체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것이 보통이었는데 이것만으로는 적당한 중량감이나 터치감을 얻을 수가 없어서 별도로 납과 같은 중량물로 만든 질양체나 웨이트등을 부착하여 필요한 질량감이나 터침감을 얻는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이 역시 별도의 부품 및 조립공정을 요하는 것이었다.
한편, 종래의 전자건반악기의 접점스위치구조는 코일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건반에 고정하고 다른쪽 단부를 회로기판의 소요의 위치에 접속시킨 2접점(2접점) 스위치구조이나 이의 제작에 필요한 부품수나 납땜등의 작업공정은 더욱 간략화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었다. 또한 건반을 누르면 접점스프링을 가압하여 접점스프링의 접촉을 개폐하는 접점스프링 가압부재는 종래의 건반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건반본체의 하면으로 길게 돌출되어 건반틀에 놓이는 건반의 깊이나 높이를 조정하도록 하는데 이것은 건반본체의 하면으로 길게 돌출되어 건반틀에 놓이는 건반의 깊이나 높이를 조정하도록 하는데 이것은 건반본체와 일체로서 형성되어 하향으로 길게 확장되므로 건반자체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건반이 정확히 위치 설정되지 못할 경우 건반의 좌우진동을 초래하고 나아가 건반의 금형제작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건반의 상하운동을 규제하고 출력을 완화하기 위해 부착되는 쿠션부재 또는 댐필부재와 접점스프링 가압부재의 스토퍼부와의 접촉 면적이 적어서 건반의 상하운동의 안정성이 결여되고 쿠션부재의 펠트재료가 국부적으로 압력이 집중되어 쉽사리 변형 마모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더욱 간단한 구조로 향상시키며 건반장치로서 건반작동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증대하고 건반의 터치감과 악기음을 향상시키며 건반장치의 부품수의 감소와 아울러 건반장치구조의 소형화 및 건반장치의 조립 공정의 단축을 통한 제조비용의 절감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이케스트로 주조된 금속제 건반본체 프레임(17)을 내부에 포함하는 백건 및 흑건의 건반본체(1, 2), 1옥타브의 건반 단위마다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건반의 회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건반회동축부재(3), 건반에 적당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건반무게조절스프링(4)과 건반무게조절스프링(4)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스프링지지판(19)과 건방장치 프레임(20)에 설치된 조정나사(5)로 이루어진 건반 탄성복귀부재, 건반본체(1, 2)의 저면에서 채널형상으로 하향돌출하며 건반본체(12)와 착탈가능하게 별체로 형성되고 건반본체(1, 2)의 상하운동의 길이를 규제하는 스토퍼부(12)가 돌출된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의 누름에 따라 상하의 2접점(7, 8)사이에서 스위치 개폐되는 후크형상의 접점스프링(6)과 회로기판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점스프링을 밀어 넣음에 따라 상기 접점스프링이 걸려 고정되도록 된 접점스프링끼움틀(10)로 이루어진 접점작동구조.
상기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의 채널형상의 내부에 끼워지고 건반본체(1, 2)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가 상하운동할 때 건반본체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건반가이드(16), 건반의 누름 및 해제 위치에서 상기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의 스토퍼부(12) 및 건반저면과 맞닿도록 된 쿠션부재(13, 14, 15)로 구성되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본원발명의 요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건반구조에서, 건반본체(1, 2) 내부의 건반본체 프레임(17)을 다이캐스트로 성형한 금속재료로 만들게 되면 종래와 같이 플라스틱으로만 성형한 건반체와는 달리 그 자체의 중량으로해서 적당한 중량감을 지니므로 양호한 터치감을 얻을 수 있으며 종래기술과 같이 별개의 중량체나 질량체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금속은 아연이나 이와 유사한 비중과 성형성을 가진 여러종류의 금속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반회동축부재(3)는 1옥타브에 해당하는 12개의 건반(백건 7개와 흑건 5개)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체로 사출성형하고 건반의 후부와 맞닿는 건반회동축부재의 상단이 둥글게 라운드되고 건반의 위치 및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라운드된 상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홈이 파져 있다. 이와같이 1옥타브 단위마다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건반의 간격 및 위치 설정의 정밀성이 향상되고 건반의 회동동작이 확실하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반장치의 복귀스프링(4)으로는 통상적인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그 한쪽 단부는 건반본체(1, 2)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건반장치의 후브의 스프링지지판(19)에 고정되며 이 스프링지지판(19)과 건반장치 프레임(20) 사이에는 조정나사(5)가 설치되어 이 조정나사의 조정에 의해 건반무게조절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정되어 건반의 탄력을 크게 또는 적게하여 건반의 터치감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는 종래에는 건반본체(1, 2)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본원발명에서는 별체로 구성하여 건반하면에서 끼워맞춤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단면형상은 채널형상을 하여 그 내부에 건반가이드(16)가 끼워지고 이 건반가이드(16)의 안내로 상하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접점스프링 가압부재의 하부에서 이 채널형상의 개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여 건반의 상하운동의 폭을 규제하는 스토퍼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12)는 건반의 누름해제시의 상승운동을 완충하여 부드러운 터치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건반장치의 저면판에 설치된 쿠션부재(13)와 맞닿도록 구성된다. 건반의 상하운동에 대하여 완충 댐핑하는 쿠션부재는 스토퍼부(12)에 맞닿는 상기의 쿠션부재(13)이외에도 건반의 누름시에 흑건 및 백건의 저면에 맞닿아서 하향운동을 규제하고 완충하는 쿠션부재(14)와 피아노 연주시 피아노의 댐퍼가 떨어지는 느낌을 건반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쿠션부재(15)를 더 포함하고 있다.
스토퍼부(12)는 건반의 누름시에 접점스프링(6)을 가압하여 제1접점(7) 및 제2점점(8) 사이에서 접점을 개폐절환하는 스프링 가압부로 기능한다.
상기와 같이 건반본체(1, 2)와 별체로 제작하여 이에 끼워맞춤조립하는 접점스프링 가압부재는 종래의 건반에서와 같이 건반의 높이 및 깊이의 조정과 접점타치를 위해 건반본체와 일체로 된 구조에 비해 건반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건반의 형상이 간단해져서 금형제작을 용이하게 하므로 건반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건반장치의 조립공정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쿠션부재(13, 14, 15)가 스토퍼부 및 흑건, 백건의 저면과 맞닿는 부분이 종래에 비해 넓고 이중으로 접촉되므로 건반의 터치감은 더욱 부드럽게 될 뿐만아니라 쿠션재료인 펠트재료가 국부적으로 마모되어 용이하게 손상되는 일도 적게 된다.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전자건반악기의 접점작동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한쪽은 건반본체에 고정하고 다른 쪽은 회로기판의 접점에 납땜하지 않고 판상 또는 봉상의 후크형상의 접점스프링(6)을 회로기판 밑에 부착된 접점스프링끼움틀(10)에 간단히 끼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접점스위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공정이나 부품수가 절약된다.
본 발명의 접점작동은 건반을 누르면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에 돌출설치된 스토퍼부(12)가 접점스프링(6)을 하향으로 가압하여 접점스프링이 제1접점(7)에서 떨어져서 제2접점(8)에 접속되고, 건반의 누름을 해제하면 건반무게조절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부가 상승하여 제2접점(8)에서 떨어져 제1접점에 접촉된다. 상기의 접점작동에서 접점이동시간의 장단에 따라 악기음의 크기가 변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건반장치의 전방부에 건반가이드(16)를 설치하는데, 이 건반가이드는 각각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의 채널속에 끼워져 건반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고 좌우흔들림을 방지하는 T형 돌출부재(18)를 하부에서 일체로 연결한 구조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건반의 간격유지 및 상하운동의 안내와 좌우진동 방지에 있어서 작동의 안정성 및 정밀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의 기술상의 미비점, 특히 건반의 터치감을 개선하고 건반의 위치설정이나 상하회동작동구조 또는 접점개폐작동구조등을 한층 개선하면서도 필요한 부품수나 제조조립 공정을 더욱 단축시킨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다이케스트로 주조된 금속제 건반본체 프레임(17)을 내부에 포함하는 백건 및 흑건의 건반본체(1, 2), 1옥타브의 건반 단위마다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건반의 회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건반회동축부재(3), 건반에 적당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건반무게조절스프링(4)과 건반무게조절스프링(4)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스프링지지판(19)과 건방잔치 프레임(20)에 설치된 조정나사(5)로 이루어진 건반 탄성복귀부재, 건반본체(1, 2)의 저면에서 채널형상으로 하향 돌출하며 건반본체(12)의 상하운동의 길이를 규제하는 스토퍼부(12)가 돌출된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의 누름에 따라 상하의 2접점(7, 8)사이에서 스위치개폐되는 후크형상의 접점스프링(6)과 회로기판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점스프링을 밀어 넣음에 따라 상기 접점스프링이 걸려 고정되도록 된 접점스프링끼움틀(10)로 이루어진 접점작동구조, 상기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의 채널형상의 내부에 끼워지고 건반본체(1, 2)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가 상하운동할 때 건반본체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건반가이드(16) 및 건반의 누름 및 해제 위치에서 상기 접점스프링 가압부재(11)의 스토퍼부(12) 및 건반저면과 맞닿도록 된 쿠션부재(13, 14, 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
KR1019900018267A 1990-11-12 1990-11-12 전자 건반악기의 건반장치 KR93000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267A KR930004232B1 (ko) 1990-11-12 1990-11-12 전자 건반악기의 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267A KR930004232B1 (ko) 1990-11-12 1990-11-12 전자 건반악기의 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36A KR920010536A (ko) 1992-06-26
KR930004232B1 true KR930004232B1 (ko) 1993-05-22

Family

ID=1930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267A KR930004232B1 (ko) 1990-11-12 1990-11-12 전자 건반악기의 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416B1 (ko) * 2022-01-20 2022-11-11 전수현 기능성 낚시터 시스템
KR200495915Y1 (ko) * 2022-02-15 2022-09-20 조대현 접이식 낚시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36A (ko) 199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2741B2 (en) Keyboard apparatus
JPH07181959A (ja) 鍵盤装置
KR930004232B1 (ko) 전자 건반악기의 건반장치
KR100545953B1 (ko) 자동 상부 보드 스페이서를 구비한 건반 악기
US5131308A (en) Keyboard device of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3896972B2 (ja) 鍵盤装置
US6329585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2846916A (en) Organ stops and key switches
US4474100A (en) Musical keyboard
JP3624786B2 (ja) 鍵盤装置
CN220691905U (zh) 一种可有声无声切换的按键开关
US6545205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2550101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に於けるストッパ調節装置
JPS6328470Y2 (ko)
JPS5928452Y2 (ja) 鍵盤楽器の鍵ストツパ
US4248130A (en) Keyboard assembly
JPS5850356Y2 (ja) 鍵盤楽器の鍵ストッパ
JPS6237288Y2 (ko)
JPH0611236U (ja) 鍵盤装置
JPH0922288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591579B2 (ja) 鍵盤装置
US20230100217A1 (en) Keyboar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US20230097634A1 (en) Keyboar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US20230317038A1 (en) Keyboar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JPS5943596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